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484Y1 -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484Y1
KR200257484Y1 KR2020010028986U KR20010028986U KR200257484Y1 KR 200257484 Y1 KR200257484 Y1 KR 200257484Y1 KR 2020010028986 U KR2020010028986 U KR 2020010028986U KR 20010028986 U KR20010028986 U KR 20010028986U KR 200257484 Y1 KR200257484 Y1 KR 200257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controller
cultivation
sub
mai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두종
Original Assignee
대스캡피시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스캡피시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스캡피시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8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4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484Y1/ko

Links

Landscapes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섯을 재배하는 버섯 재배사의 온도,습도,조도,환기,살균,가스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버섯의 종류별,계절별,생육 단계별로 주기적으로 구축된 최적의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운용함으로써 특별한 버섯 재배의 경험 없이도 미숙련자라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게 하므로서 최소의 노동력으로 최대의 수확을 올려 비용을 절감하고 버섯재배의 생산성을 향상시켜서 고품질의 버섯을 다량으로 제공하는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보온재를 내장한 조립식 판넬 형태의 재배사로 이는 재배실(100),관리실(200), 작업실(100)로 구성되며, 재배사 내부 전체를 관리하는 주 컨트롤러(201)와 재배사 내부의 구역을 세분 관리하는 부 컨트롤러(302a,b,c,d)가 상호 연동 운용하게 하여 재배사 각 구역 및 상부 또는 하부의 상태를 균일하게 관리하며, 주 컨트롤러가 관리하는 외부 공기 유입과 배출 중앙공조장치와 연계하여 부콘트롤러가 재배사내 가습 및 팬 환기를 상하 이동하면서 지원해 줌으로써 에너지 절약 및 미생물의 침투를 봉쇄하고, 양쪽 트레이 전단에 수막을 설치하고 수막 상부에 소량의 물을 스프레이하여 트레이 후단에서 팬 환기에 의한 각종 곰팡이가 버섯 포자 등을 수막에 흡착시켜 흘려 보내게 하면서 재배사 내 사방 코너에 모이기 쉬운 병균을 자외선 살균기에서 소독처리하게 하고 주 컨트롤러와 부 컨트롤러 간은 유선 및 무선으로 통신하여 자동으로 연동시켜 제어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Automatic cultivation system for mushroom}
본 고안은 버섯을 재배하는 버섯 재배사의 버섯 생육에 필요한 환경조건인 온도, 습도, 조도, 환기, 살균, 가스 등 을 최적으로 조절하는 자동화 재배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버섯의 종류별,계절별,생육 단계별로 구축된 최적의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프로그램화된 첨단 제어장치로 온습도 조절장치 및 환기장치, 살균장치, 조명장치를 통합 제어하는 기계적으로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버섯재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므로서 버섯 재배의 특별한 경험 없이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게 하여 최소의 노동력으로 최대의 수확을 올려 비용을 절감하고 버섯재배의 생산성을 향상시켜서 고품질의 버섯을 다량으로 제공하는 버섯재배 자동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버섯을 재배하는데 있어 작업자의 재배 경험에 의한 감각으로 보온덮개를 씌워 온도를 유지하고 작업자가 임의로 물뿌리개로 바닥에 물을 공급하는 수작업으로 온도나 습도를 유지하는 온습도관리는 균등한 품질과 생산량을 제공하디 못하는 부정확한 관리로 많은 시행착오와 실패를 거듭하였고, 설사 재배에는 성공하였다 치더라고 환기에 주의를 기울이다 보면 과도한 열 손실이 발생하거나 외부환기시 유입되는 오염원인 외부 곰팡이나 버섯파리 등의 천적에 의한 수확량의 감소로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고 