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409Y1 -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 - Google Patents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409Y1
KR200254409Y1 KR2020010026855U KR20010026855U KR200254409Y1 KR 200254409 Y1 KR200254409 Y1 KR 200254409Y1 KR 2020010026855 U KR2020010026855 U KR 2020010026855U KR 20010026855 U KR20010026855 U KR 20010026855U KR 200254409 Y1 KR200254409 Y1 KR 200254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rt
seedling tray
inclined portion
bed
top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진
백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진산업
백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진산업, 백기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진산업
Priority to KR2020010026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409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채소, 꽃, 담배, 곡식 등의 씨앗을 파종하여 묘종으로 육묘할 수 있도록, 몸체 상부로는 종방향 및 횡방향 대해서 단위포트(11)가 반복 형성되고, 상기 단위포트(11)의 저면으로는 관통홀(12)이 구비되며, 몸체 외측 단부에는 절곡면(13)이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단위포트(11)의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절곡면(13)에는 상부에서 하측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부(14)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포트(11)의 저면 관통홀(12) 하부로는 베드(20)와 접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면접촉수단(15)이 형성되므로, 따라서, 본 고안인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는 몸체 측면부로 형성되는 절곡면(13)은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경사부(14)를 형성하여 상토 충진 작업시 상토가 경사부(14)에 의해 자연스럽게 낙하시켜 상토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단위포트(11)의 저면으로 형성되는 면접촉수단(15)에 의해 양액 및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베드(20)에 안착시 상호 접촉을 용이하게 하여 종자의 배양효과를 극대활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Nursery tray for bottom watering}
본 고안은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육모 트레이의 본체 측면으로 상토 작업시 잔여흙이 측면부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부를 형성하고, 저면으로는 베드와 면접촉이 용이하게 면접촉수단을 형성하여, 육묘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육묘시에는 육묘 트레이를 이용하여 육묘 트레이에 상토를 채우고 파종을 하여 재배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육묘용 트레이는 다수개의 단위 포트가 종횡으로 나란하게 일렬 배치된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육모용 트레이는 통상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다수개의 단위 포트가 종과 횡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 단위 포트 저면 중앙부에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종래의 육묘용 트레이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성형하므로, 트레이의 강성보강을 위하여 몸체의 측면부에 보강수단이 형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즉, 육묘용 트레이의 절곡면 단부에 날개부를 형성하여 비교적 얇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육묘용 트레이의 휨현상 및 트레이의 전체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육묘용 트레이에 종자를 파종한 후 수분을 공급하는 관수방법으로는 크게 수분을 상부에서 스프링 쿨러등을 이용하여 살포하는 방식과, 양액 및 수분이 함유된 베드위에 육묘용 트레이를 안착시켜 저면에서 수분 및 양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저면관수 방식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육묘용 트레의 포트내부로 상토를 충진시키는 작업은 통상 자동화된 공정을 이용하여 먼저 상토를 포트내부로 충진시킨 후, 후 공정으로 롤러 및 브러쉬를 이용하여 포트주변에 잔류된 흙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상토를 충진시켜 사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육묘 트레이는 몸체의 성형시 비교적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다수개의 포트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구성되는 관계로, 몸체 측면부의 절곡면에는 강성보강을 위한 보강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종래 육묘용 트레이의 강성보강수단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 측면 절곡면 단부에 수평을 연장된 날개부를 형성하고, 또한, 절곡면에 선택적으로보강홈을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육묘용 트레이의 강성보강수단으로 절곡면에 형성되는 보강홈은 상토 충진 작업시 포트를 제외한 보강홈에도 상토가 잔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이 상토 충진 작업시 포트를 제외한 보강수단인 보강홈에 상토가 잔류되는 관계로 인하여, 작업자는 후작업으로 보강홈에 잔류되어 있는 상토를 콤프레샤 등을 이용하여 제거해야 하므로, 작업 편의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는, 종래 육묘용 트레이의 측면 절곡면은 소정의 경사도를 갖고, 상기 절곡면에 보강수단인 보강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관계로, 상토 충진작업시 상토가 보강홈에 잔류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 상기와 같이 육묘용 트레이의 보강홈에 잔류된 상토는 에어가압에 의해 제거하여 사용하고는 있으나, 상기 제거작업 후에도 잔류되는 상토는 양액 및 수분이 함유된 베드로 낙하되어, 작업환경 저하와 주변 미관을 크게 