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871Y1 - 양파 외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양파 외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871Y1
KR200255871Y1 KR2020010027977U KR20010027977U KR200255871Y1 KR 200255871 Y1 KR200255871 Y1 KR 200255871Y1 KR 2020010027977 U KR2020010027977 U KR 2020010027977U KR 20010027977 U KR20010027977 U KR 20010027977U KR 200255871 Y1 KR200255871 Y1 KR 200255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onion
hollow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병환
Original Assignee
홍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병환 filed Critical 홍병환
Priority to KR2020010027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8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871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파 외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중공(11)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중공(11)내에서 축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일측에 형성된 회전노즐(23)이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며 에어가 이 회전노즐(23)의 분사공(22)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에어유로(24)를 갖는 회전체(20) 및 상기 하우징(1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회전체(20)의 에어유로(24)로 안내하기 위한 보조유로(31)가 형성된 어댑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회전노즐(23)이 회전되면서 분사공(22)으로는 에어가 고속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파 외피 제거작업이 수월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등 결과적으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양파 외피 제거장치{Onion skin peeling apparatus}
본 고안은 양파 외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파 외피에 에어를 강하게 분사시켜 양파 외피가 벗겨지도록 하는 양파 외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양파의 외피 제거 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수작업은 양파의 외피 제거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작업인원이 많이 필요하게 되는 등 전체적으로 비용상승과 작업능률의 하락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양파 외피에 에어를 강하게 분사시켜 이 양파의 외피가 벗겨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양파 외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파 외피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파 외피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파 외피 제거장치의 회전노즐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중공
12 : 단턱 13 : 나사산
20 : 회전체 21 : 직관부
22 : 분사공 23 : 회전노즐
24 : 에어유로 30 : 어댑터
31 : 보조유로 32 : 나사산
33 : 연결구 40 : 베어링
50 : 스냅링 60 : 스냅링
70 : 오-링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양파 외피 제거장치는 중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중공내에서 축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일측에 형성된 회전노즐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며 에어가 이 회전노즐의 분사공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에어유로를 갖는 회전체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회전체의 에어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보조유로가 형성된 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파 외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노즐은 에어유로를 통해 분사공으로 분사되는 에어압에 의해 축회전될 수 있도록 소정방향으로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파 외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가 하우징의 중공 내에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이 회전체와 하우징 사이에 베어링을 설치시킴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양파 외피 제거장치는 중공(11)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중공(11)내에 배치된 회전체(20) 및 상기 하우징(10)의 상단부에 결합된 어댑터(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회전체(20)가 배치될 수 있게 중공(11)이 형성된 원관 형상으로, 이 중공(11) 양측부에는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을 위한 베어링(40)을 설치하기 위해 단턱(1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 내주면에는 어댑터(30)가 체결되도록 하는 나사산(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중공(11) 내주면에 설치된 베어링(40)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냅링(50)에 의해 각각 고정 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20)는 일측이 하우징(10)의 중공(11)내에 배치될 수 있게 관형상으로 형성된 직관부(21)와, 그 타측이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고 분사공(22)분사되는 에어압에 의해 축회전되는 회전노즐(23)로 이루어져 있는 형상으로, 상기일측의 직관부(21)는 다시 하우징(10)의 중공(11)내에 설치된 베어링(40)과 맞닿는 부위가 대직경을 가지고 그 이외의 부분이 소직경을 가지며 그 내부에 에어가 안내되도록 하는 에어유로(24)를 갖는 2단 원관 형상을 하고, 상기 타측의 회전노즐(23)은 회전체(20)의 직관부 하단에서 기역자 형상으로 하향 절곡되고 그 단부에 에어분사를 위한 분사공(22)이 형성된 절곡관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20)의 직관부(21) 상단 외주면은 이 회전체(2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냅링(6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0)의 회전노즐(23)은 에어유로(24)를 통해 분사공(22)으로 분사되는 에어압에 의해 축회전 될 수 있도록 그 하단부가 상기 