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929Y1 - Air bubble gener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 bubble gener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929Y1
KR200255929Y1 KR2020010025253U KR20010025253U KR200255929Y1 KR 200255929 Y1 KR200255929 Y1 KR 200255929Y1 KR 2020010025253 U KR2020010025253 U KR 2020010025253U KR 20010025253 U KR20010025253 U KR 20010025253U KR 200255929 Y1 KR200255929 Y1 KR 200255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ipe
tube
bubbles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25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희경
이태섭
Original Assignee
엔.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5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92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929Y1/en

Links

Landscapes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입되는 액체에 기포(氣泡)를 발생시켜 액체(液體)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異物質)의 표면에 기포를 부착시켜 기포의 부상력에 의하여 이물질을 부상(浮上)하게 하여 이물질을 액체에서 제거하게 하는 기포발생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축상에 복수의 관이 일체로 형성되는 다중관(多重管)의 구조를 가지고, 다중관에서 최외관(最外管)의 상류측 단부는 폐쇄되어 있고, 그 하류측 단부는 배출구에 연결되어 있으며, 최외관 내부의 관은 액체를 받아드리도록 유입구가 있고 또한 상류측의 단부는 페쇄되어 있고, 상기 최외관 이외의 관에는 액체가 통과하면서 기포가 발생되는 분출공이 형성되어 있어, 유입되는 액체가 내부 관의 하류측 단부에 부딪쳐 분출공을 통과하면서 기포를 발생시키고 최외관의 하류측 단부를 통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bble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fine bubbles, by generating bubbles in the incoming liquid to attach bubbles to the surface of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liquid to raise the bubble A bubble generating device for causing a foreign matter to float by removing the foreign matter from a liquid, and has a structure of a multi-pipe in which a plurality of pipe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same axis. The upstream end of the outermost tube is closed, the downstream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outlet, the inner tube has an inlet to receive the liquid, and the upstream end is closed. In the pipes other than the outermost tube, a jet hole is formed in which bubbles are generated as the liquid passes, and the liquid introduced therein It provides a bubble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ubble is generated while hitting the downstream end of the pipe passes through the blowing hole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through the downstream end of the outermost pipe.

상기 최외관 내부에는 관이 2개 있는 3중관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어느 일방에 형성되어 있는 분출공은 타방에 형성되어 있는 분출공과 그 직경이 각각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triple tube structure which has two tubes in the outermost pipe | tub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lower hole formed in either one differs from the blower hole formed in the other and its diameter respectively.

또 어느 일방에 형성되어 있는 분출공은 그 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어 있고, 타방에 형성되어 있는 분출공과 길이방향의 일정한 부분에서 원주의 전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ejection hole formed in either one is form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 tube, and is formed in the whole surface of the circumference at the constant part of the ejection hole formed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유입되는 액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기를 유입구 전에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ir injector for injecting air into the incoming liquid before the inlet.

상기 공기주입기는 액체가 이송되는 관을 그 전후보다 직경을 작게 한 작은 곳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inj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in which the liquid is transported is installed in a small place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before and after.

Description

기포발생장치{AIR BUBBLE GENERATING APPARATUS}Bubble generating device {AIR BUBBLE GENERA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연못이나 호수, 저수지 등 폐쇄성수역(閉鎖性水域)에서 인근의 생활 잡배수나 축산폐수 등이 유입함으로써 수중에 질소나 인 등의 영양염이 증가해 부영양화에 의한 수질 오염이 진행되고 있는 수중에, 공기를 가압해 액체에 용해한후 액체를 대기압하에 해방시켜 상기 용해된 공기를 미세기포 발생장치5에 의해 미세기포로서 배출함으로써 공기중의 산소를 용해하여 수중의 오탁 부유물을 기포와 함께 부상분리(浮上分離)하는 가압부상 고액분리시스템의 기포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flows into nearby waters and livestock wastewater in closed waters such as ponds, lakes, and reservoirs, and increases nutrien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water, and water pollution due to eutrophication is in progress. Pressurize the air to dissolve the liquid and release the liquid under atmospheric pressure to discharge the dissolved air as microbubbles by the microbubble generator 5 to dissolve oxygen in the air to separate the suspended suspended solids in water with bubbl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bble generator of a pressurized flotation solid-liquid separation system.

