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596Y1 - Post - Google Patents

Po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596Y1
KR200254596Y1 KR2020010022396U KR20010022396U KR200254596Y1 KR 200254596 Y1 KR200254596 Y1 KR 200254596Y1 KR 2020010022396 U KR2020010022396 U KR 2020010022396U KR 20010022396 U KR20010022396 U KR 20010022396U KR 200254596 Y1 KR200254596 Y1 KR 200254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fixed
pillar
nut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39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경철
Original Assignee
베스틸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스틸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베스틸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2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59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596Y1/en

Links

Landscapes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난간이나 울타리와 같은 구조물, 교통표지판 등의 가설물, 간판등의 부착물 따위를 지지하기 위해 바닥이나 벽에 정착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초볼트 또는 기초너트에 나사식으로 돌려끼워서 체결하거나 쐐기식으로 때려박아서 간단히 고정할 수 있게 개선된 기둥이 개시되어 있다. 나사식으로 돌려끼워서 체결하게 된 기둥(30,50)은 그 하단부 내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 암나사부(33)를 가지는 너트부재(32) 또는 수나사부(53)를 가지는 볼트부재(52)를 구비하여 바닥구조물에 시공된 기초볼트 또는 기초너트에 직접 돌려서 체결할 수 있게 구성되고, 쐐기식 기둥(70)은 그 하단부 내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아래로 돌출한 쐐기부(73)를 가지는 고정부재(72)를 구비하여 바닥구조물에 시공된 쐐기고정형 앵커홀더에 직접 때려박아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같은 기둥들은 별도의 용접없이 마감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작업성과 함께 미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난간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소요 부품수가 적으므로 원가절감을 통해 난간구조물의 자재비 및 시공비를 낮출 수 있다.It is to be fixed on the floor or wall to support structures such as railings and fences, temporary objects such as traffic signs, and signs such as signs. An improved column is disclosed for simple fixing. The pillars 30 and 50 screwed together by screwing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thereof, and have a nut member 32 having a female thread portion 33 formed through the center thereof or a bolt member having a male thread portion 53. Comprising (52)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directly to the foundation bolt or foundation nut constructed on the floor structure, the wedge column 7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wedge portion 73 protruding downward It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72) having a wedge fixed anchor holder constructed on the floor structure is configured to be fixed by hitting directly. Such columns can be finished without additional welding, thus greatly improving the aesthetics with its workability, and also can stably and stably fix the railing structure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railing structure. And since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is small, the material cost and construction cost of railing structure can be lowered through cost reduction.

Description

기둥{POST}Pillar {POST}

본 고안은 난간이나 울타리와 같은 구조물, 교통표지판 등의 가설물, 간판등의 부착물 따위를 지지하기 위해 바닥이나 벽에 정착시공하기 위한 기둥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초볼트 또는 기초너트에 나사식으로 돌려끼워서 체결하거나 쐐기식으로 때려박아서 간단히 고정할 수 있게 개선된 기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ar for fixing to a floor or a wall to support a structure such as a railing or a fence, a temporary sign such as a traffic sign, or a sign such as a signboard. It relates to an improved column that can be fastened simply by fastening or wedge-tapping.

난간이나 울타리와 같은 구조물은 안전을 위해 충분한 강도를 보유하여야 함은 물론, 파이프 부재들의 연결개소가 많은 만큼 작업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그것이 설치되는 장소인 건물내 또는 도시미관을 고려하여 각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대한 깨끗한 마감도 요구되는 것이다.Structures such as railings and fences must have sufficient strength for safety, as well as improve the workability as there are many connection points of the pipe members. In addition, a clean finish is required at each pipe connection, taking into account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where it is installed or the aesthetics of the city.

