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979Y1 - A dialing apparatus in telephone - Google Patents

A dialing apparatus in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979Y1
KR200256979Y1 KR2020010026678U KR20010026678U KR200256979Y1 KR 200256979 Y1 KR200256979 Y1 KR 200256979Y1 KR 2020010026678 U KR2020010026678 U KR 2020010026678U KR 20010026678 U KR20010026678 U KR 20010026678U KR 200256979 Y1 KR200256979 Y1 KR 200256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lephone
dialing
tim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67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Priority to KR2020010026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97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979Y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무선 전화기의 다이얼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량이 많은 곳으로 전화를 걸 시. 한 번의 다이얼링 입력으로 상대방이 전화를 받을 때까지 전화를 반복하여 걸어주는, 유무선 전화기의 다이얼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다이얼링 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후크 스위치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전화라인 스위치와; 통화 상대방 전화기의 상태가 통화중일 경우, 상기 전화라인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전화국의 교환기로부터 전달되는 화중음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화중음 검출부와; 일정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와; 다이얼링 수행 후 화중음 검출에 따른 소정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화중음 검출부로부터 화중음 검출에 따른 결과가 출력되면, 상기 타이머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타이머의 구동에 따른 일정 시간의 카운트 완료가 이루어지면, 상기 후크 스위치의 온/오프 후크 스위칭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반복하여 다이얼링 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ling device for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particularly when making a call to a place with a large amount of calls. A dialing device for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which makes a call repeatedly until the other party answers the call with one dialing input. This invention is; Memory for storing dialed telephone numbers; A telephone line switch for switching the hook switch; A call ton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all tone transmitted from an exchange of a telephone station connected through the telephone line switch when the state of the call counterpart phone is busy; A timer for counting a certain time; If there is a predetermined key inpu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busy tone after the dialing, if the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busy tone is output from the busy tone detection unit, the driving of the timer is controlled and the completion of the counting of the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timer is performed. If s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n / off hook switching of the hook switch, and repeatedly dialing the stored telephone number.

Description

유무선 전화기의 다이얼링 장치{A DIALING APPARATUS IN TELEPHONE}Dialing device for wired and wireless telephones {A DIALING APPARATUS IN TELEPHONE}

본 고안은 유무선 전화기의 다이얼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량이 많은 곳으로 전화를 걸 시. 한 번의 다이얼링 입력으로 상대방이 전화를 받을 때까지 전화를 반복하여 걸어주는, 유무선 전화기의 다이얼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ling device for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particularly when making a call to a place with a large amount of calls. A dialing device for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which makes a call repeatedly until the other party answers the call with one dialing input.

유선 혹은 무선 전화기(이하 '유무선 전화기'라 칭함)들의 주목적은 통화를 수행하는 것이다.The primary purpose of landline or cordless telepho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wireless and cordless telephones") is to conduct a call.

통화 수행을 위해 통상 사용자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게 되며, 그 결과로서 상대방 전화기에 착신벨이 울려, 송수화기를 들게 되면 상호간에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화 수행이 이루어진다.In order to perform a call, the user usually dials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and as a result, a ringing bell rings on the other party's phone, and when the user picks up the handset, a call path is formed between each other to perform a call.

상기한 다이얼링의 경우, 전화기 각각에 있어 지정된 고유의 번호, 즉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서 이루어진다.In the case of the above dialing, it is made by inputting a unique number designated for each telephone, that is, a telephone number.

그러나, 통화를 수행하고자 다이얼링을 한 후, 상대방이 통화 중 상태에 있게 되면 전화를 건 측으로는 지정된 형태의 화중음이 전달된다.However, after dialing to perform a call, when the other party is in a busy state, the designated type of call tone is transmitted to the calling party.

상기 화중음을 듣게 됨으로서 현 상태에서 통화가 수행되지 않음을 사용자는 인지하게 된다.By listening to the call tone, the user is aware that the call is not performed in the current state.