일반적으로 폐쇄성 수역에서 직접처리 정화방식에 의해 수중정화를 할 때에 처리대상인 원수(原水)에 미세기포 발생장치5로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물과 미세기포를 접촉시키므로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현탁물(choloid)을 부상분리하는 이른바 가압부상분리(DAF=Desolved air floatation)에서 미세기포 발생장치5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when the water is purified by the direct treatment purification method in the closed water, microbubbles are generated by the microbubble generator 5 in the raw water to be treated and the suspension contained in the raw wat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water and the microbubbles. Microbubble generator (5) method is used in so-called pressurized separation (DAF = Desolved air floatation) to separate choloids.

이러한 미세기포를 이용한 가압부상분리법은, 미세기포 발생장치5를 이용하는 고액(固液)분리방법의 한가지 방식으로 물보다 밀도가 작은 고형물, 특히 물보다도 작은 밀도의 크기를 가진 침강성이 나쁜 고형물에 기포를 부착시켜 부피에 대한 비중을 적게 해서 부상분리하는 방법으로서, 부상의 원동력은 밀도차에 의한 부력을 이용하므로 당연히 고체에 부착하는 기체의 양이 많을수록 좋다. 기체미세기포 발생장치5통상은 공기의 고체에 대한 부착력은, 고체입자의 성상 혹은 고체입자의 직경, 기포의 직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논하기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부착 기체량을 많게 하기 위해서는 될 수 있는 한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이 좋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는 기체를 일단, 압력하에서 수중에 용해시킨 후, 이것을 대기압 하에서 해방해서 과포화의 기체를 미세기포 발생장치5로 기포화(氣泡化)하여 수역에 배출시켜 부상분리미세기포 발생장치5발생기포의 직경 수10-100㎛내에서 실시한다. 즉 오탁수 처리시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응집플록미세기포 발생장치5(凝集泥=floc)을 만들어 응집플록에 미세한 기포를 흡착시킴으로써 응집니미세기포 발생장치5(凝集泥)를 수면까지 부상시켜 부상물미세기포 발생장치5(floating floc)을 회수하여 수질정화을 도모한다. 응집플록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폐쇄성 수역에서 직접 실시하는 경우와 오탁수를 침전조나 처리탱크에 빨아 올려 고액을 분리한 후에 처리수는 수역내로 재방류하여 되돌리는 간접처리 방법이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서든기포경의 직경 및 균일성이 중요하다. 기포가 미세하면 미세할수록 흡착율이 높고 조용히 부상하면서 상층에서 거품((bubbling)이 없기 때문에 흡착된 플록이나 부유물이 파괴되지 않는다. 그러나 가압배출 미세기포는 수심 및 부상속도에 따라 기포의 소멸위험이 있고 부상응집물미세기포 발생장치5(浮泥)의 일부는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응집체 자중미세기포 발생장치5(自重)에 의해 재침전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수심이 깊거나 수역이 넓은 경우 밀도류 교반이나 수류 교반 등의 폭기를 병용하는 경우도 있다.Pressurized flotation using microbubbles is one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methods us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5, and bubbles in solids having a lower density than water, particularly solids having a lower density than water, have a low density. As a method of separating the flotation by reducing the specific gravity to the volume by attaching, the greater the amount of gas attached to the solid is better because the driving force of the flotation uses buoyancy due to density difference. Gas micro-foam generator 5 is generally difficult to discuss uniformly because the adhesion of air to solids depends on the properties of solid particles, the diameter of solid particles, and the diameter of bubbles, but it is generally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gas attached. It is good to generate one fine bubble. For this purpose, once the gas is dissolved in water under pressure, it is released under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supersaturated gas is bubbled into the microbubble generator 5 and discharged into the water to generate the floating separation microparticle generator 5. The bubble is carried out within a number of 10 to 100 µm in diameter. In other words, flocculant was added to the flocculant during flocculation to make flocculation floc microfloating device 5 (凝集 泥 = floc), and the flocculation floc was adsorbed to the flocculation floc to float the surface of flocculation flocculation apparatus 5 (凝集 泥) to the surface. Water micro-foaming device 5 (floating floc) is recovered to improve water quality. As a method of using flocculation floc, there is a case of directly conducting in a closed water and an indirect treatment method in which sewage water is sucked into a sedimentation tank or a treatment tank to separate solid liquor and then treated water is discharged back into the water and returned. In either case, however, the diameter and uniformity of the bubble diameter is important. The finer the bubble, the higher the adsorption rate and quietly floating, and no bubbles in the upper layer to destroy the adsorbed floc or suspended solids. Some parts of floating flocculation microbubble generator 5 (浮 泥) are likely to reprecipitate by aggregate agglomerate microbubble generator 5 (self-weigh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some cases, aera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그러나 이러한 가압부상분리에 의한 정화를 실시하는 장치들은 대개 기포의 발생방법 및 그 크기, 용해량, 응집플록의 형성, 장치의 경량화가 문제가 되고 있다. 이 분야의 관련특허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2000-201호 미세기포 발생장치(2000.1.15) 및 공개특허공보2000-314호 미세기포 발생장치(2000.1.15)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1996-131800 및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0-112321 등의 선행기술이 있다. 이러한 제 선행기술들의 기포발생의 원리는 압력분사수단을 이용해 난류발생 용기내에서 기액을 혼합해 용해조에 수납해 가압해서 대기압하에 수중에 방출할 적에 응집제를 함께 투여해 수중에 직접 배출하므로써 부상분리하도록 하고 있다.However, the apparatus for purifying by such pressure flotation separation is usually a problem of the bubble generation method and its size, the amount of dissolution, the formation of flocculation flocs, the weight reduction of the device. Related patents in this field include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201 (2000.1.15)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314 (2000.1.15) and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1996-131800 And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0-112321. The principle of bubble generation of these prior arts is to use a pressure injection means to mix gaseous liquid in a turbulence vessel, store it in a dissolution tank, pressurize it, and release flotation by directly discharging the flocculant when it is discharged into water under atmospheric pressure. Doing.

