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689Y1 - 의료기기용 에어드라이어 및 정수기 통합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기기용 에어드라이어 및 정수기 통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689Y1
KR200255689Y1 KR2020010026123U KR20010026123U KR200255689Y1 KR 200255689 Y1 KR200255689 Y1 KR 200255689Y1 KR 2020010026123 U KR2020010026123 U KR 2020010026123U KR 20010026123 U KR20010026123 U KR 20010026123U KR 200255689 Y1 KR200255689 Y1 KR 200255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medical device
purified water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1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경신
Original Assignee
황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경신 filed Critical 황경신
Priority to KR20200100261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6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689Y1/ko

Links

Landscapes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료기기용 에어드라이어와 정수기를 한 장치에 통합 구성하여 장치 구입비를 절약하고 사용시 편리함을 추구하며, 상기 에어드라이어의 압축공기를 정화시킴과 아울러 적정온도까지 가열된 압축공기를 분사하게 하고, 정수기의 물을 의료기기측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외기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압축기(10)와 연결되도록 구비된 제 1솔레노이드밸브(14)와, 상기 제 1솔레노이드밸브(14)와 연결되어 압축공기의 수분을 제습하는 제습기(22,24)와, 상기 압축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기(28)와, 상기 제습된 공기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의료기기에 공급하는 가열기(30)와, 상기 제습.가열된 공기를 의료기기측으로 토출하는 토출관(36)으로 이루어진 에어드라이어부(300)와, 외부의 물공급원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51,52,53,54)와, 상기 필터(51,52,53,54)의 일측에 형성된 정수관(58)과, 상기 정수관(58)을 통해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저장탱크(60)와, 상기 저장탱크(60)로부터 외부의 의료기기측으로 정수된 물을 안내하는 정수공급관(64)과, 상기 유입관(50)과 연통되는 바이패스관(66)과, 상기 바이패스관(66)의 일측에 마련되어 단수시 상기 바이패스관(66)을 개방시켜 의료기기측에 정수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밸브(68)로 이루어진 정수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수분이 제거되고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압축공기와 정수된 물을 지속적으로 의료기기 및 환자대기실에 공급할 수 있어 매우 위생적이고 안전하여 병원에서 사용시 효율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에어드라이어와 정수기라는 종래 별개의 장치들을 한 장치 내에 통합 구성함으로써 사용시 간편하고, 구입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의료기기용 에어드라이어 및 정수기 통합 장치 {Total device of air dryer & water purifier for medical machinery}
본 고안은 의료기기용 에어드라이어 및 정수기 통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된 압축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의료기기용 에어드라이어와 음용수 또는 환자의 치료용으로 쓰이는 물을 공급하는 정수기를 한 장치내에 통합 구성한 의료기기용 에어드라이어 및 정수기 통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사용되는 의료기기 중에는 환자의 구강이나 환부의 소독을 위한 치료를 위해 청결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드라이어가 구비된다.
이러한 에어드라이어는 압축기와 연결되어 있어 압축기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압축공기를 의료기기에 공급해줌으로써 치료하고자 하는 부위에 분사하도록 해 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에어드라이어는 압축기에서 압축공기의 발생시 수분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수분에 의해서 세균과 같은 미생물이 생기게 되고, 그로 인해 환자가 세균에 감염될 우려가 있었으며, 또한 금속 가루, 먼지등과 같은 분진이 수분에 흡착된 상태로 사용하고자 하는 부위로 분사되어 위생상 불결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토출되는 압축공기는 온도가 낮아 특히, 환자의 구강 치료시 치아의 시림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병원에서는 의료기기와 연동되어 치료수로 쓰이거나 환자 대기실에서 음용수로 쓰일 수 있도록 정수기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곳에 쓰이는 물은 통상적으로 쓰이는 정수기의 물을 사용하는 바, 이러한 정수기는 물공급원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다수개의 필터를 통해 물에 함유된 입자가 큰 불순물이나,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 중금속 및 각종 세균, 불쾌한 냄새나 맛을 제거하는 등의 여과과정을 거쳐 저장탱크로 유입된 후 정수공급관을 통해 일부는 음용수로 공급되고 일부는 의료기기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정수기는 수도관 등의 물공급원으로부터 유입되어 각각의 필터를 지나면서 정수된 물을 저장탱크로 유입시키고, 이와같이유입되어 정수된 물의 일부는 펌프와 릴레이압력스위치에 의해서 토출관을 통해 의료기기측으로 공급되게 되는데, 상기한 펌프나 이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내지는 릴레이압력스위치의 오작동시에는 정수된 물을 정수공급관을 통해 외부로 공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정수된 물이 의료기기측으로 공급되지 못해 치료가 지연되거나, 중단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에어드라이어와 정수기가 종래에는 별개의 장치로써 각각 설치.사용되어지고 있는 바, 병원에서 상기 두 개의 장치를 각각 구입함으로써 구입비가 증가되고, 상기 두 개의 장치가 별개의 용도가 아닌 한 장소에서 사용되어지는 경우가 빈번함으로 장치 사용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의 에어드라이어와 정수기를 한 장치에 통합 구성함으로써 장치 구입비의 감소와 사용시 편리함을 추구하며, 상기 에어드라이어의 압축공기를 정화시킴과 아울러 적정온도까지 가열된 압축공기를 분사하게 하고, 정수기의 물을 의료기기측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도록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통합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 개방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 개방도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 개방도
