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653Y1 - Device for installing soil block of construction site - Google Patents

Device for installing soil block of construction si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653Y1
KR200255653Y1 KR2020010025306U KR20010025306U KR200255653Y1 KR 200255653 Y1 KR200255653 Y1 KR 200255653Y1 KR 2020010025306 U KR2020010025306 U KR 2020010025306U KR 20010025306 U KR20010025306 U KR 20010025306U KR 200255653 Y1 KR200255653 Y1 KR 200255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plate
protection plate
plate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30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산업
Priority to KR2020010025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65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653Y1/en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 간격의 H 빔(H) 상에 고정되어 흙막이 기능을 수행하는 방호판 고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H 빔(H)의 측면 공간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적층되는 방호판(20); 상기 방호판(20)의 개방면에 밀착되도록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블록(30); 및 상기 H 빔(H)의 양측에서 이웃하는 방호판(20)에 수용된 고정블록(30)에 이르도록 연장되고, 양단에서 볼트(B)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방호판(20)을 동시에 고정하는 고정로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H-beam (H)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f the protection plate fixing mechanism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barrier plate (20) laminated horizontally using the side space of the H beam (H); A fixed block 30 accommodated therei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 surface of the protective plate 20; And extending to reach the fixed block 30 accommodated in the neighboring protection plate 20 at both sides of the H beam H, and simultaneously fixing the neighboring protection plate 20 by using bolts B at both end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rod (40).

이에 따라, 흙막이 공사 현장에서 비교적 작은 체결력으로 견실하게 설치되어 시공에 따른 공수를 절감하면서 반복 사용에 따른 내구성도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earthquake barrier is firmly installed with a relatively small fastening force,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repeated use while reducing the man-hour for construction.

Description

토목공사용 방호판 고정기구 {Device for installing soil block of construction site}Civil engineering protective plate fixing device {Device for installing soil block of construction site}

본 고안은 토목공사용 방호판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흙막이 공사 현장에서 비교적 작은 체결력으로 견실하게 설치되어 시공에 따른 공수를 절감하면서 반복 사용에 따른 내구성도 향상되도록 하는 토목공사용 방호판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plate fixing mechanism for civil engineering, in more detail, it is installed firmly with a relatively small fastening force a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earthquake barriers to reduce the maneuver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while improving the durability according to repeated use It is about a mechanism.

지하 구조물을 건축하거나, 산을 절개하여 도로를 형성하는 등의 토목공사 현장에서는 방호판(또는 토류판)의 시공이 필수적이다. 초기의 방호판은 통상적으로 목재를 사용하였으나 장기간 공사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되고 반복 사용이 불가능하여 근래에는 절곡된 철판(형강)으로 대체되고 있다.Construction of protective boards (or earth plates) is essential at civil engineering sites, such as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s or cutting roads to form roads. In the early days, the protection boards generally used wood, but due to long-term construction, the durability is lowered and it is impossible to use them repeatedly.

도 1은 종래의 방호판 고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rotection plate fixing mechanism.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경우 흙을 걷어내면서 터파기에 착수하는 과정에서 가장자리의 흙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H 빔(H)을 일정한 간격으로 항타한 다음 H 빔(H)이 이루는 홈 사이를 이용하여 동일한 규격의 방호판(10)을 하나씩 적층해가면서 흙막이 공사를 완료하게 된다. 방호판(10)은 토사의 직접적인 압력뿐 아니라 항타장비 등에 의한 진동, 우천 등에 의한 기후적 조건에도 강한 내구성을 지니는 것이 필요하다.In the case of constructing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 H-beams (H) are driven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the dirt from falling on the edges during the process of kicking out the soil and then using the same grooves between the grooves formed by the H-beams (H). Laying the protective plate 10 of the standard one by one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The protection plate 10 needs to have a strong durability not only for the direct pressure of the soil, but also climatic conditions due to vibration, rainy weather, etc. by driving equipment.

이때, 방호판(10)으로 사용되는 C형강은 중량이 감소되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장점은 있으나 공사중 토사의 유입으로 자세가 들뜨는 경우가 있으므로 H 빔(H) 상에 견실하게 고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방호판(10)의 내측에 고정판(11)을 삽입하고 H 빔(H)의 외측에서 와셔(12)와 볼트(13)를 이용하여 고정판(11)과 체결함으로써 방호판(10)이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외에도 방호판(10)의 양단에 캡(14)을 결합시켜 토사가 C형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At this time, the C-shaped steel used as the protective plate 10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strength while reducing the weight, but because the posture may be lifted by the inflow of soil during construction, it should be firmly fixed on the H beam (H). To this end, in the related art, the fixing plate 11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protective plate 10 and fastened with the fixing plate 11 by using the washer 12 and the bolt 13 on the outside of the H beam H. ) Keep it in place. In addition, the cap 14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protective plate 10 to prevent the soil from entering the C-shaped steel.

