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689Y1 - 이어 마이크로폰 - Google Patents

이어 마이크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689Y1
KR200252689Y1 KR2020010024546U KR20010024546U KR200252689Y1 KR 200252689 Y1 KR200252689 Y1 KR 200252689Y1 KR 2020010024546 U KR2020010024546 U KR 2020010024546U KR 20010024546 U KR20010024546 U KR 20010024546U KR 200252689 Y1 KR200252689 Y1 KR 200252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housing
microphone
sound
soun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병하
Original Assignee
성병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병하 filed Critical 성병하
Priority to KR2020010024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6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689Y1/ko

Links

Landscapes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스피커가 이어폰이 아닌 하우징에 내장되고 통음관을 통해서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핸드폰용 이어 마이크로폰이 개시된다.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은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스피커, 하우징에 일단이 연결된 통음관, 통음관의 타단에 장착되는 이어 삽입부를 구비하며, 이어 삽입부 대신 몰딩 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작된 이어폰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피커를 별도로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귀와 직접 접하게 되는 이어 삽입부 또는 이어폰을 작고 가볍게 할 수 있으며, 기타 성형 및 장식 조건을 유리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 마이크로폰{EAR-MICROPHONE}
본 고안은 핸드폰용 이어폰 겸용 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하우징에 내장된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통음관을 통하여 이어 삽입부의 개방구에 전달하는 이어폰 겸용 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해 스피커는 귀에 근접하여 직접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귀와 일정거리 떨어진 하우징에 내장되어 이어 삽입부를 소형화 및 경량화 할 수 있다.
종래의 이어 마이크로폰은 이어폰, 스위치와 마이크가 내장된 하우징, 전선 및 잭을 구비하고 있다. 스피커는 이어폰에 내장되어 잭, 전선 및 하우징을 통해 전기적으로 전달된 소리를 물리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이어 마이크로폰의 구조였다.
종래의 이어 마이크로폰에서 귀와 직접 접하게 되는 부분인 이어폰은 장시간착용하게 되면 귀에 피로감 및 거북함을 주게 된다. 또한, 장시간 착용은 이어폰의 무게조차 무겁게 느껴지게 된다.
이렇게 이어폰을 소형화하고 경량화 하는 데에 있어 가장 큰 장애물이 되는 것은 스피커였다. 왜냐하면, 스피커는 이어폰에 필수적으로 내장되는 것이어야 했고, 이어폰의 크기는 최소한 스피커보다 커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초소형 초경량 스피커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는 바로 제조단가를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경제적으로 바람직한 해결책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어폰의 크기 및 무게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이어폰 겸용 마이크로폰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어폰에 스피커를 내장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에 스피커를 내장하고 하우징에 소리를 전달하는 통음관을 연결하여 소리를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이어폰이 장착되는 부분에 이어 삽입부 또는 스피커가 없는 이어폰이 장착되어 이어폰의 크기 및 무게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통음관을 폴리염화비닐로 구성하거나 신축이 가능한 코일부를 형성하여 이어폰의 착용감을 좋게 하고 행동을 제한하지 않는 이어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에 마이크를 내장하지 않고 하우징에 장착된지지와이어의 끝에 장착하여 임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이어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리의 전달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통음관의 일측에 보조 통음관 및 보조 이어폰 또는 보조 이어 삽입부를 장착하여 양 쪽 귀에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이어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귀의 구조에 대응하여 성형된 이어폰을 장착함으로써 잘 벗겨지지 않고 착용감이 우수한 이어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잘 벗겨지지 않고 착용감이 우수한 이어폰은 제작하기 위해서 특정인의 외이 형상에 일대일 대응하는 이어폰을 구비하는 이어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정이 외이 형상에 기초하여 몰딩으로 틀을 뜨고, 상기 틀에 맞춰 이어폰을 성형하여 이어폰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귀의 외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우징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이어 삽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음관과 코일부를 도시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음관 및 이어 삽입부를 도시한 일부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한 이어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음관 및 이어폰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외이도 120 : 이개
130 : 이갑개강 140 : 이륜각
200 : 이어 마이크로폰 210 : 하우징
215 : 스피커 220 : 통음관
225 : 코일부 230 : 마이크
240 : 이어 삽입부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하우징에 내장된 스피커, 하우징에 일단이 연결된 통음관 및 통음과 끝에 장착되는 이어 삽입부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은 하우징, 하우징에 장착된 마이크,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스피커, 하우징에 장착되며 마이크 및 스피커를 제어하는 스위치, 하우징에 일단이 연결된 통음관, 통음관의 타단에 장착되는 이어 삽입부를 구비한다.