도 1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건물 내 계단에 설치되는 난간구조물을 예시한 것이다. 예시된 바와 같은 난간구조물은 난간(1)의 양 끝을 지지하는 엄지기둥(2)과, 이 엄지기둥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난간(1)을 받쳐주는 간살기둥(3), 그리고 볼탑(4)과 캡(5,5') 등의 마감재를 포함하여 된다. 여기서 엄지기둥(2)과간살기둥(3)은 건물의 바닥구조물에 정착시공된다.1 illustrates a railing structure installed in a staircase in a building that is most commonly seen. The handrail structure as illustrated is a thumb pillar (2) supporting both ends of the handrail (1), a liver pillar (3)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thumb pillars to support the handrail (1), and a ball top ( 4) and finishes such as caps (5,5 '). Here, the pillar pillar 2 and the liver pillar 3 are fixed to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도 2는 상기한 난간구조물의 엄지기둥(2)과 간살기둥(3)의 바닥시공 상태를 보인다. 바닥구조물(6)의 홈(7)에 기초볼트로서 앵커볼트(8)가 앵커홀더(9)에 의해 정착되어 있다. 위로 솟은 앵커볼트(8)의 나사부에는 넓은 와샤(10)가 너트(11)로 체결되어 있다. 기둥(2,3)은 그 하단부가 와샤(9)에 용접부(12)로 고정되고, 그 주위가 캡(5')으로 마감처리되어 있다. 캡(5') 또한 움직이지 않도록 기둥(2,3)에 용접부(12')로 고정된 것이다.Figure 2 shows the floor construction of the thumb pillar (2) and the liver pillar (3) of the above handrail structure. An anchor bolt 8 is anchored by the anchor holder 9 as a foundation bolt in the groove 7 of the bottom structure 6. A wide washer 10 is fastened by a nut 11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anchor bolt 8 rising upward. The pillars 2 and 3 have their lower ends fixed to the washers 9 with a welded portion 12, and the periphery thereof is finished with a cap 5 '. The cap 5 'is also fixed to the posts 2, 3 by the welds 12'.

이와같이 기초볼트에 와샤를 대로 그 위에 기둥을 용접으로 고정하는 방식은 그 작업이 매우 번거럽고 비능률적일 뿐만 아니라, 특히 용접작업중 발생되는 금속 용용물이 이리저리 비산되어 건물 바닥과 벽을 오염 내지 손상시키는 문제가 따른다. 뿐만 아니라 마감재(캡)도 용접으로 고정하여야 하므로 그 용접부가 외부로 드러나 보이는 등 미관도 그다지 좋지 못하였다.This method of welding the column on the foundation bolt by welding is not only very cumbersome and inefficient, but also causes the metal melts generated during the welding operation to scatter around and contaminate or damage the building floor and walls. Follows. In addition, because the finishing material (cap) should be fixed by welding, the aesthetic appearance was not so good as the weld part was exposed to the outside.

참고로 본 고안의 고안자는 본 고안에 앞서 국내에 출원하여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0073036를 통해 도 1과 같은 난간구조물에 있어서의 용접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상세히 언급하고 그 해결책의 하나로서 난간(난간대)과 간살기둥(난간받침대)를 현장에서 용접하지 않고 연결고정할 수 있게 하는 방법과 구조물에 관하여 제시한 바 있다.For reference,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ll the problems caused by welding in the handrail structure as shown in FIG. 1 in detail through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999-0073036 filed in Korea prior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ne of the solutions. As a result, a method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railings (handrails) and rods (handrails) without welding at the site are presented.

상기한 용접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실용신안 등록 제0095495호에 의한 지주고정구와 실용신안 등록 제0155250호에 의한 앵커장치가 알려져 있다. 전자의 지주고정구는 전술한 구조의 앵커장치를 포함하며 합성합성수지물로서 기둥 하단부를 끼울 수 있고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할 수 있는 금속너트를 매입한 고정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즉, 고정부재를 앵커볼트에 체결하면 기둥은 그 하단부가 고정부재의 결합홈에 삽입된 채 그 상단의 난간과의 사이에서 구속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후자의 앵커장치는 전술한 와샤대신 기둥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컵 모양의 정착판을 사용하고, 이 정착판을 사이에 두고 전술한 앵커볼트 대신 외부에서 기초로 묻은 앵커홀더에 쐐기를 타격하여 그 정착판을 고정한 후 그 위에 기둥 하단부를 얹도록 된 것이다.Looking at the prior art for improv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welding, the anchor fixture according to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095495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55250 are known. The former holding fixture includes the anchoring device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has a fixing member which can insert the lower end of the pillar as a synthetic synthetic resin and embeds a metal nut that can be fastened to the anchor bolt. In other words, when the fix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anchor bolt, the column is fixed while being restrained between the upper handrail and its lower e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fixing member.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anchor device uses a cup-shaped fixing plate that can accommodate the lower end of the pillar instead of the above-mentioned washer, and hits the wedge against the anchor holder buried from the outside instead of the above-described anchor bolt with the fixing plate in between. After fixing the fixing plate is to put the lower end of the pillar on it.

