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215Y1 - 저전압 전원 발광 다이오드 점등 회로장치 - Google Patents

저전압 전원 발광 다이오드 점등 회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215Y1
KR200253215Y1 KR2020010022887U KR20010022887U KR200253215Y1 KR 200253215 Y1 KR200253215 Y1 KR 200253215Y1 KR 2020010022887 U KR2020010022887 U KR 2020010022887U KR 20010022887 U KR20010022887 U KR 20010022887U KR 200253215 Y1 KR200253215 Y1 KR 200253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il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npn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준
Original Assignee
최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준 filed Critical 최형준
Priority to KR2020010022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215Y1/ko

Link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1.5V의 저전압으로도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 할 수 있고 극히 적은 전류로 점등을 가능케 하도록 코일(L1)에 병렬로, 콘덴서(C1)를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1)와 발광 다이오드(LD1)를 연결하여 코일(L1)에 흐르는 전류를 트랜지스터(Q1)가 개방될 시 코일(L1) 양단에 발생하는 높은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저전압의 전원에서도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할 수 있는 회로 장치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저전압 전원 발광 다이오드 회로는 통상적으로 1.8V 이상의 전압에서 동작하는 발광다이오드를 1.5V 배터리 하나로 작동시킬 수 있는 회로로서, 표시기능으로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저전압 사용제품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저전압 전원 발광 다이오드 점등 회로장치{Lighting circuit system of a low voltage working photo diode}
본 고안은 저전압에서도 동작이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 점등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는 LED(Light Emitting Diode)라 불리우며 빛을 발하는 반도체소자를 말하며 각종 전자제품류와 자동차 계기판 등의 전자표시판에 활용되고 있다. LED 발광 색상은 빨강.녹색.노랑.오렌지색 등이 있으며, 첨가하는 불순물의 함량에 따라 재질의 파장이 달라 파장은 가시광선 영역인 400~700nm 사이이며 적색은 700nm대, 녹색은 565nm, 노랑은 585nm , 오렌지색은 635nm의 파장을 형성하고 있다.
LED는 모노리식 LED 디스플레이와 하이브리드형 LED 디스플레이로 분류되며 반도체라는 특성으로 인해 처리속도, 전력소모, 수명 등의 제반사항에서 큰 장점을 보여 각종 전자제품의 전자표시 부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기존 전구램프처럼 눈이 부시거나 엘러먼트가 단락되는 경우가 없는 LED는 소형으로 제작돼 각종 표시소자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약 1백만 시간의 수명으로 그 활용도가 높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는 종래의 광원(光源)에 비해 소형이고,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들고 효율이 좋으며, 고속응답이라 자동차 계기류의 표시소자, 광통신용 광원 등 각종 전자기기의 표시용 램프, 숫자표시 장치나 계산기의 카드 판독기 등에 쓰이고 있다. 주입형 반도체 레이저는 주입 밀도가 매우 높은 발광 다이오드의 일종이며, 반전분포(反轉分布)가 발생하여 간섭성(干涉性) 빛을 생기게 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정상 점등을 위해서는 1.8V 내지 3.6V의 전압이 필요하나 건전지 1개 또는 2개로 사용하는 전자제품이 많으나 발광 다이오드를 동작시키는 전원이 낮아서 직접 점등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저전압 전원 회로에서는 DC-DC 컨버터와 같은 복잡한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는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할 수 없었으나, 본 고안은 1.5V의 저전압으로도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 할 수 있고 극히 적은 전류로 점등을 가능케 하도록 코일(L1)에 병렬로, 콘덴서(C1)를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1)와 발광 다이오드(LD1)를 연결하여 코일(L1)에 흐르는 전류를 트랜지스터(Q1)가 개방될 시 코일(L1) 양단에 발생하는 높은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저전압 전원 발광 다이오드 점등 회로 장치를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저전압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하는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두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는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음극공통으로 연결한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하는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두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직렬 연결한 점등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2, 3, 4, 5 : 신호입력단자 10, 20, 30, 40 : 고압발생부
11, 21, 31, 41 : 다이오드 동작부 L1 : 코일
C1, C2 : 콘덴서 Q1~Q3 : npn 트랜지스터
Q4~Q5 : pnp 트랜지스터 LD1~LD2 : 발광 다이오드
