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206Y1 - 전복양식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전복양식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206Y1
KR200255206Y1 KR2020010025036U KR20010025036U KR200255206Y1 KR 200255206 Y1 KR200255206 Y1 KR 200255206Y1 KR 2020010025036 U KR2020010025036 U KR 2020010025036U KR 20010025036 U KR20010025036 U KR 20010025036U KR 200255206 Y1 KR200255206 Y1 KR 200255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ulture
water
abalone
cultur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득
Original Assignee
김용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득 filed Critical 김용득
Priority to KR2020010025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2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206Y1/ko

Links

Landscapes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조로 공급되는 새로운 바닷물의 공급량을 현저히 줄여 펌프의 소모전력과 이에 따른 막대한 유지비용, 배출수에 의한 환경오염 등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면서도, 치패의 양성에 필요한 용존산소량을 더욱 증가시켜 전복을 신선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된 전복양식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복의 종묘를 육성하는 배양조(10)와, 배양된 전복을 성패로 키우는 양성조(20)가 구비된 전복양식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배양조(10)는 해안가 또는 별도의 저수지(40)로 연장된 입수관(11)에 연결되어 새로운 바닷물을 공급받게 되고, 상기 양성조(20)는 배양조(10)의 배수관(15)에 연결되어 배양조(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아 재 사용하게 되며, 이 양성조(20)에는 외부로 연장된 배출관(25)이 구비되어 재 사용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복양식용 구조물{ear shell provisions structure}
본 고안은 전복양식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로 공급되는 새로운 바닷물의 공급량을 현저히 줄여 펌프의 소모전력과 이에 따른 막대한 유지비용 및 배출수에 의한 환경오염 등을 크게 줄임과 더불어, 건물 및 시설비 등을 절감하면서도, 치패의 양성에 필요한 용존산소량을 증가시켜 더 많은 수의 전복을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된 전복양식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복 양식은 수천만 마리의 인공 종묘를 생산하여 연안에 방류하는 방류양식과, 수하식 채롱양식, 육상 수조식 양식 등에 의해 사육되고 있다.
이중, 방류양식은 1∼2㎝ 정도의 소형 치패를 그대로 연안에 방류할 경우 방류 후 자연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나 해적 생물에 대한 식해 등으로 인하여 수확량이 크게 저하되며, 중간 육성에 의한 대형 치패(3㎝ 이상)의 방류, 전복 조장 조성에 의한 치패의 방류, 수하식 채롱 양식에 의한 완전 양식 등을 시도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적합한 양식장의 제한, 태풍에 의한 자연 재해, 해수 적조 발생에 의한 피해, 따개비나 진주 담치 등의 부착 생물에 의한 피해 및 도난에 대한 위험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사육의 전 과정을 인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육상 수조식 양식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육상 양식에 사용되는 수조는 도 1에서와 같이, 종묘를 육성하기 위한 배양조(10)와, 배양된 치패를 성패로 키우기 위한 양성조(20)로 나뉘어진다. 이때, 상기 배양조(10)는 수조의 상단에 수평지지대(16)가 구비되고, 이 수평지지대(16)에는 다수개의 배양통(17)이 행거(19)에 의해 매달려 설치되며, 각각의 배양통(17) 내부에는 다수개의 파형판(18)이 소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이 파형판(18)에 전복의 먹이인 규조류가 부착되어 성장된다. 따라서, 이 배양조(10)는 종묘의 먹이인 규조류가 성장하기 위하여 바닷물에 포함된 인, 질소 등의 미량원소들이 필요하게 되므로, 수조의 물을 지속적으로 새로운 바닷물로 갈아줄 수 있도록 입수관(11) 및 배수관(15)이 해안가나 별도의 저수지(40)로 연결 설치된다.
