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657Y1 -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 - Google Patents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657Y1
KR200257657Y1 KR2020010027104U KR20010027104U KR200257657Y1 KR 200257657 Y1 KR200257657 Y1 KR 200257657Y1 KR 2020010027104 U KR2020010027104 U KR 2020010027104U KR 20010027104 U KR20010027104 U KR 20010027104U KR 200257657 Y1 KR200257657 Y1 KR 200257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ley
situation
water level
alarm
f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던테크
Priority to KR20200100271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6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65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류계곡상에는 우량측정부, 중류계곡상에는 수위측정부, 야영지주변의 계곡상에는 경보발생부 및 화상카메라가 설치 구비되는 계곡상황부를 이루고 이 계곡상황부의 측정된 강우량,수위,화상데이터는 무선통신망으로서 원격지의 관리통제국에서 관리됨과 동시에 관리통제국은 상류계곡부의 강우량 측정치와 중류계곡부의 수위 측정치를 비교검색하여 강우상황에 따른 계곡홍수상황을 보다 정밀하고도 정확하게 예측할수 있게 됨은 물론 예측된 상황에 따라 경보발생부로서 단계별 경보상황을 발령하게 될 뿐만 아니라 화상카메라로서 야영지와 계곡부 상황을 모니터링 함으로서 야영객의 대피상황과 계곡부의 홍수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신속한 상황 대처가 이루어 지면서 계곡홍수위험으로 부터 야영객을 안전하게 보호할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Auto-alarm facility system}
본 고안은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류계곡상에는 우량측정부, 중류계곡상에는 수위측정부, 야영지주변의 계곡상에는 경보발생부 및 화상카메라가 설치 구비되는 계곡상황부를 이루고 이 계곡상황부의 측정된 강우량,수위,화상데이터는 무선통신망으로서 원격지의 관리통제국에서 관리됨과 동시에 관리통제국은 상류계곡부의 강우량 측정치와 중류계곡부의 수위 측정치를 비교검색하여 강우상황에 따른 계곡홍수상황을 보다 정밀하고도 정확하게 예측할수 있게 됨은 물론 예측된 상황에 따라 경보발생부로서 단계별 경보상황을 발령하게 될 뿐만 아니라 화상카메라로서 야영지와 계곡부 상황을 모니터링 함으로서 야영객의 대피상황과 계곡부의 홍수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신속한 상황 대처가 이루어 지면서 계곡홍수위험으로 부터 야영객을 안전하게 보호할수 있게 되는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과 같이 급속도로 발전된 산업환경과 도시문명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소음 및 공해등의 각종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며, 이러한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으로서 연휴나 주말을 이용하여 자연경관이 수려한 하천변의 유원지 및 산속의 계곡을 즐겨 찾거나 등산이 한 방법으로서 선택되고 있는데, 이와같이 등산시나 계곡주변에서 야영시에는 날씨정보가 매우 중요한 것이며, 이러한 날씨는 기상청의 일기예보만으로서 판단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의 기상청 일기예보는 광범위한 지역의 날씨만을 예측하는 것이고 어느 특정된 지역의 날씨는 예측 불가능한 실정이며, 최근에는 게릴라성 집중폭우가 자주 발생되고 있어 기상청의 일기예보로서만 그 지역 기후상황을 판단하여 대처하기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산간계곡부에는 지형특성상 갑작스런 집중폭우가 자주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급속히 불어나는 수위에 미처 대피를 하지 못하고 홍수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등 여러가지 제반 문제점들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류계곡상에는 우량측정부, 