그러나 가압부상분리 기술은 개별 선행기술마다 미세기포를 이용하는 측면에서는 유사한 원리를 적용하고 있으나 기포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각기 다른 만큼 그 성능이나 장치의 규모 등이 다양하고 특성상의 차이도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pressurized floatation separation technology, a similar principle is applied in terms of using microbubbles in each prior art, but the method of generating bubbles varies in performance and device size, and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50㎛ 이하의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은 장치대형화와 부상능력에 문제점이 있어 정화처리의 효율을 제고하는 데에 있어서  대수역(大水域)에서의 채택에 장애가 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 generation of fine bubbles of 50 µm or less has problems in the size of the apparatus and the flotation ability, which impedes the adoption in large water bodies i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따라서 본 고안은 50㎛ 이하의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원수의 흡입 유로관 하류측으로 동축미세기포 발생장치5同軸) 상에 구경이 각각 다른 3중의 원통상 용기 구조체로 일체화되어 있고, 최외통은 그 단부가 하류측 유로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최외통보다 구경이 적은 2개의 중,소 내통은 그 하류측의 일단부가 흡입원수에 난류가 발생하도록 함께 밀폐되고 또 최외통 길이보다 짧도록 설치되며 각각 구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분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외형적으로는 단일 통상용기 구조체로 이루어진 기포발생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generating a fine bubble of 50㎛ or less. That is, the three-cylindrical container structure with different diameters is integrated on the coaxial micro-foaming device 5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uction flow pipe of raw water, and the outermost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flow pipe at the end of the outermost cylinder. The two smaller and smaller inner cylinders are sealed together so that one end of the downstream side has turbulent flow in the suction source and is installed to be shorter than the outermost cylinder, and each has a plurality of outlets with different apertures. To provide a bubble generating device consisting of a single conventional container structure.