따라서, 일반의 사용자들은 일정 시간 후, 다시 상대방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함으로서 통화 시도를 하고, 그에 따라 통화로 형성이 이루어지면 통화가 수행된다.Therefore, the general users attempt a call by dialing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again after a certain time, and thus the call is performed when the call is made.

한편, 상기 전화번호는 통상 여러 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에 사용자는 다이얼링을 위해 전화번호를 구성하는 해당 숫자들을 각각 모두 입력해야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hone number is usually made of a number of digits. The user must enter all of the corresponding numbers that make up the phone number for dialing.

이는 사용자로 불편함을 가져다 주게 되며, 이를 해소하고자 종래의 전화기들로 '재다이얼링' 기능을 구현하여 제공하고 있다.This brings inconvenience to the user, and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 telephones are provided by implementing a 'redialing' function.

상기 재다이얼링 기능은, 소정 키의 원터치 입력으로 이전 입력한 전화번호를 그대로 입력하여 자동으로 다이얼링 하도록 하는 기능이다.The redialing function is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dialing a phone number previously input by one-touch input of a predetermined key as it is.

이의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은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지게 되었다.Its features make it easier for users to use.

한편, 통화를 연결하고자 하는 상대방 측이, 상대적으로 통화량이 많은 곳일 경우 통화 연결이 매우 곤란한 경우가 종종 있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상대방과 통화 연결이 가능할 때가지 다이얼링을 반복하여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이때 상기재다이얼링 기능은 사용자에게 전화번호 입력을 여러 번 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가져다 준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ther party wants to connect the call, where there i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all, it is often difficult to connect the call. In this case, the user repeatedly performs dialing until the call is connected to the other party. At this time, the redialing function brings convenience to the user without having to input the phone number several times.

즉, 상대방이 계속하여 통화중 상태에 있게 되면, 상대방의 통화중 상태가 종료 될 때까지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어쩔 수 없이 반복하여 상대방의 통화 종료가 이루어질 때까지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That is, if the other party continues to be in a busy state, the call is not connected until the other party's busy state ends. In this case, the user inevitably repeats the call until the other party ends the call. There is no choice but to do it.

상기의 재다이얼링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전화번호 입력에 따른 키 입력 횟수의 감소를 통한 편리성은 있지만, 이 또한, 상대방이 통화중 상태를 종료할 때까지 지속하여 해당 키를 입력할 수밖에 없는 불편함은 해결하지 못하게 된다.Even in the case of using the redialing function described above, it is convenient to reduce the number of key inputs accor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put, but this also requires the user to continue inputting the corresponding key until the other party ends the busy state. Discomfort cannot be solved.

이에, 통상의 유무선 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로부터, 상대방과 통화 연결이 이루어질 때까지 별도의 전화번호, 혹은 키입력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다이얼링을 지속하여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의 요구가 있었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a demand from a user who uses a conventional wired / wireless telephone that can continuously perform dialing even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phone number or key input until a call connection is made with the other party.

특히,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화량이 많아 그 연결이 상대적으로 곤란한 곳으로 통화 시도를 하는 경우, 그와 같은 기능은 더더욱 요구되었다.In particular, as mentioned above, when a call attempt is made to a place where connection is relatively difficult due to a large amount of calls, such a function is further required.

그러나, 종래의 유무선 전화기들은 그러한 기능을 구현하지 않고 있어, 사용자들에게 많은 불편을 주었다.However, conventional wired and wireless telephones do not implement such a function, which brings a lot of inconvenience to user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무선 전화기를 사용함에, 특히 통화량이 많은곳으로 전화를 걸 시. 한 번의 다이얼링 입력으로 상대방이 전화를 받을 때까지 전화를 반복하여 걸어주는, 유무선 전화기의 다이얼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especially when making a call to a place with a large amount of call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aling device for a wired / wireless telephone that repeatedly makes a call until the other party answers the call with one dialing inpu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이얼링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memory for storing dialed telephone numbers;

