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643Y1 -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643Y1
KR200257643Y1 KR2020010025789U KR20010025789U KR200257643Y1 KR 200257643 Y1 KR200257643 Y1 KR 200257643Y1 KR 2020010025789 U KR2020010025789 U KR 2020010025789U KR 20010025789 U KR20010025789 U KR 20010025789U KR 200257643 Y1 KR200257643 Y1 KR 200257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
electric heater
vacuum hea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재석
설상준
Original Assignee
설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재석 filed Critical 설재석
Priority to KR2020010025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6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643Y1/ko

Links

Landscapes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 및 온수를 공급함은 물론,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는 방열기와 공기를 주입시켜 온풍기능을 수행하는 온풍기 겸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형태의 외부몸체와 내부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몸체와 내부몸체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되고 상기 내부몸체에는 일정량의 열매체유가 저장되며 각종 조작버튼 및 스위치가 설치된 콘트롤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히터가 장착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저장된 열매체유를 순환·공급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상기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되고 순환펌프에 의해 이송관을 따라 순환·공급되는 열매체유와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열교환시키기 위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과, 배출구를 통해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에 의해 열교환되어진 물을 공급·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와,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으로 순환·공급되어진 열매체유를 몸체부의 내부몸체 내부로 회수시키는 순환구가 구비되되,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은 전·후방이 앤드캡으로 밀폐된 원통형상으로 다수개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종·횡방향으로 나열되고 후단부에는 일정량의 작동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 체결나사부를 갖는 보호볼트 및 보호커버가 결합된 발열관과, 상기 발열관에 내설되는 'U'자 모양으로 절곡된 급수관과 관통되는 열전도관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발열관에 내설된 상기 급수관과 열전도관은 상호간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며 최하단에 위치된 발열관에는 배출구와 배수구가 결합됨에 따라, 기름(등유나 경유등)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 전기와 열매체유 및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높은 열을 방열시킨 후, 이 열을 이용하여 온수, 방열, 온풍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각종 산업현장(각종 기업이나 산업체, 하우스나 축사와 같은 농축업 및 수산업, 목욕탕 등)에서 필요에 따라 온수, 방열, 온풍기능을 겸용하여 다기능(다용도)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열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용도(온수기, 방열기, 온풍기)에 따른 기기제품을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연료비의 대폭적인 절감은 물론, 구입에 따른 비용과 유지·관리 및 보수에 소모되는 인력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VACUUM ELECTRIC HEAT PIPE TYPE OF MULTI FUNCTION BOILER}
본 고안은 다기능 전기히타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방 및 온수를 공급함은 물론,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는 방열기와 공기를 주입시켜 온풍기능을 수행하는 온풍기 겸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지금까지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제품의 형상 및 제작방법, 이용방법을 갖는 제품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제품은 보편적으로 일반 스팀보일러와 연결시켜 사용되며 또한, 전기를 이용하여 방열기로만 사용할 수 있는 단순한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제품은 다용도로 사용할 수 없어 효율적이지 못하고 연료비를 대폭절감시키기에는 큰 효과가 없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온수를 생산함과 동시에 연료비 비용을 최대한 절감시킬 수 있고 난방 및 온수공급은 물론, 고온의 열을 방열시켜 방열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공기를 가열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온풍기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써, 사용용도와 위치에 따라 난방 및 온수와 방열, 온풍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에너지 비용을 대폭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는 원통형태의 외부몸체와 내부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몸체와 내부몸체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되고 상기 내부몸체에는 일정량의 열매체유가 저장되며 각종 조작버튼 및 스위치가 설치된 콘트롤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히터가 장착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저장된 열매체유를 순환·공급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상기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되고 순환펌프에 의해 이송관을 따라 분배기에 의해 순환·공급되는 열매체유와,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열교환시키기 위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과, 배수구를 통해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에 의해 열교환되어진 물을 공급·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와,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으로 순환·공급되어진 열매체유를 몸체부의 내부몸체 내부로 회수시키는 2개의 순환구가 구비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은 전·후방이 앤드캡에 의해 밀폐된 원통형상으로 다수개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종·횡방향으로 나열되고 후단부에는 일정량의 작동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 체결나사부를 갖는 보호볼트 및 보호커버가 