도 5는 본 고안의 후면 개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축기 12 : 흡입관
14 : 제 1솔레노이드밸브 16a,16b : 배출관
18,20 : 제 1, 2 공급관 22,24 : 제 1, 2 제습기
26 : 흡착제 22a,24a : 캡
28 : 여과기 30 : 가열기
32 : 열선 36 : 토출관
40 : 재생장치 42 : 저장관
44,45 : 연결관 46 : 제 2솔레노이드밸브
48 : 오리피스 50 : 유입관
51,52,53,54 : 필터 56,57 : 제 1, 2펌프
56a : 펌프유입관 57a : 펌프토출관
58 : 정수관 60 : 저장탱크
62a, 62b : 릴레이압력스위치 64 : 정수공급관
66 : 바이패스관 68 : 바이패스밸브
70,72,74 : 압력게이지 76a,76b : 펌프제어스위치
78 : 어댑터 80,81 : 고정지그
82 : 표시장치 100 : 통합장치
200 : 정수부 300 : 에어드라이어부
400 : 제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기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흡입관을 통해 연결된 제 1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 1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되어 압축공기 중의 수분을 제습하는 제습기와, 상기 제습기가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된 연결관의 일측에 압축공기가 소정의 압력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된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와 이격된 일측에 제어부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제 1솔레노이드밸브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제 2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습기를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를 의료기기측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의 일측에 압축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여과기와, 상기 여과기를 지난 압축공기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해주는 가열기로 이루어진 에어드라이어부와,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을 단계적으로 여과하는 다수의 필터와, 상기 필터로부터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최종의 필터와 저장탱크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저장탱크로 정수된 물을 공급하게 하는 정수관과,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외부의 의료기기측으로 정수된 물을 안내하는 정수공급관과, 상기 필터 사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물을 펌핑하여 정수공급관으로 토출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일측에 설치되어 의료기기측으로의 토출압을 조절하도록 하는 릴레이압력스위치와, 상기 릴레이압력스위치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릴레이압력스위치와 의료기기 사이의 펌프에 설치되어 의료기기측으로 공급되는 정수된 물의 유압상태를 확인하도록 된 압력게이지와,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의 일측에 마련되어 단수시 상기 바이패스관을 개방시켜 의료기기측에 정수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밸브로 이루어진 정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외기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압축기(10)와, 상기 압축기(10)에 흡입관(12)을 통해 연결된 제 1솔레노이드밸브(14)와, 상기 제 1솔레노이드밸브(14)와 연결되어 압축공기 중의 수분을 제습하는 제습기(22,24)와, 상기 제습기(22,24)가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된 연결관(44)의 일측에 압축공기가 소정의 압력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된 오리피스(48)와, 상기 오리피스(48)와 이격된 일측에 제어부(400)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제 1솔레노이드밸브(14)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제 2솔레노이드밸브(46)와, 상기 제습기(22,24)를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를 의료기기측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토출관(36)과, 상기 토출관(36)의 일측에 압축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여과기(28)와, 상기 여과기(28)를 지난 압축공기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해주는 가열기(30)로 이루어진 에어드라이어부(300)와,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을 단계적으로 여과하는 다수의 필터(51,52,53,54)와, 상기 필터(51,52,53,54)로부터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60)와, 상기 최종의 필터(54)와 저장탱크(6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저장탱크(60)로 정수된 물을 공급하게 하는 정수관(58)과, 상기 저장탱크(60)로부터 외부의 의료기기측으로 정수된 물을 안내하는 정수공급관(64)과, 상기 필터(53,54) 사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물을 펌핑하여 정수공급관으로 토출시키는 펌프(56,57)와, 상기 펌프(56.57)의 일측에 설치되어 의료기기측으로의 토출압을 조절하도록 하는릴레이압력스위치(62a,62b)와, 상기 릴레이압력스위치(62a,62b)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릴레이압력스위치(62a,62b)와 의료기기 사이의 펌프(56,57)에 설치되어 의료기기측으로 공급되는 정수된 물의 유압상태를 확인하도록 된 압력게이지(70)와, 상기 유입관(50)과 연통되는 바이패스관(66)과, 상기 바이패스관(66)의 일측에 마련되어 단수시 상기 바이패스관(66)을 개방시켜 의료기기측에 정수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밸브(68)로 이루어진 정수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첨부된 도면 제 1도 내지 제 5도에서와 같이 본 통합장치(100)의 내측 전면에는 정수부(200)가, 내측 후면에는 에어드라이어부(300)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가 구비된다.