중류계곡상에는 수위측정부, 야영지주변의 계곡상에는 경보발생부 및 화상카메라가 설치 구비되는 계곡상황부를 이루고 이 계곡상황부의 측정된 강우량,수위,화상데이터는 무선통신망으로서 원격지의 관리통제국에서 관리됨과 동시에 관리통제국은 상류계곡부의 강우량 측정치와 중류계곡부의 수위 측정치를 비교검색하여 강우상황에 따른 계곡홍수상황을 보다 정밀하고도 정확하게 예측할수 있게 됨은 물론 예측된 상황에 따라 경보발생부로서 단계별 경보상황을 발령하게 될 뿐만 아니라 화상카메라로서 야영지와 계곡부 상황을 모니터링 함으로서 야영객의 대피상황과 계곡부의 홍수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신속한 상황 대처가 이루어 지면서 계곡홍수위험으로 부터 야영객을 안전하게 보호할수 있게 되는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경보시설의 자료수집체계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의 구성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경보시설의 감시국 시스템 구성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경보시설의 관리통제부 시스템 구성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경보시설의 우량측정부 시스템 구성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경보시설의 수위관측부 시스템 구성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경보시설의 경보발생부 시스템 구성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우량측정부 110,210,410 ; 현장원격제어장치
120,220,420 ; 태양전지판 200 ; 수위측정부
300 ; 화상카메라 400 ; 경보발생부
430 ; 스피커 500,500a ; 송수신장치
510 ; 안테나 520 ; 피뢰기
530 ; 무선모뎀 540 ; VHF무선통신망
600 ; 관리통제부 700 ; 감시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은 각종 센서부로서 계곡주변의 강우량과 계곡수위를 측정하는 강우량측정부 및 수위측정부, 야영지와 계곡의 현장모니터링를 위한 화상카메라, 홍수상황판단시 야영객의 대피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발생부로서 구비되는 계곡상황부와,
상기 계곡상황부상에는 취득된 각종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면서 낙뢰방지를 위한 안테나 및 피뢰기가 구비됨과 동시에 일정부위에는 무선모뎀이 구비되고 이 무선모뎀과 VHF무선통신망으로서 원격지상에 송수신될수 있도록 구비되는 송수신장치와,
상기 송수신장치를 매개체로서 계곡상황부를 원격지에서 관리함과 동시에 상황별에 따라 단계별의 경보명령과 계곡주변의 모니터링 명령등을 전송하게 되는 주 제어용 관리응용프로그램이 구축되고 무선수신된 강우량,수위,화상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저장하고 이 수신되어 저장된 계곡 데이터와 미리 입력된 홍수상황별 데이터를 비교검색하여 계곡홍수를 예측하게 되는 관리통제부와,
상기 관리통제부는 공원지역마다 다수로서 구비되고 이 다수의 관리통제부들은 각각 셀룰러폰 및 네트웍상 연결되면서 홍수예측판단된 관리통제부상에 단계별의 경보발생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계곡부에 홍수경보상황이 발령될수 있도록 관리되고 관리통제부들의 화상카메라의 영상감시제어기록, 강우량 및 수위기록, 경보상황기록등이 통합 관리되면서 감시될수 있도록 중앙 제어용 관리응용프로그램이 구축되는 감시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경보시설의 자료수집체계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경보시설의 감시국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경보시설의 관리통제국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경보시설의 우량측정부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경보시설의 수위관측부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경보시설의 경보발생부 시스템 구성도이다.
하기 본 고안에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산간 계곡의 상황을 판단하면서 경보를 발생할수 있도록 되는 계곡상황부와, 이 계곡상황부를 원격지에서 작동 관리하고 계곡부를 감시하는 관리통제부(600)와, 광범위한 지역의 산간계곡 마다에 다수 설치되는 관리통제부(600)을 통합관리하면서 제어명령을 수행하게 되는 감시국(700)으로서 구현된다.
