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194Y1 - 절수형 세면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세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194Y1
KR200257194Y1 KR2020010026393U KR20010026393U KR200257194Y1 KR 200257194 Y1 KR200257194 Y1 KR 200257194Y1 KR 2020010026393 U KR2020010026393 U KR 2020010026393U KR 20010026393 U KR20010026393 U KR 20010026393U KR 200257194 Y1 KR200257194 Y1 KR 200257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sin
faucet
reservoi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대
Original Assignee
이창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대 filed Critical 이창대
Priority to KR2020010026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1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194Y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효과적으로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절수형 세면기가 개시된다. 상기 세면기는 일측이 벽에 부착되는 세면조, 상기 세면조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 상기 수도꼭지에 인접하여 상기 세면조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는 개폐 노브, 상기 세면조의 중앙 하부에 장착되는 배수 마개, 그리고 상기 수도꼭지 하부의 상기 세면조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세면조는 세면조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제1 저수부와 상기 제1 저수부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단차부까지 형성되는 제2 저수부를 구비한다.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한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저수부를 형성하여 필요 이상의 물을 받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도꼭지와 세면조 사이에 단차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물이 공급되는 동안 수도꼭지와 단차부 사이에 손이나 수건 등을 집어넣는 것을 방지하여 물이 제1 또는 제2 저수부에 저장되었을 때 사용자가 이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물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수형 세면기{Washing apparatus for economizing in water consumption}
본 고안은 세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조의 개선을 통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물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절수형 세면기에 관한 것이다.
환경부의 1998년도 상수도 통계자료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의 1인당 물 소비량은 하루에 약 395ℓ정도라고 한다. 이러한 물 소비량은 국제수도협회(IWSA)의 자료 및 건설기술연구원의 상수 수요 예측의 현실 및 과제에 대한 보고서에 의하면 영국, 미국 및 프랑스 등 각 선진국보다도 많은 수치이며 특히, 독일에 비하면 거의 3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즉, 우리나라는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물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와 같이 제한된 수자원을 고려하면 물을 절약하는 것은 이제 필수적인 요구 사항으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와 같은 내지 향후의 물 부족에 대비한 가장 용이한 방법은 댐을 건설하여 상수원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수자원개발을 통해 물 공급을 늘리는 것이지만, 이러한 개발 위주의 물 공급 정책만으로는 더 이상 물 부족을 해결할 수 없는 한계에 이르렀다. 따라서, 현재까지의 물 공급량만을 늘리는 데 주력하였던 방향을 선회하여 물의 낭비적 사용을 줄임으로써 물 부족을 해결하는 방법이 절실하게 요청된다.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물 가운데 낭비적인 부분을 감소시키면 물 부족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댐이나 정수장의 건설에 소요되는 비용, 수돗물의 생산에 필요한 비용 등과 같은 물의 생산과 공급에 필요한 시설 용량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물 사용량이 줄어들면 그에 비례하여 하수의 발생량도 감소하므로 오염된 물량이 줄어드는 만큼 수질개선 사업에 투자되는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
건설교통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대략 2006년경부터 물 부족이 현실로 다가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현재 정부에서는 물 절약 종합 대책을 마련하여 2006년까지 7억9천만 톤의 물을 절약할 계획을 입안하고 있다. 이의 구체적 내용으로서 정부청사를 비롯하여 각종 공공기관에 절수기기를 설치하고, 각 가정 및 건물에 절수 기기의 설치를 의무화하여 보급하는 과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에는 의무적으로 세면기 또는 변기 등을 절수형으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절수형 기기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될 것이다.
전술한 절수형 기기의 예로서 절수형 세면기가 국내 공개특허 제 2000-37045호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165276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 20-165276호에 개시된 절수용 세면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절수용 세면기는 화장실 등의 벽에 일측이 고정ㆍ부착되는 세면기 본체(10), 세면기 본체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세면기 본체(10)로 물을 유입시키는 수도꼭지(50), 수도꼭지(50)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1 개폐 노브(30) 및 제2 개폐 노브(55), 세면기 본체(10)의 저면에 형성된 제1 마개(15) 및 제2 마개(45), 그리고 세면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관(20) 및 보조 배수관(40)을 구비한다. 연결관(20)은 배수관(35)에 연통되어 하수구로 물이 배수되도록 한다.