후크 스위치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전화라인 스위치와; 통화 상대방 전화기의 상태가 통화중일 경우, 상기 전화라인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전화국의 교환기로부터 전달되는 화중음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화중음 검출부와; 일정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와; 다이얼링 수행 후 화중음 검출에 따른 소정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화중음 검출부로부터 화중음 검출에 따른 결과가 출력되면, 상기 타이머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타이머의 구동에 따른 일정 시간의 카운트 완료가 이루어지면, 상기 후크 스위치의 온/오프 후크 스위칭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반복하여 다이얼링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A telephone line switch for switching the hook switch; A call ton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all tone transmitted from an exchange of a telephone station connected through the telephone line switch when the state of the call counterpart phone is busy; A timer for counting a certain time; If there is a predetermined key inpu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busy tone after the dialing, if the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busy tone is output from the busy tone detection unit, the driving of the timer is controlled and the completion of the counting of the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timer is performed. If s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n / off hook switching of the hook switch, and repeatedly dialing the stored telephone number.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이 이루어지는 유무선전화기 고정장치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d and wireless telephone fixing device i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적용이 이루어지는 유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블록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wired or wireless telephone apparatus which i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제안된 유무선 전화기의 동작 흐름도.3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prop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ny specific details such as components of specific circuit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의 다이얼링 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dialing device of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 가정용 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를 그 실 예로서 설명하는데, 이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얼링 장치가 일반의 유선 및 유무선 전화기 외. 가정용 무선 전화기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함에 따른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ed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of a home wireless telephon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home wireless telephones.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다이얼링 장치의 경우, 가정용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 및 고정장치 어느 곳으로도 적용될 수 있음을 사실을 설명함에 따른 것이다.In addition, the dial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act that it can be applied to any of the portable device and the fixed device of the home wireless telephone.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이 이루어지는 유무선 전화기에 있어 특히 무선전화기 고정장치(100)의 블록 구성도이다.First,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radiotelephone fixing device 100 in particular in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상기 도 1에 도시된 고정장치(100)는 무선부(211), 핸드셋(212), 아날로그 스위치(213), 마이크 증폭부(214), 마이크(215), 스피커 증폭부(216), 스피커(217), 통화회로부(218), 전화라인 스위치(219), 링거(220), 링검출부(221), 제어부(223), 메모리(224), 표시부(225), 키패드(226), 타이머(227), 화중음 검출부(222)를 구비한다.The fixing device 100 shown in FIG. 1 includes a wireless unit 211, a handset 212, an analog switch 213, a microphone amplifier 214, a microphone 215, a speaker amplifier 216, a speaker ( 217, call circuit unit 218, telephone line switch 219, ringer 220, ring detector 221, control unit 223, memory 224, display unit 225, keypad 226, timer 227 ), And an audible tone detector 222 is provided.

상기 무선부(211)는 상기 고정장치(100)와 상기 휴대장치(200)간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wireless unit 211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between the fixing device 100 and the portable device 200.

일 예로서, 상기 무선부(211)는 안테나(ANT)를 통해 상기 휴대장치(200)로부터 수신된 RF 무선신호를 해당 채널 대역의 수신 주파수(예를 들어, 914MHz)만 필터링 하여 증폭한 후, 제1 및 제2중간 주파수(IF)를 거친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213)로 출력하고, 상기 휴대장치(200)로의 신호 송신시 각 채널 당 해당 주파수를 발생시켜 송신 주파수 대역(일 예로 959MHz 대)의 캐리어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출 복사한다.As an example, the wireless unit 211 filters and amplifies an RF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200 through an antenna ANT by only a reception frequency (eg, 914 MHz) of a corresponding channel band. Outputs a signal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equencies IF to the analog switch 213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frequency for each channel when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200 to transmit a transmission frequency band (for example, 959 MHz band). The carrier signal is converted into a carrier signal and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상기 핸드셋(212)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송화부와 수화부로 구성된 송수화기이며, 상기 송화부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213)를 통해 통화회로부(218)에 전달하며, 상기 통화회로부(218)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상기 수화부에서 출력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한다.Although not shown, the handset 212 is a handset composed of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nd transmits a user's voice to the call circuit unit 218 through the analog switch 213 through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transmitter, and the call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ircuit unit 218 is output from the handset to perform a voice call.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213)는 상기 무선부(211), 핸드셋(212), 마이크 증폭부(214), 스피커 증폭부(217), 통화회로부(218)와 연결되어 각 구성부의 동작에 따른 회로 스위칭을 담당한다.The analog switch 213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unit 211, the handset 212, the microphone amplifier 214, the speaker amplifier 217, and the call circuit unit 218 to switch the circu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 charge.