먼저, 상기 에어드라이어부(300)는 외부의 압축기(10)로부터 압축공기를 흡입하여 각각의 에어공급관(18,20)을 매개로 제습기(22,24)로 연결시키는 제 1 솔레노이드밸브(14)가 구비된다.
상기한 제습기(22,24)내에는 수분을 흡수하는 흡착제(26)가 구비되며, 이 흡착제(26)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카겔이나 활성알루미나 또는 모레큐라시브스(Molecular Sieves)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제습기(22,24)의 상, 하단부에는 제습기(22,24)내의 흡착제(26)를 저장 및 교환시킬 수 있도록 캡(22a,24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습기(22)의 일측에는 압축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제거하는 여과기(28)가 구비되고, 이 여과기(28)에는 의료기기측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공급하도록 가열기(30)가 연결되어, 저온의 압축공기를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시켜 주고, 이 가열기(30)로부터 의료기기측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관(36)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한 가열기(30)내에는 열선(32)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 가열기(30)의 일측에는 가열기(3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고, 가열기(30)의 하단부에는 의료기기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된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통합장치(100)의 외부 전면 상단에는 상기한 에어 드라이어부(30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00)가 구비되고, 이 제어부(400)는 상기한 제 1솔레노이드밸브(14)와, 가열기(30)등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제 2솔레노이드밸브(46) 및 정수부(200)의 펌프(56,57)와 릴레이압력스위치(62a,62b)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제어부(400)에는 작동중인 제습기(22,24)와, 가열기(30)의 작동여부를 액정화면과 같은 표시장치(82)를 통해 나타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정수부(200)의 펌프(56,57)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펌프제어스위치(76a,76b)가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400)의 펌프제어스위치(76a)를 켜면 상기 릴레이압력스위치(62a)가 수압을 감지하여 상기 펌프(56)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고 이러므로써 일정한 수압의 정수된 물이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펌프제어스위치(76a)의 고장시 비상용의 또다른 펌프제어스위치(76b)를 켜면 또다른 릴레이압력스위치(62b)가 상기와 같이 수압을 감지하여 또다른 펌프(57)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습기(22,24)에는 이 제습기(22,24)를 재생할 수 있도록 된 재생장치(40)가 구비된다.
상기한 재생장치(40)는 제 2제습기(24)와 여과기(28)로부터 토출관(36)으로 연결되는 저장관(42)과 연통되도록 하는 연결관(44)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 연결관(44)의 일측에는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제 1솔레노이드밸브(14)의 작동시 이와 연동되어 소정의 시간동안 연결관(44)을 개방시키도록 된 제 2솔레노이드밸브(46)가 구비되며, 상기한 제 2솔레노이드밸브(46)의 개방시 압축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토출하도록 된 오리피스(48)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제 1솔레노이드밸브(14)의 하단 양측에는 제습기(22,24)내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관(16a,16b)이 형성되되, 이 배출관(16a,16b)은 소음기의 기능을 갖도록 구비된다.
한편,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정수하여 의료기기측으로 공급하는 정수부(200)의 구조를 첨부도면에 의거 살펴보면, 본 통합장치(100)의 일측 하단부에는 물공급원인 수도관에 연결되는 유입관(50)이 구비된다.
상기한 유입관(50)은 유입되는 물을 걸러내는 필터(51,52,53,54)에 연결되며, 이 필터(51,52,53,54)는 제 1필터(51), 제 2필터(52), 제 3필터(53), 제4필터(54)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수도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에 섞여 있는 불순물을 다수회에 걸쳐 여과시켜 정수시킨다.