도1은 기포발생장치의 전체적인 개관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overview of the bubble generator;

도2는 미세기포 배출장치 횡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icrobubble discharge device;

도3은 도2에 있어서 소내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종 및 횡단면도,Figure 3 is a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intestinal tube in Figure 2,

도4는 도2와는 별도의 중내관의 종 및 횡단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tube separate from Figure 2,

도5는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한 미세기포의 입자를 쵤영한 수중 SEM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underwater SEM photograph of the micro-bubble particles by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컴프레샤 2. 유량계1. Compressor 2. Flowmeter

3. 가압탱크 4. 첵크밸브3. Pressure tank 4. Check valve

5. 기포발생장치 6. 응집제 탱크5. Bubble generator 6. Coagulant tank

7. 터빈펌프 8. 수중펌프7. Turbine Pump 8. Submersible Pump

9. 이젝터            12. 유로관9. Ejector 12. Euro tube

13. 최외관 14. 중내관13. Outer view 14. Inner view

15. 소내관 16. 중내관 분출공15. In-house building

17. 소내관 분출공 18. 폐쇄단부17. In-house pipe and ejection hole 18. Closed end

d1. 소내관구경d1. In-house pipe diameter

d2. 중내관구경 d3. 최외관구경d2. Inner tube diameter d3. Outer view diameter

L. 최외관 길이 L1. 중내관 및 소내관의 길이L. Outermost view length L1. The length of the inner and inner tubes

L2. 소내관분출공배치길이 L3,L4 소내관무공배치길이L2. In-house pipe ejection length L3, L4 In-house pipe ejection length

L5. 소내관분출공배치간격L5. In-house pipe ejection spacing interval

L6. 중내관분출공배치간격L6. Inner tube ejection hole spacing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기포발생장치의 전체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미세기포발생장치5를 이용한 가압부상 시스템은 오탁 원수를 흡입하는 펌프7, 8와 펌프에 의하여 취수된 원수에 공기를 혼합시키는 이젝터9, 이젝터9에서 공급되는 기액혼합액을 받아 여기에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발생장치5, 그리고 미세기포 발생장치5의 기액혼합액을 수중으로 분사하기 위한 공기압을 부여하는 컴프레셔1와 상기 미세기포 발생장치5에 첨가되는 응집제를 저장하는 응집제 탱크, 기액혼합액을 가압하여 배출하는 가압탱크로 구성되어 있다.1 shows an overall flowchart of the bubble generator. The pressurized flotation system using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5 receives pumps 7 and 8 for sucking dirty water, and ejector 9 for mixing air with raw water taken by the pump and gas-liquid mixture supplied from the ejector 9 to receive fine bubbles therein. Pressurizing the coagulant tank and the gas-liquid mixed solution for storing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5, and the compressor 1 for giving air pressure for spraying the gas-liquid mixed solu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5 into the water, and the coagulant added 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5; It consists of a pressurized tank which is discharged by air.

도1에서, 원수를 수중펌프8로 퍼올리고 밸브를 열어 터빈펌프7를 통하고 분사식의 이젝터9에서 원수에 공기가 주입되어 미세기포발생장치5로 원수가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작동하는 컴프레샤1에서 발생한 가압공기가 미세기포 발생장치5에 유입되어 기액혼합액을 미세기포 발생장치5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상기 컴프레샤1과 미세기포 발생장치5 사이의 유로에는 유량계2와 밸브가 설치되어 미세기포 발생장치5에 유입되는 압력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In Fig. 1, the raw water is pumped into the submersible pump 8, the valve is opened, the turbine pump 7 passes through the turbine pump 7, and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raw water from the ejector 9 of the injection type, and the raw water flows in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5. At the same time, pressurized air generated in the compressor 1 operating in the same flows into the microbubble generator 5 to discharge the gas-liquid mixture to the outside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5. Meanwhile, a flow meter 2 and a valve are installed in the flow path between the compressor 1 and the micro bubble generator 5 to control the amount of pressure air flowing into the micro bubble generator 5.

또한 필요에 따라 응집제 탱크6로부터 미세기포 발생장치5로 응집제 등의 약액이 주입되어 기액혼합액에 포함되어 있는 현탁물질을 응집시킨다.If necessary, chemical liquids such as a flocculant are injected from the coagulant tank 6 in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5 to agglomerate the suspended substances contained in the gas-liquid mixture.

미세기포 발생장치5로부터 배출되는 혼합액은 가압탱크3에 저장되었다가 가압되어 도시하지 않은 노즐을 통하여 원래의 수역으로 배출된다.The mixed liquid discharged from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5 is stored in the pressure tank 3 and is pressurized and discharged into the original water through a nozzle (not shown).