상기 마이크 증폭부(214)는 상기 마이크(MIC: 215)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The microphone amplifier 214 amplifies and outputs an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IC) 215.

상기 스피커 증폭부(216)는 상기 통화회로부(218)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217)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The speaker amplifier 216 amplifies an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call circuit unit 218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217.

상기 통화회로부(218)는 음성 송수신 회로(Speech Network)로서,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213)와 전화라인 스위치(219) 사이에 연결되어 각종 톤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한다.The call circuit unit 218 is a voice network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analog switch 213 and the telephone line switch 219 to process various tone signals and voice signals.

상기 전화라인 스위치(219)는 후크 스위치(Hook Switch)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 하에 상기 전화라인(TEL LINE)과의 통화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elephone line switch 219 includes a hook switch, and performs a function of forming or blocking a call path with the telephone li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23.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에 따라,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하에 상기 후크 스위치(Hook Switch)의 스위칭을 수행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witching of the hook switch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23.

상기 후크 스위치의 스위칭은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상대방으로부터 화중음의 검출이 있을시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of the hook switch is made when there is a detection of a busy tone from the counterpart.

상기 링거(220)는 상기 전화라인과 스피커(217) 및 링검출부(221)에 연결되며, 톤 링거(Tone Ringer)이다.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착신벨 발생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링거를 통한 링 발생은 이루어지지 않는다.The ringer 220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the speaker 217 and the ring detector 221, and is a tone ringer. When the ringing bel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 generation through the ringer is not made.

상기 링검출부(221)는 상기 전화라인과 연결되며, 온-후크(On-Hook) 상태에서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223)에 착신 상태임을 통보한다.The ring detector 221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and detects a ring signal input to the telephone line in an on-hook state and notifies the controller 223 of the incoming state.

상기 화중음 검출부(222)는 상대방 전화기가 통화중(Busy)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고정장치(100)가 연결된 전화국의 교환기로부터 전달되는 화중음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223)로 전달한다.The call tone detection unit 222 detects a call tone transmitted from an exchange of a telephone station to which the fixed device 100 is connected when the counterpart phone is in a busy state,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controller 223. To pass.

이는 본 고안의 실시에 따라 상기 화중음의 검출 동작을 수행한다.This performs the detection operation of the flower sou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부(223)는 전화기의 기능에 따른 제반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며,국선 통화 및 휴대장치(200)와의 통화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23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arious components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phone, and controls the trunk line call and the call with the portable device 200.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에 따라, 상기 화중음 검출부(222)로부터 화중음 검출 결과를 전달받고, 화중음이 검출된 경우에 있어, 상기 타이머(227)와 상기 전화라인 스위치(219) 상의 후크-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ord sound detection result is received from the chord sound detection unit 222 and the chord sound is detected, the hook-switch on the timer 227 and the telephone line switch 219. Performs an operation to control the switching of.

또한, 상기 메모리(224) 상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이의 다이얼링 수행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memory 224 is read to control its dialing.

상기 메모리(224)는 전화기의 제반 기능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메모리(224)는 일 예로, EEPROM 및 RAM을 사용할 수 있다.The memory 224 stores various functional programs of the phone, and stores various kinds of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23. For example, the memory 224 may use an EEPROM and a RAM.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224)의 일정 영역으로 다이얼링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영역이 할당되며, 사용자로부터 다이얼링된 전화번호를 저장하도록 한다.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ea for storing a dialed telephone number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memory 224 is allocated, and stores a dialed telephone number from a user.