그런데, 이러한 방호판(10)은 와셔(12)의 일부만 H 빔(H)에 접촉되므로볼트(13)의 체결력이 커져야 하기 때문에 체결부품에 손상을 초래하기 쉽고 설치 작업에 요하는 시간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only a part of the washer 12 is in contact with the H-beam H, the protection plate 10 needs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of the bolt 13, which causes damage to the fastening component and increases the time required for installation work. There are disadvantages.

또한, 고정판(11)은 와셔(12)를 수평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브라케트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단가가 상승할 뿐 아니라, 중량이 너무 커서 현장 작업시 불편과 안전사고를 초래할 우려가 크다.In addition, since the fixing plate 11 should be equipped with a bracket for supporting the washer 12 in a horizontal stat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unit cost increases, and the weight is so great that it may cause inconvenience and safety accidents in the field work. Is large.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흙막이 공사 현장에서 비교적 작은 체결력으로 견실하게 설치되어 시공에 따른 공수를 절감하면서 반복 사용에 따른 내구성도 향상되도록 하는 토목공사용 방호판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shortcomings, it is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site with a relatively small fastening force steadily provides a protection board fixing mechanism for civil engineering to improve the durability according to repeated use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construction work It is for that purpose.

도 1은 종래의 방호판 고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rotection plate fixing mechanism,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호판 고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on plate fix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호판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protectiv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호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otectiv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20: 방호판 11: 고정판10, 20: protection plate 11: fixed plate

12: 와셔 13: 볼트12: washer 13: bolt

14: 캡 30: 고정블록14: cap 30: fixed block

40: 고정로드40: fixed ro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정 간격의 H 빔(H) 상에 고정되어 흙막이 기능을 수행하는 방호판 고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H 빔(H)의 측면 공간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적층되는 방호판(20); 상기 방호판(20)의 개방면에 밀착되도록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블록(30); 및 상기 H 빔(H)의 양측에서 이웃하는 방호판(20)에 수용된 고정블록(30)에 이르도록 연장되고, 양단에서 볼트(B)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방호판(20)을 동시에 고정하는 고정로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tection plate fixing mechanism that is fixed on H beams H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erform a clogging function: a protection that is horizontally stacked using a side space of the H beams H. Plate 20; A fixed block 30 accommodated therei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 surface of the protective plate 20; And extending to reach the fixed block 30 accommodated in the neighboring protection plate 20 at both sides of the H beam H, and simultaneously fixing the neighboring protection plate 20 by using bolts B at both end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rod (40).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방호판(20)은 C형강으로서 측면에 외향비드(21)를 구비하고, 상면에 하향비드(25)를 구비하고, 하면이 평탄면(26)으로 형성된다.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plate 20 is a C-shaped steel having an outward bead 21 on the side, a lower bead 25 o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is formed with a flat surface (26).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고정블록(30)은 중앙에서 중심축과 직교되는 암나사(30a)를 구비하는 봉재가 사용된다.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block 30 is a bar having a female screw (30a)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in the center is used.