결합된 발열관과, 상기 발열관에 내설되는 'U'밴드로 절곡된 급수관과 관통되는 열전도관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발열관에 내설된 상기 급수관과 열전도관은 상호간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며 최하단(끝단)에 위치된 발열관에는 배출구와 배수구가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발열관에 내설되는 급수관은 'U'밴드로 절곡되되, 절곡된 부위의 끝단이 발열관 후방으로 드러나지도록 관통되거나 또는, 상기급수관이 발열관을 관통되도록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은 내부로 급수관이 관통되는 상부관과 내부로 열전도관이 관통되는 하부관과 상·하부관과 연통되도록 직립·설치된 다수개의 분기관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은 하부관에 연통되도록 직립·설치된 분기관의 상단부에는 방열판이 결합되고 볼트에 의해 고정지지대가 연결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컨트롤 패널을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요부를 절개해 보인 평면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요부를 발췌해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8a, 도 8b, 도 8c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
도 9a, 9b, 9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2a, 12b, 12c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13a, 13b, 13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14a, 14b, 14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
도 15a, 15b, 15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6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7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a, 17b, 17c는 본 고안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
도 18a, 18b, 18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8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
도 19a, 19b, 19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9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
도 20은 도 19b의 A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21a, 21b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10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도,
21c는 도 21a의 A-A선 단면도,
도 22a, 22b, 22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1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
도 23a, 23b, 23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1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
도 24a, 24b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13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도,
24c는 도 24a의 B-B선 단면도,
도 25a, 25b, 25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14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
도 2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7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8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외부몸체 4:내부몸체
6:단열재 8:열매체유
10:몸체부 20:콘트롤 패널
30:전기히터 32:밸브
34:이송관
40, 40':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 50:저장탱크
52:주입관 54:체결나사부
56:보호볼트 58:보호커버
60:발열관 61:앤드캡
62:급수관 64:열전도관
66:배출구 68:'U'밴드
72:주입구 74:배출구
82:상부관 84:하부관
86:분기관 88:고정지지대
90:체결밴드 92:결합편
93, 96:나사부 94:삽입편
95:조립볼트 97:체결너트
98:밀폐부재 100:방열판
102:방열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몸체부(10)는 원통형태의 외부몸체(2)와 내부몸체(4)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몸체(2)와 내부몸체(4) 사이에는 단열재(6)가 충진되고 상기 내부몸체(4)에는 일정량의 열매체유(8)가 저장되며 각종 조작버튼, 타이머 및 스위치가 설치된 콘트롤 패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히터(30)가 장착되고, 순환펌프(P)는 상기 몸체부(10)에 저장된 열매체유(8)를 순환·공급시키는 밸브(32)와 이송관(34)으로 내부몸체(4)와 연결되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상기 전기히터(30)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유(8)에 의해 가열되고 순환펌프(P)에 의해 이송관(34)을 따라 분배기(48)에 의해 각각 순환·공급되는 열매체유(8)와 급수구(4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열교환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고, 저장탱크(50)는 배수구(44)를 통해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에 의해 열교환되어진 물을 공급·저장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2개의 순환구(46, 46')는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으로 순환·공급되어진 열매체유(8)를 내부몸체(4) 내부로 회수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10)에 결합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전·후방이 앤드캡(61)으로 밀폐된 원통형상으로 다수개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종·횡방향으로 나열되고 후단부에는 일정량의 작동유체(48)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52), 체결나사부(54)가 형성된 보호볼트(56) 및 보호커버(58)가 결합된 발열관(60)과, 상기 발열관(60)에 내설되는 'U'자 모양으로 절곡된 급수관(62)과, 관통되는 열전도관(64)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발열관(60)에 내설된 상기 급수관(62)과 열전도관(64)은 각각의 물과 열매체유(8)가 순환되도록 연통·결합되며, 최하단에 위치된 발열관(60)에는 배출구(66)와 배수구(44)가 결합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요부 발췌 사시도이며, 도 8a, 도 8b, 도 8c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로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전·후방이 앤드캡(61)으로 밀폐되고 발열관(60)에 내설된 급수관(62)과 열전도관(64)이 'U'밴드(68)로 절곡되며 절곡된 부위가 발열관(60) 후방으로 드러나지도록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열관(60)에는 내부에 일정량의 작동유체(48)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52)이 용접·결합되되, 작동유체(48)를 주입시키고 진공상태로 만든 후, 주입관(52) 끝단을 압착시켜 용접으로 밀폐시키고, 외부로 드러나진 주입관(52)을 보호하기 위해 체결나사부(54)가 형성된 보호볼트(56)에 보호커버(58)가 체결된다.