상기 표시부(225)는 다수의 LED(발광다이오드) 및/또는 LCD(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23)의 제어 하에 전화기의 현재 상태도 및 제반 상황들을 디스플레이 한다.The display unit 225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light emitting diodes) and / or LCD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displays the current state diagrams and general conditions of the pho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23.

상기 키패드(226)는 다수의 기능 키 및 다이얼 3*4키를 구비하여 각종 기능 설정 및 동작이나 다이얼 입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226)로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링 기능의 수행 요구를 위한 별도의 기능키가 구비된다.The keypad 226 includes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a dial 3 * 4 key to perform various function setting and operation or dial input. And the keypad 226 is provided with a separate function key for the request to perform the one-touch dia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타이머(227)는 시간 데이터를 발생하고, 발생된 시간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23)로 전달한다. 상기 발생된 시간데이터의 참조를 통해 상기 제어부(223)는상기 전화라인 스위치(219) 상의 후크-스위치 스위칭 제어와, 상기 메모리(224) 상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독출 및 그의 다이얼링을 수행한다.The timer 227 generates time data and transfers the generated time data to the controller 223. The control unit 223 performs the hook-switch switching control on the telephone line switch 219, reading the telephone number stored on the memory 224, and dialing the same through reference to the generated time data.

도 2는 본 고안의 적용이 이루어지는 유무선 전화기 휴대장치(200)의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d and wireless telephone portable device 2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에 있어,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얼링 기능이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 모두다 실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This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a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both the fixed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in the home wireless telephone.

그러나, 실시자의 의도에 따라,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 어느 한 측에 한해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다이얼링 기능이 실시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ractitioner, the dia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only on either side of the fixing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상기 도 2에 도시된 휴대장치(200)는 휴대장치 무선부(311), 휴대장치 통화회로부(312), 마이크(314), 스피커(313), 타이머(315), 휴대장치 제어부(316), 부저 및 멜로디 회로부(317), 부저(318), 휴대장치 메모리(319), 휴대장치 표시부(320), 휴대장치 키입력부(321), 화중음 검출부(322)를 구비한다.The portable device 200 shown in FIG. 2 includes a portable device wireless unit 311, a portable device call circuit unit 312, a microphone 314, a speaker 313, a timer 315, a portable device controller 316, A buzzer and melody circuit unit 317, a buzzer 318, a portable device memory 319, a portable device display unit 320, a portable device key input unit 321, and an audible tone detector 322 are provided.

상기 휴대장치 무선부(311)는 상기 고정장치(100)와 상기 휴대장치(200)간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휴대장치 무선부(311)는 안테나(ANT)를 통해 상기 고정장치(100)로부터 수신된 RF 무선신호를 특정 채널 대역의 수신 주파수(예를 들어, 959MHz)만 필터링 하여 증폭한 후, 제1 및 제2중간 주파수(IF)를 거친 신호를 휴대장치 제어부(316) 또는 휴대장치 통화회로부(312)에 출력하고, 상기 고정장치(100)로의 신호 송신시 각 채널당 해당 주파수를 발생시켜 송신 주파수 대역(일 예로 914MHz 대)의 캐리어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출 복사한다.The portable device wireless unit 311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between the fixed device 100 and the portable device 200. The portable device wireless unit 311 filters and amplifies an RF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fixed device 100 through an antenna ANT only for a reception frequency (eg, 959 MHz) of a specific channel band and then amplifies the first radio signal. And outputs a signal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IF to the portable device controller 316 or the mobile device call circuit unit 312,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frequency for each channel when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fixed device 100. A carrier signal (for example, 914 MHz) is converted into a carrier signal and transmitted and radiated through the antenna.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상기 휴대장치 무선부(311)는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316)의 제어하에, 상기 고정장치(100) 상의 전화라인 스위치의 후크-스위치 제어를 위한 별도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device wireless unit 311 wirelessly transmits a separate signal for hook-switch control of a telephone line switch on the fixing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portable device controller 316. do.