저해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종자의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종래 육묘용 트레이의 절곡면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날개부를 보강수단으로 적용시켜 사용하는 방식은 육묘용 트레이의 전체적인 휨현상 및 형상을 보존하는 역할을 어느정도 수행할 수 있으나, 상토 충진작업시 절곡면을 타고 잔류 낙하되는 상토가 날개부의 상부로 안착되어, 작업편의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이 육묘용 트레이의 휨현상 방지와 자체 강성 유지등을 위하여 보강수단으로 절곡면의 단부에 날개부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형성할 경우, 파종후 다수개의 육묘용 트레이를 진열하여 육묘시키는 과정에서, 각각의 트레이 날개부가 상호 겹쳐지게 배열될 경우, 날개부의 상부로 안착된 상토의 두께 또는 각각의 트레이의 자체 날개 두께에 의한 단차가 발생될 수 있어, 베드와 트레이가 상호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아 저면 베드로 부터의 양액 및 수분의 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그로 인한 밀착되지 않은 부분의 종자 성장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육모 트레이의 본체 측면으로 상토 작업시 잔여흙이 측면부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부를 형성하고, 저면으로는 베드와 면접촉이 용이하게 면접촉수단을 형성하여, 육묘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가 베드 상부로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베드 상부로 안착된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단위포트의 저면부로 형성되는 면접촉수단의 형상 및 안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5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종래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의 형상을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육묘 트레이 11 - 단위포트
12 - 관통홀 13 - 절곡면
14 - 경사부 15 - 면접촉수단
16 - 접촉돌기 17 - 라운드부
18 - 보강홈 19 - 날개부
20 - 베드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채소, 꽃, 담배, 곡식 등의 씨앗을 파종하여 묘종으로 육묘할 수 있도록, 몸체 상부로는 종방향 및 횡방향 대해서 단위포트(11)가 반복 형성되고, 상기 단위포트(11)의 저면으로는 관통홀(12)이 구비되며, 몸체 외측 단부에는 절곡면(13)이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단위포트(11)의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절곡면(13)에는 상부에서 하측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부(14)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포트(11)의 저면 관통홀(12) 하부로는 베드(20)와 접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면접촉수단(15)이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는 몸체 측면부로 형성되는 절곡면(13)은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경사부(14)를 형성하여 상토 충진 작업시 상토가 경사부(14)에 의해 자연스럽게 낙하시켜 상토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단위포트(11)의 저면으로 형성되는 면접촉수단(15)에 의해 양액 및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베드(20)에 안착시 상호 접촉을 용이하게 하여 종자의 배양효과를 극대활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가 베드 상부로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베드 상부로 안착된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단위포트의 저면부로 형성되는 면접촉수단의 형상 및 안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종래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의 형상을 요부 확대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10)는 몸체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절곡면(13)에는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경사부(14)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4)는 도 2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경사도가 형성된 관계로, 단위포트(11) 내부로 상토 충진 작업시 상토가 경사부(14)에 의해 자연스럽게 낙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종래와 같이 절곡면(13)에 강성보강을 위한 보강홈(18) 및 날개부(19)가 형성된 경우 상토작업시 상토가 보강홈(18) 및 날개부(19)의 상부로 잔류되어 후작업에 의해 상토를 제거하여야 하지만, 본 고안은 절곡면(13)에 경사부(14)가 형성되는 관계로, 상토충진 작업시 상토가 절곡면(13) 부위에서 경사부(14)에 의해 자연스럽게 낙하되어 상토의 잔류를 미연에 방지하여 후공정에 의해 상토제거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인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의 절곡면(13)에 형성되는 경사부(14)에도 강성보강을 위한 보강홈(18)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 ~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면(13)의 휨현상이나 강성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부(14)에 횡방향에 대해서 보강홈(18)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보강홈(18) 역시 제품의 성격 및 크기와 적용관계 등을 감안하여 절곡면(13)의 경사부(14)에 일체로 비교적 길게 보강홈(18)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보강홈(18)을 등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보강홈(18)을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하는 구성이나 부분적으로 등분하여 형성하는 방식역시 본 고안의 구성에 모두 포함된다.
또, 상기 절곡면(13)에 형성되는 경사부(14)가 갖는 경사각도 역시 상토의 자중에 의한 낙하가 가능한 설정각도(수직 방향에 근접되는 예각)내에서 자유롭게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의 설정각도 및 가변되는 각도 역시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된다.