상기와 같이 취출된 원수는 응집제에 의하여 포함되어 있는 현탁물질이 응집하고 그 표면에 미세기포가 부착된 상태로 원래의 수역으로 되돌아가 기포의 부상력에 의하여 현탁물질이 부상하게 된다.The raw water taken out as described above returns to the original water with the suspended solids contained by the flocculant and the microbubbles adhered to the surface thereof, and the suspended solids are floated due to the floating force of the bubbles.

이렇게 부상된 콜로이드성 오염물질을 도시하지 않은 수거장치로 수거하여 수역을 정화시킨다.The injured colloidal contaminants are collected by a collection device not shown to purify the water.

본 고안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젝터9는 원수11을 흡입하는 유로관보다 구경이 적은 관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관이 연결되어 있다. 유로관의 도중에 설치된 이젝터9에서 유로관이 좁아짐으로써 유로중에 액체의 정압이 진행방향으로 압출하고 그 쏠림으로 인하여 이젝터9에서 기체를 유입시킬 적에 기액혼합류를 형성시킬수 있도록 원수11을 분사하여 미세기포발생장치5로 이송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jector 9 is connected to an air inlet pipe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pip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low pipe for sucking the raw water 11. As the flow pipe becomes narrow in the ejector 9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flow pipe, the static pressure of the liquid in the flow path is extrud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and due to its pulling, the raw water 11 is sprayed to form a gas-liquid mixture flow when the gas flows in the ejector 9 Transfer to generator 5.

이하에 미세기포 발생장치5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2는 본 고안의 미세기포배출장치5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3은 도2에서의 소내관15, 중내관14를 각각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4는 도2의 중내관14과는 분출공의 형상위치가 다른 중내관14를 확대한 도면을 나타낸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crobubble discharge device 5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mall inner tube 15 and the inner inner tube 14 i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ner tube 14 having a shape position of the ejection hole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ner tube 14 of FIG.

미세기포 발생장치5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중관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최외층에 최외관13, 최내층에 소내관15 그리고 그 사이에 중내관14이 동축(同軸)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5 has a triple tube structure as shown in FIG. That is, the outermost tube 13 in the outermost layer, the small inner tube 15 in the innermost layer, and the middle inner tube 14 are integrally formed coaxially.

소내관15의 일단은 유로관12의 상류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최외관13의 일단부는 유로관12의 하류측과 연결되어 있다.One end of the inner pipe 15 is connected to the upstream side of the flow pipe 12, and one end of the outermost pipe 13 i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flow pipe 12.

소내관15 및 중내관14은 각각 다수의 분출공17, 16이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tube 15 and the inner tube 14 are each formed with a plurality of blow holes 17 and 16.

소내관15의 분출공17은 일정한 부분(도3에서 L2의 길이 만큼)에 원주의 전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분출공17에 형성되는 영역은 반드시 이에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세기포를 많이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The ejection hole 17 of the inner tube 15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ircumference at a constant portion (as long as L2 in Fig. 3). The region formed in the jet hole 17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any area can be formed as long as it can form a lot of fine bubbles.

한편, 중내관14의 분출공16은 원주의 한쪽 면을 따라 관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소내관15의 분출공17의 위치와 어긋나고 또한 그 구경도 다르게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blowing hole 16 of the inner tube 14 is formed parallel to the tube along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This deviated from the position of the jet hole 17 of the inner pipe 15 and also changed its diameter.

이하, 상기 미세기포 발생장치5를 사용하는 미세기포의 발생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generation of micro bubbles using the micro bubble generator 5 will be described.

유로관12는 그 진행방향으로 상기 원수를 흡입함과 동시에 응집제 탱크6부터 응집제가 주입되고, 동시에 컴프레샤1에 의하여 발생하고 유로관내의 유량계2에 의하여 그 양이 조정되는 압력공기가 흡입된다.The flow path tube 12 sucks the raw water in the advancing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flocculant is injected from the coagulant tank 6,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air generated by the compressor 1 and regulated by the flow meter 2 in the flow path tube is sucked in.