있으며, 또한 버섯의 종류도 매우 다양하여 각각의 버섯 재배에 있어서도 입상시, 생육 일차별, 수확기 등 최적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재배 방식으로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버섯이 포자를 생성시킬 때에는 무수히 많은 포자가 날라 다니며 피부 질환을 유발하거나 수확량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있는 실정으로서 버섯이 요구하는 최적의 개별 재배환경 조건을 동시에 골고루 맞추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보완하거나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법들이 고안되었으나 버섯 재배의 중요한 관건인 종합적인 재배환경조건으로서 온도, 습도, 조도, CO2가스, 환기. 살균 등의 개별적인 관리가 상호 간섭함으로써 최적의 상태로 종합관리하는데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면, 고정화된 1개의공조 시설로 관리하는데 있어서 버섯의 종류별, 계절별, 생육 기간별로 차별화된 관리가 어렵고 재배사 내부의 환경도 상부,하부 또는 구역별의 공간적인 차이로 인하여 편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차별적으로 관리하여 균일한 품질의 최적의 생육조건으로 맞추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환기에 있어서도 1개의 공조 시설로 환기 및 배기를 거듭함으로써 발생되는 에너지 낭비와 일률적이고 고정적인 조도로 많은 전렬소모와 실내온도의 상승으로 버섯의 생육을 저해하고, 외부로 부터 유입되는 오염원인 각종 곰팡이나 버섯 포자를 제거하지 못함으로써 병해발생을 유발하거나 생육저하, 고사로 인하여 수확량 감소와 연작의 실패를 거듭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데이터를 수용하는 프로그램화된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재배사 내부 전체를 관리하는 주 컨트롤러와 재배사 내부 공간을 구역별로 세분하여 관리하는 부 컨트롤러(20평 기준 4개)가 상호 연동되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버섯재배사 각 구역 및 상,하부 또는 좌우측부를 공간적으로 편차없이 최적의 재배조건으로 균일하게 관리하여 최소의 노동력으로 수확량을 증가시켜 버섯재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고품질의 버섯을 제공하는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섯 재배사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섯 재배사의 내부 중앙공조장치 및 급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버섯 재배사의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버섯 재배사의 중앙공조기 및 급수기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부컨트롤러를 발췌하여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부컨트롤러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주컨트롤러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조도관리 회로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의 주컨트롤러의 시스템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0은 본 고안의 부컨트롤러의 시스템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작업실 200:관리실
300:재배사 101a,b,c,d:출입문
110:중앙공조기 공기 배출 덕트 201:주컨트롤러
202:중앙공조기 210:중앙공조기 공기 투입 덕트
211:수막 물공급관 212:부 컨트롤러 가습기 물 보충관
301a,b:재배 트레이
303a,b,c,d:자외선 살균기 304a,b: 수막
305a,b: 수막 스프레이 306a,b:조도 관리 판넬
500a,b,c,d:부콘트롤러 501: 부컨트롤러 송풍 팬
502:부컨트롤러 가습기 510: 실내 온도 센서
511:실내 습도 센서 512:실내 CO2가스 센서
520:부컨트롤러 보충수 투입구
550:모터 551:모터 와이어 감기 축
552:모터 와이어 유도 축 553:모터 와이어 걸이
554:부컨트롤러 전원부
561:부컨트롤러 유도 레일 570a:상부체크 리드 스위치
570b:하부체크 리드 스위치
600:주컨트롤러 액정화면 610:주컨트롤러 키 입력장치
620:공조 및 조명상황 표시등 630:공조 및 조명 접점 출력부
640a,b:냉각 팬 650:안테나
670:전원 및 통신 표시부 710,720,730:조도관리1,2,3회로부
800:주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810: 주 콘트롤러 조도관리부