R1~R5 : 저항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코일과 콘덴서가 병렬로 연결되고 한쪽 단자는 전원과 연결되며 다른 단자는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와 연결되고,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는 전원과 연결되어 스위칭을 반복하는 고압발생부와, 코일과 직렬로 다이오드의 캐소드 방향의 단자를 연결하고 다른 단자는 접지와 연결시키는 다이오드 동작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이오드 동작부는 코일과 직렬로 두 개의 다이오드를 코일에 캐소드의 방향으로 연결하고 다른 단자는 접지와 연결되며, 코일에 pnp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가 연결되고, pnp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가 연결되며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신호입력단자에 연결되고, pnp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와 직렬로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가 연결되며 두 개의 pnp, npn 트랜지스터 사이와 두 개의 다이오드사이가 연결되고,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에 신호입력단자가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이오드 동작부는, 두 개의 pnp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단자가 직렬로 연결되어 코일과 병렬로 연결되며, 두 개의 pnp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에 각각 두 개의 다이오드가 캐소드의 방향으로 연결되고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접지되며, 두 개의 pnp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는 각각 두 개의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가 연결되고, 두 개의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각각 신호 입력단자가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이오드 동작부는 두 개의 다이오드가 캐소드방향으로 마주보며 직렬로 연결되어 병렬로 코일과 연결되고, 하나의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가 연결되며 이미터 단자는 접지되며, 베이스 단자는 신호입력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가 연결되고, 이미터단자는 접지되고 베이스단자는 신호입력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가 저전압에도 동작할 수 있는 회로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성은 고압발생부(10)와 다이오드 동작부(11)로 구분되며, 고압발생부(10)는 신호입력단자 1, 2, 코일(L1), 콘덴서(C1), 콘덴서(C2), npn 트랜지스터(Q1)로 이루어지고, 다이오드 동작부(20)는 발광다이오드 (LD1)로 이루어진다.
코일(L1)은 인덕터로 전선이나 코일을 감아서 만들어지며, 회로를 흐르는 전류가 변화할 때, 그 회로 자체에 전류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기전력이 유발되는 현상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하였으며 자기유도라고 한다.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면 코일에 흐르는 자력선속이 변화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전자유도 현상으로서, 회로의 스위치를 끊는 순간 불꽃이 튀는 것은 전류가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스위치의 접점에 큰 유도 기전력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이때 발생되는 기전력 V는 코일(L1)과 흐르는 전류 i의 시간적 변화율에 비례하여 V =-L1 ·di/dt가 된다. 따라서 전류가 급격히 변화하면 할수록 이 변화를 방해하는 유도 기전력의 값이 커지게 된다.
콘덴서(C1), (C2)는 전기용량을 얻기 위한 소자로 정전용량 C 를 가진 콘덴서에 전압 V 를 가하면, CV 만큼의 전하가 축적되며, 본 고안에서는 다이오드(LD1)의 동작을 지연시키주는 기능을 한다.
트랜지스터(Q1)는 실리콘 또는 게르마늄 반도체로 pnp 접합 혹은 npn 접합을 만들고 증폭등을 시키는 반도체소자로 베이스, 이미터, 콜렉터 3개의 전극을 가지며 소형이며 수명이 길고 고성능이며 고신뢰성의 제어전류형 소자이며, 도 1에서는 npn 트랜지스터(Q1)이다.
발광다이오드(LD1)는 p-n 접합에서 주입된 전류 캐리어가 재결합하거나 에너지준위를 바꿀 때 빛을 방출하는 소자로 각종 장비에 표시하는 기능으로 사용된다.
도1에 따른 회로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은 1.5V의 배터리를 사용하며, 종래의 발광다이오드의 동작은 통상적으로 1.8V에서 3.6V사이에서 작동하므로 1.5V 배터리 하나만으로 장치를 구동시키는 장비에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없다.
단자 1에는 전원(+1.5V 또는 +3 V)이 연결되어 코일 (L1)을 지나 npn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collector)전극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콘덴서 (C1)가 코일 (L1)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콘덴서 (C2)가 트랜지스터 (Q1)의 이미터(emitter)전극과 접지 사이에 도면과 같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LD1)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전극과 접지 사이에 캐소드(cathode) 전극의 방향이 접지를 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단자 2에 + 전압이 걸리면 트랜지스터(Q1)가 단로(short)되어 코일(L1)에 전류가 흐르게 되나 발광 다이오드(LD1)는 전압이 부족하여 발광 다이오드(LD1)가 동작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단자 2에 걸린 + 전압을 제거하면(0V로 하면)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전극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며, 이때 코일 (L1)에는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전압은 코일(L1)에 시간당 흐르는 전류의 변화의 양에 비례하여 발생하며 전류의 변동폭이 크면 클수록 유기되는 기전력은 높게된다.