회전노즐(23)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완만하게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30)는 외부의 에어공급을 위한 에어호스(미도시)로부터의 에어를 회전체(20)의 에어유로(24)로 공급하기 위해 보조유로(31)가 연결된 원관형상으로, 일측 외주면에는 하우징(10)의 나사산(13)과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나사산(32)이 형성되어 있고, 그 타측에는 내주면에 외부의 에어호스와 연결되는 연결구(3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30)와 하우징(10)의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오-링(70)이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양파 외피 제거장치는 하우징(10)의 중공(11) 내주면에 각각 베어링(40)을 설치하고 이 베어링(4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냅링(50)으로 지지시킨 후 이 하우징(10)의 중공(11)으로 회전체(20)의 직관부(21)를 삽입시켜 이 직관부(21)의 대직경부가 각각의 베어링과 맞닿도록 하고 나서 이 직관부(21)의 상단부에 다시 스냅링(60)을 이용하여 이 직관부(21)가 하우징(1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단부로 어댑터(30)를 나사 결합시키는 동시에 이 어댑터(30)의 연결구(33)에 에어호스를 연결시켜 장치의 조립을 완성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에어호스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면 이 공급에어는 어댑터(30)의 보조유로(31)를 통해 회전체(20)의 에어유로(24)를 타고 회전노즐(23)의 분사공(22)으로 분사된다. 이때, 이 회전노즐(23)을 통해 경유되는 에어압에 의해 하단부가 완만하게 절곡된 회전노즐(23)은 소정방향으로 고속 회전되며 이 고속 회전되는 회전노즐(23)의 분사공(22)으로부터 에어가 하방으로 강력하게 분사되면서 그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양파의 외피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노즐(23)의 회전에 의해 양파의 외피 제거가 보다 수월해지는 것을 물론, 작업반경 또한 커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보다 많은 양의 양파 외피 제거작업을 단시간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파 외피 제거장치는 회전노즐이 회전되면서 분사공으로는 에어가 고속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파 외피 제거작업이 수월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등 결과적으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중공(11)이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중공(11)내에서 축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일측에 형성된 회전노즐(23)이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며 에어가 이 회전노즐(23)의 분사공(22)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에어유로(24)를 갖는 회전체(20); 및
    상기 하우징(1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회전체(20)의 에어유로(24)로 안내하기 위한 보조유로(31)가 형성된 어댑터(3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외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의 회전노즐(23)은 에어유로(24)를 통해 분사공(22)으로 분사되는 에어압에 의해 축회전될 수 있도록 소정방향으로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양파 외피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가 하우징(10)의 중공(11) 내에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이 회전체(20)와 하우징(10) 사이에 베어링(4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양파 외피 제거장치.
KR2020010027977U 2001-09-12 2001-09-12 양파 외피 제거장치 KR200255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977U KR200255871Y1 (ko) 2001-09-12 2001-09-12 양파 외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977U KR200255871Y1 (ko) 2001-09-12 2001-09-12 양파 외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871Y1 true KR200255871Y1 (ko) 2001-12-13

Family

ID=7310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977U KR200255871Y1 (ko) 2001-09-12 2001-09-12 양파 외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8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273A (ko) * 2014-12-05 2016-06-15 대풍년영농조합법인 작물 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273A (ko) * 2014-12-05 2016-06-15 대풍년영농조합법인 작물 세척기
KR101692239B1 (ko) 2014-12-05 2017-01-17 대풍년영농조합법인 작물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5312A (en) Endoscope
BR0003640A (pt) Filtro de cesto em linha e montagem de válvula anti-sifão para bico borrifador ou similar
KR960021162A (ko) 회전식 분무기
KR930011124A (ko) 웨이퍼단면 에칭방법 및 에칭장치
RU230105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массажного потока в санитарной ванне
AU6246001A (en) Leaf stripper, more particularly designed for selective vine leaf stripping
KR200255871Y1 (ko) 양파 외피 제거장치
MY126970A (en) Method and device for washing drain pipe.
FI951026A0 (fi) Suihkusuutin kaksoisruiskutussumukartion aikaansaamiseksi
DK0915739T3 (da) Rotordyse til et højtryksrenseapparat
JP2008075738A (ja) 軸受装置
KR20170103595A (ko) 가스 회전기능 및 세정액 안내기능을 갖는 가스처리장치
CN206215631U (zh) 自进式管道清洗装置
CN2401275Y (zh) 旋转喷头
CN212820545U (zh) 用于洗消设备的喷淋装置
CN210673758U (zh) 一种新型洗鼻器
JP3710599B2 (ja) 管内洗浄機
CN218963485U (zh) 一种笔式吹尘枪
KR200157840Y1 (ko) 사이트 글래스의 세척장치
KR100843881B1 (ko) 제철소 공정제어설비의 접속용 콘넥타 분진제거기
CN215609352U (zh) 一种舞台烟雾效果形成控制装置
JPS578006A (en) Cleaning device for workpiece gripper
CN110419999B (zh) 一种喷水座自转及公转的喷臂
CN216937250U (zh) 一种高效液相色谱柱清洗装置
CN216675673U (zh) 一种用于硼硅玻璃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