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650Y1 -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 - Google Patents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650Y1
KR200254650Y1 KR2020010024134U KR20010024134U KR200254650Y1 KR 200254650 Y1 KR200254650 Y1 KR 200254650Y1 KR 2020010024134 U KR2020010024134 U KR 2020010024134U KR 20010024134 U KR20010024134 U KR 20010024134U KR 200254650 Y1 KR200254650 Y1 KR 200254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wire
conversion
leaf spring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보식
Original Assignee
최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보식 filed Critical 최보식
Priority to KR2020010024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6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650Y1/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풍기의 팬(프로펠라)부위가 좌,우로 회전되어지도록 하여 선풍기 바람을 여러 사람이 함께 시원함을 느낄 수 있도록 조절해주는 풍향변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선풍기의 바람이 좌,우로 변환되어질 수 있도록 팬(프로펠라)부위와 연결되어서 팬부위를 작동시키게 되는 와이어가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를 일측으로 가지고 있고, 조정놉이 결합되는 축이 설치되는 지점과 나란한 위치의 상부에는 변환레버의 변환 상태를 고정 유지시키는 판스프링의 양단이 고정되는 판스프링고정브래킷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이 설치되는 지점의 양쪽으로는 변환레버의 활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대판과; 상기 대판의 판스프링고정브래킷에 양단이 고정되고, 중간에 인발된 띠돌기가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판스프링과; 상기 대판에 설치되어지는 축에 설치되어서 조정놉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고, 하부로 선풍기의 팬(프로펠라)부위에 일단이 열결되어진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판스프링의 띠돌기를 원활하게 넘나들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는 변환레버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A switch for direction of the wind change of fan}
본 고안은 선풍기의 팬(프로펠라)부위가 좌,우로 회전되어지도록 하여 선풍기 바람을 여러 사람이 함께 시원함을 느낄 수 있도록 조절해주는 풍향변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정놉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변환레버의 변환 상태를 제어 해주는 부위를 개량한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의 바람이 여러 사람에게 미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바람이 발생하는 팬부위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상기 팬부위를 회전시킬 때에는 풍향변환 스위치를 조작하여 풍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선풍기의 풍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종래의 풍향변환 스위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1에 도시된 종래의 풍향변환 스위치의 구성을 보면, 일측으로 선풍기의 팬(프로펠라)부위와 일단이 연결되어진 와이어(4)를 고정시키는 스크류나사(2a)를 포함하는 와이어고정부(2)가 일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 상부로는 변환레버(5)의 작동을 규제하는 볼(9)이 설치되어지는 볼고정부(3)가 형성되어 있는 대판(1)과; 상기 대판(1)의 볼고정부(3)와 근거리에 위치하여 조정놉이 결합되 있는 축에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부(6)가 하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변환레버(5)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변환레버(5)의 상부는 볼고정부(3)에서 스프링(8)의 탄성을 받도록 설치된 볼(9)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지는 복수의 요입부(7)가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풍향변환 스위치는 도1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 있는 변환레버(5)를 조정놉(도면에서는 표시되지 않았음)의 회전으로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변환시키면, 변환레버(5)의 하부 와이어연결부(6)에 연결된 와이어(4)가 당겨진다.
상기 변환레버(5)에 의해 당겨진 와이어(4)에 의해 선풍기의 팬(프로펠라)부위가 좌,우 회전되어서 선풍기의 바람을 여러 사람이 쏘일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정놉의 회전으로 작동되어진 변환레버(5)는 상부로 형성되어 있는 요입부(7)가 대판(1)의 볼고정부(3)로 스프링(8) 탄발되어지게 설치된 볼(9)에 의해 규제되어져 변환상태가 유지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변환레버(5)가 조정놉의 회전으로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당겨졌던 와이어가 원상태로 위치하여 선풍기의 팬부위의 회전이 멈춰지게 되고, 이때 변환레버(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요입부(7)가 볼(9)에 규제되어져 변환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선풍기의 풍향을 변환시키는 종래의 풍향변환 스위치는, 와이어
(4)를 당겼다 느쳤다 하는 변환레버(5)의 변환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품 생산에 따른 원가가 높아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조립작업시 별도의 치공구를 이용해야 하는 등 작업의 까다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에도 어려움이 있다.