전술한 등록실용신안의 지주고정구나 앵커장치에 의하면, 난간동자를 용접없이 간단히 고정 및 마감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용접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방식은 그 지주고정구나 앵커장치는 난간동자를 끼움식으로 고정하는 구조여서 그 난간동자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회전 및 종방향으로 유동되어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것은 기둥의 상단이 다른 구조물에 고정되는 경우에만 유효할 뿐, 그 상단이 고정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어 그 적용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또한 각 부품수가 많으므로 원가상승을 초래하여 난간구조물의 시공비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holding fixture or anchor device of the above-described registered utility model, it is possible to simply fix and finish the baluster without welding, which will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welding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is fixing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holding fixture or anchor device is a structure for fixing the baluster by fitting, so that the baluster is not completely fixed and flows in the rotation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and is not firm. Therefore, this is only valid when the top of the column is fixed to another structure, and it is not applicable when the top of the column is not fixed, which limits its scope of application.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parts is large, the cost increases, which contributes to the construction cost burden of the handrail structur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무용접 시공을 위해, 첫째 기초볼트 또는 기초너트에 나사식으로 직접 돌려끼워서 체결하도록 개선된 기둥과, 둘째 앵커장치의 앵커홀더에 쐐기식으로 직접 때려박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기둥을 제공하려는것이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welding-free construction, can be fixed directly by screwing directly to the anchor bolt of the anchor and the anchor anchor of the second anchor device and screwed directly to the first foundation bolt or foundation nut screwed directly To provide an improved column.

도 1은 계단에 설치된 난간구조물을 예시한 측면도.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handrail structure installed on the stairs.

도 2는 종래 난간구조물에 있어서의 엄지기둥과 간살기둥의 정착구조를 보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xing structure of the pillar and liver pillar in the conventional railing structure.

도 3은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라 기초볼트에 나사식으로 돌려끼워 체결하도록 구성한 기둥과 그 고정부품을 분리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lumn and its fixing parts configured to fasten by screwing on the foundation bol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라 기초볼트에 나사식으로 돌려끼워 체결하도록 구성한 기둥의 시공상태 단면도.Figure 4a and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column configured to fasten screwed to the foundation bol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라 기초너트에 나사식으로 돌려끼워 체결하도록 구성한 기둥과 그 고정부품을 분리한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lumn and its fixing parts configured to fasten by screwing the foundation nut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라 기초너트에 나사식으로 돌려끼워 체결하도록 구성한 기둥의 시공상태 단면도.Figure 6a and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column configured to fasten screwed to the foundation nut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라 쐐기식으로 때려박아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기둥과 그 고정부품을 분리한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lumn and its fixing parts separated by the wedge-shaped to be fix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라 쐐기식으로 때려박아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기둥의 시공상태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column configured to be fixed by wedge-shaped in accordance with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50,70 : 기둥 32 : 너트부재30,50,70: pillar 32: nut member

33 : 암나사부 36,36' : 앵커볼트33: female thread 36,36 ': anchor bolt

37,57,76 : 앵커홀더 52 : 볼트부재37, 57, 76: anchor holder 52: bolt member

53 : 수나사부 56,56' : 앵커너트53: male thread 56,56 ': anchor nut

72 : 고정부재 73 : 쐐기부72: fixing member 73: wedge portion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기둥은 그 본체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너트부재를 구비하여 바닥 또는 벽구조물 에 시공된 기초볼트에 직접 돌려서 체결할 수 있게 구성되거나, 또는 그 본체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볼트부재를 구비하여 바닥 또는 벽구조물에 시공된 기초너트에 직접 돌려서 체결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first objec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having a nut member formed with a female threaded portion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directly to the foundation bolt installed on the floor or wall structure, or Or i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bolt member formed with a male screw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by turning directly to the foundation nut constructed on the floor or wall structure.

