KR200258192Y1 - 휴대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8192Y1 KR200258192Y1 KR2020010029921U KR20010029921U KR200258192Y1 KR 200258192 Y1 KR200258192 Y1 KR 200258192Y1 KR 2020010029921 U KR2020010029921 U KR 2020010029921U KR 20010029921 U KR20010029921 U KR 20010029921U KR 200258192 Y1 KR200258192 Y1 KR 20025819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
- shaft
- spring
- cover
- mobile phon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버가 일정각 이상일 때는 부드럽게 열리고 일정각 이하일 때는 안정적으로 닫히도록 하는 휴대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개폐장치는 휴대폰의 본체와 연결되어 휴대폰 커버가 열릴 때 회전력을 전달하는 로터리캠과, 상기 로터리캠과 캠방식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사점을 지나면 커버를 진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슬라이더캠과, 상기 슬라이더캠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와셔와, 상기 로터리캠과 슬라이더캠과 스프링이 회전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와셔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가 상기 로터리캠과 슬라이더캠과 스프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으로 구성되어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부품간의 마찰을 줄임으로 부드럽게 열리고 안정적으로 닫힘을 유지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버가 일정각 이상일 때는 부드럽게 열리고 일정각 이하일 때는 안정적으로 닫히도록 하는 휴대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폰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복수개의 다이얼 버튼(2)이 설치되고 송화구(3)가 구비된 본체(1)와, 수화구(5)가 형성된 커버(4) 및 상기 본체(1)와 커버(4)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6)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부(7)는 본체(1) 또는 커버(4)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나 도면에서는 커버(4)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커버(4)는 상기 본체(1)를 덮어 다이얼 버튼(2) 등을 보호하며, 폴더(folder)라고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폰은 커버(4)를 연 상태에서 통화하도록 되어 있으며, 통화가 끝나면 커버(4)를 닫아 오프 후크 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커버(4)가 열리고 닫힐 때 커버(4)와 본체(1) 사이에는 서로 캠방식으로 접촉하는 로터리캠과 슬라이더캠 및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캠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로터리캠과 슬라이더캠은 습동되며 힘을 교환하므로 본체로부터 커버가 열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로터리캠과 슬라이더캠과 스프링을 관통하도록 샤프트가 설치되는데, 상기 로터리캠과 샤프트에는 축의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홀에 핀이 삽입되어 상기 로터리캠과 샤프트는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개폐장치는 로터리캠과 샤프트의 고정시 로터리캠과 샤프트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홀을 일치시키고 상기 홀에 핀을 삽입함으로 조립이 어려울 뿐 아니라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본체와 연결되어 고정된 로터리캠에 샤프트가 고정됨으로 상기 커버 및 슬라이더캠이 회전되는 반면 샤프트는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샤프트 주변에 설치되는 다른 부품과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개폐력이 감소됨으로 커버가 부드럽게 열리지 못할 뿐 아니라 안정적으로 닫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커버가 열리거나 닫힐 경우 회전하는 로터리캠을 따라서 샤프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 다른 부품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개폐력을 증대시킴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커버가 부드럽게 열리고 안정적으로 닫히는 휴대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폰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장치가 구비된 휴대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가 도시된 내부 구성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작동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가 도시된 내부 구성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가 도시된 내부 구성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커버
42 : 로터리캠 44 : 슬라이더캠
46 : 스프링 48 : 와셔
50 : 샤프트 52 : 고정홈
54 : 오링 L : 직선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개폐장치는 휴대폰의 본체와 연결되어 휴대폰 커버가 열릴 때 회전력을 전달하는 로터리캠과, 상기 로터리캠과 캠방식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사점을 지나면 커버를 진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슬라이더캠과, 상기 슬라이더캠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와셔와, 상기 로터리캠과 슬라이더캠과 스프링이 회전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와셔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가 상기 로터리캠과 슬라이더캠과 스프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장치가 구비된 휴대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가 도시된 내부 구성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작동도이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개폐장치는 일반 전화기나 플립형 또는 폴더 형 휴대폰에도 사용 가능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커버(20)가 휴대폰의 본체(10)로부터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힌지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본체(10)에는 송화구(12) 및 다이얼 버튼(14)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20)에는 수화구(22) 및 액정부(24)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와 커버(20)는 상기 본체(10)의 양측 상단에 돌출된 돌출턱(15)과 상기 커버(20)의 하측 중앙 부분에 형성된 중공의 통체부(25)가 힌지핀(35)과 개폐용 힌지(40)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용 힌지(40)는 상기 본체(10)의 돌출턱(15)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20)가 본체(10)로부터 수동으로 열고 닫히도록 해 준다.