820:주 컨트롤러 표시장치부 830:주 컨트롤러 온도관리부
840:주 컨트롤러 환기관리부 850:주 컨트롤러 통신관리부
860:주 컨트롤러 급수 관리부 900: 부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910:부 컨트롤러 센서 관리부 920: 부 컨트롤러 습도 관리부
930:부 컨트롤러 환기 관리부 940: 부 컨트롤러 통신 관리부
950:부 컨트롤러 상하 이동 메카니즘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자세히 상술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체적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버섯재배사 내부 전체를 관리하게끔 프로그래화된 제어장치로서 다수의 부컨트롤러(500a,b,c,d)를 통합 관리하는 주컨트롤러(Main contoler)(201)와 각각의 고유ID가 할당되어 재배사 내부 공간을 구역별로 세분하여 관리하는 부 컨트롤러(Sub controler)(500a,b,c,d)(20평 기준 4개)가 상호 연동되어 제어되는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주컨트롤러(201)는 중앙공조기(202)의 구동으로 외부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통하여 재배사(300)의 냉난방 및 온도, 습도, 조도, CO2가스 농도 조절을 실시하고, 부컨트롤러(500a,b,c,d)는 세부적으로 초음파 가습 및 팬 환기관리의 공조기능을 상하 이동하면서 순환시켜서 주콘트롤러(201)의 기능을 보완해 줌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미생물의 침투를 막게 하며, 재배사(300) 중앙의 대향되는 양쪽 재배 트레이(301a,b) 전단에 수막(304a,b)을 설치하고 수막(304a,b) 상부에 소량의 물을 스프레이 분사하면서 재배 트레이(301a,b) 후단에서 송풍팬(501)으로 실내로 공기를 불어넣어 각종 곰팡이나 버섯 포자등을 수막에 흡착시켜 흘려 보내게 하여 오염원을 제거하고, 재배사(300) 내 사방 코너에 설치된 자외선 살균기(303a,b,c,d)에서는 모아진 병균을 살균처리하며 또한 주컨트롤러(201)와 부컨트롤러(500a,b,c,d)간은 상호 유선이나 무선으로 통신하면서 자동으로 제어하고, 정전 등의 이상 발생 시에는 경고할 수 있게 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의 평면도와 도3, 4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고안의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은 작업실(100)과 관리실(200), 재배사(300)로 구획되고 보온재가 내장된 조립식 판넬 구조물로 형성된 버섯 재배사에 있어서, 외부와의 출입문(101a,d), 재배사 출입문(101c), 관리실 출입문(101b)의 4개의 출입문이 구비되고 관리실(200)에는 재배사 전체를 관리하는 주컨트롤러(201)와 냉난방, 온도, 습도, 조도, 환기관리를 담당하는 중앙공조기(202)와 미도시한 급수모터 및 조명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차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재배사(300) 내부는 8단의 다수층으로 배열된 버섯 재배 트레이(301a,b)가 중앙 통로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분리되어 배치되고, 트레이(301a,b) 전면으로는 상부에서 하부로 비닐 시트 등으로 된 수막(304a,b)이 드리워져 스프레이 물 공급관(305a,b)에서 분무된 저온상태의 물이 수막(304a,b)표면을 타고 넓게 흘러 내리게 된다. 이때 증발된 물은 재배사(300) 내부의 습도를 유지시켜 주며, 동시에 2개의 수막(304a,b)은 상부에 설치된 중앙 공조 공기 투입 덕트(210)를 통하여 공급된 최적의 온도 조건을 갖는 신선한 공기가 수막(304a)과 수막(304b)사이로 하강하여 양옆의 트레이(301a,b)를 거쳐 상승하면서 수막(304a,b)의 작용에 의하여 외부에서 환기에 의하여 유입된 오염원인 곰팡이나 버섯포자가 흡착 유출됨과 동시에 공기가 냉각되고 버섯 재배사 가장자리 상부에 설치된 중앙 공조 공기 배출 덕트(110)을 통하여 습기가 함유된 공기가 순환 배출되므로서 자연적으로 대류 환기시키는 내부공기순환으로 버섯이 성장하기에 적합한 공기와 온도, 습도를 제공한다.
이때 주컨트롤러(201)는 부컨트롤러(500a,b,c,d)로 부터 스프레이 물 공급의 요구가 없거나 습도 상승의 필요가 없을 때에는 스프레이 물 공급은 중단하고 환기만 실시하며, 부컨트롤러(500a,b,c,d)가 곰팡이나 버섯포자를 제거하고자 할때는 환기를 중단하고 수막 물 스프레이(305a,b)로 수막 물공급(211)관에서 물공급을 실시하여 부 컨트롤러(500a,b,c,d)에 내장된 송풍팬(fan)(501)에서 불어 넣어주는 실내공기에 실려온 균을 물에 흡착시켜 제거해주며, 오염된 물은 배출구 앞에 있는 자외선 살균기(303a,b,c,d)에서 살균 소독 후 배출된다.
