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843Y1 - 커버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843Y1
KR200255843Y1 KR2020010025048U KR20010025048U KR200255843Y1 KR 200255843 Y1 KR200255843 Y1 KR 200255843Y1 KR 2020010025048 U KR2020010025048 U KR 2020010025048U KR 20010025048 U KR20010025048 U KR 20010025048U KR 200255843 Y1 KR200255843 Y1 KR 200255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otating
circular fixing
rotation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민규
Original Assignee
(주)밀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밀레텍 filed Critical (주)밀레텍
Priority to KR2020010025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8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843Y1/ko

Links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나 WEB-PAD, E-BOOK 등의 액정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뒤로 360도 젖혀서 사용시 부피를 최소한 줄여서 손에 들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커버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2)의 일측부의 양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측에는 회전방지편(8a),(8b) 및 결합홀(22)이 형성된 원형 고정부(20)와; 상기 원형 고정부(20)의 결합홀(22)에 나사(12)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홀(11)이 형성되며, 내측부에는 원형 고정부(20)의 회전방지편(8a),(8b)에 걸려 멈춤되는 멈춤편(21)이 형성되고, 외주면측에는 외경측으로 둘출되게 끼움부(6)가 형성된 반회전부(10)와; 상기 반회전부(10)의 끼움부(6)에 360도 회전되게 연결회전봉(14)이 끼워지며, 연결회전봉(14)의 타단부가 끼워지도록 커버(4)에 회전홀(16);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커버 회전장치{COVER RO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커버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나 WEB-PAD, E-BOOK 등의 액정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뒤로 360도 젖혀서 사용시 부피를 최소한 줄여서 손에 들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커버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나 WEB-PAD, E-BOOK 등의 커버는, 커버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나, 커버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책과 같이 펼쳐서 사용하도록 형성되고 있다.
상기 커버가 본체에서 분리된 것을 사용할 시에는 본체에서 이탈되어 분실할 우려가 있다.
또한, 커버가 본체에 형성되어 후자의 경우에는 분실의 우려는 없으나 커버가 본체의 사용시 펼쳐지거나, 본체의 뒤쪽으로 약간 꺾이게 형성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커버는 사용시에 사용면적이 넓어져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한손에 잡고 편한 자세로 E-BOOK 등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E-BOOK 등을 액정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360도회전시켜 접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의 뒤면에까지 접을 수 있어 커버를 접은 상태로 한손으로 잡은 편한게 사용할 수 있는 커버 회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커버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2 는 본 고안의 커버 회전장치의 커버가 뒤로 젖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4: 커버
6: 끼움부 8a,8b: 회전방지편
10: 반회전부 11: 홀
12: 나사 14: 연결회전봉
16: 회전홀 20: 원형 고정부
21: 멈춤편 22: 결합홀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커버 회전장치는, 본체의 일측부의 양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측에는 회전방지편 및 결합홀이 형성된 원형 고정부와; 상기 원형 고정부의 결합홀에 나사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홀이형성되며, 내측부에는 원형 고정부의 회전방지편에 걸려 멈춤되는 멈춤편이 형성되고, 외주면측에는 외경측으로 둘출되게 끼움부가 형성된 반회전부와; 상기 반회전부의 끼움홀에 360도 회전되게 연결회전봉이 끼워지며, 연결회전봉의 타단부가 끼워지도록 커버에 회전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커버 회전장치를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본 고안은 액정표시판이 형성된 본체(2)와 커버(4)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360도 회전시켜 접을 수 있도록 본체(2)의 일측부의 양단측에 원형 고정부(20)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2)에 원형 고정부(20)를 일측부로 돌출되게 상하로 양단에 한쌍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의 원형 고정부(20)의 내경측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회전 방지편(8a), (8b)이 형성되고, 원형 고정부(20)의 중심부에는 결합홀(22)이 형성된다.
상기의 결합홀(22)에는 원형 고정부(20)와 맞닿음되게 덮여져 회전되게 고정되는 반회전부(10)를 나사(12)를 관통시켜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나사(12)에 의해 반회전부(10)를 원형 고정부(20)에 고정시킬 시에는 나사(12)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와셔(13)를 끼운후에 체결시킨다.
상기 반회전부(10)에는 나사(12) 및 와셔(13)에 의해 체결되어 있어 원형 고정부(20)와 맞닿음되게 끼워진 후 자유롭게 전후로 회전된다.