도 9a, 9b, 9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첨부 도면 도 6 내지 도 8c 참조)에서와 마찬가지로 발열관(60)에 물과 열매체유(8)의 순환·공급을 위해 급수관(62)과 열전도관(64)이 내설되되, 순환을 위해 급수관(62)과 열전도관(64)의 'U'밴드(68)에 의해 절곡된 부위가 외부로 드러나지지 않고 발열관(60)내부에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12a, 12b, 12c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및 종단면도로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의 발열관(60)으로 물이 순환·공급되는 급수관(62)과 열매체유(8)가 순환·공급되는 열전도관(64)이 연결되되, 상기 급수관(62)은 'U'밴드(68)에 의해 발열관(60) 내부에서 이중관구조를 갖도록 연결되고 상기 열전도관(64)은 2열로 각각의 발열관(60)을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일측 열전도관(64)으로는 열매체유(8)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순환·공급되고 타측 열전도관(64)으로는 열매체유(8)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순환·공급되도록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3a, 13b, 13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종단면도로서, 진공히트파이프식작동유체관(40)의 발열관(60)으로 물이 순환·공급되는 급수관(62)과 열매체유(8)가 순환·공급되는 열전도관(64)이 관통되도록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14a, 14b, 14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로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의 발열관(60)으로 물이 순환·공급되는 급수관(62)과 열매체유(8)가 순환·공급되는 열전도관(64)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되, 열매체유(8)가 순환·공급되는 열전도관(64)이 이중으로 내설·관통되도록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5a, 15b, 15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6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로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의 발열관(60)에 물과 열매체유(8)의 순환·공급을 위해 급수관(62)과 열전도관(64)이 내설되되, 상기 급수관(62)이 코일형태로 열전도관(64)에 감겨지도록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7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a, 17b, 17c는 본 고안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로서, 방열을 위한 방열기로 사용가능한 것으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의 발열관(60)에 열매체유가 순환·공급되는 2개의 열전도관(64)을 설치하여 발열관(60)에 주입된 작동유체(48)와 열교환되어 방열되도록 설치되되, 최상부에 위치된 양측(양쪽끝단) 발열관(60)에는 각각 주입구(72)와 배출구(74)를 설치하여 순환·공급되어지는 열매체유(8)의 순환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각각의 발열관(60)에서 방열되는 온도는 균일(평균)한 온도의 방열기능을 갖도록 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8a, 18b, 18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8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로서, 방열을 위해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의 발열관(60)에 열매체유(8)가 공급되는 열전도관(64)이 내설되되, 단일의 열전도관(64)이 'U'밴드(68)에 의해 절곡되어 절곡된 부위가 발열관(60) 후방으로 2중구조로 드러나지도록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9a, 19b, 19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9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로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상부관(82)과 하부관(84)의 전·후방이 앤드캡(61)으로 밀폐되고 물의 순환·공급을 위한 급수관(62)이 관통·내설되는 상부관(82)과, 열매체유(8)의 순환·공급을 위한 열전도관(64)이 관통되는 하부관(84)과, 이러한, 상·하부관(82, 84)과 연통되도록 직립·설치되어 상기 하부관(84)에 내설된 열전도관(64)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상기 상부관(82)으로 전도하기 위해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의 내부에 일정량의 작동유체(48)가 주입된 다수개의 분기관(86)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0은 도 19b의 A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로서, 양단부에 결합편(92)이 형성된 'U'자 모양의 체결밴드(90)와, 일측단부에 나사부(93)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삽입편(94)이 형성된 조립볼트(95)와 용접으로 결합되고, 내주면에 상기 조립볼트(95)의 나사부(93)와 대응되는 나사부(96)가 형성된 체결너트(97)와, 상기조립볼트(95)와 체결너트(97) 사이에 위치되도록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밀폐부재(98)에 의해 'U'자 모양의 체결밴드(90)가 각각의 급수관(62) 및 열전도관(64)에 착탈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너트(97)와 조립볼트(95) 사이에 위치되도록 결합된 밀폐부재(98)는 급수관(62) 및 열전도관(64)과 'U'자 모양의 체결밴드(90)간의 기밀이 유지된다.