따라서 전원을 차단하여 유기되는 기전력 V =-L1 ·di/dt이며, di/dt는 시간당 변하는 전류의 양을 나타내며, 코일(L1)은 인덕턴스를 나타낸다.
단자 2에 걸려있는 +전압을 제거하면 npn 트랜지스터(Q1)를 오프시키는 짧은 시간에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 시키기에 충분한 전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단자 2의 +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발생되는 기전력으로 발광다이오드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순간적으로 단자 2에 온(on), 오프(off)를 반복시켜 점등이 가능하며 연속적인 점등을 하는 경우에는 단자 2에 가하는 전압을 펄스 상태로 반복하여 가하면 시각적으로 계속 점등된 것 처럼 보인다. 코일 (L1)에 발생한 기전력은 콘덴서 (C1)에 충전되어 점등시간을 보다 길게하며, 콘덴서 (C2)는 npn 트랜지스터 (Q1)가 너무 빨리 개방되는 것을 지연시켜 점등 시간을 약간 길게 해준다.
한편, 콘덴서 (C1), (C2)가 없어도 점등은 되나 점등시간이 짧다.
또한, 도 2는 본고안에 따른 2개의 발광 다이오드(LD1), (LD2)를 점등시킬 수 있는 회로도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성은 고압발생부(20)와 다이오드 동작부(21)로 구분되며, 고압발생부(20)는 신호입력단자 1, 2, 코일(인덕터)(L1), 콘덴서 (C1), (C2), npn 트랜지스터(Q1), 저항(R1)으로 이루어지고, 다이오드 동작부(21)는 신호입력단자 3, 4, 5, npn 트랜지스터(Q2)(Q3)와 저항(R2, R3), 발광다이오드(LD1, LD2)로 이루어진다. 신호입력단자 5는 접지로 연결되는 모든 소자가 신호입력단자 5에 연결되는 것을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고압발생부(20)는 단자 2에 + 전압의 온, 오프를 빠르게 반복하면 시간당 전류의 변화가 발생되어 코일(L1)에는 기전력이 유기되어 발광다이오드(LD1, LD2)를 점등시키는 것으로, 전원은 1.5V의 배터리 하나로 가능하며 단자 1에는 전원(+1.5V 또는 +3V)이 연결되어 코일 (L1)을 지나 npn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 전극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콘덴서 (C1)가 코일 (L1)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콘덴서 (C2)가 npn 트랜지스터 (Q1) 콜렉터 전극과 코일(L1)이 연결된 사이에 병렬로 접지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npn 트랜지스터 (Q1)의 이미터 전극은 접지와 연결되며, 베이스 전극에는 저항(R1)이 단자 2와 연결되어 고압발생부(20)를 구성한다.
다이오드 동작부(21)는 발광다이오드(LD1, LD2)를 서로 애노드 전극이 마주보며 직렬 연결하여 고압발생부(20)의 코일(L1)에 병렬로 연결한다.
발광다이오드(LD1)의 캐소드 전극에는 npn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전극과 연결되며, npn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극에는 저항(R2)과 신호입력단자 3이 연결되어 + 전압이 입력되면 발광다이오드(LD1)가 동작하게 된다.
다음에 발광다이오드(LD2)의 캐소드 전극에는 npn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전극이 연결되며, npn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전극에 저항(R3)과 신호입력단자 4가 연결되어 + 전압이 입력되면 발광 다이오드(LD2)가 동작하게 된다.
즉, 단자 3에 + 전압을 가하면 npn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극에 전압이 유기되어 npn 트랜지스터(Q2)가 단락되어 발광 다이오드(LD1)가 점등을 하게되며,단자 4에 + 전압을 가하면 npn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전극에 전압이 유기되어 npn 트랜지스터(Q3)가 단락되어 발광다이오드(LD2)가 점등을 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음극공통(common cathode)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성은 고압발생부(30)와 다이오드 동작부(31)로 이루어지며, 고압발생부(30)는 신호입력단자 1, 2, 코일(인덕터)(L1), 콘덴서 (C1), (C2), npn 트랜지스터(Q1), 저항(R1)으로 이루어지고, 다이오드 동작부(31)는 신호입력단자 3, 4, 5, npn 트랜지스터(Q2)(Q3), pnp 트랜지스터(Q4)(Q5), 저항(R2, R3, R4, R5)과 음극 공통으로 두개의 발광다이오드(LD1, LD2)의 애노드 전극을 접지시켜서 이루어진다. 신호입력단자 5는 접지로 연결되는 모든 소자가 신호입력단자 5에 연결되는 것을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고압발생부(30)는 단자 2에 + 전압의 온, 오프를 빠르게 반복하면 시간당 전류의 변화가 발생되어 코일(L1)에는 기전력이 유기되어 발광다이오드(LD1, LD2)를 점등시키는 것으로, 전원은 1.5V의 배터리 하나로 가능하며 단자 1에는 전원(+1.5V 또는 +3V)이 연결되어 코일 (L1)을 지나 npn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 전극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콘덴서 (C1)가 코일 (L1)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콘덴서 (C2)가 npn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 전극과 코일(L1)이 연결된 사이에 병렬로 접지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npn 트랜지스터 (Q1)의 이미터 전극은 접지와 연결되며, 베이스 전극에는 저항(R1)이 연결되어 단자 2와 연결되어 고압발생부(30)를 구성한다.