상기한 필터(51,52,53,54) 중 제 3필터(53)는 본 통합장치(100)의 내부 상측에 위치한 제 1펌프(56)에 펌프유입관(56a)을 통해 연결되어 유입되는 물을 흡입하고 가압시켜 제 4필터(54)로 연결시켜 주고, 제 2펌프(57)의 제 1펌프(56)의 고장시 비상용으로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최종의 여과과정을 수행하는 상기 제 4필터(54)에는 정수관(58)이 구비되고, 이 정수관(58)은 본 통합장치(100)의 내부 하단에 구비된 저장탱크(60)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한 필터(50,51,52,53,54)에 의해 정수된 물이 상기 정수관(58)을 통해 저장탱크(60)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첨부도면에서는 미도시하였지만 상기 정수공급관(64)은 본 통합장치의 외부에서 두 개의 관으로 나뉘어지는데, 이 중 한개는 치료수로써 의료기기측으로 공급이 되고, 다른 한 개의 관은 환자대기실 또는 접수실로 공급이 되어 냉온수기를 통해 냉수와 온수로써 음용으로 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4필터(54)로부터 나온 정수관(58)의 일부는 저장탱크(60)로 유입되고, 상기 저장탱크(60)로 유입된 정수는 상기 펌프(56,57)와 릴레이압력스위치(62a,62b)의 가압에 의해 의료기기측으로 연결된 정수공급관(64)을 통해 정수된 물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유입관(50)과 연통되도록 바이패스관(66)이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관(66)의 일단에는 바이패스 밸브(68)가 구비되어, 단수시 상기바이패스밸브(68)를 개방하면 상기 유입관(50)으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바이패스관(66)을 통해 상기 정수공급관(64)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한편, 미설명 부호 '70'은 정수부(200)에서 외부로 공급되는 수압을 나타내는 압력게이지를 도시한 것이고, '72','74'는 에어드라이어부(300)의 압축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압력게이지를 도시한 것이며, 부호 '76a','76b'는 펌프(56,57)와 릴레이압력스위치(62a,62b)를 제어하는 펌프제어스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습, 보온된 압축공기를 의료기기측으로 공급하는 에어드라이어부(300)와 지속적으로 정수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부(200)를 한 장치 내에 통합.구성함으로써 사용시 간편하고 구입비용이 감소하여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외기를 흡입하는 압축기(10)와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14), 제습기(22,24), 가열기(30), 외부의 물을 정수시키는 필터(51,52,53,54)와 정수관(58)과 정수공급관(64)에 바이패스관(66)을 한 장치에 통합.구성함으로써 저렴하고 위생적이며 사용시 편리한 의료기기용 에어드라이어 및 정수기 통합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을 상기한 에어드라이어부(300)와 정수부(200)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에어드라이어부(3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압축기(10)로부터의 압축공기가 흡입관(12)을 통해 제 1솔레노이드밸브(14)로 유입되고, 이 제 1솔레노이드밸브(14)에 의해 압축공기는 제 1공급관(18)을 통해 일측의 제 1제습기(22)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제습기(22)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압축공기 중의 수분이 제 1제습기(22)의 흡착제(26)에 의해 흡착되어 제습되고, 이와 같이 제습된 압축공기는 상기 제 1제습기(22)의 일측에 구비된 여과기(28)를 지나 압축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낸 후, 상기 여과기(28)의 하부에 구비된 가열기(30)를 통해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된 후 토출관(36)으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한 에어드라이어부(300)가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을 소정시간(10분)동안 수행한 후에는 제어부(400)가 제 1솔레노이드밸브(14)의 작동을 제어하여 관로를 전환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제 1제습기(22)의 제 1공급관(18)과 흡입관(12)의 관로는 폐쇄됨과 아울러 이 제 1공급관(18)은 제 1배출관(16a)과 연통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 2제습기(24)의 제 2공급관(20)은 흡입관(12)과 연통되게 됨과 아울러 제 2배출관(16b)과의 관로는 폐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압축기(1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제 1 솔레노이드밸브(14)에 의해서 제 2공급관(20)을 통해 제 2제습기(24)로 유입되어 압축공기 중의 수분이 제습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제어부(400)에 의해서 제 1 솔레노이드밸브(14)의 작동시 제 2 솔레노이드밸브(46)가 작동하여 연결관(44)의 관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 2제습기(24)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연결관(44)의 오리피스(48)에 의해서 소정의 압력(8㎏/㎠)으로 제 2솔레노이드밸브(46)를 지나 제 1제습기(22)측으로 분사되게 됨과 아울러 상기한 오리피스(48)의 작은 직경에 의해 연결관(44)내에 잔류된 일부의 압축공기는 제 1공급관(18)으로 유입되어 제 1솔레노이드밸브(14)를 통해서 제 1배출관(16a)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분이 