하우징에 내장된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통음관을 통하여 이어 삽입부에 형성된 개방구로 전달된다. 즉, 스피커가 이어 삽입부에 내장되어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거리가 떨어져도 통음관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소리를 전달하게 된다.
통음관을 이용하는 경우, 이어 삽입부에 스피커가 내장되지 않기 때문에 크기를 작게 제작할 수 있으며, 소재를 다양하게 하여 무게를 줄일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장식이 가능하여 표현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하우징 내에 스피커가 내장되는 경우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마이크에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스피커와 마이크를 차단할 수 있는 방음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방음수단으로는 고무, 합성수지, 종이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내부는 구조적으로 두 부분으로 나뉘게 된다. 즉, 스피커 정면과 통음과 일단이 같이 수용되는 제1 챔버와 제1 챔버 이외의 제2 챔버로 나뉜다. 따라서, 제1 챔버는 외부와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래야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통음관에 온전히 전해질 수 있다.
통음관은 직선인 것이 일반적이나, 중간에 신축이 가능 코일부를 구비하여 신축성 및 사용자 편의를 좋게 할 수 있다. 마치 전화기에서 본체와 송수화기를 연결하는 전선 코일과 같이 통음관 일부분에 코일부를 형성하여 선을 정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활동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통음관이 관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전선과 같이 휘어질 수 있기 위해서는 통음관을 폴리염화비닐(PVC)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음관에 디자인적 요소를 더하기 위해 와이어, 실과 같은 채색부재를 부가하여 미감을 좋게 할 수도 있다. 채색부재는 통음관을 통하는 소리를 흡수하여 음질 및 음량을 감소시키지 않을 정도의 굳기를 갖고 있어야 한다.
이어 삽입부는 귀의 외이도에 삽입되어 소리를 전달하게 된다. 다만, 이어 삽입부에 의해 귀가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는 경우 압력차에 의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어 삽입부가 귀에 삽입되었을 때, 귀의 내부와 귀의 외부를 연결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압력차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그 크기는 작아도 상관없다.
마이크는 하우징에 내장될 수 있지만 하우징의 외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하우징에 일단이 연결되고 소성변형을 하는 지지와이어를 구비하고, 지지와이어의 다른 쪽에 마이크를 장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소성변형을 지지와이어는 마이크를 임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마이크를 배치할 수 있다.
기존의 이어 마이크로폰의 경우 하우징 내에 마이크가 있어, 사용자는 습관적으로 하우징을 입 가까이 갖다 대고 말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는 사용자를 불편하게 하고, 운전 중 사용자를 위험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지지 와이어를 이용하여 마이크를 지지하고 지지와이어를 조정하여 마이크를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소리의 전달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통음관의 일측에 연결된 보조 통음관 및 보조 통음관 끝에 장착된 보조 이어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양 쪽 귀에서 소리를듣게 됨으로써 외부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으며, 확실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착용감이 우수하고 편안한 이어폰을 제공하기 위해서 귀의 형상에 대응하여 이어폰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귀의 외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외이는 외이도(110)와 이개(120)로 구성된다. 외이도(110)의 입구 주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갑개강(130)과 이륜각(140)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은 귀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작된 이어폰을 구비하며, 상기 이어폰은 이갑개강에 대응하는 제1 고정부, 이륜각을 사이에 두고 제1 고정부의 상측과 연결되는 제2 고정부 및 제1 고정부의 측면에 연결되어 외이도에 삽입되는 이어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고정부 및 이어 삽입부를 구비하는 이어폰은 특정인의 외이 형상에 대응하여 일대일로 몰딩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몰딩 성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장시간 사용하여도 착용감이 우수하고 피로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하우징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어 마이크로폰(200)은 하우징(210),하우징(210)에 장착된 마이크(230), 하우징(210) 내부에 장착된 스피커(215), 하우징(210)에 장착되며 마이크(230) 및 스피커(215)를 제어하는 스위치(235), 하우징(210)에 일단이 연결된 통음관(220), 통음관(220)의 타단에 연결되는 이어 삽입부(240)를 구비한다.