상기 계곡상황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산간계곡 및 하천변 유원지의 상류지역 강우상황을 자동으로 관측하게 되는 우량측정부(1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우량측정부(100)는 상류계곡부근상에 우량이 측정될수 있도록 우량측정센서가 구비되면서 다수가 설치되고 일정부위에는 현장원격제어장치(110)인 RTU가 구비되고 이 현장원격제어장치(110)로서 제어되면서 일정단위의 분시간마다 측정된 강우량 데이터를 기록저장하게 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계곡상황부에는 강우시 변화되는 계곡수위가 측정될수 있도록 수위측정부(200)가 구비되며, 상기 수위측정부는 수위를 측정할수 있도록 되는 수위측정센서가 구비되면서 중류계곡부근에 설치되고 일정부위에는 현장원격제어장치(210)인 RTU와 함께 일정단위의 분시간마다 측정된 수위데이터를 기록 저장하게 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계곡상황부에는 계곡의 홍수상황시 경보가 발생될수 있도록 경보발생부(400)가 구비되며, 상기 경보발생부(400)는 하천 유원지나 계곡 주변의 야영장소에서 야영객이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충분히 인지할수 있도록 되는 장소에 다수가 설치됨과 동시에 현장원격제어장치(410)인 RTU가 구비되며, 일정부위에는 현장원격제어장치(410)에 의해 제어 되면서 소정의 경보음 및 경보메시지를 발생하게 되는 스피커(430)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경보발생부(400)상에는 야영객의 대피상황등이 모니터링 될수 있도록 화상카메라(300)가 설치되고, 이 화상카메라(300)는 야영지와 함께 계곡의 홍수상황이 모니터링 될수 있도록 경보발생부(400)상에 하측부가 360°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화상카메라(300)는 경보발생부(400)측에 구비되어 야영지 및 계곡부를 모니터링 할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우량측정부(100)와 수위측정부(200)상에 구비될수 있는 것이며, 이렇게 산간의 상류,중류,하류등에 다수가 설치됨으로서 비우기시에는 산불감시를 위하여 모니터링 될수 있는 것임과 동시에 자연보호를 위한 모니터링등을 선택적으로 수행할수 있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화상카메라(300)가 구비된 경보발생부(400)와 우량측정부(100) 및 수위측정부(200)상에는 각각 전원공급장치와 송수신장치(500)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태양전지판(120,220,420)과 이 태양전지판(120,220,420)에 집광된 태양에너지를 전기적에너지로 저장하게 되는 축전지로서 구성되며, 상기 송수신장치(500)는 안테나(510)와 무선모뎀(530)이 구비되고 VHF무선통신망(540)을 이루는 구성이다.
나아가 상기의 계곡상황부인 화상카메라(300), 경보발생부(400), 우량측정부(100), 수위측정부(200)상에는 낙뢰로부터 보호될수 있도록 피뢰기(5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계곡상황부는 무선통신망을 이루어 원격지에서 관리되는 구성이며, 이를 위해 관리통제부(600)가 구비된다.
상기의 관리통제부(600)상에는 계곡상황부의 송수신장치(500)에 각각 대응되어 상호 VHF무선통신망(540)을 이루는 안테나(510)와 무선모뎀(530)의송수신장치(500a)가 구비됨과 동시에 낙뢰가 보호될수 있도록 피뢰기(520)가 구비되고, 관리통제부(600)는 공원의 관리소측에 설치되면서 무정전전원장치로 부터 AC전원을 공급받게 되고, 일정부위에는 송수신장치(500)로서 강우량,수위,화상데이터를 전송받아 기록 관리하게 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면서 상황별에 따라 단계별의 경보명령과 계곡주변의 모니터링 명령등을 전송하게 되는 주 제어용 관리응용프로그램이 구축되는 시스템부가 구비되고, 이 관리응용프로그램상에는 무선수신된 강우량,수위,화상데이터로서 홍수상황을 판단할수 있도록 되는 비교검색프로그램이 포함되는 것임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상에는 홍수상황별에 따른 단계별 비교 데이터가 입력되어 구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리통제부(600)는 계곡상황부의 장비상태를 