한편, 상기 양성조(20)는 수조의 내부에 차광을 위한 쉘터(27)가 설치되어 빛을 싫어하는 전복이 주간에 햇빛을 피할 수 있도록 하며, 미역이나 사료 등을 공급하여 치패가 이를 섭취하면서 성장할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양성조(20)는 외부에서 미역이나 사료를 공급하기 때문에, 별도로 규조류의 성장에 필요한 인, 질소 등의 미량원소 등은 불필요하나, 치패가 호흡하기에 충분한 용존산소량과, 투입된 먹이의 찌꺼기 등을 제거해주기 위해 입수관(21)과 배수관(25)이 해안가나 별도의 저수지(40)로 연결 설치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종래의 양식용 구조물은 배양조(10)와 양성조(20)에서 각각 필요로 하는 요구조건이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 부족으로 인하여 배양조(10)와 양성조(20)의 물을 모두 새로운 바닷물로 지속적으로 갈아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배양조(10)와 양성조(20)의 물을 모두 새로운 바닷물로 갈아줄 경우 하루에도 수십톤 내지 수백톤의 바닷물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러한 막대한 양의 바닷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펌프(P)의 전력소비량과 이에 따른 유지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복 양식용 구조물은 배양조(10)와 양성조(20)를 모두 지상에만 설치하므로, 이를 수용하기 위한 상당히 넓은 면적의 건물이 필요하고, 각각의 배양조(10)와 양성조(20)를 모두 새로운 바닷물로 갈아주기 위한 배관라인을 구비하여야 하는 등 시설비가 막대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양식용 구조물을 시설하는 데에는 건물이나 배관라인의 시설비가 양식용 구조물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양식장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수의 양이 많아져 환경오염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조로 공급되는 새로운 바닷물의 공급량을 현저히 줄여 펌프의 소모전력과 이에 따른 막대한 유지비용 및 배출수에 의한 환경오염 등을 크게 줄임과 더불어, 건물 및 시설비 등을 절감하면서도, 치패의 양성에 필요한 용존산소량을 증가시켜 더 많은 수의 전복을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된 전복양식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복양식용 구조물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복양식용 구조물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복양식용 구조물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양조 11 : 입수관
15 : 배수관 20 : 양성조
25 : 배출관
본 고안에 따르면, 전복의 종묘를 육성하는 배양조(10)와, 배양된 전복을 성패로 키우는 양성조(20)가 구비된 전복양식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배양조(10)는 해안가 또는 별도의 저수지(40)로 연장된 입수관(11)에 연결되어 새로운 바닷물을 공급받게 되고, 상기 양성조(20)는 배양조(10)의 배수관(15)에 연결되어 배양조(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아 재 사용하게 되며, 이 양성조(20)에는 외부로 연장된 배출관(25)이 구비되어 재 사용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양조(10)와 양성조(20)는 상하 다단으로 적층 설치되며, 배양조(10)가 양성조(20) 상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복양식용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전복양식용 구조물은 배양조(10)에서 사용 후 배출하는 물을 양성조(20)로 공급하여 재 사용하도록 하므로써, 배출수의 양과 소모전력을 줄이면서도 양성조(20)로 공급되는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여 전복이 신선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양조(10)와 양성조(20)는 다단으로 적층 설치되어 같은 면적의 건물에도 더 많은 양의 전복을 양식할 수 있어, 건물 및 배관라인 등의 시설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배양조(10)와 양성조(20)는 대략 사각의 지지프레임(30)을 통해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다단으로 배치하되, 상부쪽에는 배양조(10)가 설치되고, 하부쪽에는 양성조(20)가 설치되어 배양조(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별도의 펌프를 거치지 않고도 양성조(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양조(10)는 해안가나 저수지(40)로 연장되며 그 중간에는 펌프(P)가 구비된 입수관(11)에 연결되어 이 입수관(11)을 통해 새로운 바닷물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배양조(10)의 상단부에는 배수관(15)이 구비되어 상기 입수관(11)을 통해 바닷물이 공급됨에 따라 수조에 채워져 있던 물이 이배수관(15)을 통해 오버플로워되어 하측의 양성조(20)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배양조(10)에는 도3에서와 같이, 기포발생기(13)가 구비되어 공급된 바닷물이 수조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하여 이 바닷물에 포함된 질소와 인 등의 미량원소를 규조류에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함과 더불어, 배양조(10) 상하측의 수온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결과적으로는 배양조의 용존산소량이 증가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 양성조(20)는 배양조(10)의 배수관(15)에 연결되어 배양조(10)에서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아 재 사용하게 되며, 그 상단부에는 외부로 연장된 배출관(25)이 구비되어 오버플로워되는 물이 이 배출관(2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양성조(20)에는 도3에서와 같이, 기포발생기(23)가 구비되어 수조 내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전복양식용 구조물은 상기 배양조(10)에 해안가나 저수지(40)로부터 새로운 바닷물이 공급되므로, 이 바닷물에 포함된 인, 질소 등의 미량원소를 규조류에게 공급하여 양호하게 성장하도록 하므로써, 전복 종묘에게 양질의 먹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배양조(10)는 도 1의 파판(18)에 달라붙아 성장되는 규조류 이외의 별도의 사료 등을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이물질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더욱이, 이 배양조(10)는 종묘의 호흡에 따른 산소 요구량 보다 규조류의 광합성에 따른 산소 발생량이 더 많아 상기 기포발생기에 의한 용존산소량의 