이에 따라, 흙막이 공사 현장에서 항타된 H 빔(H)의 양측에서 고정블록(30) 및 볼트(B)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방호판(20)을 동시에 고정하는 바, 비교적 작은 체결력으로 견실하게 설치되어 시공에 따른 공수를 절감하면서 반복 사용에 따른 내구성도 향상시킨다.Accordingly, by using the fixing block 30 and the bolt (B) on both sides of the H-beam (H) hit at the construction site at the same time bar to secure the neighboring protection plate 20 at the same time, it is installed firmly with a relatively small fastening force It also improves the durability of repeated use while reducing the man-hour for constru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호판 고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on plate fix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일정 간격의 H 빔(H) 상에 고정되어 흙막이 기능을 수행하는 방호판 고정기구에 관련된다. 방호판(20)은 상기 H 빔(H)의 측면 공간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적층되어 토사의 유출을 차단하여 흙벽이 붕괴되지 않도록 한다. 방호판(20)은 종래와 같은 C형강을 기본으로 하며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도 2를 참조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plate fixing mechanism that is fixed on the H beam (H)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erform the function of retaining. The protective plate 20 is horizontally stacked by using the side space of the H beam (H) to block the outflow of soil to prevent the earth wall collapse. The protection plate 20 is based on the C-shaped steel as in the prior art, and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described later.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방호판(20)의 개방면에 밀착되도록 방호판(20)의 내부에 고정블록(30)이 수용된다. C형강은 ㄷ자형강(찬넬)과 달리 개방면의 상하단이 한번 더 절곡되어 턱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고정블록(30)은 이러한 방호판(20)의 개방면 턱에 걸리면서 방호판(20) 내부에서 회전되어 넘어지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고정블록(30)의 길이(높이)는 방호판(20)의 내측면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block 30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protection plate 2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 surface of the protection plate 20. The C-shaped steel i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pen surface are bent once more to form the jaw, unlike the c-shaped steel (channel). The fixed block 30 is caught by the opening surface jaw of the protective plate 20 and should not rotate inside the protective plate 20 to fall over. Therefore, the length (height) of the fixing block 30 is preferably form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plate (20).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H 빔(H)의 양측에서 이웃하는 방호판(20)에 수용된 고정블록(30)에 이르도록 연장되는 고정로드(40)가 사용된다. 고정로드(40)는 종래의 와셔(12)(도 1 참조)를 대신하는 것으로서 H 빔(H)의 폭보다 조금 길게 형성한다. 고정로드(40)는 흙벽으로부터 직접적인 굽힘하중이나 충격하중을 받지 않으며 단지 방호판(20)이 들떠서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할만 담당한다. 종래의 경우 와셔(12)를 사용하기 때문에 접촉 면적이 작아서 볼트(13)의 체결력을 증대시켜야 방호판(20)의 미끄럼 저항이 적절하게 유지되고 방호판(20)이 외력에 의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본 고안은 고정로드(40)의 양단에서 볼트(B)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방호판(20)을 동시에 고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접촉 면적이 확장되어 볼트(B)의 체결력을 감소시켜도 동일한 미끄럼 저항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rod 40 is used to extend to reach the fixed block 30 accommodated in the neighboring protection plate 20 on both sides of the H beam (H). The fixed rod 40 is formed to be slightly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H beam H as a replacement for the conventional washer 12 (see FIG. 1). The fixed rod 40 is not directly subjected to bending loads or impact loads from the earth wall, and serves only to restrain the gap between the protection plate 20 and the gap. In the conventional case, since the washer 12 is used, the contact area is small, so the tightening force of the bolt 13 must be increased to maintain the sliding resistance of the protection plate 20 properly and to prevent the protection plate 20 from being lifted by external force. can do.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for simultaneously fixing the neighboring protection plate 20 by using bolts (B) at both ends of the fixing rod 40, the contact area is relatively extended to reduce the fastening force of the bolts (B). Slip resistance can be maintained.

고정로드(40)는 단순한 판재 또는 ㄷ자형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중량을 줄이면서 볼트(B) 체결시 굽힘강도를 유지하는 측면에서 후자가 바람직하다. 고정로드(40)의 양단에 볼트(B)를 통과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관통공은 태핑이 아닌 단순한 드릴링 가공으로 형성된다.The fixed rod 40 may be a simple plate or U-shaped steel, the latter is preferable in terms of maintaining the bending strength when fastening the bolt (B) while reducing the weight. The through-holes provided for passing the bolts B at both ends of the fixed rod 40 are formed by simple drilling rather than tappin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호판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protectiv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방호판(20)은 C형강으로서 측면에 외향비드(21)를 구비하고, 상면에 하향비드(25)를 구비하고, 하면이 평탄면(26)으로 형성된다. 이는 도 3c의 경우에 해당하며, 도 3a 및 도 3b의 구성을 택할 수도 있다. 도 3a에서는 상면의 상향비드(22)와 하면의 상향비드(23)가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도 3b에서는 상면의 상향비드(24)와 하면의 상향비드(25)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는 모두 측면에서 외향비드(21)를 구비한다. 외향비드(21)는 C형강의 내부 공간과 반대측으로 형성되는 비드를 의미한다.The protection plat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outward beads 21 on the side as C-shaped steel, downward bead 25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by the flat surface 26. This corresponds to the case of FIG. 3C and may take the configuration of FIGS. 3A and 3B. In FIG. 3A, the upper bead 22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bead 23 on the lower surface are formed in a wide width, and in FIG. 3B, the upper bead 24 and the upper bead 25 on the lower surface are formed in plural. . 3A-3C all have outward beads 21 on the side. The outward bead 21 means a bead formed opposite to the inner space of the C-shaped steel.