상기 휴대장치 통화회로부(312)는 통화에 따른 음성 신호를 처리한다.The portable device call circuit unit 312 processes the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call.

상기 타이머(315)는 상기 고정장치(100) 상의 타이머(227)와 마찬가지로 시간 데이터를 발생하고, 발생된 시간데이터를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316)로 전달한다.The timer 315 generates time data similarly to the timer 227 on the fixed device 100, and transfers the generated time data to the portable device controller 316.

휴대장치(200)에 있어서도 상기 발생된 시간데이터의 참조를 통해 상기 제어부(223)는 상기 고정장치(100) 상의 전화라인 스위치(219) 상에 구비되는 후크-스위치의 스위칭 제어를 위한 별도의 무선신호와, 상기 메모리(224) 상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독출 및 그의 다이얼링을 수행한다.Also in the portable device 200, the controller 223 uses a separate radio for switching control of the hook-switch provided on the telephone line switch 219 on the fixing device 100 by referring to the generated time data. Reading and dialing of signals and telephone numbers stored on the memory 224 are performed.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316)는 상기 휴대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portable device controller 316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200.

마찬가지로,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316)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따라 고정장치(100) 상의 화중음 검출부(222), 혹은 상기 화중음 검출부(322)로부터 화중음 검출 결과를 전달받고, 화중음이 검출된 경우에 있어, 상기 타이머(315)와 상기 고정장치(100) 상의 전화라인 스위치(219)내의 후크-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별도의 신호를 상기 휴대장치 무선부(311)를 통해 상기 고정장치(100)로 송신한다.Similarly, the portable device control unit 316 also receives the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ringtone sound from the ringtone detection unit 222 or the ringtone detection unit 322 on the fixed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tected, the timer 315 and a separate signal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hook-switch in the telephone line switch 219 on the fixing device 100 via the portable device wireless section 311 Transmit to device 100.

상기 부저 및 멜로디 회로부(317)는 소정 호출이 있는 경우 설정된 벨소리를 부저(318)를 통해 발생하거나, 스피커(313)를 통해 설정된 멜로디를 출력한다.The buzzer and melody circuit unit 317 generates a set ring tone through the buzzer 318 or outputs a melody set through the speaker 313 when there is a predetermined call.

상기 휴대장치 메모리(319)는 상기 휴대장치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316)의 제어를 받는다.The portable device memory 319 stores a program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portable device, stores various data, and is controlled by the portable device controller 316.

이의 경우도 상기 고정장치(100)의 메모리(224)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실시에 따라 그 내의 일정 영역으로 다이얼링 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영역이 할당되며, 사용자로부터 다이얼링된 전화번호를 저장하도록 한다.In this case, like the memory 224 of the fixing device 100, an area for storing a dialed phone number is allocated to a predetermined area there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s the dialed phone number from the user. .

상기 휴대장치 표시부(320)는 다수의 LED(발광다이오드) 및/또는 LCD(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316)의 제어 하에 휴대장치 및 전화기의 현재 상태와 제반 상황들을 디스플레이 한다.The portable display unit 320 includes a plurality of LEDs (light emitting diodes) and / or LCD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displays the current state and various conditions of the portable device and the phone under the control of the portable device controller 316. do.

상기 휴대장치 키입력부(321)는 다수의 기능 키 및 다이얼 3*4키를 구비하여 각종 기능 설정 및 동작이나 다이얼 입력을 수행한다.The portable device key input unit 321 includes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a dial 3 * 4 key to perform various function settings and operations or dial input.

이하 첨부된 도 3의 참조를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 다이얼링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dial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상기 도면상에 도시된 동작 흐름은, 상기 고정장치(100), 휴대장치(200) 각각에 있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실시자의 의도에 따라 어느 한 측에 한해서 실시될 수도 있다.The operation flow shown in the drawing may be implemented in each of the fixing device 100 and the portable device 200. It may also be implemented on either sid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implementer.