증가 이외에도 규조류의 광합성에 의한 용존산소량의 증가에 의해 이 배양조(10)를 거쳐 배출되는 물은 용존산소량이 매우 높고 청결한 수질을 유지하게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양조(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양성조(20)로 공급하게 되면, 용존산소량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더 많은 치패를 건강하게 양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양성조(20)의 치패에게는 외부에서 미역이나 사료 등을 공급하여 이를 섭취하도록 하기 때문에, 별도로 규조류를 성장시키기 위한 미량원소 등이 불필요하게 되며, 전복의 호흡을 위한 충분한 용존산소량이 요구되는데, 상기 배양조(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새로운 바닷물을 직접 공급하는 경우보다 훨씬 높은 용존산소량을 가지고 있어, 전복의 치패를 더욱 건강하게 성장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전복양식용 구조물은 배양조(10)와 양성조(20)가 다단으로 적층 설치되어 동일면적의 건물에도 더 많은 전복을 양식할 수 있어 건축 등의 시설비용이 현저히 줄어듬과 더불어, 상기 배양조(10)와 양성조(20)가 다단으로 서로 인접 배치되고 바닷물의 공급 및 배출량이 현저히 줄어들어 각각의 배양조(10)와 양성조(20)를 연결하는 배관라인이 간소화되어 막대한 시설비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전복양식용 구조물은 배양조(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양성조(20)에서 재 사용함에 따라 새로운 바닷물의 공급량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어 펌프(P)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소모량과, 이에 따른 막대한 유지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배출수에 따른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배양조(10)를 거쳐 양성조(20)로 공급되는 물은 새로운 바닷물에 비해 용존산소량이 더 증가되어 전복을 더욱 신선하게 성장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전복양식용 구조물은 각각의 배양조(10)와 양성조(20)가 다단으로 적층 설치되어, 이를 수용하기 위한 건물 및 이를 연결하는 배관라인 등이 간소화되어 막대한 시설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전복의 종묘를 육성하는 배양조(10)와, 배양된 전복을 성패로 키우는 양성조(20)가 구비된 전복양식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배양조(10)는 해안가 또는 별도의 저수지(40)로 연장된 입수관(11)에 연결되어 새로운 바닷물을 공급받게 되고, 상기 양성조(20)는 배양조(10)의 배수관(15)에 연결되어 배양조(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아 재 사용하게 되며, 이 양성조(20)에는 외부로 연장된 배출관(25)이 구비되어 재 사용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조(10)와 양성조(20)는 상하 다단으로 적층 설치되며, 배양조(10)가 양성조(20) 상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구조물.
KR2020010025036U 2001-08-18 2001-08-18 전복양식용 구조물 KR200255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036U KR200255206Y1 (ko) 2001-08-18 2001-08-18 전복양식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036U KR200255206Y1 (ko) 2001-08-18 2001-08-18 전복양식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206Y1 true KR200255206Y1 (ko) 2001-12-03

Family

ID=7310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036U KR200255206Y1 (ko) 2001-08-18 2001-08-18 전복양식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2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007B1 (ko) 2009-08-03 2011-06-21 주식회사 씨에버 패류 육성시스템
KR20160094661A (ko) * 2015-02-02 2016-08-10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홍해삼의 중간육성틀을 이용한 홍해삼의 중간육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종묘 방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007B1 (ko) 2009-08-03 2011-06-21 주식회사 씨에버 패류 육성시스템
KR20160094661A (ko) * 2015-02-02 2016-08-10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홍해삼의 중간육성틀을 이용한 홍해삼의 중간육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종묘 방류방법
KR101724818B1 (ko) 2015-02-02 2017-04-07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홍해삼의 중간육성틀을 이용한 홍해삼의 중간육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종묘 방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86548U (zh) 一种新型净水生态浮床
CN103011412A (zh) 一种旋转式水生态修复装置及应用
CN113213710A (zh) 海水工厂化大棚养殖南美白对虾尾水处理系统和方法
CN103382056A (zh) 一种沉水植物快速建群装置
CN208916915U (zh) 复合纤维单位模块及包含其的浮动湿地
CN203683234U (zh) 沉水植物模块化生长床
KR20020074911A (ko) 하천과 담수의 수질정화용 부유구조물
KR100582210B1 (ko) 친환경적인 식생식물 및 어류서식처가 구비된 식생부력체
CN107973412A (zh) 一种水泵-生态浮岛集成水处理系统
KR101286078B1 (ko) 침하식 해삼 가두리 양식 장치
CN106577432A (zh) 一种海洋森林牧场
KR200255206Y1 (ko) 전복양식용 구조물
CN211470937U (zh) 一种生态净水杀菌型人工生态浮岛系统
KR20030065039A (ko) 정수식물 식생부력체 및 이 식생부력체를 이용한수질정화방법
CN209778451U (zh) 一种组合式太阳能曝气生物浮床
CN106561526A (zh) 一种构建水产生态养殖池塘的方法
CN215836569U (zh) 一种带种植基床的树型鱼礁装置
CN207574030U (zh) 一种水下原位生态修复沉水水草培植装载系统
KR20140056687A (ko) 해삼 양식용 인공어초
CN211241327U (zh) 一种鱼虾蟹池塘养殖系统
CN209740820U (zh) 一种用于深水区水质净化的生态浮岛
CN203392930U (zh) 一种沉水植物快速建群装置
CN111109015A (zh) 一种可升降式沉水植物种植方法
CN111087079A (zh) 附着藻优势生长的水体生物净化处理装置
CN219182353U (zh) 一种多层阶梯式保育防波两用的大型藻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