이러한 압력공기 및 응집제과 함께 미세기포발생장치5로 유입되는 원수는 소내관 분사이젝터에 의해 소내관15내로 1차로 분출유입되어 진행하다가 폐쇄단부18에 부딪쳐 되돌아 역류하다가 소내관15내의 압력증가에 의해 소내관 분출공17을 통해 원수가 분단되면서 중내관14으로 유입된다. 한편 원수가 계속하여 중내관14로 유입되면서 중내관14의 압력이 높아져서, 중내관14의 원수는 중내관 분출공16을 통하여 최왼관13으로 분출유입된다.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5 together with the pressure air and the flocculant is first injected into the small pipe 15 by the small pipe injection ejector, and then proceeds back to the closed end 18. The raw water is divided into the inner tube 14 through the inner tube spout hole 17. On the other hand, as the raw water continues to flow into the inner tube 14, the pressure in the inner tube 14 is increased, and the raw water of the inner tube 14 is spouted into the leftmost tube 13 through the inner tube spouting hole 16.

이렇게 각각 분출공17, 16을 통하여 원수가 빠져 나오면서 원수가 분단되면서 미세한 기포가 발생하게 되고, 이 기포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현탁물질의 표면에 부착하게 된다.As the raw water exits through the jet holes 17 and 16, fine bubbles are generated as the raw water is divided, and these bubbles a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olluted suspended solids contained in the raw water.

본 미세기포발생장치5는 유로관12내에 유입할 적에 소내관15출구의 하류측 가압혼합부에서는 흐름이 1차 지연되어 정압이 증대해 유입한 기체를 액체 중에 용해시키고 다시 중내관14에서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중내관분출공16으로 분출시킨다. 이때 가압혼합부의 출구부의 노즐에 의해 상기 기액혼합류를 가속시켜 다시 정압을 낮춰 액체중에서 용해한 기체를 미세기포로서 석출시킴과 동시에 분출공(=노즐)을 통과시킬 적에 흐르는 난류에 의해 용해시키도록 한 기포를 분단세분화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5, the flow is delayed in the downstream pressurized mixing section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inlet pipe 15 at the time of inflow into the flow path tube 12, and the static pressure increases. Repeatedly ejected into the inner tube ejection hole 16. At this time, the gas-liquid mixture flow is accelerated by the nozzle of the outlet of the pressure mixing section, and the static pressure is lowered again so that the gas dissolved in the liquid is precipitated as microbubbles, and dissolved by turbulent flow when passing through the jet hole (= nozzle). The bubbles are divided and subdivided to generate fine bubbles.

즉. 본 고안의 미세기포발생장치5는 원수흡입 유로관 하류측으로 동일축상에 구경이 각각 다른 3중의 원통상용기 구조체로 일체화되어 있고 최외관13은 그 단부가 하류측 유로관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그 안은 최외관13보다 구경이 적은 2개의 중,소내관14,15이 설치되고, 그 단부에 흡입원수가 충돌해 역류해서 중간 분출공16, 17에서 각기 분출이 가능하도록 함께 밀폐되고 또 최외관13 길이보다 짧도록 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with a triple cylindrical container structure having different diameters on the same axis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aw water suction flow channel, and the outermost tube 13 i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flow channel at its end. In addition, two medium and small internal pipes 14 and 15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utermost pipe 13 are installed, and the suction source water collides at the end thereof and flows backward to seal each other in the middle jet holes 16 and 17 so that they can be ejected together. Appearance 13 Shorter than the length.

또한 소내관15의 분출공17은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외관13의 하류측 단부에서 08 ~ 1.0L2 만큼 떨어져 있으며, 최외관13의 상류측 단부로부터는 1.6d1만큼 떨어져 있는 곳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구경3-4mm 정도이다.Also, as shown in Fig. 2, the blowhole 17 of the inner tube 15 is separated from the downstream end of the outermost tube 13 by 08 to 1.0 L2, and between 1.6 d1 from the upstream end of the outermost tube 13. Formed. It is also about 3-4mm in diameter.

또한 분출공의 개수는 관내압력에 따라 임의로 조정되지만, 소내관 분출공17이 형성된 부분의 면적은 통상 소내관15의 면적비 1/4-1/5의 범위내에서 설치함이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number of blow holes is arbitrar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sure inside a pipe, the area of the part in which the inside pipe blow hole 17 was formed may be normally provided in the range of 1 / 4-1 / 5 of the area ratio of the inside pipe 15.