다이오드 동작부(31)는 두 개의 음극공통 발광다이오드(LD1, LD2)의 애노드 전극이 공통으로 접지와 연결되며, 먼저, 발광다이오드(LD1)의 캐소드 전극은 pnp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 전극에 연결되고, pnp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전극에는 저항(R2)을 사이에 두고 npn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전극과 연결하며, npn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극에는 저항(R4)이 연결되어 신호입력단자 3에 연결된다.
다른 발광다이오드(LD2)의 캐소드 전극은 pnp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 전극에 연결되고, pnp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 전극에는 저항(R3)을 사이에 두고 npn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전극과 연결되며, npn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전극에는 저항(R4)이 연결되어 신호입력단자 4에 연결된다.
도 3의 음극공통 발광 다이오드의 동작을 설명하면, 발광 다이오드(LD1)를 동작시키는 것은 단자 3에 + 전압이 가해지면 npn 트랜지스터(Q2)가 단락되고 따라서 pnp 트랜지스터(Q4)가 단락되어 발광 다이오드(LD1)가 점등되며, 발광 다이오드(LD2)를 동작시키는 것은 단자 4에 + 전압이 가해지면 npn 트랜지스터(Q3)가 단락되고 따라서 pnp 트랜지스터(Q5)가 단락되어 발광 다이오드(LD2)가 점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두 개의 발광 다이오드(LD1, LD2)를 직렬로 연결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성은 고압발생부(40)와 다이오드 동작부(41)로 나뉘어지며, 고압발생부(40)는 신호입력단자 1, 2, 코일(인덕터)(L1), 콘덴서 (C1), (C2), npn 트랜지스터(Q1), 저항(R1)으로 이루어지고, 다이오드 동작부(41)는 신호입력단자3, 4, 5, npn 트랜지스터(Q2)(Q3), pnp 트랜지스터(Q4), 저항(R2, R3, R4)과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D1)의 캐소드 전극을 접지시키고 애노드 전극과 다른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D2)의 캐소드 전극을 직렬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신호입력단자 5는 접지로 연결되는 모든 소자가 신호입력단자 5에 연결되는 것을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고압발생부(40)는 단자 2에 + 전압의 온, 오프를 빠르게 반복하면 시간당 전류의 변화가 발생되어 코일(L1)에는 기전력이 유기되어 발광다이오드(LD1, LD2)를 점등시키는 것으로, 전원은 1.5V의 배터리 하나로 가능하며 단자 1에는 전원(+1.5V 또는 +3 V)이 연결되어 코일 (L1)을 지나 npn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 전극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콘덴서 (C1)이 코일 (L1)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콘덴서 (C2)가 npn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 전극과 코일(L1)이 연결된 사이에 병렬로 접지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npn 트랜지스터 (Q1)의 이미터 전극은 접지와 연결되며, 베이스 전극에는 저항(R1)이 연결되어 단자 2와 연결되어 고압발생부(40)를 구성한다.
다이오드 동작부(41)는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D1)의 캐소드 전극을 접지시키고 애노드 전극과 다른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D2)의 캐소드 전극을 직렬 연결하고, pnp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 전극과 npn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전극을 연결하여 두 개의 발광다이오드(LD1, LD2)의 접속점에 연결시키며, 상기 pnp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전극에 저항(R3)과 npn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전극과 연결하며, 베이스 전극에는 저항(R4)을 연결하여서 전원입력단자 3에 연결하며, 상기 npn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극에 저항(R2)을 연결시켜 전원입력 단자 4에 연결시켜 구성한다.