상기 원형 고정부(20)의 내경측에 형성된 회전방지편(8a),(8b)에 걸려 반회전부(10)의 회전반경을 제어하기 위한 반회전부(10)의 내경측에 멈춤편(21)이 형성된다.
상기 반회전부(10)의 외주면측에는 덮개(4)가 완전하게 본체(2)의 뒷판측으로 젖혀져서 맞닿음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끼움부(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의 반회전부(10)의 끼움부(6)와, 커버(4)에 형성된 회전홀(16)의 사이에는 회전이 원활하도록 연결회전봉(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4)의 회전홀(16)에 연결된 연결회전봉(14)과, 본체(2)에 형성된 원형 고정부(20)에 결합된 반회전부(10)는 서로 각각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커버 회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커버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커버 회전장치의 커버가 뒤로 젖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와 커버(4)를 일체로 형성시켜 커버(4)를 뒤로 완전하게 젖혀서 접을 수 있게, 본체(2)에는 원형 고정부(20)와 결합된 회전부(10)가, 커버(4)에는 회전홀(16)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2)의 일측부에 코일스프링으로 결합된 노트와 같이 커버를 완전히 젖혀서 사용할 수 있도록 원형 고정부(20)를 일측부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원형 고정부(20)는, 원형 고정부(20)와 맞닿음 되게 고정되어 회전되도록 반회전부(10)가 결합된다.
상기 도 1 과 같이 원형 고정부(20) 및 반회전부(10)는 중앙부에 와셔(13)를끼운 나사(12)를 이용해 체결시키고 있다.
따라서, 상기 나사(12)에 의해 반회전부(10)는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된다.
또한, 반회전부(10)에 결합되는 커버(4)는 본체(2)의 두께에 의해 완전하게 젖혀지지 않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반회전부(10)의 외주면측에 돌출되게 끼움부(6)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의 반회전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부(6)는 본체(2)의 두께만큼 반회전부(1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반회전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부(6)에 연결회전봉 (14)를 끼운 후, 커버(4)에 형성된 회전홀(16)에 끼워서 커버(4)의 양쪽을 고정시키면 커버(4)는 본체(2)와 분리되지 않고 열고 닫을 수 있게 작동된다.
상기 본체(2)의 원형 고정부(20)에 회전자재하게 결합된 반회전부(10)는, 커버(4)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혀질시에는 연결회전봉(14)이 결합된 끼움부(6)가 상부측에 하부측으로 180도만큼 회전된 후, 더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회전반경이 제한된다.
상기와 같이 반회전부(10)의 회전을 제한시키는 것은 커버(4)의 회전홀(16)이 반회전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부(6)에 동일한 선상의 대향되는 위치에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반회전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부(6)가 완전하게 회전되면 본체(2)의 두께만큼 커버(4)는 본체(2) 보다 밖으로 돌출되면서 접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커버(4)가 접힐시에 본체(2)의 면적 길이보다 넓게 돌출되어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형고정부(20)의 내경측에 회전방지편(8a), (8b)과, 상기 반회전부(10)의 내경측에 멈춤편(21)을 형성시키고 있다.
상기 원형 고정부(20)의 형성된 회전 방지편(8a),(8b)은 액정이 형성된 상부측으로 커버(2)가 덮힐 때에는 원형 고정부(20)의 상부측 회전방지편(8a)에 반회전부(10)의 내경측에 형성된 멈춤편(21)이 걸려 더 이상은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본체(2)의 뒷면으로 커버(4)가 젖혀져 접힐때에는 반회전부(10)의 내경측 멈춤편(21)이 원형 고정부(20)의 내경측의 하부측에 형성된 회전 방지편(8b)에 걸려 더 이상은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회전 고정부(20)에 결합된 반회전부(10)의 회전이 180도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 이상을 더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커버(4)의 회전홀(16)에 끼워진 연결회전봉(14)이 자유롭게 회전시키므로 커버(4)를 완전하게 뒷쪽으로 젖힐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회전부(10)에 의해 커버(4)의 회전반경을 제어하기 때문에 커버(4)가 본체(2)와 맞닿음되어 덮여질때에 그 끝부분이 더이상 본체(2)의 길이보다 더 튀어나가지 않게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커버(4)의 회전홀(16)에 끼워진 연결회전봉(14) 및 반회전부(10)에 연이어지는 회전에 의해 커버(4)는 완전하게 360도 회전된다.