중내관14의 분출공16은 소내관d1의 직경을 기준으로 0.75d1의 크기로 8-10공을 한쪽 면에서 형성함이 좋다. 이 경우에 미세기포장치 내에서의 압력은 4-5kg/㎠정도로 조정된다.The ejection hole 16 of the inner tube 14 may have a size of 0.75 d1 on one side based on the diameter of the small tube d1. In this case, the pressure in the microbubble device is adjusted to about 4-5 kg / cm 2.

또한 미세기포발생장치5인 원통상용기의 최외관13의 길이L는 유로관12의 10d 정도 내로 함이 좋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유체가 관로내에서 흐를 때에 적정유속을 기준으로 하여 유체의 이송간격과 속도를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2상류인 기액 혼상류의 난류용해를 가정한 것이다.In addition, the length L of the outermost tube 13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5, which is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5, may be within about 10d of the channel 12. This typically assumes turbulent dissolution of a gas-liquid mixed phase, which is generally two-phase,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fer interval and velocity of the fluid based on the proper flow rate when the fluid flows in the conduit.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압탱크3에는 적정압을 유지하기 위해 배기공이 부설되어 있어 가압탱크3 내의 압력조절에 의해 잉여공기를 외부로 내보낼 수 있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sure tank 3 is provided with an exhaust hole in order to maintain the proper pressure, it takes a configuration that can send the excess air to the outside by adjusting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tank 3.

본 고안에서 미세기포장치5내에 투여해 사용하는 응집약제류는 통상 황산알루미늄 (aluminium sulfate=Al(SO4)3)이나 폴리염화알루미늄 (PAC=polyaluminium chloride) 및 pH조정을 위해 중화제로 사용되는 수산화칼슘(식용소석회=Ca(OH)2) 등을 사용할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gulant drugs used in the microbubble device 5 are usually used as aluminum sulfate (Al (SO 4 ) 3 ) or polyaluminum chloride (PAC = polyaluminium chloride) and calcium hydroxide used as a neutralizing agent for pH adjustment. (Edible lime = Ca (OH) 2 ) or the like can be used.

본 고안은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유수분리나 작업의 규모에 관계없이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and can be used by application regardless of the scale of oil separation or work.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3중관으로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2중관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최외관과 중내관 혹은 최외관과 소내관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is a triple tu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double tube structure. In other words, it may be composed of the outermost tube and the inner tube or the outer tube and the inner tube.

본 고안의 장치를 이용하므로써 폐쇄수역내에서 대량의 오탁수를 연속적으로 미세기포를 배출하기 때문에 수질정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직경이 30-50㎛이하인 초미세기포를 방출하기 때문에 부착 및 부상효율이 좋고 폭기효과로 충분한 용존산소가 수중에 공급되어 수질이 활성화된다.By us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water purification time by discharging microbubbles continuously in a large amount of sewage water in the closed water, and to attach and float due to the release of ultra-fine bubbles having a diameter of 30-50㎛ or less. The water quality is activated by supplying sufficient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with good efficiency and aeration effect.

도5는 본 고안의 미세기포발생장치5를 시험용으로 시제품제작하여 기포의 크기를 SEM사진으로 촬영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기포의 직경은 30-50㎛사이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Figure 5 shows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5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duce a prototype for the test to take the size of the bubble by SEM photograph. As shown in Figure 5, the diameter of the bubble is shown to be between 30-50㎛.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종래의 장치보다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generate fine bubbles than the conventional device.

Claims (5)