한편, 상기 단위포트(11)의 저면부에는 양액 및 수분이 함유된 베드(20)와 보다 용이한 접촉으로 종자의 배양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면접촉수단(15)이 형성된다.
상기 면접촉수단(15)은 도 4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포트(11)의 저면으로 접촉돌기(16)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저면부에 라운드부(17)를 형성하여 베드(20)와의 면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먼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포트(11)의 저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접촉돌기(16)는 육묘 트레이(10)를 소정의 쿠션을 갖는 베드(20)의 상부로 안착시킬 경우 자중에 의해서 단위포트(11)의 저면보다 보다 깊숙히 베드(20)로 면접촉 되면서, 관통홀(12)을 통해 양액 및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 저면부에 라운드부(17)를 형성하는 구성은 접촉돌기(16)와 같이 단위포트(11)의 저면보다 보다 깊숙히 라운드부(17)에 의해 베드(20)와 보다 긴밀히 면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는 몸체 외주면의 절곡면(13)에 경사부(14)가 형성되어 상토 충지작업시 상토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며, 단위포트(11)의 저면으로 형성되는 면접촉수단(15)에 의해 베드(20)와 보다 긴밀히 면접촉되면서, 종자의 배양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의 몸체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절곡면에 경사부가 형성되므로 단위포트 내부로 상토의 충진작업시 상토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성편의성 향상 및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단위포트의 저면부로 베드와 면접촉을 보다 긴밀히 유지할 수 있는 면접촉수단이 형성되므로, 단위포트의 관통홀을 통해 베드에 함유된 양액 및 수분등을 용이하게 상부로 이동시켜 종자의 배양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채소, 꽃, 담배, 곡식 등의 씨앗을 파종하여 묘종으로 육묘할 수 있도록, 몸체 상부로는 종방향 및 횡방향 대해서 단위포트(11)가 반복 형성되고, 상기 단위포트(11)의 저면으로는 관통홀(12)이 구비되며, 몸체 외측 단부에는 절곡면(13)이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단위포트(11)의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절곡면(13)에는 상부에서 하측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부(14)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포트(11)의 저면 관통홀(12) 하부로는 베드(20)와 접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면접촉수단(1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면(13)의 경사부(14)에는 강성유지를 위한 보강홈(1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면(13)의 경사부(14)는 자중에 의해 상토가 낙하될 수 있도록, 예각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
  4.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포트(11) 저면으로 형성되는 면접촉수단(15)은 단위포트(11)의 하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접촉돌기(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
  5.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포트(11) 저면으로 형성되는 면접촉수단(15)은 단위포트(11)의 하부로 소정의 라운드부(17)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
KR2020010026855U 2001-09-03 2001-09-03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 KR200254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855U KR200254409Y1 (ko) 2001-09-03 2001-09-03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855U KR200254409Y1 (ko) 2001-09-03 2001-09-03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409Y1 true KR200254409Y1 (ko) 2001-11-23

Family

ID=7305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855U KR200254409Y1 (ko) 2001-09-03 2001-09-03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4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66444A1 (en) Propagation container for plants and propagation plate having several such propagation containers
JP6598131B1 (ja) カセット式苗木育成コンテナ
KR200254409Y1 (ko)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
KR101360222B1 (ko) 수경재배용 연결포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방법
JPH10295193A (ja) 育苗用ポット及び育苗用セルトレー
KR20160080902A (ko) 딸기 육묘전용 포트 분리형 트레이
JP4116023B2 (ja) 育苗ポット及び苗床
JP2528731Y2 (ja) 育苗用トレー
KR200455257Y1 (ko) 원예작물 재배용 화분조립체
CN212851922U (zh) 一种果树育苗盘
KR200359247Y1 (ko) 육묘용 상토의 분배기
JP2004236554A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JP2000262151A (ja) 植木鉢・プランター
KR20120008782U (ko) 소형 분화 유통트레이
KR200199950Y1 (ko) 육묘용 포트
JP2022026022A (ja) 寄せ植え用プランター
KR200344752Y1 (ko) 육묘용 트레이
KR200344753Y1 (ko) 육묘용 트레이
KR200389538Y1 (ko) 새싹채소재배용기
KR200183234Y1 (ko) 배수돌편이 구비된 육묘상자
KR20050042387A (ko) 육묘용 트레이를 사용한 묘의 재배방법.
KR20200143119A (ko) 공기유입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분
KR200344751Y1 (ko) 육묘용 트레이
JPH0444059Y2 (ko)
KR200306825Y1 (ko) 모종 포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