또한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기둥은 그 본체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아래로 돌출한 쐐기부를 가지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바닥 또는 벽구조물에 시공된 앵커홀더에 직접 때려박아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has a fixing member having a wedge portion protruding downwardly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to be fixed by hitting directly to the anchor holder constructed on the floor or wall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와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라 기초볼트에 나사식으로 직접 돌려끼워서 체결하도록 개선된 기둥과 그 고정부품을 분리한 사시도 및 각각의 시공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기둥(30)은 속이 비어 있는 스테인레스 파이프로 된 본체(31)와 이 본체(31)의 하단부 내면에 결합된 너트부재(32)로 구성되어 있다. 너트부재(32)는 후술하는 기초볼트에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부(33)를 가지는 것으로 이는 본체(31)의 하단부 내면에 타이트하게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외경으로 제작되거나, 바람직하게는 그압입후 압착 또는 스폿 용접을 통해 그 본체(31)와의 완전결합을 꾀할 수 있다.3 and 4a and 4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each of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column and its fixing parts improved to fasten by screwing directly to the foundation bol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illar 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ollow body of the stainless steel pipe 31 and the nut member 32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31 have. The nut member 32 has a female screw portion 33 which can be fastened to a foundation bolt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s manufactured to an outer diameter that can be tightly press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31, or preferably press-fitted therein. After the compression or spot welding it is possible to achieve a complete coupling with the main body 31.

이와같은 기둥(30)을 고정하기 위한 기초볼트로서는 통상과 같이 바닥구조물(34)에 홈(35)을 파고 거기에 타격정착형 앵커볼트(36) 또는 체결정착형 앵커볼트(36')를 정착시킨다. 타격정착형 앵커볼트(36)는 그 하단부(36a)가 원뿔모양으로 확장되어 있는데, 홈(35) 내에서 앵커홀더(37)를 타격하면 도 4a에 보인 바와 같이 타격된 앵커홀더(37)의 하단부가 앵커볼트(36)의 하단부(36a)에 의해 확장되어 홈(35)에 고착되고 동시에 앵커볼트(36)가 정착되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닥구조물(34) 위로 돌출된 앵커볼트(36) 단부에 대하여 기둥(30)을 그 본체(31) 하단부 내면에 일체로 결합된 너트부재(32)의 암나사부(33)를 결합시켜 그대로 돌려서 단단히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As a foundation bolt for fixing the pillar 30, the groove 35 is dug in the bottom structure 34 as usual, and the anchoring anchor bolt 36 or the anchoring anchor bolt 36 'is fixed thereto. Let's do it. The anchoring anchor bolt 36 has a lower end portion 36a extending in a conical shape. When the anchor holder 37 strikes the anchor holder 37 in the groove 35, the anchor holder 37 is hit as shown in FIG. 4A. The lower end portion is extended by the lower end portion 36a of the anchor bolt 36 to be fixed to the groove 35 and at the same time the anchor bolt 36 is fixed. In this state, by coupling the female screw portion 33 of the nut member 32 integral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pillar 30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anchor bolt 36 protruding above the bottom structure 34. Tighten it as it is and tighten it firmly.