또한 주 컨트롤러(201)는 버섯의 종류별, 계절별, 생육단계별, 시간대별로 최적의 온도, 습도, 환기를 관리하며, 조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1,2,3단계의 단계별, 지역별로 격등제 및 온등제로 경제적인 조명을 실시하여 세부적인 조도 관리로 주 야간 서로 다르게 차별적으로 조명을 할 수 있다. 20평 기준으로 4개가 설치된 재배사 내부의 부 컨트롤러(500a,b,c,d)는 배치된 구역의 온도,습도,가스 농도 등을 체크하면서 필요시 트레이(301a,b)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하로 이동하면서 내장된 초음파 가습기(502)를 작동하여 습도를 유지하거나 송풍팬(501)을 작동하여 실내공기를 환기하고 가습기 물 보충관(212)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주 컨트롤러(201)와 상호 통신하면서 재배사가 최적의 버섯 재배 조건을 갖출수 있도록 구역별 세부관리를 한다.
도 5는 다수개의 부 컨트롤러(500a,b,c,d)가 설치된 상태도이며 부 컨트롤러(500a,b,c,d)는 정역회전하는 모터(550)에 의하여 유도레일(561)을 따라 회전 왕복주행하면서 구역별로 온습도의 편차가 없도록 세밀하고 공간적으로 균일한 가습과 송풍을 수행하는 일련의 장치로서, 상기 부 컨트롤러(500a,b,c,d)가 가이드 레일(561)을 타고 움직일 수 있도록 부 컨트롤러(500a,b,c,d)를 받쳐주는 프레임(560)이 벽면에 부착되고 , AC 220V 의 전원이 전원부(554)에 입력되면 전원부의 변환장치로 DC 24V 의 출력을 얻어 부 컨트롤러(500a,b,c,d)에 공급한다. 또한 필요에 의하여 부 컨트롤러(500a,b,c,d)의 이동이 요구될 때에는 모터(550)를 구동하여 모터 와이어 감기 축(551)과 모터 와이어 걸이(553)에 연결된 와이어가 모터 와이어 유도 축(552)을 경유하여 모터(550) 회전 방향에 따라 와이어를 감아주고 풀어주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부 컨트롤러(500a,b,c,d)를 상하로 이동하게 한다. 이때 최상부 트레이에 도달하는 과정은 프레임(560)의 상부 마그네틱(571a)에 상부 리드 스위치(570a)가 접근하면 상부 리드 스위치(570a)가 턴 온(Turn On)의 상태로 체크(check)되며 마찬가지로 최하부 트레이(301a,b)의 도달 시점도 하부 마그네틱(571b)과 하부 리드 스위치(570b)의 접근에 따른 하부 리드 스위치(570b)의 턴 온을 감지하여 모터(550)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주기적으로 상하운동을 하도록 운영한다. 이러한 운동은 항상 이루어지는것이 아니고 부 컨트롤러(500a,b,c,d)에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900)의 운용 프로그램에 의해 부 컨트롤러(500a,b,c,d)에 내장된 초음파 가습기(502)를 동작시켜 습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하거나 송풍 팬(501)을 작동시켜 실내 공기를 환기, 또는 초음파 가습기(502)의 물을 보충하고자 할 때 등의 필요시에만 동작되어 진다.
도 6의 부 컨트롤러의 외형도와 도 10의 부 컨트롤러의 시스템 블록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부컨트롤러(500)는 전체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900), 센서관리부(910), 습도관리부(920), 환기관리부(930), 통신관리부(940)와 상하이동 메커니즘부(950)으로 구성된다.