전술한 부호 21 내지 25의 비드는 압연롤의 배치를 변경하여 소성가공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비드수의 증가는 제조원가, 구매가 및 시공비의 증가로 이어진다. 따라서 방호판(20)이 H 빔(H)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면 도 3c와 같은 단순한 구성을 적용하는데 무리가 없다.The beads 21 to 25 described above can be plasticized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rolling rolls, bu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beads leads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purchase price, and construction cost. Therefore, if the protection plate 20 is stably fixed on the H beam (H) it is not unreasonable to apply a simpl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3c.

C형강을 사용하는 방호판(20)은 양단이 개방되는 구조인 바, 이 부분에 철판을 용접하여 폐쇄하면 전술한 캡(14)의 기능을 지닌다.Bar plate 20 using the C-shaped steel is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open, and the steel plate is welded and closed to this part has the function of the cap 14 described above.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블록(30)은 중앙에서 중심축과 직교되는 암나사(30a)를 구비하는 봉재가 적절하다. 종래의 경우 두꺼운 판재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ㄷ자형강을 사용하는데, 중량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작업에 불편을 초래하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상존한다. 반면 봉재를 사용하면 손으로 운반하여 작업하기 용이한 바, 봉재로는 원형, 타원형, 각형 단면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암나사(30a)는 볼트(B)와 체결하기 위한 태핑 가공부이다.Fixing block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the bar having a female screw (30a)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in the center. In the conventional case, using a thick plate as it is or using a c-shaped steel, because the weight is relatively large, causing inconvenience to work and risk of safety accidents exist. On the other hand, if you use the bar is easy to carry and work by hand, the bar can be used round, oval, square cross-section. The internal thread 30a is a tapping process for fastening with the bolt B. FIG.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정판(11)은 구조가 복잡하여 분실시 재제작 비용이 크게 증가하지만, 본 고안처럼 고정블록(30)에 규격품 봉재를 사용하면 언제든지 현장에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fixed plate 11 has a complicated structure, so that the cost of remanufacturing is greatly increased. However, when a standard bar is used in the fixed block 3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t any time.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호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도 2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적용예를 설명한다.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protection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FIGS. 2 to 5.

우선 H 빔(H)을 일정 간격으로 세운 다음, 그 양측에서 방호판(20)을 하방향으로 낙하시켜 장착하고, 방호판(20)의 개방면을 이용하여 고정블록(30)을 삽입한 후 수직으로 세우고, 고정로드(40)를 H 빔(H)에 수평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양단에 볼트(B)를 끼우고, 볼트(B)를 고정블록(30)의 암나사(30a)에 맞추고 조이면 방호판(2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면 턱이 H 빔(H)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음의 방호판(20)을 낙하시켜 적층되도록 한 다음 고정블록(30), 고정로드(40), 볼트(B)를 이용하여 결합해간다. 도 2에서 상단의 고정로드(40)가 결합된 상태이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하단의 고정로드(40)는 분리시켜 도시한다.First, the H beams (H) are erect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n the protective plate 20 is mounted downward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fixed block 30 is inserted using the open surface of the protective plate 20. When standing up vertically, while the fixing rod 40 is horizont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H beam (H), and put the bolt (B) at both ends, and the bolt (B) to fit the female screw (30a) of the fixing block 30 and tighten As the protection plate 20 moves forward, the open face jaw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 beam H. In this manner, the next protection plate 20 is dropped to be stacked, and then coupled using the fixing block 30, the fixing rod 40, and the bolt B. In FIG. 2, the fixing rod 40 at the top is coupled, but the fixing rod 40 at the bottom is separated for clarity.

이와 같이 고정블록(30), 고정로드(40) 등 본 고안의 토목공사용 방호판 고정기구는 중량이 증가되지 않으면서 강도가 향상되어 공사현장에서 안전성이 증대되고 장기간에 걸쳐 재사용하여도 손상되지 않는다.As such, the fixing block 30, the fixed rod 40, etc. of the protection plate fixing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in strength without increasing the weight, safety at the construction site is not damaged even if reus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

이때, 고정블록(30)의 직경(폭)이 방호판(20)의 내면 폭과 거의 동일하면 종래의 캡(14)과 같이 방호판(20) 양단의 틈새를 통한 미미한 토사의 유출까지 방지할 수 있다. 고정블록(30)을 아예 방호판(20)내의 설정 위치에 용접하여 두면 시공에 따른 공수를 절감하는데 유리하다.At this time, if the diameter (width) of the fixing block 30 is almost the same as the inner surface width of the protective plate 20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minute soil through the gap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protective plate 20, like the conventional cap 14 Can be. Welding the fixing block 3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rotective plate 20 is advantageous in reducing the man-hours due to construction.