한편, 체결정착형 앵커볼트(36')는 그 하단부(36a') 주면에 돌기된 리브(37b')를 더 가지는데, 이는 홈(35) 내에서 앵커홀더(37)를 타격할 필요 없이 기둥(30)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정착되도록 설계된 것이다. 즉, 앵커볼트(36')를 그 홈(35)에 앵커홀더(37)를 함께 집어넣은 상태에서, 바닥구조물(34) 위로 돌출된 앵커볼트(36') 단부에 대하여 기둥(30)를 그 본체(31) 하단부 내면에 일체로 결합된 너트부재(32)의 암나사부(33)를 결합시켜 그대로 돌려서 단단히 체결하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나사결합에 의해 앵커볼트(36')가 상승하면서 앵커홀더(37)의 하단부가 앵커볼트(36')의 확장부(36a')에 의해 확장되어 홈(34)에 고착되고 동시에 그 앵커볼트(36')가 정착되면서 기둥(30)도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리브(36b')는 앵커홀더(37)의 절결부(37a)에 안내되어 그 앵커볼트(36')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anchor bolt 36 'further has a rib 37b' protruding on the main surface of the lower end 36a ', which does not need to strike the anchor holder 37 in the groove 35. 30 is designed to be settled in the process of tightening. That is, while the anchor bolt 36 'is inserted together with the anchor holder 37 in the groove 35, the pillar 30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anchor bolt 36' protruding over the bottom structure 34. When the female threaded portion 33 of the nut member 32 integral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31 is engaged and rotated as it is, the anchor bolt 36 'is raised by the screwing as shown in FIG. 4B. While the lower end of the anchor holder 37 is extended by the expansion portion 36a 'of the anchor bolt 36' and fixed to the groove 34, and at the same time the anchor bolt 36 'is fixed, the pillar 30 is also fixed. Will be. At this time, the rib 36b 'is guided to the cutout portion 37a of the anchor holder 37 to prevent the anchor bolt 36' from being lost.

이와같은 나사식 체결방식에 의하면, 앵커홀더(37)는 기초용 앵커볼트(36,36')의 하단부(36a,36a') 모양에 의해 확장되어 바닥구조물(34)의 홈(35)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착되는 동시에 그 기초용 앵커볼트(36,36')를 단단히 붙잡게 되며, 기둥(30)은 그 본체(31)인 파이프가 바닥구조물(34)에 고착되어 있는 기초용 앵커볼트(36,36')에 체결된 너트부재(32)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 1과 같은 난간구조물을 시공완료한 상태에서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 전혀 유동되는 일이 없이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crew-type fastening method, the anchor holder 37 is extended by the shape of the lower ends 36a and 36a 'of the anchor bolts 36 and 36' for the base and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35 of the bottom structure 34. The anchor bolts 36 and 36 'are firmly held at the same time, and the pillars 30 are anchor bolts 36 for which the pipe, which is the main body 31, is fixed to the floor structure 34. And 36 ')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nut member 32 fastened to the nut member 32, so that the rail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도 5와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라 기초너트에 나사식으로 직접 돌려끼워서 체결하도록 개선된 기둥과 그 고정부품을 분리한 사시도 및 각각의 시공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기둥(50)은 속이 비어 있는 스테인레스 파이프로 된 본체(51)와 이 본체(51)의 하단부 내면에 결합된 볼트부재(52)로 구성되어 있다. 볼트부재(52)는 후술하는 기초너트에 체결될 수 있는 수나사부(53)를 가지는 것으로 이는 본체(51)의 하단부 내면에 타이트하게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외경으로 제작되거나, 바람직하게는 그 압입후 압착 또는 스폿 용접을 통해 그 본체(51)와의 완전결합을 꾀할 수 있다.5 and 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and respective construction state cross-sectional views of a column and its fixing parts improved to be fastened by screwing directly onto a foundation nu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illar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ollow body of the stainless steel pipe 51 and the bolt member 52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51 have. The bolt member 52 has a male screw portion 53 which can be fastened to a base nut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s manufactured to an outer diameter that can be tightly pressed and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51, or preferably After the compression or spot welding can be fully engaged with the main body 51.