상기 개폐용 힌지(4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돌출턱(15)에 상단이 고정되어 상기 커버(20)가 열릴 때 회전력을 전달하는 로터리캠(42)과, 상기 로터리캠(42)과 캠방식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커버(20)의 통체부(2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사점을 지나면 상기 커버(20)를 진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슬라이더캠(44)과, 상기 슬라이더캠(44)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캠(4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46)과, 상기 스프링(46)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46)을 지지하는 와셔(48)와, 상기 로터리캠(42)과 슬라이더캠(44)과 스프링(46)이 회전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와셔(48)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샤프트(50)와, 상기 샤프트(50)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50)가 상기 로터리캠(42)과 슬라이더캠(44)과 스프링(4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터리캠(42)은 상기 본체(10)의 돌출턱(15)에 삽입 고정되는 헤드(42a)와, 상기 헤드(42a)의 하단에 형성되어 나선형의 캠면을 형성하는 로터리캠부(42b)로 구성되며, 상기 로터리캠(42)은 축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5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홀(42h)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캠(44)은 상기 로터리캠부(42b)와 캠방식으로 접촉하는 나선형의 캠면이 형성된 슬라이더캠부(44a)와, 상기 슬라이더캠부(44a)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46)의 상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슬라이더축부(44b)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캠(44)은 축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5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홀(44h)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20)의 통체부(25)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20)가 회전되면 상기 통체부(25) 내에서 상기 로터리캠(42)과 캠방식으로 접촉되면서 수직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46)은 상단이 상기 슬라이더축부(44b) 둘레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와셔(48)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더캠(44)에 탄성력을 부여함으로 상기 슬라이더캠(44)이 상기 로터리캠(42)과 캠방식으로 접촉되면서 수직왕복 운동하도록 한다.
상기 샤프트(50)는 상기 와셔(48)가 끼워져 지지되는 판(50a)과, 상기 스프링(46)과 슬라이더캠(44)과 로터리캠(42)이 차례대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보(50b)와, 상기 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50)가 상기 로터리캠(42)과 슬라이더캠(44)과 스프링(4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로터리캠(42)과 보(50b) 사이에 오링(54)이 압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보(50b)의 둘레면에 형성된 고정홈(5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체부(25)에는 중공의 케이스(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미도시)의 하단은 샤프트(50)의 판(50a)과 와셔(48) 사이에 고정될 수 있어 상기 커버(20)가 회전되면, 상기 슬라이더캠(44)은 상기 케이스(미도시)와 함께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미도시)에 의해 상기 케이스(미도시) 내부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가 도시된 내부 구성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50)는 와셔(48)와 스프링(46)과 슬라이더캠(44)과 로터리캠(42)이 차례대로 끼워지는 보 형상으로 하단 둘레면에는 상기 샤프트(44)의 하단과 와셔(48) 사이에 오링(54)이 압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5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44)의 하단과 와셔(48) 사이에 설치되는 오링은 상기 스프링(46)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셔(48)를 상기 샤프트(50)의 하단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50)가 상기 로터리캠(42)과 슬라이더캠(44)과 스프링(4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가 도시된 내부 구성 단면도이다.
제 3실시예는 모든 구성 및 작동이 제 1실시예와 동일하고,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50)와 로터리캠(42)이 상기 로터리캠(42) 회전시 부품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50)가 같이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샤프트(50)의 보(50b)와 상기 로터리캠(42)의 홀(42h)에는 다단의 직선부(L)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커버(20)가 열림상태(O)에서 닫히게 되면, 상기 커버(20)의 통체부(25)에 설치된 슬라이더캠(44)은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로터리캠(42)과 캠방식으로 접촉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통체부(25) 내에서 직선 하강하게 되고, 스프링(46)은 압축된다.