전술한 절수용 세면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을 씻거나 세면을 한 다음 사용된 물의 오염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재활용 할 수 있다. 즉, 사용한 물의 오염도가 심할 경우에는 제1 개폐 노브(30)를 누름으로써 제1 마개(15)를 오픈시켜 연결관(20)과 배수관(35)을 통해 오염된 물이 배수되도록 한다. 이에 비하여, 사용한 물의 오염 정도가 경미할 경우에는 제2 개폐 노브(55)를 눌러 제2 마개(45)를 오픈시킴으로써 사용된 물을 보조 배수관(40)을 통해 소정의 용기에 모아 화분에 물을 주거나 걸레 등의 세탁에 재활용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절수용 세면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된 물의 오염 정도를 스스로 판단하여 제1 개폐 노브나 제2 개폐 노브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노브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잘못 동작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오염된 물의 재활용이 사용자의 주관적인 의사에 따라 정해지며, 사용자가 잘못 작동시키거나 사용자의 조작 미숙의 경우에는 그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세면기에 제2 개폐 노브와 이에 연계되어 동작하는 제2 마개 그리고 보조 배수관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밸브의 구조를 포함한 세면기 전체의 구성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오동작을 일으키기 쉬울 뿐만 아니라 설치 및 관리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절수형 세면기는 사용된 물을 재활용하는 것에만 활용될 수 있을 뿐이며, 수돗물을 틀어 놓은 상태에서 손을 씻거나 세면을 하여 물을 과도하게 낭비하거나 세안 후 수도꼭지를 잠그지 않은 채 방치하여 수돗물을 지나치게 낭비하는 등의 문제에 대하여 물을 원천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요망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세면기의 세면조의 형상의 개량을 통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물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절수형 세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세면조의 구조에 연계되어 수도꼭지의 위치를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용도에 따라 세면조로 적절한 양만큼의 물만 공급함으로써 세면기로 공급되는 물을 원천적으로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절수형 세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절수형 세면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세면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수형 세면기 가운데 세면조를 중심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세면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80:절수형 세면기 105, 160:세면조
110, 165:수도꼭지 115:개폐 노브
120:배수 마개 125:연결부
130:배수관 135, 185:제1 저수부
140, 190:제2 저수부 145, 170:단차부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이 화장실 벽에 부착되는 세면조, 상기 세면조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 상기 수도꼭지에 인접하여 상기 세면조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는 개폐 노브, 상기 세면조의 중앙 하부에 장착되는 배수 마개, 그리고 상기 수도꼭지 하부의 상기 세면조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절수형 세면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면조는 세면조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제1 저수부와 상기 제1 저수부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단차부까지 연결되는 제2 저수부를 구비한다. 이 때, 상기 제1 저수부의 깊이와 상기 세면조의 깊이의 비는 약 1:2.5∼1:8 정도가 되고, 상기 제2 저수부와 상기 세면조의 깊이의 비는 약0.8:1∼0.9:1 정도가 되며, 상기 단차부의 깊이와 상기 세면조의 깊이의 비는 약 0.1:1∼0.2:1 정도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저수부, 상기 제2 저수부 및 상기 단차부는 상기 세면조의 저면으로부터 계단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저수부, 상기 제2 저수부 및 상기 단차부는 상기 세면조의 저면으로부터 부채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수도꼭지는 상기 세면조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세면조에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한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저수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필요 이상의 물을 받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물을 현저하게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도꼭지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손을 씻거나 세안을 하여 과도하게 물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필요한 양의 물을 받아 사용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돗물을 틀어놓은 상태를 방치하여 물이 심하게 낭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도꼭지와 세면조 사이에 단차부를 형성하여 물이 단차부를 통해 세면조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가 수도꼭지로터 물이 공급되는 동안에 수도꼭지와 단차부 사이에 손이나 수건 등을 집어넣는 것을 방지하여 물이 제1 저수부 혹은 제2 저수부에 저장되었을 때 사용자가 이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라 제1 및 제2 저수부가 형성된 세면조는 종래의 원호 형상의 바닥면을 갖는 세면조에 비하여 적은 양이지만용도에 따라 필요한 양만큼의 물을 저수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세면조 자체가 원천적으로 물을 절약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절수형 세면기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세면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세면기 중 세면조를 중심으로 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세면기(100)는, 각 가정이나 건물 등의 화장실 벽에 부착ㆍ고정되는 세면조(105), 세면조(105)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110), 수도꼭지(110)에 인접하여 세면조(105)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는 개폐 노브(115), 세면조(105)의 내측 중앙부에 장착되는 배수 마개(120), 세면조(105)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결관(125), 그리고 연결관(125)과 연통되는 배수관(13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면조(105)의 중앙부에는 수도꼭지(1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제1 저수부(135) 및 제2 저수부(140)가 세면조(105)의 저면으로부터 각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제1 저수부(135)는 세면조(105)의 중앙부에 세면조(105) 전체 깊이(D)의 약0.2∼0.4배 정도의 깊이(D1)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각 가정이나 빌딩의 세면조(105)는 약 15∼25㎝ 정도의 깊이(D)로 화장실에 설치되며, 이 경우에 제1 저수부(135)는 약 3∼6㎝ 정도의 깊이(D1)를 갖는다. 