도 21a, 21b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10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도이고, 21c는 도 21a의 A-A선 단면도로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내부에 급수관(62)이 관통되는 상부관(82)과, 2개의 열전도관(64)이 관통되는 하부관(84)과, 상기 상·하부관(82, 84)과 연통되도록 직립·설치된 다수개의 분기관(86)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관(84)에는 작동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52)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도 22a, 22b, 22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1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로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열매체유(8)가 직접 내부로 공급되는 하부관(84)과, 하단부가 막힌 상태로 상기 하부관(84) 내부공간에 위치되도록 직립·설치된 다수개의 분기관(86)과, 상기 분기관(86)과 연통되는 발열관(92)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열관(92)에는 물의 순환·공급을 위한 급수관(62)이 내설된다.
도 23a, 23b, 23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1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로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열매체유(8) 및 온수, 증기의 순환·공급을 위한 열전도관(64)이 관통되는 하부관(84)과, 상기 하부관(84)과 연통되도록 직립 설치되어진 다수개의 분기관(86)으로 이루어지며, 분기관(86)의 상단부에는 방열판(100)이 결합되고 고정지지대(88)가 볼트(89)로 체결되어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
도 24a, 24b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13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도이고, 24c는 도 24a의 B-B선 단면도로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2개의 열전도관(64)이 관통되는 하부관(84)과, 상기 하부관(84)과 연통되도록 직립 설치된 다수개의 분기관(8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기관(86)의 상단부에는 방열판(100)이 결합되고 고정지지대(88)가 볼트(89)로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5a, 25b, 25c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제 14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과 평면 및 종단면도로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열매체유(8) 및 온수, 증기가 직접 내부로 공급되는 하부관(84)과, 하단부가 막힌 상태로 상기 하부관(84) 내부 공간에 위치되도록 직립 설치된 다수개의 분기관(8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기관(86)의 상단부에는 전·후방이 앤드캡(61)에 의해 밀폐된 발열관(102)이 연통되게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7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8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몸체부(10)의 외부몸체(2)와 내부몸체(4) 사이에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 40')이 양쪽에 내설되어져 일식으로 형성되고, 몸체부(10)의 내부에는 단열판(2')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몸체(4)의 상단부에는 단열재(6)가 씌워지며 주입구(15), 안전밸브(13) 및 에어밸브(14)가 결합되고, 순환펌프(P)에 의해 토출밸브(38)를 통해 열원관(18)으로 공급된 열매체유(8)를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 40')으로 동시에 분활공급하기 위한 분배기(48)가 내설되며, 상기 몸체부(10)에 내설된 일측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 40')에는 급수펌프(P')에 의해 급수관(14)을 통해 일정량의 물이 순환·공급되도록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콘트롤 패널(20)에 설치된 전원스위치(22)를 'ON'시킨 후, 작동스위치(23)를 자동으로 선택하고 자동온도조절기(24)에는 일정한 온도(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설정시키고 타이며(25, 26)에는 시간을 설정시킨 다음, 히터스위치(27)를 차례로 켜면 전기히터(30)가 구동되어 몸체부(10) 내부의 열매체유(8)가 가열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0) 상부에 설치된 안전밸브(13)를 조정하고에어밸브(14)를 열어 몸체부(10) 내의 공기를 일차적으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하여, 전기히터(30)에 의해 몸체부(10) 내의 열매체유(8)가 가열되어 일정 온도[사용자가 자동온도조절기(24)에 의해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전기히터(30)는 자동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가열을 멈추게 되고 순환펌프(P)가 구동되어 가열된 열매체유(8)를 열전도관(64)을 통해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의 발열관(60)으로 순환·공급시키게 된다.
이때, 열전도관(64)을 통해 가열된 열매체유(8)가 순환·공급되는 발열관(60)에는 주입관(52)을 통해 일정량의 작동유체(48)가 진공상태로 주입된 상태이고 또한, 급수관(62)을 통해 물이 순환·공급되어 진다.