이와같은 기둥(50)을 고정하기 위한 기초너트로서는 통상과 같이 바닥구조물(54)에 홈(55)을 파고 거기에 타격정착형 앵커너트(56) 또는 체결정착형 앵커너트(56')를 정착시킨다. 타격정착형 앵커너트(56)는 그 하단부(56a)가 원뿔모양으로 확장되어 있는데, 홈(55) 내에서 앵커홀더(57)를 타격하면 도 6a에 보인 바와 같이 타격된 앵커홀더(57)의 하단부가 앵커너트(56)의 하단부(56a)에 의해 확장되어 홈(55)에 고착되고 동시에 앵커너트(56)가 정착되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둥(50)을 그 본체(51) 하단부 내면에 일체로 결합된 볼트부재(52)의 수나사부(53)를 결합시켜 그대로 돌려서 단단히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As a base nut for fixing such a column 50, the groove 55 is dug into the bottom structure 54 as usual, and the anchoring anchor nut 56 or the anchoring anchor nut 56 'is fixed therein. Let's do it. The anchoring anchor nut 56 has a lower end portion 56a extending in a conical shape. When the anchor holder 57 is hit in the groove 55, the anchor holder 57 is hit as shown in FIG. 6A. The lower end portion is extended by the lower end portion 56a of the anchor nut 56 to be fixed to the groove 55 and the anchor nut 56 is fixed at the same time. In this state, the pillar 50 may be secured by fastening by tightening the male screw portion 53 of the bolt member 52 integral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51.

한편, 체결정착형 앵커너트(56')는 그 하단부(56a') 주면에 돌기된 리브(56b')를 더 가지는데, 이는 홈(55) 내에서 앵커홀더(57)를 타격할 필요 없이 기둥(50)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정착되도록 설계된 것이다. 즉, 앵커너트(56')를 그 홈(55)에 앵커홀더(57)를 함께 집어넣은 상태에서, 바닥구조물(54) 위로 돌출된 앵커너트(56') 단부에 대하여 기둥(50)을 그 본체(51) 하단부 내면에 일체로 결합된 볼트부재(52)의 수나사부(53)를 결합시켜 그대로 돌려서 단단히 체결하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나사결합에 의해 앵커너트(56')가 상승하면서 앵커홀더(57)의 하단부가 앵커너트(56')의 확장부(56a')에 의해 확장되어 홈(54)에 고착되고 동시에 그 앵커너트(56')가 정착되면서 기둥(50)도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리브(56b')는 앵커홀더(57)의 절결부(57a)에 안내되어 그 앵커너트(56')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Meanwhile, the anchoring anchor nut 56 'further has a rib 56b'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56a 'main surface thereof, which does not need to strike the anchor holder 57 in the groove 55. 50 is designed to settle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at is, while the anchor nut 56 'is inserted together with the anchor holder 57 in the groove 55, the column 50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anchor nut 56' protruding above the bottom structure 54. When the male screw portion 53 of the bolt member 52 which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51 is engaged and rotated as it is, the anchor nut 56 'is raised by the screwing as shown in FIG. 6B. Whil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anchor holder 57 is extended by the extension portion 56a 'of the anchor nut 56' to be fixed to the groove 54, and the anchor nut 56 'is fixed at the same time, the pillar 50 is also fixed. Will be. At this time, the rib 56b 'is guided to the cutout 57a of the anchor holder 57 to prevent the anchor nut 56' from being lost.

다음,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라 쐐기식으로 때려박아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기둥과 그 고정부품을 분리한 사시도와 시공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때려박기식 기둥(70)은 속이 비어 있는 스테인레스 파이프로 된 본체(71)와 이 본체(71)의 하단부 내면에 결합된 고정부재(72)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재(72)는 후술하는 앵커홀더에 쐐기를 박듯이 타격하여 압입함으로써 고정할 있게 돌출된 쐐기부(73)를 가지는 것으로 이는 본체(71)의 하단부 내면에 타이트하게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외경으로 제작되거나, 바람직하게는 그 압입후 압착 또는 스폿 용접을 통해 그 본체(71)와의 완전결합을 꾀할 수 있다.Next, Figures 7 and 8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onstruction state cross-sectional view of a column and its fixing parts configured to be wedge-shaped fix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unching column 7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llow body of the body 71 of the stainless pipe and the fixing member 72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71 Consists of. The fixing member 72 has a wedge portion 73 protruding to be fixed by hitting and pressing the wedge into the anchor holder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s an outer diameter that can be tightly press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71. It may be made of, or, preferably, through the press-fitting or spot welding, it can be fully engaged with the main body 71.