상기 본체(2)에 액정판을 덮고 있는 커버(4)를 사용자가 정보를 찾기위해 젖힐 경우에, 커버(4)는 연결회전봉(1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동시에 반회전부(10)가 같이 회전되어 움직인다.
따라서, 커버(4)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뒷면에까지 젖혀지면, 반회전부(10)의 멈춤편(21)이 원형 고정부(20)의 회전방지편(8b)에 걸려 정지된다.
상기 반회전부(10)의 회전이 정지되면 그다음에 연이어지는 회전은 연결회전봉(14)에 끼워진 회전홀(16)의 커버(4)가 본체(2)의 뒷면에까지 회전되어 맞닿게 덮는다.
또한, 반대로 본체(2)의 액정판이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커버(4)를 덮어서 닫을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커버(4)를 젖히도록 동작시키면 본체(2)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커버 회전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E-BOOK 등을 사용시 액정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360도회전시켜 본체 뒤면에 부착시켜 한손으로 붙잡은 편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인터넷 정보가 나타나는 액정판을 갖는 본체와, 상기 액정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여지는 커버로 이루어진 커버 회전장치에 있어서,
    본체(2)의 일측부의 양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측에는 회전방지편 (8a),(8b) 및 결합홀(22)이 형성된 원형 고정부(20)와;
    상기 원형 고정부(20)의 결합홀(22)에 나사(12)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홀(11)이 형성되며, 내측부에는 원형 고정부(20)의 회전방지편(8a),(8b)에 걸려 멈춤되는 멈춤편(21)이 형성되고, 외주면측에는 외경측으로 둘출되게 끼움부(6)가 형성된 반회전부(10)와;
    상기 반회전부(10)의 끼움부(6)에 360도 회전되게 연결회전봉(14)이 끼워지며, 연결회전봉(14)의 타단부가 끼워지도록 커버(4)에 회전홀(1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회전장치.
KR2020010025048U 2001-08-18 2001-08-18 커버 회전장치 KR200255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048U KR200255843Y1 (ko) 2001-08-18 2001-08-18 커버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048U KR200255843Y1 (ko) 2001-08-18 2001-08-18 커버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843Y1 true KR200255843Y1 (ko) 2001-12-13

Family

ID=7308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048U KR200255843Y1 (ko) 2001-08-18 2001-08-18 커버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8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9400B2 (en) Hinge construction with a snap-open, snap-shut feel, for a folding mobile phone handset
JP5170950B2 (ja) ヒンジ装置
US7513014B2 (en) Hinge assembly
EP1467538A3 (en) Rotary type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WO2006080309A1 (ja) 折畳み式電子機器
KR200255843Y1 (ko) 커버 회전장치
JP2526490B2 (ja) 折り畳み式機器のヒンジ構造
CN208089069U (zh) 一种充电盒以及翻转机构
KR100376318B1 (ko) 휴대형 이동단말기의 자동개폐 장치
KR100455545B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100526336B1 (ko) 휴대폰 폴더
JPH0710416Y2 (ja) 電子機器のケーブルカバ構造
KR200367708Y1 (ko) 거치가 가능한 폴더형 휴대거울
KR200335534Y1 (ko) 절첩식 책상
JP3709312B2 (ja) ヒンジ部隠蔽キャップ、ヒンジ構造及びヒンジ部隠蔽キャップを備えた折り畳み型携帯通信機
KR200185541Y1 (ko) 휴대용 정보기기의 엘씨디 패널 연결구조
JP2006161971A (ja) ヒンジ装置
ATE337457T1 (de) Scharnier mit zwei relativ zueinander um eine gemeinsame drehachse verdrehbaren scharnierteilen
KR200228976Y1 (ko) 회전형 힌지구조
KR200210254Y1 (ko) 휴대용 부채
KR200223413Y1 (ko) 다기능 정첩
KR200344033Y1 (ko) 2중구조 톱니를 갖는 휴대용 장치
KR940027375A (ko) 무선전화기의 플립절첩장치
KR100581186B1 (ko) 핸드폰 양방향 스윙장치
KR200342537Y1 (ko)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