따라서, 열전도관(64)과 급수관(62)을 통해 발열관(60)으로 순환·공급되는 열매체유(8)와 물은 발열관(60)을 통과하면서 내부에 주입된 작동유체(48)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져, 수도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급수관(62)을 통하여 공급된 물이 열교환되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배수구(44)를 통해 저장탱크(50)로 공급되며, 열전도관(64)을 통해 순환·공급된 열매체유(8)는 순환구(46, 46')를 통해 다시 몸체부(10) 내부로 회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열관(60)을 순환·공급되면서 급수관(62)을 통해 순환·공급되는 물을 열교환시켜 일정한 온도를 갖도록 가열한 후, 순환구(46, 46')를 통해 몸체부(10)로 회수되는 열매체유(8)는 물과 열교환으로 인해 자체온도가 낮아진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보다 낮게 됨에 따라,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전기히터(30)가 다시 발열되어 열매체유(8)를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자동으로 순환·공급되는 열매체유(8)에 의해 물을 가열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타이머(26)에 설정된 시간동안 열매체유(8)가 순환하게 되면,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의 작동유체(48)는 열전도관(64)에서 발열되는 열을 흡수하여 증발하고 압력과 밀도차에 의해 상승하여 잠열을 방출하고 응축되어 중력에 의해 액체가 귀환하는 과정을 반복하므로 열을 수송하게 되며 이때, 순환펌프(P)가 작동되어 급수관(62)을 통해 물이 발열관(60)으로 순환·공급됨에 따라,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의 작동유체(48)에 의해 열을 흡수하게 되므로 온수가 생산되어 배출관(44)을 통해 저장탱크(50)에 모이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급수관(62)으로는 물 뿐만 아니라, 공기를 순환·공급시키게 되면, 고온의 온풍을 생산할 수 있어 온풍기겸용으로 시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 도면 도 6 내지 도 8c는 제 1실시예로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의 발열관(60)에 내설된 급수관(62)과 열전도관(64)이 'U'자 모양으로 절곡된 부위가 발열관(60) 후방으로 드러나지도록 결합된 것이고, 도 9a, 9b, 9c는 제 2실시예로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의 발열관(60)에는 물의 순환·공급을 위해 내설되는 급수관(62)과 열매체유(8)를 순환·공급하기 위해 내설된 열전도관(64)의 절곡된 부위가 외부로 드러나지지 않도록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발열관(60)의 길이 및 크기에 따라 물이 순환·공급되는 급수관(62)을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 도 10내지 도 12c는 제 3실시예를 나타내것으로서, 물이 공급된 급수관(62)을 가열(열교환)하기 위해 발열관(60)에 내설되는 열전도관(64)을 2열로 각각의 발열관(60)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되, 일측 열전도관(64)으로는 열매체유(8)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순환·공급되고 타측 열전도관(64)으로는 열매체유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순환·공급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열매체유(8)가 발열관(60)으로 순환되면서 열교환으로 인해 하방에 위치된 발열관(60)에 도달하게 되면, 열매체유(8)의 온도가 다소 떨어지게 되어 정상적인 물의 가열(열교환)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또 다른 하나의 열전도관(64)에는 열매체유(8)를 최하방에 위치된 발열관(60)으로부터 공급되도록 하므로써, 전체적인 발열관(60)의 가열(열교환)온도를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물의 가열(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3a, 13b, 13c는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의 발열관(60)으로 물이 순환공급되는 급수관(62)과 열매체유(8)가 순환공급되는 열전도관(64)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므로써, 급수관(62)과 열전도관(64)의 크기에 따라서 온수, 온풍의 생산량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4a, 14b, 14c의 제 5실시예와 도 15a, 15b, 15c에서와 같이,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으로 관통되는 급수관(62) 및 열전도관(64)을 2중구조 또는 코일형태로 순환되도록 하므로써, 열매체유(8)에 의한 물의 향상된 열교환을 이룰 수 있으며, 도 16 내지 