이와같은 때려박기식 기둥(70)은 통상의 쐐기고정형 앵커홀더에 대해 직접 때력박기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시하지 않은 전동드릴로 바닥구조물(74)에 적절한 직경과 깊이로 홈(75)을 판 다음, 통상의 쐐기고정형 앵커홀더(76)를 묻어놓고, 그 기둥(70)을 본체(71) 하단부 내면에 일체로 결합된 고정부재(72)의 쐐기부(73)를 끼워 맞춘 상태로 도시하지 않은 고무망치 등을 사용하여 그 본체(71) 상단부 또는 거기에 연결된 난간을 적절히 가격함으로써 고정하는 것이다.Such a hitting pillar 70 is intended to be directly fixed to the conventional wedge-fixed anchor holder in a pressing force. That is, a groove 75 is formed in the bottom structure 74 with a suitable diameter and depth with a power drill (not shown), and then, a conventional wedge fixed anchor holder 76 is buried, and the pillar 70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71. It is to fix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71 or the handrail connected thereto by appropriately using a rubber hammer or the like not shown while fitting the wedge portion 73 of the fixing member 72 integral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

도 8을 참조하면, 쐐기고정형 앵커홀더(76)는 그 내외면으로 약간 돌출된 가시돌기(77,77')를 가지고 있다. 즉, 그 안으로 고정부재(72)의 쐐기부(73)가 압입되면 내측 가지돌기(77)에 의해 앵커홀더(76) 하단부가 확장되고 또한 그 외측 가시돌기(77')에 의해 바닥구조물(74)의 홈(75)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착되는 동시에 그 내측 가시돌기(77)로써 쐐기부(73)의 외주면을 단단히 붙잡게 된다. 따라서 기둥(70)은 그 본체(71)인 파이프가 바닥구조물(74)에 고착되어 있는 앵커홀더(36)에 단단히 박힌 쐐기부(73)를 갖는 고정부재(72)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은 난간구조물을 시공완료한 상태에서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 전혀 유동되는 일이 없이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8, the wedge-shaped anchor holder 76 has barbed protrusions 77 and 77 'which slightly protrude into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thereof. That is, when the wedge portion 73 of the fixing member 72 is press-fitted t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anchor holder 76 is extended by the inner branch protrusion 77 and the bottom structure 74 is formed by the outer spin protrusion 77 '. At the same time, it is fixed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groove 75,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dge portion 73 is firmly held by the inner spinous protrusion 77. Therefore, since the pillar 70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fixing member 72 having the wedge portion 73 firmly embedded in the anchor holder 36 fixed to the bottom structure 74, the pipe 71 of the main body 71, The balustrade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1 is in a fixed state without any flow in the rotation and up and down directions in the completed construction state.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면에는 바닥구조물에 묻는 기초로서 앵커볼트 또는 앵커홀더를 특정 형식이나 모양의 것들로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둥들은 그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국한하여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여러 가지 형식이나 모양에 대응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기둥으로서 속이 비어 있고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를 예시하였으나, 속이 찬 것이나 단면이 다른 형상의 것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drawings illustrate anchor bolts or anchor holders in a specific form or shape as a basis for burying the floor structure, but the pilla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Of course,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corresponding to various other forms or shapes. In addition, although the hollow pipe and the circular cross section are illustrated as a pillar, a hollow one or a cross-sectional shape may also be applied.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난간이나 울타리와 같은 구조물, 교통표지판 등의 가설물, 간판등의 부착물 따위를 지지하기 위해 바닥이나 벽에 기둥을 시공함에 있어서, 나사식으로 돌려끼워 체결하거나 간단히 때려박아서 고정하고, 특히 별도의 용접없이 마감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성과 함께 미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둥을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각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소요 부품수가 적으므로 원가절감을 통해 자재비 및 시공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through the above embodiment, in the construction of pillars on the floor or wall to support structures such as railings or fences, temporary objects such as traffic signs, signs, etc. It can be fastened by pinching or simply hitting and fixing, and in particular, it can be finished without additional welding, thereby greatly improving aesthetics with its workability. In addition, the column can be stably and firmly fixed without flow,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each structure. Also, since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is small, the cost of materials and construction can be lowered through cost reduction.