그리고, 이는 상기 고정장치(100) 및 휴대장치(200) 각각의 제어부(223, 316)의 제어 동작이 된다.This is a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s 223 and 316 of the fixing device 100 and the portable device 200, respectively.

도 3을 참조하면, 310단계에서 대기 모드를 수행한다. 이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가 되며, 통화를 기다리는 상태, 혹은 소정의 키입력을 기다리는 상태가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standby mode is performed in step 310. This is a state that does not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a state waiting for a call, or a state waiting for a predetermined key input.

312단계에서 후크-스위치의 상태가 후크-오프 상태가 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는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송수화기를 들어 올리는 상태가 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In step 31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ook-switch state becomes the hook-off state. This is to determine if the user is in a state of lifting the handset for the call.

314단계에서는 원하는 전화번호의 다이얼링이 수행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226), 혹은 휴대장치 키입력부(321) 상의 키들을 입력함으로서 이루어진다.In step 314, the desired telephone number is dialed. In this case, the user inputs the keys on the keypad 226 or the portable device key input unit 321.

316단계에서는 상기 다이얼링의 결과로서, 상기 화중음 검출부들(222, 322)을 구동 결과로서, 교환기로부터 전달되는 화중음의 검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대방이 통화중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In step 316, as a result of the dialin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detection of the buzz sound transmitted from the exchange as a result of driving the buzz sound detectors 222 and 322. In other word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ther party is in a busy state.

상기 316단계에서 화중음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는, 324단계에서 통화 연결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대방으로의 착신벨 발생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응답으로 통화로 연결이 이루어진다.If the busy tone detection is not performed in step 316, the call operation is performed in step 324. In this case, an incoming call is generated to the other party, and a call is made in response.

상기 316단계에서 화중음 검출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318단계에서 상기 타이머들(227, 315)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타이머들(227, 315)의 구동을 통해 시간 카운트 동작이 수행된다.In the case where the chord sound is detected in step 316, the timers 227 and 315 are driven in step 318. The time coun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driving the timers 227 and 315.

320단계에서는 상기 카운트 동작의 완료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322단계에서 상기 전화라인 스위치(219) 상의 후크-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여, 온/오프-후크를 수행하도록 한다.In step 3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unt operation has been completed. In this case, in step 322, the hook-switch on the telephone line switch 219 is controlled to switch on and off-hook.

고정장치(100) 상의 제어부(223)는 상기 전화라인 스위치(219)의 직접적인 후크 스위치 스위칭 제어를 이루고, 상기 휴대장치(200) 상의 휴대장치제어부(316)는 상기 고정장치(100) 상의 전화라인 스위치(219)의 후크 스위치 스위칭 제어에 따른 무선신호를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223 on the fixing device 100 achieves direct hook switch switching control of the telephone line switch 219, and the portable device control unit 316 on the portable device 200 is a telephone line on the fixing device 100. The wireless signal according to the hook switch switching control of the switch 219 is transmitted.

그리고 상기 314단계의 동작을 되풀이하여 수행한다.And the operation of step 314 is repeated.

한편,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의 고장장치(100)는 경우에 따라서 다수의 휴대장치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장치(100)와 휴대장치(200)는 교류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을 내부 회로에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상기 도면에서는 생략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failure device 100 of the wired /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1 and 2 can be used to register a plurality of portable devices in some cases, the fixing device 100 ) And the portable device 200 ar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C power or battery power to the internal circuit, which is omitted since it is a general matter.

이 외에도 상기 도 1 및 도 2의 예에 도시되지 않은 구체 회로 및 기능들은 이미 일반화된 공지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언급을 피하였을 뿐이며, 본 고안이 도시된 도 1 및 도 2의 구성부 및 기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In addition, specific circuits and functions not shown in the examples of FIGS. 1 and 2 are already known in the general art, and thus only those descriptions are omitted herei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of FIGS. 1 and 2.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not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로서, 유무선 전화기를 사용함에, 특히 통화량이 많은 곳으로 전화를 걸 시. 한 번의 다이얼링 입력으로 상대방이 전화를 받을 때까지 전화를 반복하여 걸어줌으로서 사용자에게 편의를 가져다 주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especially when making a call to a place with a large amount of calls. There is an advantage in bringing convenience to the user by repeating the call until the other party receives the call with one dialing input.