도 18c에서와 같이, 발열관(60)으로 열매체유(8)가 공급되는 열전도관(64)이 2열로 설치되고 최상부에 위치된 양측 발열관(60)에는 각각 주입구(72)와 배출구(74)를 설치하여 순환·공급되어지는 열매체유(8)의 순환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전제척인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의 방열온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는 도 19a 내지 22c에서와 같이,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물의 순환·공급을 위한 급수관(62)이 관통·내설되는 상부관(82)과, 열매체유(8)의 순환·공급을 위한 열전도관(64)이 관통되는 하부관(84)과, 이러한, 상·하부관(82, 84)과 연통되도록 직립·설치되어 상기 하부관(84)에 내설된 열전도관(64)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상기 상부관(82)으로 전도하기 위해 내부에 일정량의 작동유체가 주입된 다수개의 분기관(86)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하부관(84)으로 관통되는 열전도관(64)과 이에 연통·결합되는 분기관(86)에 의해 상부관(82)으로 관통되는 급수관(86)에 열교환을 발생시켜 물을 가열함은 물론, 상·하부관(82, 84) 및 분기관(86)에 주입된 작동유체(48)에 의해 분기관(86)으로 하여금 방열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23a, 23b, 23c 내지 도 25a, 25b, 25c에서와 같이,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하부관(84)에 연통되도록 직립·설치된 분기관(86)의 상단부에 고정지지대(88)로 방열판(100)이 결합된 것으로, 상기 하부관(84)에 내설된 열전도관(64)에 의해 가열된 작동유체(48)가 분기관(86)을 통해 상단부에 결합된 방열판(100) 또는 방열관(102)이 가열되도록 하므로써, 온수공급은 물론, 방열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열기로 대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히트파이프식작동유체관(40, 40')을 몸체부(10)에 내설된 상태로 외부와 차폐되도록 한 상태에서,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보일러의 콘트롤 패널(20)에 설치된 전원스위치(22)를 'ON'시킨 후, 작동스위치(23)를 자동으로 선택하고 자동온도조절기(24)에는 일정한 온도(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설정시키고 타이며(25, 26)에는 시간을 설정시킨 다음, 히터스위치(27)를 차례로 켜면 전기히터가 구동되어 몸체부(10) 내부의 열매체유(8)가 가열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0) 상부에 설치된 안전밸브(13)를 조정하고 에어밸브(14)를 열어 몸체부(10) 내의 공기를 일차적으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하여, 전기히터에 의해 몸체부(10) 내의 열매체유(8)가 가열되어 일정 온도[사용자가 자동온도조절기(24)에 의해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전기히터(30)는 자동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가열을 멈추게 되고 순환펌프(P)가 구동되어 가열된 열매체유(8)가 토출밸브(38)와 열원관(18)을 통해 분배기(48)를 거쳐 각각의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 40')으로 순환·공급된다.
이때, 열전도관(64)을 통해 가열된 열매체유(8)가 순환·공급되는 발열관(60)에는 주입관(42)을 통해 일정량의 작동유체가 진공상태로 주입된 상태이고 또한, 급수관(62)을 통해 물이 순환·공급되어 진다.
따라서, 열전도관(64)과 급수관(62)을 통해 발열관(60)으로 순환·공급되는 열매체유(8)와 물은 발열관(60)을 통과하면서 내부에 주입된 작동유체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져 수도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급수관(62)을 통하여 공급된 물이 열교환되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배출관(16)을 통해 저장탱크(50)로공급되며, 열전도관(64)을 통해 물을 가열시키며 순환·공급된 열매체유(8)는 다시 내부몸체(4) 내부로 회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열관(60)을 순환·공급되면서 급수관(62)을 통해 순환·공급되는 물을 열교환시켜 일정한 온도를 갖도록 가열한 후, 내부몸체(4)로 회수된 열매체유(8)는 열교환으로 인해 자체온도가 낮아진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보다 낮게 됨에 따라,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전기히터가 다시 발열되어 열매체유(8)를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 40')의 발열관(60)에 주입되는 작동유체는 주입관(52)을 통해 일정량이 진공상태로 주입된 후, 끝단부가 압착되어 밀봉된 후, 체결나사부(54)가 형성된 보호볼트(56)와 보호커버(58)에 의해 밀폐된다.
