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752Y1 - 응축수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의 응축기의 냉각시스템 - Google Patents

응축수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의 응축기의 냉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752Y1
KR200254752Y1 KR2020010025703U KR20010025703U KR200254752Y1 KR 200254752 Y1 KR200254752 Y1 KR 200254752Y1 KR 2020010025703 U KR2020010025703 U KR 2020010025703U KR 20010025703 U KR20010025703 U KR 20010025703U KR 200254752 Y1 KR200254752 Y1 KR 200254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condensate
refrigerant
air conditioner
condensat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갑석
Original Assignee
고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갑석 filed Critical 고갑석
Priority to KR2020010025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752Y1/ko

Links

Landscapes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응축수를 이용하여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응축수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의 응축기의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는 응축수받이통에 저장된 응축수의 양을 리드스위치가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면 제어부는 적절하게 펌프를 구동시켜 응축수를 응축기의 냉매관으로 공급하여 응축기를 냉각시킨다. 즉, 응축수 및 공기에 의하여 응축기가 이중으로 냉각되므로 에어컨디셔너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응축수받이통에 저장된 응축수를 사용자가 버리지 않아도 되므로 대단히 편리하다.

Description

응축수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의 응축기의 냉각시스템 {COOLING SYSTEM OF CONDENSER OF AIR CONDITIONER USING CONDENSATE}
본 고안은 응축수를 이용하여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응축수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의 응축기의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디셔너란 가정이나 사무실 내의 공기를 조화시켜 인체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시키는 장치로써, 종래의 에어컨디셔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컨디셔너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디셔너는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10)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20)를 가진다. 실외기(10)에는 냉매를 고온ㆍ고압의 상태로 압축하는 압축기(11)와 압축기(11)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실온ㆍ고압의 상태로 만드는 응축기(13)와 응축기(13)를 냉각시키기 위한 팬(15) 및 모터(17)가 내장된다. 실내기(20)에는 응축기(13)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팽창시켜 소정의 저압상태로 만드는 팽창밸브(21)와 팽창밸브(21)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저온ㆍ저압의 상태로 만드는 증발기(23)가 내장된다.
그리고, 실내기(20)의 내부 대략 중앙부측에는 실내의 공기를 증발기(23)와 강제로 열교환시키기 위한 송풍기(25)가 설치되고, 내부 하측에는 증발기(23)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받아두기 위한 응축수받이통(27)이 필요에 따라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에어컨디셔너는 공냉식으로만 응축기(13)를 냉각시키므로 인하여 응축기(13)의 냉각효율이 저하되고, 이로인해 에어컨디셔너의 냉각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응축수받이통(27)이 설치된 실내기의 경우에는 실내기로부터 응축수받이통(27)을 꺼내어서 응축수받이통(27)에 저장된 응축수를 버려야 하는 불편함이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응축수받이통에 저장된 응축수 및 공기를 이용하여 응축기를 냉각시키므로써,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단히 편리한 에어컨디셔너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컨디셔너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응축기의 배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실외기 110 : 압축기
120 : 응축기 130 : 팬
140 : 모터 200 : 실내기
210 : 팽창밸브 220 : 증발기
230 : 송풍기 240 : 응축수받이통
250 : 펌프 260 : 배출호스
270 : 노즐 280 : 리드스위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는, 냉매를 고온ㆍ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실온ㆍ고압으로 만들며 배면에는 개방부가 형성된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의 개방부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응축시를 냉각시키는 팬과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모터가 내장된 실외기;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팽창시켜 소정의 저압상태로 만드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저온ㆍ저압의 상태로 만드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 맺히는 응축수를 받아서 저장하는 응축수받이통이 내장된 실내기; 상기 실내기에 마련되며 상기 실내기의 적소에 설치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응축수받이통에 저장된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 일단부는 상기 펌프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외기의 응축기 및 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펌프에 의하여 공급되는 응축수를 응축기 내부의 냉매관으로 배출하는 배출호스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의 응축기의 냉각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응축기의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디셔너는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를 가진다.
실외기(100)에는 냉매를 고온ㆍ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00)와 압축기(100)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실온ㆍ고압으로 만드는 응축기(120)와 응축기(120)의 배면에 형성된 개방부(120a)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응축기(120)의 냉매관(121)을 냉각시키는 위한 팬(130)과 팬(130)을 구동시키는 모터(140)가 내장된다.
실내기(200)에는 응축기(120)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팽창시켜 소정의 저압상태로 만드는 팽창밸브(210)와 팽창밸브(210)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저온ㆍ저압의 상태로 만드는 증발기(220)가 내장된다. 그리고, 실내기(200)의 내부 중앙부측에는 송풍기(230)가 설치되는데, 송풍기(230)는 실내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실내 공기와 증발기(220)가 열교환되게 한다. 또한, 실내기(200)의 내부 저면에는 응축수받이통(240)이 설치되는데, 응축수받이통(240)은 증발기(220)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받아서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는 응축수받이통(240)에 저장된 응축수를 이용하여 응축기(120)를 냉각시킨다. 이를 위하여, 응축수받이통(240)의 외측에는 응축수받이통(240)에 저장된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250)가 설치된다. 펌프(250)는 배출호스(260)의 일단부와 연통되고, 배출호스(260)의 타단부는 응축기(120)의 개방부(120a)와 팬(130) 사이에 위치된다. 이로인해, 팬(130)의 회전력에 의하여 응축수가 응축기(120)의 개방부(120a)를 통하여 냉매관(121)에 공급되므로 응축기(120)가 냉각되는 것이다. 즉, 응축기(120)는 응축수 및 공기에 의하여 이중으로 냉각되는 것이다. 응축기(120)로 응축수를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배출호스(260)의 타단부에는 노즐(270)이 설치된다. 그리고, 응축수받이통(240)에는 리드스위치(280)가 설치되는데, 리드스위치(280)는 응축수의 양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실내기(200)의 적소에 설치된 제어부(미도시)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는 리드스위치(28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펌프(250)의 구동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펌프(250)가 구동되면, 응축수가 응축기(120)의 냉매관(121)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응축수 및 공기는 응축기(120)를 냉각시키고, 이때 응축기(120)와 열교환된 응축수는 증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응축수받이통(240)에는 물탱크 또는 상수도 등과 같은 수원(水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응축기(120)를 냉각시킬 수 도 있다. 이를 위하여, 응축수받이통(240)의 내면 일측에는 밸브(293)가 설치된다. 밸브의 일측에는 플로트(Float)(291)가 설치되는데, 플로트(291)는 응축수받이통(240)의 수위 변화에 따라 승강하면서 밸브(293)를 개폐한다. 그러면, 밸브(293)와 연통된 호스(295)를 통하여 상기 수원의 물이 응축수받이통(240)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즉, 응축수받이통(240)으로 유입된 응축수 만으로는 응축기(120)를 충분히 냉각시킬 수 가 없는데, 상기 수원으로부터 충분한 물이 공급되므로 부족한 냉각수가 보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차량의 냉각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경우에는 플로트(219)와 밸브(293) 및 호스(295)를 제거한 후 사용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디셔너는 응축수받이통에 저장된 응축수의 양을 리드스위치가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면 제어부는 적절하게 펌프를 구동시켜 응축수를 응축기의 냉매관으로 공급하여 응축기를 냉각시킨다. 즉, 응축수 및 공기에 의하여 응축기가 이중으로 냉각되므로 에어컨디셔너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응축수받이통에 저장된 응축수를 사용자가 버리지 않아도 되므로 대단히 편리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서술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및 개량도 본 고안에 속한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냉매를 고온ㆍ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실온ㆍ고압으로 만들며 배면에는 개방부가 형성된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의 개방부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응축시를 냉각시키는 팬과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모터가 내장된 실외기;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팽창시켜 소정의 저압상태로 만드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저온ㆍ저압의 상태로 만드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 맺히는 응축수를 받아서 저장하는 응축수받이통이 내장된 실내기;
    상기 실내기에 마련되며 상기 실내기의 적소에 설치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응축수받이통에 저장된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
    일단부는 상기 펌프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외기의 응축기 및 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펌프에 의하여 공급되는 응축수를 응축기 내부의 냉매관으로 배출하는 배출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디셔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받이통의 내면 일측에는 수원(水源)과 연통된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에는 상기 응축수받이통의 수위 변화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밸브를 개폐하는 플로트(Float)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디셔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받이통에는 응축수의 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그 신호를 송신하는 리드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호스의 타단부에는 노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디셔너.
KR2020010025703U 2001-08-24 2001-08-24 응축수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의 응축기의 냉각시스템 KR200254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703U KR200254752Y1 (ko) 2001-08-24 2001-08-24 응축수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의 응축기의 냉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703U KR200254752Y1 (ko) 2001-08-24 2001-08-24 응축수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의 응축기의 냉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752Y1 true KR200254752Y1 (ko) 2001-11-26