Claims (2)

유무선전화기의 다이얼링 장치에 있어서,In the dialing device of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다이얼링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dialed telephone numbers; 후크 스위치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전화라인 스위치와,A telephone line switch for switching the hook switch, 통화 상대방 전화기의 상태가 통화중일 경우, 상기 전화라인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전화국의 교환기로부터 전달되는 화중음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화중음 검출부와,When the state of the other party's telephone is busy, a busy ton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busy tone transmitted from an exchange of a telephone station connected through the telephone line switch, and outputting a result; 일정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와,A timer that counts a certain amount of time, 다이얼링 수행 후 화중음 검출에 따른 소정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화중음 검출부로부터 화중음 검출에 따른 결과가 출력되면, 상기 타이머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타이머의 구동에 따른 일정 시간의 카운트 완료가 이루어지면, 상기 후크 스위치의 온/오프 후크 스위칭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반복하여 다이얼링 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전화기의 다이얼링 장치.If there is a predetermined key inpu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busy tone after the dialing, if the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busy tone is output from the busy tone detection unit, the driving of the timer is controlled and the completion of the counting of the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timer is performed. If so, the on / off hook switching of the hook switch, the dialing device of the wire / wireless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repeatedly dialing the stored telephone nu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화중음 검출부로부터 화중음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통화로 형성에 따른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전화기의 다이얼링 장치.Dialing device of the wire / wireless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if the busy tone detection is not made from the busy tone detection unit control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 call.
KR2020010026678U 2001-08-31 2001-08-31 A dialing apparatus in telephone KR20025697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78U KR200256979Y1 (en) 2001-08-31 2001-08-31 A dialing apparatus in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78U KR200256979Y1 (en) 2001-08-31 2001-08-31 A dialing apparatus in tele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979Y1 true KR200256979Y1 (en) 2001-12-24

Family

ID=7310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678U KR200256979Y1 (en) 2001-08-31 2001-08-31 A dialing apparatus in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97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91523A (en) Radio telephony equipment
KR200256979Y1 (en) A dialing apparatus in telephone
KR20010090057A (en) A receiving bell of handset generating apparatus in rf home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KR200254223Y1 (en) A receiving bell of handset generating apparatus in rf home telephone
KR100369567B1 (en)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wire/wireless digital telephone.
KR20010088553A (en) A receiving sound convert sound not
KR200254220Y1 (en) A wireless telephone within a vibrator
KR200215213Y1 (en)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 of wire/wireless digital telephone.
KR100270163B1 (en) A wireless inter phone coupled a telephone
KR200254224Y1 (en) Apparatus for announcing a cid number by voice message in a cid service telephone
KR200254225Y1 (en) Apparatus for controling a time watch in a caller id telephone
KR960003104B1 (en) Wireless calling devices for keyphone system
KR200254222Y1 (en) A receiving bell generating apparatus in telephone
JP3308067B2 (en) Cordless telephone
JP3222671B2 (en) Notification method during portable device search in private wireless telephone system
KR200255430Y1 (en) Codeless telephone with radio module
KR100194470B1 (en) How to generate ringing tones from a cordless phone
JP3379423B2 (en) Mobile terminal device
KR2001008899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 using codeless telephone within cid
KR20060026144A (en) Method for answering calls selectively in a time with mobile station
KR20060028923A (en) Telephone apparatus for calling each other to each sub-phone and method of the same
KR20030046032A (en) Mobile Phone Call System Using Regular Phone and Base Station Set Used in the System
JPH11266291A (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thereof
KR20010090056A (en) Apparatus for announcing a cid number in a cid answering telephone and method therefor
KR19990011509A (en) Auto repeat redial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