원격지에서 제어 관리하고 측정된 강우량과 수위 및 화상데이터 시각적 표시를 위한 모니터가 구비되며, 관리자측에는 데이터베이스 및 주 제어용 관리응용프로그램을 관리하면서 업데이트 할수 있도록 마우스,키보드등의 입력장치가 구비되며, 일측에는 단계별 홍수경보상황을 알리는 경고등이 설치됨과 동시에 경보메시지를 출력하게 되는 프린터 및 스피커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관리통제부(600)는 공원지역마다 다수로서 구비되고 이 다수의 관리통제부(600)들은 통합관리되는 구성이며, 이를 위해 감시국(700)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의 감시국(700)은 IMT2000과 셀룰러폰 및 전용회선망의 네트웍상으로 다수의 관리통제부(700)들과 각각 연결되는 구성이며, 내측 일정부위에는 관리통제부(600)의 업데이트 및 원격 관리를 위한 각종 기본 환경설정정보, 화상카메라의 모니터링된 파일정보, 강우량과 수위 및 경보상황 기록 파일정보, 관리자용 업데이트정보등이 기록되는 데이터베이스부가 구축됨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면서 관리통제부(600)상에서 현장계곡상황을 전송받아 상황에 따른 수동경보발령 및 경보방송을 판단하게 되는 중앙제어용 관리응용프로그램이 구축되는 것이며, 또한 시각인지를 위한 모니터 표시부와 관리를 위한 입력장치 및 출력을 위한 프린터와,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게 되는 스피커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감시국(700)과 관리통제부(600)상에 구비되는 관리응용프로그램들은 상호 백그라운드 데몬 프로그램으로서 상시 구동되는 것이며, 감시국은 네트웍을 이용한 원격지의 관리통제부(600)들의 통합 관리를 위함과 관리통제부(600)로서 계곡상황부가 관리될수 있도록 제공되는 통합 감시 시스템으로서, 그 시스템 내의 구성은 서버 가동시 항상 같이 실행되어 있게 되는 데몬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주 제어부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주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와, 이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 연결되어 수시로 업데이트 되는 관리자용 데이터베이스, 기본환경설정정보(강우량 및 수위 측정단위의 분시간 선택, 단계별 경보강도 선택과 변경여부, 영상감시 작동여부선택, 데이터의 업데이트 여부와 주기선택, 화상카메라 회전각도 조절선택, 경보방송의 싸이렌과 메시지선택, 계곡상황부의 자동/수동감시 선택, 비우기시 화상카메라로서 산불감시 및 쓰레기투기감시 작동여부선택등)의 목록과 강우량,수위데이터 및 영상감시제어기록과 경보상황기록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며, 그리고 TCP/IP나 UDP(User Defined Protocol)를 제어하는 윈속(Winsock)부로 구성되어 진다. 이때 감시국(700)과 관리통제부(600)의 시스템은 외부의 전용회선망과 연결되면 상호간에 수시로 통신접속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우량측정부(100)와 수위측정부(200)는 관리통제부(600) 및 감시국(700)과 무선통신망으로서 연결되는데, 이는 각종 측정데이터의 완벽한 수집을 위해 VHF무선통신망과 IMT2000통신망으로서 2중화를 이루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리통제부(600)의 시스템 구동시 관리응용프로그램은 감시국(700)과 네트웍상 접속을 시도하고 최초 접속시 데이터베이스의 기준날짜 및 시간정보와 기본환경설정정보를 읽어들여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는 단계를 거친 후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관리 응용프로그램은 계곡상황부의 각종 환경변수 및 통신 포트를 초기화 하면서 업데이트 시키게 되는데, 이때 우량측정부(100)는 우량을 감지할수 있도록 대기상태에 놓이게 되며, 우량이 감지되지 않으면 관리통제부(600)는 산불예방과 자연환경보호 모드상태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의 자연환경보호와 산불예방 모드는 산간부상에 다수로 구비되는 화상카메라(300)들을 구동시켜 원격지의 