하우징(210) 내부는 두 부분으로 나뉘게 된다. 스피커(215) 정면과 통음관(220) 일단이 같이 수용되는 제1 챔버(212)와 제1 챔버 이외의 제2 챔버(214)로 나뉜다.
하우징(210)에 내장된 스피커(215)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통음관(220)을 통하여 이어 삽입부(240)로 전달되기 때문에, 제1 챔버(212)는 외부와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피커(215)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통음관(220)에 온전히 전해질 수 있다.
통음관(220)을 통하여 이어 삽입부(240)로 전달된 소리는 개방구(245)를 통해 귀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통음관(220) 및 내장된 스피커(215)를 사용함으로써 스피커(215)의 하우징(210)에 내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피커(215)는 하우징(210)에 내장되어 있지만, 하우징에 내장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어 삽입부 이외의 다른 임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통음관(220)을 이용하는 경우, 이어 삽입부(240)에 스피커가 장착되지 않기 때문에 크기를 작게 제작할 수 있으며, 소재를 다양하게 하여 무게를 줄일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장식이 가능하여 표현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방음수단(217)은 하우징 내에 스피커(215)가 내장되는 경우 스피커(215)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마이크(23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방음수단(217)으로는 고무, 합성수지, 종이 등이 스피커(215)의 후면에 위치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음관(220)에 코일부(225)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부(225)를 구비함으로써 긴 통음관(220)을 늘어지지 않게 정리할 수 있으며, 신축성 있게 연장될 수 있으므로 통음관(220)이 짧아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통음관(220)은 폴리염화비닐(PVC)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 삽입부(240)에 관통홀(255)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255)은 이어 삽입부(240)에 의해 귀가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는 경우 압력차에 의한 생길 수 있는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압력차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그 크기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귀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할 수 있으면 족하다.
또한, 이어 삽입부(240)가 귀에 너무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이어 삽입부(240)에 돌출부(25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이어 삽입부(240)의 내부가 꽉 차 있지만, 이어 삽입부(240)를 경량으로 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빈 공간을 둘 수도 있다.
이어 삽입부(240)는 그 소재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일정한 경도를 가진 합성수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부드러운 질감의 고무 또는 기타 연질 소재를 사용할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음관과 코일부를 도시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음관(320)에 디자인적 요소를 더하기 위해 와이어, 실과 같은 채색부재(322)를 부가하여 미감을 좋게 하고 있다. 통음관(320)의 경우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채색부재(322)를 사용하여 장식적인 요소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어 마이크로폰(400)은 지지와이어(432) 및 지지와이어(432) 끝에 장착된 마이크(4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외에도 하우징(410), 하우징에 내장된 스위치 및 스피커(도시되지 않음), 통음관(420), 코일부(425) 및 이어 삽입부(440)를 구비하며, 이들 구성 및 기능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동일하다.
마이크(430)를 하우징(410)의 외부에 장착하여, 마이크(430)를 사용자의 입 근처 또는 원하는 장소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지지와이어(432)는 하우징(410)과 마이크(4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소성변형을 하여 사용자는 지지와이어(432)를 임의의 형상으로 휨으로 해서 원하는 위치에 마이크(4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클립(434)은 하우징(410)을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고정시켜 마이크(43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보조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400)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통화를 할 수있으며, 하우징을 잡고서 입에 가까이 대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운전 중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음관 및 이어 삽입부를 도시한 일부사시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소리의 전달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통음관(520)의 일측에 보조 통음관(525)을 연결하고, 보조 통음관(525) 끝에 보조 이어삽입부(545)를 장착하고 있다.
이어 삽입부(540) 및 보조 이어삽입부(545)를 통해 양 쪽 귀에서 소리를 듣게 됨으로써 외부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으며, 확실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한 이어폰의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어 마이크로폰(600)은 스피커, 마이크 및 스위치를 내장하고 있는 하우징(610), 통음관(620) 및 이어폰(640)을 구비하고 있다. 이어폰(640)은 귀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이갑개강에 대응하는 제1 고정부(642), 이륜각을 사이에 두고 제1 고정부(642)의 상측과 연결되는 제2 고정부(644) 및 제1 고정부(642)의 측면에 연결되어 외이도에 삽입되는 이어 삽입부(646)를 포함한다.