여기서, 상기 로터리캠(42)과 슬라이더캠(44)의 접촉면이 정점(P)을 지나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캠(44)은 직선 상승하고, 상기 슬라이더캠(44)은 나선형 캠면이 로터리캠면에 미끄러지면서 커버(20)를 진행방향(반시계방향)으로 움직여 닫힘상태(C)가 된다.
반대로, 휴대폰 커버(20)가 닫힘상태(C)에서 열리게 되면, 상기 커버(20)의 통체부(25)에 설치된 슬라이더캠(44)은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로터리캠(42)과 캠방식으로 접촉하며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통체부(25) 내에서 직선 하강하게 되고, 스프링(46)은 압축된다.
여기서, 상기 로터리캠(42)과 슬라이더캠(44)의 접촉면이 정점을 지나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캠(44)은 직선 상승하고, 상기 슬라이더캠(44)은 나선형 캠면이 로터리캠면에 미끄러지면서 커버(20)를 진행방향(시계방향)으로 움직여 열림상태(O)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휴대폰 개폐장치는 로터리캠과 슬라이더캠과 스프링이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가 상기 로터리캠과 슬라이더캠과 스프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에 오링이 설치되기 때문에 조립하기가 용이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커버 및 슬라이더캠이 회전되면 샤프트도 함께 회전되기 때문에 다른 부품들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마찰력이 줄어듦으로 개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휴대폰 커버가 부드럽게 열리고 안정적으로 닫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 휴대폰의 본체와 연결되어 휴대폰 커버가 열릴 때 회전력을 전달하는 로터리캠과, 상기 로터리캠과 캠방식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사점을 지나면 커버를 진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슬라이더캠과, 상기 슬라이더캠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와셔와, 상기 로터리캠과 슬라이더캠과 스프링이 회전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와셔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가 상기 로터리캠과 슬라이더캠과 스프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개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오링은 상기 샤프트와 와셔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개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샤프트와 로터리캠은 상기 로터리캠 회전시 부품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가 같이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샤프트의 하부 둘레면과 상기 로터리캠의 홀에는 다단의 직선부가 형성되어 서로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9921U KR200258192Y1 (ko) | 2001-09-28 | 2001-09-28 | 휴대폰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9921U KR200258192Y1 (ko) | 2001-09-28 | 2001-09-28 | 휴대폰 개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8192Y1 true KR200258192Y1 (ko) | 2001-12-29 |
Family
ID=7310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9921U KR200258192Y1 (ko) | 2001-09-28 | 2001-09-28 | 휴대폰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819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3720B1 (ko) * | 2002-04-29 | 2005-04-15 | 캠아이티(주) | 휴대폰 개폐장치 |
-
2001
- 2001-09-28 KR KR2020010029921U patent/KR20025819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3720B1 (ko) * | 2002-04-29 | 2005-04-15 | 캠아이티(주) | 휴대폰 개폐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202779B (zh) | 滑动/旋转组件以及具有该组件的移动终端 | |
US20130061700A1 (en) | Opening/closing device | |
KR100439744B1 (ko) |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 |
US7334296B2 (en) |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20090058614A (ko) | 회전 힌지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200258192Y1 (ko) | 휴대폰 개폐장치 | |
KR100627605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 |
US20060154701A1 (en) |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 |
KR100953173B1 (ko) | 폴더형 휴대 단말기 | |
KR20060095310A (ko) | 반자동 스윙모듈 및 이 스윙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 |
JPH09284165A (ja) | 携帯無線機のヒンジ装置 | |
KR100431558B1 (ko) | 휴대폰 개폐장치 | |
KR102317806B1 (ko) | 폴더블 힌지장치 | |
KR100692311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 |
KR100505961B1 (ko) |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 |
KR200214694Y1 (ko) |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 |
KR200266224Y1 (ko) | 휴대폰 개폐장치 | |
KR200392956Y1 (ko) |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 |
KR200350698Y1 (ko) | 슬라이드타입 무선단말기의 바디 구동장치 | |
JP2852266B2 (ja) | 開閉検出構造 | |
KR100597246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 |
KR100613621B1 (ko) | 통신단말기용 힌지장치 | |
KR100483720B1 (ko) | 휴대폰 개폐장치 | |
KR200284282Y1 (ko) | 휴대폰 개폐장치 | |
KR200389765Y1 (ko) |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112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