부 컨트롤러의 상하이동 메커니즘부(950)은 상기한 방법으로 유도 레일(561)을 따라 왕복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움직이는 것인데, 이때부콘트롤러(500a,b,c,d)에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900)의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센서관리부(910)에서 온도센서(510), 습도센서(511), CO2 가스센서(512) 등 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의 아나로그 값을 AD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900)에 전달한다. 이러한 데이타를 가지고 주 컨트롤러(201)로부터 전달받은 최적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습도가 부족한 구역으로는 초음파 가습기(502)를 동작시켜 배출구로 수증기를 배출하고 상단의 송풍 팬(501)을 가동하여 전방으로 분무 물방울을 불어낸다.
또한 상하운동을 시켜 트레이(301a,b) 상단에서 하단까지 골고루 공급하면서 계속 체크와 분무를 반복하여 최적의 상단값에 도달하면 중지한다. 마찬가지로 읽어 들인 온도와 가스 농도의 값이 적정 수준인가를 파악하여 적정 수준의 이상, 이하가 발생되면 일정 시간 상하운동을 하면서 송풍 팬(501)을 가동시키고 실내공기를 계속 체크하여 주 컨트롤러(201)에게 냉난방 공급 및 환기를 요구한다. 가습기(502) 내부의 물이 적정 수준 이하로 되면 부 컨트롤러(500a,b,c,d)를 최상단에 위치시키고 주 컨트롤러(201)에게 가습기 보충수 요구를 하여 가습수 물보충관이(212) 부콘트롤러 보충수 주입구(520)를 통하여 물을 보충하도록 한다. 이때 부컨트롤러(500a,b,c,d)와 주 컨트롤러(201)간에는 내장된 무선통신모듈과 안테나를 통한 무선 방식과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직렬 유선 방식 중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주컨트롤러(201)는 다수의 부컨트롤러(500a,b,c,d)를 관리하여야 함으로 부컨트롤러(500a,b,c,d)는 내부에 로터리 딥 스위치로 고유의 식별 ID를 갖추고 있다.
도 7의 주 컨트롤러의 외형도와 도 9의 주 컨트롤러의 시스템 블록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의 전체를 제어하는 주컨트롤러는 중앙제어장치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800)와 조도관리부(810), 표시장치부(820), 온도관리부(830), 환기관리부(840), 통신관리부(850), 급수관리부(860)로 구성되며, 장치의 외형은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액정화면(600), 키입력장치(610)와 조명과 히터, 냉방기, 분무기, 환풍기, 수막물공급, 보충수공급, 급수모터의 진행을 표시하는 공조 및 조명상황상표시부(620), 공조 및 조명접점출력부(630), 냉각팬(640a,b), 안테나(650), 키입력장치(660), 전원 및 통신표시부(670)로 형성된다.
주컨트롤러(201)의 모든 운용은 마이크로 프로세서(800)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이루어지며 버섯의 종류별,계절별,생육 단계별로 최적의 온도,습도,조도,가스 농도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렇게 설정된 조건과 현재의 환경을 최상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부컨트롤러(500a,b,c,d)와 연동시켜 운용하면서 중앙 공조기(202)로 중앙 공조 공기 투입 덕트(210), 중앙공조 공기배출 덕트를 경유하는 환기(210, 110), 수막 물공급관(211)과 부컨트롤러 가습기 물물공급관(212)의 연계에 의한 급수가 이루어지게 한다.
주컨트롤러(201)의 스위치(660)를 온(ON)하면 초기화 작업을 실행하면서 부 컨트롤러(500a,b,c,d)와 통신을 설정하고 디스플레이 액정 화면(600)에 메세지와 현재 월일 시간을 표시하고 키(610)입력을 기다린다. 메세지에 따라 버섯코드와 재배일차를 입력하고 전원 및 통신관리부(670)에서 자동 모드로 확인하면 자동 재배모드로 들어가면서 해당 버섯의 계절별, 재배일차에 맞는 온도, 습도, 조도, 가스 농도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들여 표시하고 현재의 온도,습도,조도,가스 농도도 표시되면서 최적의 환경을 유지하지 위한 동작이 행하여 진다.
