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311Y1 - 유기폐기물의 건조장치용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유기폐기물의 건조장치용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311Y1
KR200257311Y1 KR2020010027791U KR20010027791U KR200257311Y1 KR 200257311 Y1 KR200257311 Y1 KR 200257311Y1 KR 2020010027791 U KR2020010027791 U KR 2020010027791U KR 20010027791 U KR20010027791 U KR 20010027791U KR 200257311 Y1 KR200257311 Y1 KR 200257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ombustion furnace
heat
furnace
organic was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현
Original Assignee
(주)이오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오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이오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27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3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311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폐기물을 가열, 건조할 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연소로 및 건조로로 순환되도록 하여 연소로 관체의 고열을 식히면서 유기폐기물을 건조할 때 열의 전달력을 높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측으로 열공급수단(3)를 설치한 함체(1)의 내부에 열이 공급되고 건조장치(4)의 관로(5)에 연결되는 연소로(6)를 설치한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함체(1)와 연소로(6) 사이에 형성한 공간부(11)의 둘레에는 나선형상으로 감아지는 스크류편(7)을 형성함과.
상기 공간부에 건조장치(4)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공급하도록 연결라인(8)에 송풍수단(9)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폐기물의 건조장치용 연소장치{Burning device used in drying machine of organic wastes}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축산분뇨 등 유기폐기물의 건조장치용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건조로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재활용하여 연소 및건조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기존의 유기폐기물 건조장치는 버너에서 발생되는 열을 건조로에 공급시키어 고열의 공기로 유기폐기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상당한 건조시간이 요구됨에 따라 연료비의 손실이 크며, 특히 유기폐기물을 건조할 때 발생하는 고열의 수증기가 열교환기를 거쳐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되어 있어 수증기의 재활용이 되지 못하여 열손실이 많았고,
버너 등 열공급장치에서 고열이 공급되는 연소로가 상당한 고열로 인하여 수명이 짧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폐기물을 가열, 건조할 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연소로 및 건조로로 순환되도록 하여 연소로 관체의 고열을 식히면서 유기폐기물을 건조할 때 열의 전달력을 높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함체 3:열공급수단
4:건조장치 5:관로
6:연소로 7:스크류편
8:연결라인 9:송풍수단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면상에 다리(2)로 받치도록 설치되고 외측으로 버너 등의 열공급수단(3)을 설치한 원통형상의 함체(1)의 내부에는 함체(1) 내벽과 적정간격의 공간부(11)를 두고 열공급수단(3)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공급되고 건조장치(4)의 관로(5)와 연결되는 연소로(6)를 설치한다.
상기 함체(1)와 연소로(6) 사이의 공간부(11)의 둘레에는 나선형상으로 감아지는 스크류편(7)을 형성하여 유입되는 수증기가 나선방향으로 연소로(7)의 외면을 돌아가면서 나가 다시 연소로(6)의 전방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함체(1)와 연소로(6) 사이의 공간부(11)의 한측에 건조장치(4)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라인(8)에 송풍기 등의 송풍수단(9)을 설치하여 수증기를 공간부(11)에 강제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함체(1)의 외측에 구비된 열공급수단(3)에 의하여 열이 연소로(6)를 거쳐 건조장치(4)의 관로(5)에 공급되어 공지의 건조방법에 의하여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 등의 유기폐기물이 관로(5)의 외부에 위치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간접적으로 가열되면 음식물쓰레기와 같이 대부분 수분으로 되어 있어 상당한 수증기가 발생된다.
이 수증기는 송풍수단(9)에 의하여 연결라인(9)을 따라 연소로(6)의 외면 공간부(11)에 강제적으로 공급되는데 연소로(6)의 외면에 감겨진 스크류편(7)에 의하여 수증기가 나선방향으로 돌아가면서 이동되는 과정에서 약1000도 이상의 고열로 가열된 연소로()에 충분한 접촉을 가짐에 따라 건조로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의 온도는 약140도로 고열의 연소로(6)를 식혀주는 과정에서 수증기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연소로(6)의 전방내로 다시 유입되어 열공급수단(3)의 공급되는 열과 함께 건조장치(4)의 관로(5)내에서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폐기물에 가열할 때 고열의 수증기에 의한 열의 전달매개 역활로 인하여 유기폐기물이 공기의 열보다열전달이 커서 급속히 유기폐기물이 건조된다.
이러한 수증기의 순화과정에서도 수증기는 계속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압력이나 순환흐름에 저해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일부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건조할 때 발생되는 수증기로 연소로를 식혀주면서 유기폐기물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키어 건조효율을 높이므로 처리비용을 대폭적으로 경감시키고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측으로 열공급수단(3)를 설치한 함체(1)의 내부에 열이 공급되고 건조장치(4)의 관로(5)에 연결되는 연소로(6)를 설치한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함체(1)와 연소로(6) 사이에 형성한 공간부(11)의 둘레에는 나선형상으로 감아지는 스크류편(7)을 형성함과.
    상기 공간부에 건조장치(4)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공급하도록 연결라인(8)에 송풍수단(9)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의 건조장치용 연소장치.
KR2020010027791U 2001-09-11 2001-09-11 유기폐기물의 건조장치용 연소장치 KR200257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791U KR200257311Y1 (ko) 2001-09-11 2001-09-11 유기폐기물의 건조장치용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791U KR200257311Y1 (ko) 2001-09-11 2001-09-11 유기폐기물의 건조장치용 연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311Y1 true KR200257311Y1 (ko) 2001-12-24

Family

ID=7308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791U KR200257311Y1 (ko) 2001-09-11 2001-09-11 유기폐기물의 건조장치용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3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443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열풍 공급장치
KR200402475Y1 (ko) 열풍기
US20100186926A1 (en) Wasted heat recovery
CN101988148A (zh) 节能型不锈钢丝氢退炉
KR200257311Y1 (ko) 유기폐기물의 건조장치용 연소장치
KR0120836B1 (ko) 유동상 스크류 복합형 건조기
KR101369950B1 (ko) 축산 폐기물 처리 장치
KR920006403Y1 (ko) 증기 다리미의 응축수 재사용 장치
KR20150134670A (ko) 축분 연료화 장치
KR200427312Y1 (ko) 유기폐기물 건조기의 과열증기발생장치
KR200462646Y1 (ko) 펠릿 보일러
CN105805761A (zh) 一种垃圾燃烧热能利用装置
KR100490051B1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장치
KR20170029907A (ko) 초고온 건조장치
KR200335340Y1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장치
KR101582289B1 (ko) 돈분 소각보일러
KR200265351Y1 (ko) 마그네트론이 장착된 열풍기 및 가온기
KR200238403Y1 (ko) 고압력 열풍기 보일러
KR200185258Y1 (ko) 산업용탈수시스템의 슬러지건조장치
RU2178125C1 (ru) Способ нагрева жидкого теплоносите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90093412A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열풍기
KR200245179Y1 (ko) 해태 건조장치
KR200181007Y1 (ko) 농업용 온풍기의 배기열 이용장치
KR200280879Y1 (ko) 농업용 전기 열풍기
KR950006617Y1 (ko) 온풍발생기의 송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