또한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스크류나사가 와이어고정부로 끼워지는 와이어의 상부로 위치하여 나사조립되는 것이서 스크류나사의 회전이 와이어가 조립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을 갖게되어 스크류나사의 회전에 의하여 와이어가 외측으로 빠져나게 되는 등 조립에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조정놉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되어 선풍기의 풍향을 좌,우로 변환시키는 변환레버의 변환상태를 고정 유지시키는 부위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품 제작 생산에 따른 생산원가를 낮추어 시장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고, 별도의 치공구 없이도 손쉽게 조립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켰으며, 와이어의 조립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의 사시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
10 : 대판 11 : 와이어고정부
12 : 판스프링고정브래킷 13 : 스토퍼
14 : 조정놉 15 : 축
20 : 판스프링 21 : 띠돌기
30 : 변환레버 31 : 와이어연결부
40 : 와이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풍기의 팬(프로펠라) 부위를 좌,우로 회전시켜 팬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여러 사람이 함께 시원함을 느낄 수 있게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변환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를 이루는 대판(10)은 선풍기의 바람이 좌,우로 변환되어질 수 있도록 팬(프로펠라) 부위와 연결되어서 팬부위를 작동시키게 되는 와이어(40)를 고정시키는 스크류나사(15)를 포함하는 와이어고정부(11)가 일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정놉(14)이 결합되는 축(15)이 설치되는 지점과 나란한 위치의 상부에는 변환레버(30)의 변환 상태를 고정 유지시키는 판스프링(20)의 양단이 고정되는 판스프링고정브래킷(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15)이 설치되는 지점의 양쪽으로는 변환레버(30)의 활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판(10)의 판스프링고정브래킷(12)에 양단이 고정되어지는 판스프링
(20)은, 중간에 인발된 띠돌기(21)가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판(10)에 설치되어지는 축(15)에 설치되어서 조정놉(14)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변환레버(30)는 하부로 선풍기의 팬(프로펠라)부위에 일단이 열결되어진 와이어(40)가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는 판스프링
(20)의 띠돌기(21)를 원활하게 넘나들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의 사시 구성도 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의 정면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를 작동시켜 선풍기의 풍향을 변환할 때에는 먼저, 대판(10)에 설치되어진 축(15)에 결합된 조정놉(14)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조정놉(14)을 작동시키면 축(15)에 설치되어진 변환레버(30)가 변환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변환레버(30)가 변환되어지는 상태를 도3을 참고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3에 실선으로 표현된 변환레버(30)는 선풍기의 풍향이 한방향으로만 고정 송풍되는 상태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놉(14)을 회전시키면, 상기의 변환레버
(30)가 도3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변환되어 와이어연결부(21)에 연결된 와이어(40)가 당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당겨진 와이어(40)는 선풍기의 팬(프로펠라)부위와 연결되어 있어 와이어(40)에 의해 팬부위에 기계적인 작동이 일어나 팬부위가 좌,우로 회전되어지게 되고 팬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여러사람이 함께 시원함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정놉(14)의 회전으로 변환되어진 변환레버(30)는 대판(10)의 상부로 형성되어 있는 판스프링고정브래킷(12)에 양단이 고정 설치되어진 판스프링
(20)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있게 변환됨과 동시에 판스프링(20)의 중간으로 형성되어진 띠돌기(21)를 변환레버(30)의 뾰족한 상부가 넘나들기 때문에 변환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어진다.