통음관(620)은 제1 고정부(642) 및 이어 삽입부(646)를 통하여 개방구(648)와 연결된다. 이어폰(640)이 귀에 끼워져서 생길 수 있는 귀 내외의 압력차를 방지하기 위해서 개방구(648) 하부와 제1 고정부(642)를 연결하는 관통홀(650)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2 고정부 및 이어 삽입부를 구비하는 이어폰을 몰딩으로 특정인의 외이 형상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고안자가 발명하여 출원한 출원 10-2001-0029682호 '성형맞춤 이어폰 및 그 제작방법'의 이어폰 및 제작방법을 이용한 것이다.
이어폰 형상을 몰딩으로 성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특정인의 외이에 임프레션 물질을 주사기와 같은 주입기로 주입하여 외이 형상을 몰딩하는 제1 몰딩 과정, 제1 몰딩 과정에서 생성된 외이 형상의 몰딩 상에 투명 수지인 아가를 덮어 이어폰이 성형될 틀을 제작하는 제2 몰딩 과정 그리고 그 틀에 합성수지 기타 소재를 주입하여 이어폰을 성형하는 제3 몰딩 과정을 통해 이어폰의 형상이 성형된다.
통음관은 이어폰 성형 후 홀을 형성한 후 부가할 수 있지만, 틀에 합성수지 또는 기타 소재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통음관도 같이 배치하여 동시에 조립 및 이어폰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을 형성할 때도 제3 몰딩 과정 시 철사 또는 기타 와이어 부재를 이용하여 홀을 형성할 수 있다.
퍼니싱 및 코팅 되는 마무리 과정을 통하여 이어폰의 성형이 마무리된다.
이렇게 이어폰을 성형하는 방법은 필요한 장치 및 재료가 준비되어 있다면 제1 몰딩 과정, 제2 몰딩 과정, 제3 몰딩 과정 및 마무리 과정을 통하여 용이하게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어 마이크로폰(700)은 지지와이어(732) 및 지지와이어(732) 끝에 장착된 마이크(7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외에도 하우징(710), 하우징에 내장된 스위치 및 스피커(도시되지 않음), 통음관(720), 코일부(725) 및 이어폰 (740)을 구비하며, 이들 구성 및 기능은 도 1 및 도 8에서 도시된 것과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다.
마이크(730)를 하우징(710)의 외부에 장착하여, 마이크(730)를 사용자의 입 근처 또는 원하는 장소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지지와이어(732)는 하우징(710)과 마이크(7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소성변형을 하여 사용자는 지지와이어(732)를 휨으로 해서 원하는 위치에 마이크(7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음관 및 이어폰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소리의 전달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통음관(820)의 일측에 보조 통음관(825)을 연결하고, 보조 통음관(825) 끝에 보조 이어폰(845)을 장착하고 있다.
보조 이어폰(845)은 이어폰(840)과 대칭을 이루며 보조 제1 고정부, 보조 제2 고정부 및 보조 이어 삽입부를 포함한다. 이어폰(840) 및 보조 이어폰(845)을 통해 양 쪽 귀에서 소리를 듣게 됨으로써 외부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으며, 확실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어폰(840) 및 보조 이어폰(845)은 좌우 대칭이 되는 형상을 갖는다. 다만, 양 이어폰(840,845)을 특정인의 외이 형상에 대응하여 몰딩으로 제작하는 경우, 이어폰(840)과 보조 이어폰(845)은 엄격히 대칭되지 않으며, 각각 대응되는 외이에 맞는 형상을 가질 뿐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인 이어 마이크로폰은 통음관을 사용하여 스피커를 하우징에 내장함으로써, 사용자의 귀와 직접 접하게 되는 이어 삽입부 또는 이어폰을 작고 가볍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어 삽입부 및 이어폰의 제작에 있어서, 스피커에 의한 형상 제한이 없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제작이 가능하며, 기타 성형 및 장식 조건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제약 없이 사용자의 귀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이어 삽입부 또는 이어폰을 제작할 수 있다. 즉, 스피커가 직접 내장되지 않음으로 해서 그 크기 및 기능에 제한 받지 않고 최적의 형상으로 이어 삽입부 또는 이어폰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귀의 구조에 맞춰 제작할 수 있으며, 특정인의 귀에 대응하는 형상을 몰딩으로 제작함으로써 가장 적합한 이어폰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와이어를 사용하여 마이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번번히 마이크를 입에 갖다 대는 일을 하지 않아도 되며, 운전 중 휴대폰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핸드폰용 이어폰 겸용 마이크로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마이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스피커;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연결된 통음관;