배출되어 건조된 제 1제습기(22)는 재사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은 소정시간(30초)이 지난 후에 제어부(400)가 제 2 솔레노이드밸브(46)를 제어하여 연결관(44)의 관로를 폐쇄시켜 재생장치(40)의 작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 2제습기(24)에 의해서 제습된 압축공기는 계속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기(28)와 가열기(30)를 거쳐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온풍의 압축공기로서 의료기기측으로 분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가열기(30)에 구비된 온도센서는 가열기(30)의 온도와 가열기(3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한 신호를 제어부(400)에 인가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제어부(400)는 온도센서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예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가열기(3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제어부(400)는 전술한 제 1 및 제 2솔레노이드밸브(14,46)와 가열기(30)의 작동을 제어함과 더불어 사용중인 제습기(18,20)의 상태와가열기(36)의 작동상태등을 액정표시화면이나 램프와 같은 표시장치(82)에 의해서 작업자가 손쉽게 알 수 있도록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에어드라이어부(300)는 압축공기 중의 수분을 제습함과 더불어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의료기기측으로 공급하게 되므로써 세균과 같은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먼지나 녹찌꺼기와 같은 분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차가운 압축공기의 분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제습기(22,24)의 작동시에는 작동되지 않는 제습기(22,24)내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켜 건조시키게 되므로써 한번 사용한 제습기(22,24)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별도로 상기 정수부(200)에서는 유입관(50)을 통해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이 물을 필터(51,52,53,54)측으로 보내게 되고, 필터(51,52,53,54)측으로 유입된 물은 제 3필터(53)와 제 4필터(54)의 사이에서 작동하는 펌프(56,57)의 힘에 의해 다수의 필터(51,52,53,54)를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정수되어 정수관(58)을 통해 저장탱크(60)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저장탱크(60)로 유입된 정수된 물은 릴레이압력스위치(62)를 통해 소정의 압력으로 정수공급관(64)으로 배출되어 의료기기측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정수공급관(64)을 통해 의료기기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은 본 통합장치(100)의 외면 상부에 관찰 가능한 압력게이지(7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어부(400)의 표시장치(82)에서 릴레이압력스위치(62a,62b)의오작동 여부를 알 수 있어 그에 따라 릴레이압력스위치(62a,62b)를 조절하여 물의 토출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을 수행하던 중에 펌프(56) 및 릴레이압력스위치(62a)의 오작동으로 인해 외부의 의료기기측으로의 물공급이 중단될 시에는 제 2펌프제어스위치(76b)를 켜서 또다른 펌프(57)와 릴레이압력스위치(62b)를 작동시키면 중단없이 의료기기측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경로까지도 이상이 생기거나 단수시에는 바이패스관(66)에 구비되어 통합장치(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바이패스밸브(50)를 개방시키면 바이패스관(66)을 통해 물의 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막아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의료기기측으로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공급수단의 오작동시에도 정수된 물을 지속적으로 의료기기측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치료를 중단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장치에서의 압축기(10)와 펌프(56,57)는 다수개를 구비함이 가능하여 필요한 토출량에 따라 각각의 압축기(10)와 펌프(56,57)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량에 따라 적절하게 배치.구성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에어드라이어부(300)와 정수부(200)가 한 장치내에 통합 구성됨으로써 사용시 간편하고, 구입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공간또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분이 제거되고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압축공기와 정수된 물을 지속적으로 의료기기 및 환자대기실에 공급할 수 있어 매우 위생적이고 안전하여 병원에서 사용시 효율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에어드라이어와 정수기라는 종래 별개의 장치들을 한 장치 내에 통합 구성함으로써 사용시 간편하고, 구입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외기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압축기(10)와, 