관리통제부(600)상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이는 화상카메라(300)측에 구비된 RTU인 현장원격제어장치(410)와 무선 송수신장치(500)로 원격지상에 영상데이터를 송출함과 동시에 360°회전되면서 산간부의 산불발생을 감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자연환경보호와 산불예방모드로 진행중 계곡상황부의 우량측정부(100)상에 우량이 감지되면은 그 즉시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스템모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상류계곡에 설치된 우량측정부(100)의 우량측정센서에 의해 우량이 감지되면 감지기록을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저장 기록하고 최초강우상황을 현장원격제어장치(110)와 송수신장치(500)로서 관리통제부(600)상에 송출하게 되며, 상기 최초강우상황을 송출받은 관리통제부(600)의 관리응용프로그램은 통제국내에 경보음을 발함과 동시에 무선 송수신장치(500)로서 우량측정부(100)와 중류계곡의 수위측정부(200)상에 강우량측정과 수위측정명령을 송출함과 동시에 감시국(700)상에 최초강우상황을 전송하게 되고, 상기 강우량 및 수위측정이 수신된 우량측정부(100) 및 수위측정부(200)는 현장원격제어장치(110,220)에 의해 제어되면서 일정단위의 분시간 마다 강우량과 수위변위를 측정하여 그 기록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함과 동시에 그 기록은 자동으로 관리통제부(600)상에 송출되고, 상기 우량측정부(100) 및 수위측정부(200)상에서 송출된 강우량과 수위측정데이터를 수신받아 관리통제부(600)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기록하고 관리응용프로그램으로서 상류의 강우량상황에 따른 중류계곡의 수위변동을 비교검색함과 동시에 강우량 및 수위변동치와 홍수분석데이터를 상호 비교검색하게 되는데, 이때 관리응용프로그램내의 비교검색이 수행되면 분단위로 입력되는 강우량과 수위측정데이터를 가져와 내부적으로 지정입력된 홍수입력데이터와의 허용오차범위를 비교 분석하여 분석된 값이 허용오차 범위 이내면 현재 읽어들인 강우량과 수위변위데이터를 기준으로 삼아 재차 읽어들인 강우량과 수위변위데이터를 비교분석하고 이 비교검색된 강우량과 수위변위데이터를 다시 내부적으로 입력된 홍수입력데이터와 다시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됨과 동시에 비교 분석값이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홍수상황기록과 함께 기준날짜와 시간이 업데이트 된다.
여기에서 상기의 강우량과 수위측정데이터로서 비교검색되는 홍수데이터는 홍수발생을 예고하는 단계검색을 이루는 것이고, 즉 홍수주의,홍수경계,홍수대피,홍수위험,홍수상황등의 단계별 데이터로서 검색을 이루는 것이면서 상류측의 강우량과 중류부근의 수위변위량을 홍수데이터와 일정시간의 분단위로서 비교검색을 이룸으로서 홍수상황을 판단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비교검색된 데이터가 홍수데이터의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홍수의 단계별 상황으로 판단되면 내부적으로 경광등 및 경보음을 발생하면서 강우량 및 수위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그 내용을 감시국(700)에 자동으로 송출하게 됨과 동시에 감시국(700)은 그 단계별 상황이 홍수대피상황이면 그 즉시 대피명령을 송출하게 되고, 상기 대피명령을 송출받은 관리통제부(600)은 계곡주변의 야영지에 다수 설치되는 경보발생부(400)로서 대피경보메시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스피커(430)를 통해 소정의 싸이렌 및 경보음을 방송하여 안전한 장소로 야영객을 대피시키게 된다.
상기 대피방송이 시작되면 자동으로 경보발생부(400)의 화상카메라(300)가 구동되어 야영지와 계곡주변 상황을 모니터링하게 되며, 이로서 상기 야영지 및 계곡주변 상황을 시각 인지하여 미리 대피하지 못한 야영객의 신속대피를 촉구하고 위험직면시에는 안전구조요원의 현장투입을 명령하여 계곡홍수위험으로 부터 야영객을 안전하게 대피시킬수 있는 것임과 동시에 모니터링된 파일과 측정된 강우량및 수위측정데이터는 관리통제부(600)내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저장하게 되고 이 기록은 감시국(700)상의 데이터베이스상에 수시로 업데이트 된다.