Claims (3)

본체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너트부재를 구비하여 바닥 또는 벽구조물 에 시공된 기초볼트에 직접 돌려서 체결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The pilla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having a nut member formed with a female threaded portion to be directly fastened to the foundation bolt installed on the floor or wall structure. 본체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볼트부재를 구비하여 바닥 또는 벽구조물에 시공된 기초너트에 직접 돌려서 체결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기둥.The pilla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having a bolt member is formed to be fastened directly to the base nut constructed on the floor or wall structure. 본체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아래로 돌출한 쐐기부를 가지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바닥 또는 벽구조물에 시공된 쐐기고정형 앵커홀더에 직접 때려박아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A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having a fixing member having a wedge portion protruding downward to be fixed by hitting directly to the wedge fixed anchor holder constructed on the floor or wall structure.
KR2020010022396U 2001-07-24 2001-07-24 Post KR20025459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396U KR200254596Y1 (en) 2001-07-24 2001-07-24 Po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396U KR200254596Y1 (en) 2001-07-24 2001-07-24 Po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596Y1 true KR200254596Y1 (en) 2001-12-01

Family

ID=7310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396U KR200254596Y1 (en) 2001-07-24 2001-07-24 Po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596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424B1 (en) 2008-02-28 2010-05-04 정웅선 Anchor post
KR101493970B1 (en) 2014-04-16 2015-02-17 김현구 Fixed handrail bracket
KR200480737Y1 (en) * 2015-08-13 2016-06-30 (주)아르디온 Height-adjustable structure of wooden beams
KR20160149569A (en) * 2015-06-18 2016-1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Handrail for submarine deck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424B1 (en) 2008-02-28 2010-05-04 정웅선 Anchor post
KR101493970B1 (en) 2014-04-16 2015-02-17 김현구 Fixed handrail bracket
KR20160149569A (en) * 2015-06-18 2016-1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Handrail for submarine deck
KR101705451B1 (en) * 2015-06-18 2017-02-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Handrail for submarine deck
KR200480737Y1 (en) * 2015-08-13 2016-06-30 (주)아르디온 Height-adjustable structure of wooden bea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57374A (en) Fence
US8113489B1 (en) Rail
KR20210129099A (en) Anchor-balustrade assembly
KR200254596Y1 (en) Post
JP5037864B2 (en) Base structure of metal tube column
KR100955424B1 (en) Anchor post
KR200493538Y1 (en) Binding structure of stair railing
KR200260465Y1 (en) Post
KR101712376B1 (en) Wood type support for guardrail
JPH10238135A (en) Reinforcing device and repair method of metallic column
JP2003343062A (en) Attaching device for handrail suppor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334801Y1 (en) The assembly anchor for a post of balustrade
JP2992263B2 (en) Prop standing method and prop structure
AU2008100442B4 (en) A Clamp
JP3729926B2 (en) Standing device for handrail column
JP2002054279A (en) Fixture for handrail pole
KR200333945Y1 (en) Prop fixing apparatus for balustrade
JP2598417Y2 (en) Cap mounting structure for protective fence post
JP2004137780A (en) Fixing structure and fixing method of steel pipe pole by anchor
JP2003321949A (en) Leg fittings for steel pipe column
AU635113B2 (en) Improved balustrade anchorage assembly
KR200358130Y1 (en) Support tool for anchor bolt
JPH11270092A (en) Attaching method for handrail
JP3127651U (en) Crosspiece fixing bracket
JPH0524296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