Family

ID=73107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703U KR200254752Y1 (ko) 2001-08-24 2001-08-24 응축수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의 응축기의 냉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7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82B1 (ko) 2012-09-19 2014-07-31 박민규 응축수를 활용한 초절전 급속 냉풍에어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82B1 (ko) 2012-09-19 2014-07-31 박민규 응축수를 활용한 초절전 급속 냉풍에어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892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제어방법
KR100239576B1 (ko) 공기조화기의 드라이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54752Y1 (ko) 응축수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의 응축기의 냉각시스템
KR100681940B1 (ko) 부압 방지 밸브를 갖는 냉장고
KR20000025813A (ko) 응축수를 이용한 분리형 에어컨의 실외기 냉각장치ㅛ
KR0110427Y1 (ko) 에어콘 기능을 갖는 선풍기
KR100234081B1 (ko) 공조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39575B1 (ko) 공기조화기의 드라이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9222656U (zh) 室内机及空调
CN212841935U (zh) 一种一体式水冷柜式空调器
KR1003984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479734B1 (ko) 산소 발생 에어컨
JPS6023617Y2 (ja) 局所冷房機
KR20000021354U (ko) 응축수를 이용한 응축효율 증대장치
KR200173046Y1 (ko) 리모콘 충전장치를 구비한 에어콘
KR100859603B1 (ko) 빙상 냉풍기
KR200217070Y1 (ko) 절전형 에어콘
KR200275680Y1 (ko) 냉수공급기능을갖는패캐지에어콘
KR200178068Y1 (ko) 패키지 에어콘
KR100374624B1 (ko) 리모컨 충전부를 구비한 에어컨
JPS6328388Y2 (ko)
KR200294748Y1 (ko) 에어컨 실외기의 수냉식 냉각구조
KR20000059889A (ko) 에어컨디셔너의 압축기 과부하 방지 구조
WO2000063627A3 (de) Kälteanlage für haushaltkühlgeräte
JP2000111189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