상기 감시국(700)은 다수의 관리통제부(600)로 부터 업데이트된 영상데이터와 강우량 및 수위측정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게 되며, 위험상황에 직면한 관리통제부(600)상에 안전구조요원의 신속한 증강배치를 이루어 위험상황으로 부터 야영객을 안전하게 보호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류계곡상에는 우량측정부, 중류계곡상에는 수위측정부, 야영지주변의 계곡상에는 경보발생부 및 화상카메라가 설치 구비되는 계곡상황부를 이루고 이 계곡상황부의 측정된 강우량,수위,화상데이터는 무선통신망으로서 원격지의 관리통제국에서 관리됨과 동시에 관리통제국은 상류계곡부의 강우량 측정치와 중류계곡부의 수위 측정치를 비교검색하여 강우상황에 따른 계곡홍수상황을 보다 정밀하고도 정확하게 예측할수 있게 됨은 물론 예측된 상황에 따라 경보발생부로서 단계별 경보상황을 발령하게 될 뿐만 아니라 화상카메라로서 야영지와 계곡부 상황을 모니터링 함으로서 야영객의 대피상황과 계곡부의 홍수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신속한 상황 대처가 이루어 지면서 계곡홍수위험으로 부터 야영객을 안전하게 보호할수 있으며, 산불발생의 초기감지로서 조기 진화를 이룰수 있음은 물론 산림의 훼손과 자연생태계의 파괴를 예방하면서 자연환경을 보호할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각종 센서부로서 계곡주변의 강우량과 계곡수위를 측정하는 강우량측정부(100) 및 수위측정부(200), 야영지와 계곡의 현장모니터링를 위한 화상카메라(300), 홍수상황판단시 야영객의 대피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발생부(400)로서 구비되는 계곡상황부와;
    상기 계곡상황부상에는 취득된 각종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면서 낙뢰방지를 위한 안테나(510) 및 피뢰기(520)가 구비됨과 동시에 일정부위에는 무선모뎀(530)이 구비되고 이 무선모뎀(530)과 VHF무선통신망(540)으로서 원격지상에 송수신될수 있도록 구비되는 송수신장치(500)와;
    상기 송수신장치(500)를 매개체로서 계곡상황부를 원격지에서 관리함과 동시에 상황별에 따라 단계별의 경보명령과 계곡주변의 모니터링 명령등을 전송하게 되는 주 제어용 관리응용프로그램이 구축되고 무선수신된 강우량,수위,화상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저장하고 이 수신되어 저장된 계곡 데이터와 미리 입력된 홍수상황별 데이터를 비교검색하여 계곡홍수를 예측하게 되는 관리통제부(600)와;
    상기 관리통제부(600)는 공원지역마다 구비되어 다수를 이루고 이 다수의 관리통제부(600)들은 각각 IMT2000과 셀룰러폰 및 네트웍상 연결되면서 홍수예측판단된 관리통제부(600)상에 단계별의 경보발생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계곡부에 홍수경보상황이 발령될수 있도록 관리되고 관리통제부(600)들의 영상감시제어기록, 강우량 및 수위기록, 경보상황기록등이 통합 관리되면서 감시될수 있도록 중앙 제어용관리응용프로그램이 구축되는 감시국(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은 상류계곡의 강우량과 중류계곡의 수위가 측정될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소정의 우량측정센서와 수위측정센서가 각각 구비되고 이 센서부로 부터 측정된 강우량과 수위 데이터가 기록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됨과 동시에 이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면서 관리하는 현장원격제어장치(110,210))가 함께 구비되는 우량측정부(100) 및 수위측정부(200)와;
    상기 계곡 주변의 야영장소에 다수 설치되면서 홍수상황시 소정의 경보메시지가 전달될수 있도록 스피커(430)가 구비됨과 동시에 일정부위에는 야영장소와 계곡부가 모니터링 될수 있도록 360°회전가능한 화상카메라(300)가 일체로 구비되고 이 화상카메라(300)를 현장제어하면서 촬영된 화상데이터를 기록관리하게 되는 현장원격제어장치(410)가 함께 구비되는 경보발생부(400)와;
    상기 경보발생부(400)와 우량측정부(100) 및 수위측정부(200)상의 상측부에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축전지에 전기적에너지로 저장하게 되는 태양전지판(120, 220, 420)이 구비되고 일정부위에는 기록된 강우량,수위,화상데이터를 전송함과 동시에 현장원격제어장치(110,210,410)상에 업데이트된 데이터가 수신될수 있도록 원격지와 소정의 무선통신망을 이루어 구비되는 송수신장치(500)와;
    상기 송수신장치(500)에 각각 대응되어 상호 무선통신망을 이루는 송수신장치(500a)가 구비되어 공원의 관리소측에 설치되면서 현장원격제어장치(110, 210, 410)상의 강우량,수위,화상데이터를 전송받아 기록 관리하게 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됨과 동시에 기록된 내용을 비교검색하여 단계별 홍수상황을 판단하면서 현장원격제어장치(110,210,410)를 상황별에 따라 업데이트 관리하게 되는 소정의 관리응용프로그램이 구축되는 관리통제부(600)와;