이 때, 세면조(105)는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폭을 갖기 때문에 이에 상응하여 제1 저수부(135)의 폭도 조절된다. 즉, 세면조(105)의 전체 깊이(D)에 대한 제1 저수부(135)의 깊이(D1)의 비는 약 1:2.5∼1:8 정도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만을 씻을 경우에는 제1 저수조(135)에만 물을 받아 손을 씻거나 손수건 내지 수건 등을 적신 다음, 개폐 노브(115)를 조작하여 배수 마개(120)를 오픈시킴으로써 제1 저수부(135)의 물을 연결관(125)과 배수관(130)을 통하여 하수구로 유출시키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저수부(135)는 사용자가 손을 씻기에 알맞은 양의 물을 저수하기에 적합한 깊이(D1)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수도꼭지(1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제1 저수조(135)에만 저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세면기에 비하여 필요 이상의 물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현저하게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세면조(105)의 저면으로부터 제1 저수부(135)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2 저수부(140)는 전체적으로 제1 저수부(135) 보다는 깊은 깊이(D2) 및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2 저수부(140)는 사용자가 세수를 하거나 기타 목적으로 충분한 양의 물이 필요할 경우에 적절한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제1 저수부(135)의상단으로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세면조(105)의 전체 깊이(D)에 대한 제2 저수부(140)의 깊이(D2)의 비는 약 0.8:1∼0.9:1 정도가 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세면조(105)의 깊이(D)가 약 15∼25㎝일 경우에 제2 저수부(140)의 깊이(D2)는 약 12.4∼22.5㎝ 정도가 된다.
상기 세면조(105) 가운데 수도꼭지(110)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부분에는 소정의 깊이(D3)로 단차부(145)가 형성되어 수도꼭지(110)의 하부가 부분적으로 상기 단차부(145)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세면조(105) 내에는 제1 저수부(135), 제2 저수부(140) 및 단차부(145)가 차례로 계단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세면조(105)의 전체 깊이(D)에 대한 단차부(145)의 깊이(D3)는 대체로 0.1:1∼0.2:1 정도가 되지만, 이러한 단차부(145)의 깊이는 수도꼭지(110)의 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길이에 따라 조절된다. 다시 말하면, 수도꼭지(1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세면조(105)의 제1 및 제2 저수부(135, 140) 내에 저장되게 흘러내릴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이나 수건 등을 단차부(145)와 수도꼭지(110) 사이에 집어넣을 수 없을 정도이면 충분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면조(105) 의 일측 상부에 단차부(145)를 형성함으로써, 수도꼭지(110)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수도꼭지(110)와 세면조(105) 사이에 손을 집어넣어 물이 사방으로 튀거나 필요 이상의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단차부(145)의 존재로 인하여 수도꼭지(110)에서 물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물의 공급을 방해하지 못하고 물이 제1 저수부(135)나 제2 저수부(140)에 채워질 때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으므로물이 낭비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차적으로 세면조(105)의 일측 상부에 단차부(145)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수도꼭지(1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임의로 낭비하지 못하게 하고, 이차적으로는 사용 목적에 적합한 양만큼의 물을 저수하는 제1 및 제2 저수부(135, 140)를 형성하여 필요 이상의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제1 저수부(135)와 제2 저수부(140) 사이 및 제2 저수부(140)와 단차부(145) 사이에 적색 또는 황색 선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사용 용도에 알맞은 양만큼의 물을 받아쓰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세면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부(170)가 부채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도꼭지(16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세면기(180)의 구조는 상술한 경우와 동일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수도꼭지(165)는 세면조(160)의 일측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도꼭지(165)로부터 물이 떨어지는 단차부(170)는 수도꼭지(165)를 중심으로 부채꼴로 형성된다. 따라서, 세면조(160) 내에는 제1 저수부(185), 제2 저수부(190) 및 단차부(170)가 전체적으로 부채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단차부(170)를 부채꼴로 형성하면, 회전 가능한 수도꼭지(165)를 설치할 경우에도 수도꼭지(165)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일차적으로 단차부(170)를 거쳐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도꼭지(165)와 단차부(170) 사이에 손을집어넣어 물이 사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도꼭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물의 공급을 방해하지 못하고, 물이 제1 저수부(185) 내지 제2 저수부(190)에 채워진 다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으로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수도꼭지를 도시하였으나, 전후방향으로 그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는 수도꼭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수도꼭지가 이중의 관으로 형성되어 외측관과 내측관 사이에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연질의 탄성을 갖는 재질을 삽입하여 외측관과 내측관 사이에서 공급되는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수도꼭지를 설치할 경우, 사용자가 환경이나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물을 세면조에 받아 사용할 수 있다. 