먼저 주 컨트롤러 중앙 통제부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800)는 온도관리(830)에 있어서 현재의 온도와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0.5℃의 범위내에서 +1 °C 이상이면 중앙 공조기(202)의 냉방기를 가동하고 -1℃ 이하이면 히터를 가동하면서 적정온도에 도달하면 환풍기를 이용하여 중앙공조 공기투입덕트(210)를 통해 재배사(300)내로 보낸다.습도 및 급수관리 역시 현재의 습도와 설정된 습도를 비교하여 ±5 %의 범위내에서 +10% 이상이면 환풍기를 가동하고 -10% 이하이면 부 컨트롤러(500a,b,c,d)에게 초음파 가습을 명령하고 급수 모터를 가동시키고 수막(304a,b)에 물을 공급하여 습도를 조절하면서 적정 습도까지 자동 조절한다.
환기관리부(840)는 가스농도(유해가스량)를 체크하여 경계가스농도에 도달하면 상기한 방법대로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한 상태로 환기를 시키면서 경계가스농도보다 -200 ppm에 도달하면 환기를 중지한다.
조도관리부(810) 또한 설정된 조도에 맞게 격등제 온등제의 선택적인 실시로3단계(조명1, 조명1+2, 조명 12+3)로 차별화된 조도로 출력을 내보낸다.
이때 모든 상황은 액정화면의 표시장치부(820)에 표시되면서 공조 및 조명접점상황표시부(630)에 LED로 동시에 표시된다. 공조 및 조명접점 출력중 히터, 냉방기, 환풍기의 신호는 중앙공조기(202)의 기기를 개폐시키며, 분무기, 수막물공급, 보충수 공급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폐시키는 분리된 전원을 이용한다. 일단 안전상태에 돌입하면 부콘트롤러(500a, b, c, d)와 주기적인 통신을 하면서 세부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버섯코드를 재배 일차별로 작성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지역 특성에 맞게 수정,저장하여 변경된 데이타베이스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은 재배사 내부 전체를 관리하는 주 컨트롤러와 재배사 내부의 구역을 구획하여 세분 관리하는 부 컨트롤러(20평 기준4개)가 상호 연동 운용하게 하여 재배사 각 구역 및 상부 또는 하부의 온습도, 조도, 환기 등의 환경을 균일하게 관리하게 함으로써 최적의 재배 조건을 유지하면서도 주 컨트롤러는 외부 공기 유입과 배출을 통하여 재배사내 냉난방 및 온도,습도,조도,CO2 가스 농도 조절을 실시하고 부 컨트롤러에서 초음파 가습 및 팬으로 실내 공기를 상하 이동하면서 환기시켜 줌으로써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유용한 발명이며 양쪽 트레이 전단에 수막을 설치하고 수막 상부에 소량의 물을 스프레이 하여 트레이 후단에서 팬 환기에 의한 각종 곰팡이나 버섯 포자 등을 수막에 흡착하여 흘려 보내게 하여 작업자의 피부 질환의 예방과 수확량의 증대가 가능하다.