한편, 볼트(B)는 나비볼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방호판(20)을 결합시키기 용이하다.On the other hand, the bolt (B) can be used for the butterfly bolt, in this case it is easy to combine the protective plate 20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이상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흙막이 공사 현장에서 비교적 작은 체결력으로 견실하게 설치되어 시공에 따른 공수를 절감하면서 반복 사용에 따른 내구성도 향상되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seful effect of improving the durability according to repeated use while reducing the man-hours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quake construction site with a relatively small fastening force.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modific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일정 간격의 H 빔(H) 상에 고정되어 흙막이 기능을 수행하는 방호판 고정기구에 있어서:In the protective plate holding mechanism fixed on the H beam (H)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clod: 상기 H 빔(H)의 측면 공간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적층되는 방호판(20);A protective plate 20 stacked horizontally by using the side space of the H beam H; 상기 방호판(20)의 개방면에 밀착되도록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블록(30); 및A fixed block 30 accommodated therei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 surface of the protective plate 20; And 상기 H 빔(H)의 양측에서 이웃하는 방호판(20)에 수용된 고정블록(30)에 이르도록 연장되고, 양단에서 볼트(B)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방호판(20)을 동시에 고정하는 고정로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방호판 고정기구.Fixed to extend to reach the fixed block 30 accommodated in the neighboring protection plate 20 on both sides of the H beam (H), the fixing to fix the neighboring protection plate 20 at the same time using the bolt (B) at both ends Civil engineering protective plate fixing mechanism comprising a rod (4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호판(20)은 C형강으로서 측면에 외향비드(21)를 구비하고, 상면에 하향비드(25)를 구비하고, 하면이 평탄면(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방호판 고정기구.The protective plate 20 is a C-shaped steel having an outward bead 21 on the side, a lower bead 25 o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is a flat surface 26, the civil engineering work protection plate fixing mechanism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블록(30)은 중앙에서 중심축과 직교되는 암나사(30a)를 구비하는 봉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방호판 고정기구.The fixing block 30 is a civil engineering protective plate fix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rod having a female screw (30a)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in the center.
KR2020010025306U 2001-08-21 2001-08-21 Device for installing soil block of construction site KR20025565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306U KR200255653Y1 (en) 2001-08-21 2001-08-21 Device for installing soil block of construction s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306U KR200255653Y1 (en) 2001-08-21 2001-08-21 Device for installing soil block of construction si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653Y1 true KR200255653Y1 (en) 2001-12-13

Family

ID=7306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306U KR200255653Y1 (en) 2001-08-21 2001-08-21 Device for installing soil block of construction si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65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741655U (en) Cover seam anti-lifting type bridge expansion joint device
US4638979A (en) Vehicle crash barriers
US20180315354A1 (en) Yard sign anchor and stabilizer
US6178651B1 (en) Reusable batter board support
KR200255653Y1 (en) Device for installing soil block of construction site
KR200496837Y1 (en) Foundation structure for fixing wire mesh fence columns
CN210013444U (en) Closed cantilever scaffold system
KR101786989B1 (en) Protective wall panel structure
KR200300124Y1 (en) Fortification part batter board using newly-established road
KR100465287B1 (en) A rein forcement unit for a head of H-beam used as a pile
JPH0119045Y2 (en)
JPS6220580Y2 (en)
JP4336257B2 (en) Snow fall fence foundation fall prevention work
WO1982000170A1 (en) Fence construction
KR200342696Y1 (en) guard rail
JP2001214640A (en) Structure of fence
JP3118003U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guard fence
KR100553371B1 (en) Steel panel for preventing drop of soil using guard-rail for a road
US20230250673A1 (en) Fence bracket and fence bracket system
JPH08260567A (en) Brace structure for wooden building
KR100352983B1 (en) Picket Head Reinforcement Unit of H beam
JP5044227B2 (en) Rock fall prevention fence
JP4924992B2 (en) Protective fence, its buffer structure unit and improved method using the same
KR100691874B1 (en) Road-side safety barrier of banking height
KR101891801B1 (en) Fastener for f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