즉, 단시간에 많은 물이 필요할 경우에는 수도꼭지를 전방으로 신장시켜 세면조로 물이 직접 공급되게 할 수 있는 한편, 통상적인 경우에는 수도꼭지를 수축시킨 상태에서 단차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필요한 양만큼 받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주로 가정이나 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되는 세면기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세면기는 항공기, 열차, 버스, 선박 등과 같은 각종 교통수단에도 설치하여 이용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세면조의 형상 개량을 통하여 세면기의 세면조에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저수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 이상의 물을 받아 낭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도꼭지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손을 씻거나 세안을 하여 과도하게 물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필요한 양의 물을 받아 사용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돗물을 틀어놓은 상태를 방치하여 물이 심하게 낭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제1 및 제2 저수부가 형성된 세면조는 종래의 원호 형상의 바닥면을 갖는 세면조에 비하여 적은 양의 물, 그러나 용도에 따라 필요한 양만큼의 물을 저수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세면조 자체가 원천적으로 물을 절약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더욱이, 수도꼭지와 세면조 사이에 단차부를 형성하여 물이 단차부를 통해 세면조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도꼭지로터 물이 공급되는 동안에 수도꼭지와 단차부 사이에 손이나 기타 물질을 집어넣는 것을 방지하여 물이 제1 저수부 혹은 제2 저수부에 저장되었을 때 사용자가 이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일측이 화장실 벽에 부착되는 세면조;
    상기 세면조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
    상기 수도꼭지에 인접하여 상기 세면조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는 개폐 노브;
    상기 세면조의 중앙 하부에 장착되는 배수 마개; 그리고
    상기 수도꼭지 하부의 상기 세면조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절수형 세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조는 상기 세면조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제1 저수부와 상기 제1 저수부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단차부까지 연결되는 제2 저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세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수부, 상기 제2 저수부 및 상기 단차부는 상기 세면조의 저면으로부터 계단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세면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수부, 상기 제2 저수부 및 상기 단차부는 상기 세면조의 저면으로부터 부채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세면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꼭지는 상기 세면조의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전후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세면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수부의 깊이와 상기 세면조의 깊이의 비가 1:2.5∼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세면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수부와 상기 세면조의 깊이의 비가 0.8:1∼0.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세면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깊이와 상기 세면조의 깊이의 비가 0.1:1∼0.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세면기.
KR2020010026393U 2001-08-30 2001-08-30 절수형 세면기 KR200257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393U KR200257194Y1 (ko) 2001-08-30 2001-08-30 절수형 세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393U KR200257194Y1 (ko) 2001-08-30 2001-08-30 절수형 세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194Y1 true KR200257194Y1 (ko) 2001-12-24

Family

ID=7310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393U KR200257194Y1 (ko) 2001-08-30 2001-08-30 절수형 세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1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35Y1 (ko) 2011-07-14 2013-08-13 서병기 세면 및 몹 걸레 세척이 가능한 이동형 다용도 세척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35Y1 (ko) 2011-07-14 2013-08-13 서병기 세면 및 몹 걸레 세척이 가능한 이동형 다용도 세척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7194Y1 (ko) 절수형 세면기
CN203475536U (zh) 再生水利用节能系统
CN212224098U (zh) 一种家用节水马桶洗漱一体装置
CN207525838U (zh) 一种水源二次利用节水型坐便器
KR200281573Y1 (ko) 수세식 변기의 재활용 절수구조
KR200188217Y1 (ko) 오·폐수 재활용 장치
CN201943379U (zh) 一种卫浴装置
CN207512850U (zh) 一种中间水箱式节水型坐便器
CN206571211U (zh) 一种卫生间废水二次利用装置
KR100352822B1 (ko) 양변기용 생활하수 재활용장치
KR200196994Y1 (ko) 용수 재활용 겸용 양변기 장치
CN211200585U (zh) 一种选择性节能环保的储水装置
CN211961867U (zh) 一种组合式洗漱脸盘
CN214090148U (zh) 一种洗手、冲洗马桶一体式抽水马桶
CN217352745U (zh) 一种教学楼公厕节水装置
KR100378874B1 (ko) 세면기 배수를 이용한 양변기 급수장치
KR200246741Y1 (ko) 수세식 변기용 절수장치
CN212612812U (zh) 一种一体化节水卫浴设备
KR200389635Y1 (ko) 세면수를 이용하는 양변기
KR200250199Y1 (ko) 세면수 재활용 변기
CN207295912U (zh) 一种防臭节水马桶
KR200417968Y1 (ko) 세면수와 생활폐수를 이용하는 양변기
KR20010087077A (ko) 세면대의 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
CN207538143U (zh) 节水马桶水箱盖
KR200179569Y1 (ko) 절수형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