도 4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동작을 설명하면, 전원입력 단자 3에 + 전압이 가해지면 npn 트랜지스터(Q3)가 단락됨에 따라 pnp 트랜지스터(Q4)도 단락되고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LD1)가 점등되며, 발광 다이오드(LD2)를 동작시키는 것은 단자 4에 + 전압이 가해지면 npn 트랜지스터(Q2)가 단락되어 발광 다이오드(LD2)가 점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저전압 전원 발광 다이오드 회로는 통상적으로 1.8V 이상의 전압에서 동작하는 발광다이오드를 1.5V 배터리 하나로 작동시킬 수 있는 회로로써, 표시기능으로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저전압 사용제품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저전압 전원 회로에서는 DC-DC 컨버터와 같은 복잡한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는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할 수 없었으나 1.5V 배터리 하나만으로 동작하는 장치에 통상적으로 1.8V에서 동작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고, 극히 적은 전류로도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코일과 콘덴서가 병렬로 연결되고 한쪽 단자는 전원과 연결되며 다른 단자는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는 전원과 연결되어 스위칭을 반복하는 고압발생부와;
    상기 코일과 직렬로 다이오드의 캐소드 방향의 단자를 연결하고 다른 단자는 접지와 연결시키는 다이오드 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전원 발광 다이오드 점등 회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동작부는
    상기 코일과 직렬로 두 개의 다이오드를 상기 코일에 캐소드의 방향으로 연결하고 다른 단자는 접지와 연결되며, 상기 코일에 pnp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pnp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가 연결되며 상기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신호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pnp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와 직렬로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가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pnp, npn 트랜지스터 사이와 상기 두 개의 다이오드사이가 연결되고, 상기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에 신호입력단자가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전원 발광 다이오드 점등 회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동작부는,
    두 개의 pnp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단자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코일과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pnp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에 각각 두 개의 다이오드가 캐소드의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접지되며,
    상기 두 개의 pnp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는 각각 두 개의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각각 신호 입력단자가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전원 발광 다이오드 점등 회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동작부는
    두 개의 다이오드가 캐소드방향으로 마주보며 직렬로 연결되어 병렬로 상기 코일과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가 연결되며 이미터 단자는 접지되며, 베이스 단자는 신호입력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npn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가 연결되고, 이미터단자는 접지되고 베이스단자는 신호입력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전원 발광 다이오드 점등장치.
KR2020010022887U 2001-07-27 2001-07-27 저전압 전원 발광 다이오드 점등 회로장치 KR200253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887U KR200253215Y1 (ko) 2001-07-27 2001-07-27 저전압 전원 발광 다이오드 점등 회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887U KR200253215Y1 (ko) 2001-07-27 2001-07-27 저전압 전원 발광 다이오드 점등 회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215Y1 true KR200253215Y1 (ko) 2001-11-22

Family

ID=7310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887U KR200253215Y1 (ko) 2001-07-27 2001-07-27 저전압 전원 발광 다이오드 점등 회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2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9119B2 (ja) 回路装置及びこの回路装置を具備する信号灯
US8183795B2 (en) LED current-supplying circuit and LED current-controlling circuit
CN101569236B (zh) 用于使发光二极管的至少一个串联电路运行的触发装置和方法
US7675240B2 (en) Light emitting diode circuit having even current
JP2004119422A (ja) 発光素子駆動回路
JP2003100472A (ja) 発光ダイオード用駆動装置
GB2567346A (en) Ripple current generation circuit
CN213991099U (zh) 一种led恒流驱动控制电路
US10143061B2 (en) Constant current power supply with a plurality of current outputs for LED lamps
US8115396B2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protecting circuit
KR200253215Y1 (ko) 저전압 전원 발광 다이오드 점등 회로장치
DE59602580D1 (de) Schaltungsanordnung zur Begrenzung von Schaltüberspannungen an Leistungshalbleiterschaltern
CN209845375U (zh) 用于led驱动器的输出电流控制电路
KR101518554B1 (ko) 다수의 led 모듈을 구동하는 전원 공급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 장치
CN109155344B (zh) 发光装置及照明装置
GB2160723A (en) Surge current suppressing adapter for an incandescent lamp
US7511462B2 (en) DC power conversion circuit having self-auxiliary power and self-protection
CN219697953U (zh) 栅格灯电路和包含其的车辆
CN215734930U (zh) 切换调光led驱动电路及led灯具
CN212519509U (zh) 一种宽电压工作的线性恒流led发光模块电路
CN212628513U (zh) 一种与总开关并联使用的开关电路
CN217135747U (zh) 一种用于长距离的驱动电路及照明系统
US11844156B1 (en) LED illumination device and color temperature switching method thereof
CN219876200U (zh) 一种灯源控制电路
CN218124977U (zh) 反激式led恒流驱动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