상기한 변환레버(30)의 활동범위는 대판(10)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13)에 의해 규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선풍기의 풍향을 한방향으로 고정시킬 때에는 조정놉(14)을 상기에서 기술한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변환레버(30)가 도3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변환레버(30)의 변환으로 당겨졌던 와이어(40)가 원상태로 위치하여서 선풍기의 팬부위가 멈추어질 수 있게끔 기계적인 작동이 일어나 선풍기의 풍향이 한방향으로 고정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선풍기의 풍향이 한 방향으로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변환되어지는 변환레버(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20)에 규제를 받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스위치는 선풍기형 전기스토브의 열을 여러사람이 쪼일 수 있도록 전기스토브의 열 발생부를 회전시키는 스위치로도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성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는, 변환레버
(30)의 작동 변환상태를 고정 유지시켜주는 부위를 판스프링(20)으로 대체함으로서 그 구조가 단순해졌을 뿐만 아니라, 제작 생산에 따른 생산원가가 낮아져 시장경쟁력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조립시 별도의 치공구 없이도 손쉽게 조립생산이 가능하여 제품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선풍기의 팬(프로펠라) 부위를 좌,우로 회전시켜 팬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여러 사람이 함께 시원함을 느낄 수 있게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변환 스위치에 있어서,
    선풍기의 바람이 좌,우로 변환되어질 수 있도록 팬(프로펠라) 부위와 연결되어서 팬부위를 작동시키게 되는 와이어(40)를 고정시키는 스크류나사(15)를 포함하는 와이어고정부(11)가 일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정놉(14)이 결합되는 축(15)이 설치되는 지점과 나란한 위치의 상부에는 변환레버(30)의 변환 상태를 고정 유지시키는 판스프링(20)의 양단이 고정되는 판스프링고정브래킷(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15)이 설치되는 지점의 양쪽으로는 변환레버(30)의 활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
    (13)가 형성되어 있는 대판(10)과;
    상기 대판(10)의 판스프링고정브래킷(12)에 양단이 고정되고, 중간에 인발된 띠돌기(21)가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판스프링(20)과;
    상기 대판(10)에 설치되어지는 축(15)에 설치되어서 조정놉(14)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고, 하부로 선풍기의 팬(프로펠라)부위에 일단이 열결되어진 와이어(40)가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판스프링(20)의 띠돌기
    (21)를 원활하게 넘나들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는 변환레버(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
KR2020010024134U 2001-08-09 2001-08-09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 KR200254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134U KR200254650Y1 (ko) 2001-08-09 2001-08-09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134U KR200254650Y1 (ko) 2001-08-09 2001-08-09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650Y1 true KR200254650Y1 (ko) 2001-12-03

Family

ID=7306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134U KR200254650Y1 (ko) 2001-08-09 2001-08-09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6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233B1 (ko) * 2018-05-16 2019-07-09 손화현 발신형 가스 절체기
KR102162757B1 (ko) * 2019-05-14 2020-10-07 손화현 발신형 가스 절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233B1 (ko) * 2018-05-16 2019-07-09 손화현 발신형 가스 절체기
KR102162757B1 (ko) * 2019-05-14 2020-10-07 손화현 발신형 가스 절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2138B2 (en) Cleaning device
KR200254650Y1 (ko) 선풍기의 풍향변환 스위치
US11472017B2 (en) Power tool
US20020007557A1 (en) Electric shaver
KR20180003401U (ko) 신형의 야외 휴대용 선풍기
JP4683433B2 (ja) ヘアードライヤー
CN209547314U (zh) 电动工具
WO2020114153A1 (zh) 面框组件和空气调节设备
DE50111737D1 (de) Schaltgerät
KR101263120B1 (ko) 선풍기용 풍향 조절장치
CN201215100Y (zh) 家电摇头幅度调节机构
CN113654106B (zh) 空调器
KR102755000B1 (ko) 전기 바리깡
KR200387326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헤드를 가진 전기바리깡
US20020026727A1 (en) Hair dryer
CN219109902U (zh) 颈托结构和按摩组件
CN111706557A (zh) 一种手摇扇自动摆动送风装置及其摆风控制方法
CN216620234U (zh) 出风结构及空调
JPH0236032Y2 (ko)
KR200209498Y1 (ko) 부채 선풍기
CN114216161B (zh) 室内机、空调器及室内机的控制方法
CN221873770U (zh) 一种单执行器电动风口结构总成
JPH0528436Y2 (ko)
JPS631035Y2 (ko)
CN201845133U (zh) 镜头装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