이와 같이하여, 자동으로 순환·공급되는 열매체유(8)에 의해 물을 가열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타이머(26)에 설정된 시간동안 열매체유(8)가 순환하게 되면,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 40')의 작동유체는 열전도관(64)에서 발열되는 열을 흡수하여 증발하고 압력과 밀도차에 의해 상승하여 잠열을 방출하고 응축되어 중력에 의해 액체가 귀환하는 과정을 반복하므로 열을 수송하게 되며 이때, 순환펌프(P)가 작동되어 급수관(62)을 통해 물이 발열관(60)으로 순환·공급됨에 따라,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 40')의 작동유체(8)에 의해 열을 흡수하게 되므로 열을 얻게 되어 온수가 생산되어 배출관(16)을 통해 저장탱크(50)에 모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 40')은 몸체부(10)에 내설된 상태이므로 외부와 차폐된 상태로써, 외부 기온에 의한 열 손실이 최소화 되어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보일러를 이용함에 따라, 기름(등유나 경유등)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 전기와 열매체유 및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높은 열을 방열시킨 후, 이 열을 이용하여 온수, 방열, 온풍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각종 산업현장(각종 기업이나 산업체, 하우스나 축사와 같은 농축업 및 목욕탕 등)에서 필요에 따라 온수, 방열, 온풍기능을 겸용하여 다기능(다용도)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열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용도(온수기, 방열기, 온풍기)에 따른 기기제품을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연료비의 대폭적인 절감은 물론, 구입에 따른 비용과 유지·관리 및 보수에 소모되는 인력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1)

  1. 원통형태의 외부몸체(2)와 내부몸체(4)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몸체(2)와 내부몸체(4) 사이에는 단열재(6)가 충진되고, 상기 내부몸체(4)에는 일정량의 열매체유(8)가 저장되며 콘트롤 패널(20)의 각종 조작버튼, 스위치 및 타이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히터(30)가 장착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에 저장된 열매체유(8)를 순환·공급시키기 위한 순환펌프(P)와;
    상기 전기히터(30)에 의해 가열되고 순환펌프(P)에 의해 이송관(34)을 따라 순환·공급되는 열매체유(8)를 공급하는 열전도관(64)과 급수관(6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열교환시키기 위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과;
    배수구(44)을 통해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에 의해 열교환되어진 물을 공급·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50)와;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으로 순환·공급되어진 열매체유(8)를 몸체부(10)의 내부몸체(4)로 회수시키는 2개의 순환구(46, 4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전·후방이 앤드캡(61)으로 밀폐된 원통형상으로 다수개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종·횡방향으로 나열되고 후단부에는일정량의 작동유체(8)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52)과;
    체결나사부(54)를 갖는 보호볼트(56) 및 보호커버(58)가 결합된 발열관(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관(60)에는 'U'밴드(68)로 연통되도록 연결된 급수관(62)과 관통되는 열전도관(64)이 내설되되,
    상기 급수관(62)과 열전도관(64)은 상호간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며 최하단에 위치된 발열관(60)에는 배출구(66)와 배수구(4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62)은 'U'밴드(68)의 절곡된 부위가 발열관(60) 후방으로 드러나지도록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62)과 열전도관(64)은 'U'밴드(68)에 의해 절곡된 부위가 발열관(60)후방으로 드러나지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62)은 발열관(60)을 관통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62)과 열전도관(64)은 'U'밴드(68)에 의해 절곡된 부위가 발열관(60) 내부에 내설되어 외부로 드러나지지 않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8.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관(60)에는 물이 순환·공급되는 급수관(62)과 열매체유(8)가 순환·공급되는 열전도관(64)이 관통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9.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관(60)에는 물이 순환·공급되는 급수관(62)과 열매체유(8)가 순환·공급되는 열전도관(64)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되, 열매체유(8)가 순환·공급되는 열전도관(64)이 이중으로 내설·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전·후방이 앤드캡(61)으로 밀폐되고 내부로 급수관(62)이 관통되는 상부관(82)과;
    내부로 열전도관(64)이 관통되는 하부관(84)과;