유입되는 액체에 기포(氣泡)를 발생시켜 액체(液體)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異物質)의 표면에 기포를 부착시켜 기포의 부상력에 의하여 이물질을 부상(浮上)하게 하여 이물질을 액체에서 제거하게 하는 기포발생장치에 있어서,Bubbles are generated in the inflowing liquid, and bubbles a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liquid, and the foreign matter is lifted by the floating force of the bubble, and the foreign matter is removed from the liquid. In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동일한 축상에 복수의 관이 일체로 형성되는 다중관(多重管)의 구조를 가지고,Has a structure of a multi-pipe in which a plurality of pipe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same axis, 다중관에서 최외관(最外管)의 상류측 단부는 폐쇄되어 있고, 그 하류측 단부는 배출구에 연결되어 있으며,In the multi-pipe the upstream end of the outermost pipe is closed and its downstream e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최외관 내부의 관은 액체를 받아드리도록 유입구가 있고 또한 상류측의 단부는 페쇄되어 있고,The tube inside the outermost tube has an inlet for receiving liquid, and the upstream end is closed. 상기 최외관 이외의 관에는 액체가 통과하면서 기포가 발생되는 분출공이 형성되어 있어,In the pipes other than the outermost tube, a blowing hole is formed in which bubbles are generated while the liquid passes, 유입되는 액체가 내부 관의 하류측 단부에 부딪쳐 분출공을 통과하면서 기포를 발생시키고 최외관의 하류측 단부를 통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The incoming liquid impinges on the downstream end of the inner tube and passes through the ejection hole to generate air bubbles and is discharged to the outlet through the downstream end of the outermost tube.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장치.Bubbl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최외관 내부에는 관이 2개 있는 3중관 구조로서,The triple tube structure with two tubes inside the outermost tube, 어느 일방에 형성되어 있는 분출공은 타방에 형성되어 있는 분출공과 그 직경이 각각 다른 것을The ejection hole formed in one of the ejection holes formed in the other and the diameter of the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장치.Bubbl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어느 일방에 형성되어 있는 분출공은 그 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어 있고,The ejection hole formed in either one is form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타방에 형성되어 있는 분출공과 길이방향의 일정한 부분에서 원주의 전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That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ircumference at the ejection hole formed at the other side and at a certain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장치.Bubbl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유입되는 액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기를 유입구 전에 더 구비하는 것을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injector for injecting air into the incoming liquid before the inlet.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장치.Bubbl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공기주입기는 액체가 이송되는 관을 그 전후보다 직경을 작게 한 작은 곳에 설치되는 것을The air injector is to be installed in a small place where the diameter of the pipe to which the liquid is transported smaller than before and after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장치.Bubbl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KR2020010025253U 2001-08-21 2001-08-21 Air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20025592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253U KR200255929Y1 (en) 2001-08-21 2001-08-21 Air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253U KR200255929Y1 (en) 2001-08-21 2001-08-21 Air bubble generating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151A Division KR20020094738A (en) 2001-06-13 2001-06-13 Air bubble gener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929Y1 true KR200255929Y1 (en) 2001-12-13

Family

ID=7306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253U KR200255929Y1 (en) 2001-08-21 2001-08-21 Air bubble gener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929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108B1 (en) * 2016-09-21 2017-03-21 주식회사 뉴먼테크 Ultrafine bubble generator
KR101974050B1 (en) 2018-11-19 2019-04-30 (주)유림산업기계 Micro-bubble generator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108B1 (en) * 2016-09-21 2017-03-21 주식회사 뉴먼테크 Ultrafine bubble generator
KR101974050B1 (en) 2018-11-19 2019-04-30 (주)유림산업기계 Micro-bubble generator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970B1 (en) Apparatus of generating microbubble
CN201058829Y (en) Highly effective sewage treatment gas-mixing apparatus
AU775215B2 (en) Dissolution of gas
KR100882200B1 (en) Hydrocyclone and water pollution prevention apparatus with the same
EP0389230B1 (en) Dissolution of gas
KR200255929Y1 (en) Air bubble generating apparatus
JPH1066962A (en) Sewage treating device
JP2002045667A (en) Device for generating circulating flow
JPS6054120B2 (en) water treatment equipment
JPWO2002036252A1 (en) Two-fluid mixing device
KR200396223Y1 (en) Dissolved airfloatation system
JP2006223992A (en) Pressure floatation device
KR20020094738A (en) Air bubble generating apparatus
CN111847563B (en) Air floatation treatment method for sewage
JP2006281058A (en) Pressure floatation apparatus
CN113023879A (en) Sludge selector and sludge purification and separation system
US5792363A (en) Method for removing solids from a contaminated liquid
KR200199585Y1 (en) A microbuble generator
KR100377020B1 (en) a microbuble generator
JP2007275829A (en)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CN213060274U (en) Air floatation machine
CN215626894U (en) Spiral-flow type air dissolving device for air floatation
RU199941U1 (en) Ejector aerator
US20220041469A1 (en) Algae separation system
RU2118293C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flotation treatment of liq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