    상기 관리통제부(600)와 소정의 전용회선망을 통하여 네트웍상 연결되어 현장계곡상황을 전송받아 상황에 따른 수동경보발령 및 경보방송을 판단하게 되고 관리통제부(600) 및 현장원격제어장치(110,210,310)의 원격 관리를 위한 각종 기본 환경설정정보, 화상카메라의 모니터링된 파일정보, 강우량과 수위 및 경보상황 기록 파일정보, 관리자용 업데이트정보등이 기록되는 데이터베이스부가 구축되어 구비되는 감시국(700)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은 평상시에는 자연환경보호를 위한 모니터링과 비우기시에는 산불감시를 위한 모니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할수 있도록 경보발생부(400)에 구비되는 화상카메라(300)는 우량측정부(100) 및 수위측정부(200)상에도 구비됨과 동시에 전원공급장치인 태양전지판(420)과 무선 송수신장치(500) 및 현장원격제어장치(410)가 구비되면서 산의 관측지점이 용이한 일정위치에 다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
KR2020010027104U 2001-09-05 2001-09-05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 KR200257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104U KR200257657Y1 (ko) 2001-09-05 2001-09-05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104U KR200257657Y1 (ko) 2001-09-05 2001-09-05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311A Division KR20030021286A (ko) 2001-09-05 2001-09-05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657Y1 true KR200257657Y1 (ko) 2001-12-24

Family

ID=7310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104U KR200257657Y1 (ko) 2001-09-05 2001-09-05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65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118B1 (ko) * 2001-10-10 2004-10-12 학교법인 동국학원 통합 환경감시 시스템
WO2014126306A1 (ko) * 2013-02-12 2014-08-21 Kim Hyeong Sik 홍수 경보기가 구비된 텐트
CN116311796A (zh) * 2022-12-16 2023-06-23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计算机视觉识别的河道防洪预警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118B1 (ko) * 2001-10-10 2004-10-12 학교법인 동국학원 통합 환경감시 시스템
WO2014126306A1 (ko) * 2013-02-12 2014-08-21 Kim Hyeong Sik 홍수 경보기가 구비된 텐트
CN116311796A (zh) * 2022-12-16 2023-06-23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计算机视觉识别的河道防洪预警系统
CN116311796B (zh) * 2022-12-16 2023-08-25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计算机视觉识别的河道防洪预警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204743U (zh) 一种移动式输电线路防外破远程纠察装置
CN205910570U (zh) 一种无需人值守的总降变电站智能监控系统
CN201885752U (zh) 输电线路在线监测仪
KR101103697B1 (ko) 강우강도와 토양함수율을 이용한 경사지 경보시스템
CN201852598U (zh) 输电线路覆冰监测系统
CN102654397B (zh) 一种杆塔倾斜的检测方法
CN106022610A (zh) 一种电力系统防台抗台监控应急方法
CN208398944U (zh) 一种安全智能地下水监测井保护装置
CN107069975B (zh) 一种分布式输电设备状态数据反馈系统及其方法
Yeon et al. A study on real-time flood monitoring system based on sensors using flood damage insurance map
KR102057319B1 (ko) 가스 및 지진센서를 구비한 경보 관리 시스템
CN104359507A (zh) 太阳能供电的高压输电杆塔塔基滑坡监测系统
KR101063922B1 (ko) 목표물 위치 획득 및 감시시스템
KR101059142B1 (ko) 자동 우량 및 수위 경보장치 통신이중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95435A (ko) Usn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CN112700623A (zh) 房前屋后边坡失稳预警预报系统
KR101884268B1 (ko) 무선통신 기반의 제어장치를 이용한 송전철탑 지진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794730B1 (ko) 산불 자동음성문자 무인 감지장치 및 그 무인 감지 시스템
KR20030021286A (ko)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
KR200257657Y1 (ko) 계곡홍수의 자동경보시설 시스템
CN112017419A (zh) 一种基于多源数据的建筑物安全监测与预警系统及其方法
KR100452118B1 (ko) 통합 환경감시 시스템
KR101673768B1 (ko)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
CN213399931U (zh) 一种滑坡便携式应急监测装置
CN112034758B (zh) 一种低功耗多功能物联网安控监测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