    상·하부관(82, 84)과 연통되도록 직립·설치된 다수개의 분기관(8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62)은 양단부에 결합편(92)이 형성된 'U'자 모양의 체결밴드(90)와, 일측단부에 나사부(93)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삽입편(94)이 형성된 조립볼트(95)와, 내주면에 상기 조립볼트(95)의 나사부(93)와 대응되는 나사부(96)가 형성된 체결너트(97)와, 상기 조립볼트(95)와 체결너트(97) 사이에 위치되도록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밀폐부재(98)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트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열전도관(64)이 관통되는 하부관(84)에 연통되도록 직립·설치된 분기관(86)의 상단부에는 방열판(100)이 결합되고 볼트(89)에 의해 고정지지대(88)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관(60)에 내설된 급수관(62)이 코일형태로 열전도관(64)에 감겨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62)이 'U'밴드(68)에 의해 발열관(60) 내부에서 이중관구조를 갖고, 상기 열전도관(64)은 2열로 각각의 발열관(60)을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일측 열전도관(64)으로는 열매체유(8)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순환·공급되고 타측 열전도관(60)으로는 열매체유(8)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순환·공급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발열관(60)에 열매체유가 순환·공급되는 2개의 열전도관(64)을 설치하여 발열관(60)에 주입된 작동유체와 열교환되어 방열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16. 제 1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의 발열관(60)에 열매체유가 순환·공급되는 2개의 열전도관(64)을 설치하여 발열관(60)에 주입된 작동유체와 열교환되어 방열되도록 설치되되, 단일의 열전도관(64)이 'U'밴드(68)에 의해 절곡되어 발열관(60) 내부에 2중구조로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내부에 급수관(62)이 관통되는 상부관(82)과, 2개의 열전도관(64)이 관통되는 하부관(84)과, 상기 상·하부관(82, 84)과 연통되도록 직립·설치된 다수개의 분기관(8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2개의 열전도관(64)이 관통되는 하부관(84)과, 상기 하부관(84)과 연통되도록 직립·설치된 다수개의 분기관(86)과, 상기 분기관(86) 상단부에 방열판(100)이 결합되고 볼트(89)에 의해 고정지지대(88)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19. 제 1항에 있어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열매체유(8) 및 온수, 증기가 직접 내부로 공급되는 하부관(84)과, 상기 하부관(84)에 직립·설치된 다수개의 분기관(86)과, 상기 분기관(86)과 연통되는 방열관(102)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20. 제 1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은 열매체유(8) 및 온수, 증기가 직접 내부로 공급되는 하부관(84)과, 상기 하부관(84)에 직립·설치된 다수개의 분기관(86)과, 상기 분기관(86)과 연통되고 급수관(62)이 내부에 관통되는 방열관(10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히트파이프식 작동유체관(40, 40')이 외부몸체(2)와 내부몸체(4)사이의 양쪽에 각각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KR2020010025789U 2001-08-24 2001-08-24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KR200257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789U KR200257643Y1 (ko) 2001-08-24 2001-08-24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789U KR200257643Y1 (ko) 2001-08-24 2001-08-24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340A Division KR20030017179A (ko) 2001-08-24 2001-08-24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643Y1 true KR200257643Y1 (ko) 2001-12-24

Family

ID=7308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789U KR200257643Y1 (ko) 2001-08-24 2001-08-24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6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526A (ko) * 2002-01-22 2003-07-31 주식회사 온닉스 목초액 추출기능을 겸비한 고압스팀 전기온풍기
KR100736354B1 (ko) * 2005-12-01 2007-07-06 한우석 급냉·급가열이 가능한 히트파이프 구조 및 이를 이용한탱크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526A (ko) * 2002-01-22 2003-07-31 주식회사 온닉스 목초액 추출기능을 겸비한 고압스팀 전기온풍기
KR100736354B1 (ko) * 2005-12-01 2007-07-06 한우석 급냉·급가열이 가능한 히트파이프 구조 및 이를 이용한탱크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38698A (zh) 用于水冷式cpu散热器的水冷头
CN102648381A (zh) 太阳能收集器系统和方法
RU2000122836A (ru) Ресивер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под давлением
KR200257643Y1 (ko)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CN218828706U (zh) 一种节能型户外用电力柜
KR20030017179A (ko)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KR100627720B1 (ko) 전기보일러의 구조
KR200257642Y1 (ko)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KR20030017178A (ko) 다기능 전기히터 열매체유 진공히트파이프식 보일러
CN217362756U (zh) 一种铁矿开采电动铲运机双重散热装置
CN212057749U (zh) 一种发热装置、包含发热装置的电热风炉及烘干机
KR200419870Y1 (ko) 전기 보일러
KR200400067Y1 (ko) 히트파이프가 내장된 냉,난방을 겸한 실외기 없는공기조화기
KR20080018023A (ko) 공기조화기
CN213119283U (zh) 一种ptc电锅炉供暖系统
KR200291964Y1 (ko) 온풍기용 전열장치
CN214746110U (zh) 天花机
KR100489934B1 (ko) 에너지 절약형 전기 보일러
CN210502317U (zh) 充电桩及其散热系统
JP3616813B2 (ja) 太陽電池冷却熱回収装置
CN210803550U (zh) 一种电力营销电力计量设备防护外设
CN218542399U (zh) 一种柴油发电机组散热箱
CN220606342U (zh) 一种水泵控制设备散热系统
CN216663559U (zh) 一种具有双独立腔道及双下水点的蒸发器
CN202896277U (zh) 电动汽车的电池箱加温及电机散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