Claims (3)

  1. 작업실(100)과 관리실(200), 재배사(300)로 구획되고 보온재가 내장된 조립식 판넬 구조물로 형성된 버섯 재배사에 있어서,
    주기별로 갱신되는 데이터를 수용하여 현장 데이터와 비교하여 최적의 버섯재배 조건으로 제어하게끔 마이크로 프로세서(800)의 제어로 재배사 내부 전체를 관리하는 주컨트롤러(201)와 재배사 내부의 구역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세분 관리하는 부컨트롤러(500a,b,c,d)가 상호 연동 운용하게 하여 재배사 각 구역 및 상부 또는 하부의 상태를 균일하게 관리하며, 주컨트롤러(201)는 외부 공기 유입과 배출을 통하여 재배사내 냉난방 및 온도,습도,조도,CO2 가스 농도 조절을 실시하고 부컨트롤러(500a,b,c,d)에서 초음파 가습기(502)에 의한 가습 및 송풍팬(501)으로 실내 공기를 상하 이동하면서 환기시켜 주는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부콘트롤러(500a,b,c,d)는 양쪽 재배 트레이(301a,b) 전단에 수막(304a,b)을 설치하고 수막(304a,b) 상부에 소량의 물을 스프레이하면서 재배 트레이 후단에서 송풍팬(501)으로 실내 공기를 불어내어 각종 곰팡이나 버섯 포자등을 수막에 흡착시켜 흘려 보내게 하고, 재배사 내 사방 코너에서는 모여진 병균을 자외선 살균기(303a,b,c,d)로 자외선 살균 및 소독 처리하는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주콘트롤러(20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00)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버섯의 종류별, 계절별, 생육 단계별로 최적의 온도,습도,조도,가스 농도의 주기적으로 경신된 최적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지역특성에 맞게 수정, 변경 사용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
KR2020010028986U 2001-09-20 2001-09-20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 KR200257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986U KR200257484Y1 (ko) 2001-09-20 2001-09-20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986U KR200257484Y1 (ko) 2001-09-20 2001-09-20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077A Division KR20030021696A (ko) 2001-09-07 2001-09-07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484Y1 true KR200257484Y1 (ko) 2001-12-31

Family

ID=7306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986U KR200257484Y1 (ko) 2001-09-20 2001-09-20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48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6036A2 (ko) * 2008-11-14 2010-05-20 Shin Geun Young 수평이동방식의 버섯재배 자동화시스템
KR101655354B1 (ko) * 2016-01-08 2016-09-07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버섯 재배 장치용 항온 항습기의 제어방법
KR102172005B1 (ko) 2020-02-27 2020-10-30 농업회사법인 머쉬엠 주식회사 버섯 살균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6036A2 (ko) * 2008-11-14 2010-05-20 Shin Geun Young 수평이동방식의 버섯재배 자동화시스템
WO2010056036A3 (ko) * 2008-11-14 2010-10-21 Shin Geun Young 수평이동방식의 버섯재배 자동화시스템
KR101655354B1 (ko) * 2016-01-08 2016-09-07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버섯 재배 장치용 항온 항습기의 제어방법
KR102172005B1 (ko) 2020-02-27 2020-10-30 농업회사법인 머쉬엠 주식회사 버섯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50509B (zh) 一种食用菌培植的可移动式智能整体设备
CN101502231B (zh) 作物全过程屏蔽式生长方法及生长站
US20050277381A1 (en) System to control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living space
CN101300958A (zh) 一种间歇浸没式植物培养装置及其控制方法
KR200207824Y1 (ko) 무균 자동화 버섯재배장치
CN108522091B (zh) 一种家用植物生长箱及其多目标优化控制方法
EP3476208B1 (en) Air conditioner using light and greehouse including the same
JP4818222B2 (ja) 植物生育設備
CN207754232U (zh) 一种菌类栽培装置
KR200191864Y1 (ko) 부화기
KR20030021696A (ko)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
KR200257484Y1 (ko) 버섯 재배 자동화 시스템
KR101249485B1 (ko) 전력소비효율이 개선된 식물재배장치
KR100824348B1 (ko) 무균 미니돼지용 인큐베이터
CN208821318U (zh) 植物培育装置
KR200263873Y1 (ko) 폐냉장고를 이용한 부화기
RU18878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растений
WO2020039268A1 (en) Domestic agricultural machinery with the ability to geoponics, hydroponics, and aeroponics, equipped with ultraviolet ray disinfectant system and recycling water system
KR20130035761A (ko) 가이아 스톤을 이용한 버섯재배용 수질정화 물공급시스템
KR102367130B1 (ko) 수직정원을 이용한 실내 환기시스템
CN214172467U (zh) 一种食用菌种植用的新型空气处理机组
KR20150137567A (ko) 축열식 공기소독 냉열 교환기
CN211671633U (zh) 一种互联植物工厂
KR20220091057A (ko) 스마트팜형 생육용 테라리움
KR100275673B1 (ko) 버섯재배 환경조절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