상기 압축기(10)에 흡입관(12)을 통해 연결된 제 1솔레노이드밸브(14)와, 상기 제 1솔레노이드밸브(14)와 연결되어 압축공기 중의 수분을 제습하는 제습기(22,24)와, 상기 제습기(22,24)가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된 연결관(44)의 일측에 압축공기가 소정의 압력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된 오리피스(48)와, 상기 오리피스(48)와 이격된 일측에 제어부(400)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제 1솔레노이드밸브(14)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제 2솔레노이드밸브(46)와, 상기 제습기(22,24)를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를 의료기기측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토출관(36)과, 상기 토출관(36)의 일측에 압축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여과기(28)와, 상기 여과기(28)를 지난 압축공기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해주는 가열기(30)로 이루어진 에어드라이어부(300)와,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을 단계적으로 여과하는 다수의 필터(51,52,53,54)와, 상기 필터(51,52,53,54)로부터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60)와, 상기 최종의 필터(54)와 저장탱크(6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저장탱크(60)로 정수된 물을 공급하게 하는 정수관(58)과, 상기 저장탱크(60)로부터 외부의 의료기기측으로 정수된 물을 안내하는 정수공급관(64)과, 상기 필터(53,54) 사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물을 펌핑하여 정수공급관으로 토출시키는 펌프(56,57)와, 상기 펌프(56,57)의 일측에 설치되어 의료기기측으로의 토출압을 조절하도록 하는 릴레이압력스위치(62a,62b)와, 상기 릴레이압력스위치(62a,62b)의 오작동 여부를판단하기 위해 릴레이압력스위치(62a,62b)와 의료기기 사이의 펌프(56,57)에 설치되어 의료기기측으로 공급되는 정수된 물의 유압상태를 확인하도록 된 압력게이지(70)와, 상기 유입관(50)과 연통되는 바이패스관(66)과, 상기 바이패스관(66)의 일측에 마련되어 단수시 상기 바이패스관(66)을 개방시켜 의료기기측에 정수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밸브(68)로 이루어진 정수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에어드라이어 및 정수기 통합장치.
KR2020010026123U 2001-08-28 2001-08-28 의료기기용 에어드라이어 및 정수기 통합 장치 KR200255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123U KR200255689Y1 (ko) 2001-08-28 2001-08-28 의료기기용 에어드라이어 및 정수기 통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123U KR200255689Y1 (ko) 2001-08-28 2001-08-28 의료기기용 에어드라이어 및 정수기 통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689Y1 true KR200255689Y1 (ko) 2001-12-20

Family

ID=7306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123U KR200255689Y1 (ko) 2001-08-28 2001-08-28 의료기기용 에어드라이어 및 정수기 통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6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4644A (zh) * 2019-02-20 2019-05-17 深圳市南山区人民医院 一种用于医疗器械的吹干系统
CN109764644B (zh) * 2019-02-20 2024-05-31 深圳市南山区人民医院 一种用于医疗器械的吹干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4644A (zh) * 2019-02-20 2019-05-17 深圳市南山区人民医院 一种用于医疗器械的吹干系统
CN109764644B (zh) * 2019-02-20 2024-05-31 深圳市南山区人民医院 一种用于医疗器械的吹干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494B1 (ko) 이동형 음압기
JPS6012084B2 (ja) 気体分留装置
JPH11342141A (ja) 歯科用ユニットチェア―の圧力水供給システム及び供給装置
JP5365890B2 (ja) フィルタ装置
KR200255689Y1 (ko) 의료기기용 에어드라이어 및 정수기 통합 장치
KR102263115B1 (ko) 흡착 및 산화 기능을 갖는 탈취장치
KR100306575B1 (ko) 치과용 에어 드라이어
CN111623460A (zh) 一种温湿度调节智能化通风设备
JP2514133Y2 (ja) メンブランエアドライヤの制御装置及びコンプレッサに於ける除菌装置
CN217092637U (zh) 一种可在线清洗的室内空气净化装置
KR100497431B1 (ko) 치과용 공기정화장치
KR101457050B1 (ko) 숙뜸 연기 여과장치
KR100541036B1 (ko) 정수필터를 구비한 수분무방식의 가습장치
KR200304111Y1 (ko) 치과용 공기정화장치
GB2131009A (en) Water treatment
KR100326399B1 (ko) 치과용 정수기
CN208541998U (zh) 医疗空压机的空气净化设备
CN209075591U (zh) 一种疾病预防消杀器
KR20000010357U (ko) 다용도 공기청정기
CN213244946U (zh) 应用于医疗公共区域的空气杀毒设备
CN212692053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KR20090096768A (ko) 복합 공기 청정 장치
JP2949274B2 (ja) 無菌圧縮空気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691664B2 (ja) 浄水処理装置
JP3528330B2 (ja) 浄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