    상기 통음관의 타단에 장착되는 이어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상기 통음관을 통하여 상기 이어 삽입부에 형성된 개방구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후면의 방음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방음수단은 고무, 합성수지, 종이 중 선택된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는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하우징의 구조에 의해서 두 부분으로 나뉘며, 상기 스피커의 정면과 상기 통음관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동일 내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음관에 신축이 가능한 코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음관은 폴리염화비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6. 제 1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음관에는 상기 통음관 내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채색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채색부재는 채색된 와이어, 채색된 실 또는 이들의 결합 중 선택된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삽입부에는 귀의 내부와 귀의 외부를 연결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일단이 연결되고 소성변형을 하는 지지와이어를 더 구비하며,
    상기 마이크는 상기 지지와이어 타단에 장착되어 임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음관에 일단이 연결된 보조 통음관 및 상기 보조 통음관의 타단에 장착된 보조 이어 삽입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통음관을 통하는 소리는 상기 보조 통음관에도 전달되어 상기 보조 이어 삽입부의 개방구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11. 핸드폰용 이어폰 겸용 마이크로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마이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스피커;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연결된 통음관;
    상기 통음관의 타단에 장착되는 이어폰을 구비하며,
    상기 이어폰은 이갑개강에 대응하는 제1 고정부, 이륜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고정부의 상측과 연결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측면에 연결되어 외이도에 삽입되는 이어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상기 통음관을 통하여 상기 이어 삽입부에 형성된 개방구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 및 이어 삽입부는 특정인의 외이 형상에 대응하여 몰딩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일단이 연결되고 소성변형을 하는 지지와이어를 더 구비하며,
    상기 마이크는 상기 지지와이어 타단에 장착되어 임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음관에 일단이 연결된 보조 통음관 및 상기 보조 통음관의 타단에 장착된 보조 이어폰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 이어폰은 상기 이어폰과 대칭을 이루며 보조 제1 고정부, 보조 제2 고정부 및 보조 이어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음관을 통하는 소리는 상기 보조 통음관에도 전달되어 상기 보조 이어 삽입부의 개방구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KR2020010024546U 2001-08-13 2001-08-13 이어 마이크로폰 KR200252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546U KR200252689Y1 (ko) 2001-08-13 2001-08-13 이어 마이크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546U KR200252689Y1 (ko) 2001-08-13 2001-08-13 이어 마이크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689Y1 true KR200252689Y1 (ko) 2001-11-22

Family

ID=7310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546U KR200252689Y1 (ko) 2001-08-13 2001-08-13 이어 마이크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6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96668B1 (en) Earpiece
US6810987B1 (en) Earbud headset
CN101106831B (zh) 放在耳内的耳机
US7123737B2 (en) Ear clasp headset
KR101742333B1 (ko) 이어피스 시스템
KR100231873B1 (ko) 양방향 통신장치용 이어몰드
CN100512335C (zh) 音频耳机
KR200252689Y1 (ko) 이어 마이크로폰
US20030114201A1 (en) Over-the-ear type headset
CN217607948U (zh) 一种固定耳塞及开放式蓝牙耳机
CN206164779U (zh) 一种佩戴舒适的蓝牙耳机
CN212231716U (zh) 一种耳机
KR102227134B1 (ko) 귀 외부 접점을 가지는 무선 이어버드
CN211909100U (zh) 一种耳挂式骨传导耳机
CN208241835U (zh) 耳机
KR100374740B1 (ko) 성형 이어폰 및 그 제작방법
CN216414560U (zh) 一种挂耳式蓝牙耳机
CN206993365U (zh) 一种贴耳外音蓝牙耳机
CN218071772U (zh) 一种后挂式气传导蓝牙耳机及充电仓
CN2435886Y (zh) 移动电话用耳膜振动式免持听筒
CN219999550U (zh) 一种能接收外部声音并保持音质的降噪耳塞
US20220339039A1 (en) In-ear earplug structure
CN209882050U (zh) 一种耳机耳塞
KR102645970B1 (ko) 이어폰
CN216437457U (zh) 一种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