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138Y1 - 회중전등 - Google Patents

회중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138Y1
KR200252138Y1 KR2019980028149U KR19980028149U KR200252138Y1 KR 200252138 Y1 KR200252138 Y1 KR 200252138Y1 KR 2019980028149 U KR2019980028149 U KR 2019980028149U KR 19980028149 U KR19980028149 U KR 19980028149U KR 200252138 Y1 KR200252138 Y1 KR 2002521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upply
flashlight
switching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817U (ko
Inventor
석찬복
Original Assignee
석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찬복 filed Critical 석찬복
Priority to KR2019980028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13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8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8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138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부와 조명부를 분리형성시키되 이들을 축으로 연결하여 구성시키므로서 전원부로 부터 조명부를 열면 점등되고 닫으면 소등되며, 본체에 걸이구를 설치하여 주머니에 꽂아 걸 수 있도록 하여서된 회중전등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전원부에 스위칭부를 설치하고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돌출시켜 조명부를 열면 스위치가 전원회로를 도통시키고 조명부를 닫으면 스위치가 눌리워져 전원회로를 차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전원부는 건전지를 수장하여야할 공간과 스위칭부를 설치할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회중전등의 소형화에 제한을 받아 왔던 바, 본 고안은 전원부에 설치되어 오던 스위칭부를, 종래의 회중전등에 필수적이던 축연결부에 축연결부를 확대시키지 아니하면서, 이를 설치할 수 있게 하므로서, 결국 전원부의 크기를 감소시키어 회중전등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한 것임.

Description

회중전등
본 고안은 회중 전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부와 조명부를 분리형성시키되 이들을 축으로 연결하여 구성시키므로서, 조명부를 전원부에 절첩하여 그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여 휴대를 편리하게 하며, 전원부에 걸이구(Clip)를 설치하여 주머니에 꽂아 걸 수 있도록 하여서된 회중전등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회중전등은 전원부와 조명부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절첩이 가능하여 휴대가 편리할 뿐 아니라, 전원부를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고 조명부를 회동시켜 원하는 위치를 조명할 수 있어, 밤낚시를 하는 도중 미끼를 끼우는 작업을 위하여 특정 부위를 조명하는 경우 등에서와 같이 임의의 위치를 조명코자 하는 경우 매우 편리하게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회중전등은 이를 주머니에 넣어 휴대하여야 할 뿐 아니라, 또한 사용시에도 이를 주머니에 꽂아 사용하는 경우 그 부피와 무게의 소형화는 극히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종래의 회중전등에 있어서는, 전원부에 스위칭부를 설치하고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돌출시켜 조명부를 열면 스위치가 전원회로를 도통시키고 조명부를 닫으면 스위치가 눌리워져 전원회로를 차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므로, 전원부는 건전지를 수장하여야할 공간과 스위칭부를 설치할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전원부의 크기가 클 수 밖이 없어 회중전등의 소형화에 제한을 받아 왔던 것이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전원부에 설치되어 오던 스위칭부를, 종래의 위와 같은 회중전등에 필수적이던 축연결부에 축연결부를 확대시키지 아니하면서도 이를 설치할 수 있게 하므로서, 결국 전원부의 크기를 감소시키어 회중전등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3 은 스위칭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 주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사시도.
1..............전원부
2..............조명부 20........전구
3..............연결부
4..............축
5..............판체 51.........비연결부
6..............탄접부
걸이구(10)를 가진 전원부(1)와 조명부(2) 및 전원부(1)와 조명부(2)를 잇는 연결부(3)로 구성되고, 전원부(1)와 연결부(3) 및 조명부(2)가 각각 축에 의하여 결합되어 전원부(1)와 연결부(3)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부(3)와 조명부(2)는 전후방향으로 회동되게 구성되며, 전원부(1)와 조명부(2)의 전구(20)가 회로부재에 의하여 연결되고 회로부재에 스위칭부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본 고안은, 스위칭부를 대략 원판형의 판체(5)와 탄접부(6)로 구성시키고, 판체(5)는 이를 조명부(2)와 연결부(3)를 축연결하는 축(4)을 중심으로 하는 면에 설치시키고, 탄접부(6)는 판체(5)에 탄력적으로 접하여지도록 설치시킨다. 판체(5)의 일부에 비연결부(51)를 형성시키므로서 탄접부(6)가 비연결부(51)에 위치하게 되면 전원회로가 차단되게 한다. 비연결부(51)는 조명부(2)를 전원부(1)로 향하여 닫았을 때 탄접부(6)가 비연결부(51)에 위치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시킨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종래의 회중전등에 필수적이던 축연결부에 축연결부를 확대시키지 아니하면서도 이에 스위칭부를 설치할 수 있게 하므로서 결국 전원부의 크기를 감소시키어 회중전등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걸이구(10)를 가진 전원부(1)와 조명부(2) 및 전원부(1)와 조명부(2)를 잇는 연결부(3)로 구성되고, 전원부(1)와 연결부(3) 및 조명부(2)가 각각 축에 의하여 결합되어 전원부(1)와 연결부(3)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부(3)와 조명부(2)는 전후방향으로 회동되게 구성되며, 전원부(1)와 조명부(2)의 전구(20)가 회로부재에 의하여 연결되고 회로부재에 스위칭부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스위칭부는 대략원판형의 판체(5)와 탄접부(6)로 구성되고, 판체(5)는 조명부(2)와 연결부(3)를 축연결하는 축(4)을 중심으로 하는 면에 설치되고, 탄접부(6)는 판체(5)에 탄력적으로 접하여지도록 설치되며, 판체(5)의 일부에 비연결부(51)를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 전등.
KR2019980028149U 1998-12-30 1998-12-30 회중전등 KR2002521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149U KR200252138Y1 (ko) 1998-12-30 1998-12-30 회중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149U KR200252138Y1 (ko) 1998-12-30 1998-12-30 회중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817U KR20000014817U (ko) 2000-07-25
KR200252138Y1 true KR200252138Y1 (ko) 2001-12-28

Family

ID=6950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149U KR200252138Y1 (ko) 1998-12-30 1998-12-30 회중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1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817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6414A (en) Portable light with stand
US6022119A (en) Book light
US5860729A (en) Fluorescent lantern with auxiliary light
US6231208B1 (en) Portable lighting device
US10323802B2 (en) Rotatable pocket lamp having dual LED light elements
KR200252138Y1 (ko) 회중전등
CA2097982A1 (en) Multiple-purpose lighting apparatus
US7670024B2 (en) Utility light
USD435901S1 (en) Combined motor housing, blade irons, switch housing and light fixture unit for a ceiling fan
USD437046S1 (en) Combined motor housing, blade irons, switch housing and light fixture unit for a ceiling fan
JP3748702B2 (ja) ヘッドランプ
CN218846017U (zh) 一种折叠三叶灯
CN205979323U (zh) 分体组合工作灯
US20190293271A1 (en) Lighting device
CN202001849U (zh) 一种多功能工作灯
CN220539903U (zh) 照明风扇
CN218763125U (zh) 一种工作灯
CN216556597U (zh) 一种折叠口袋灯
CA3103420C (en) Pivoting swivel illumination device
USD434490S (en) Combined canopy, downrod, motor housing, switch housing, blade irons and light fixture unit for a ceiling fan
CN218153730U (zh) 一种翻页式书本灯
KR200264386Y1 (ko) 독서실용 스탠드
USD436659S1 (en) Combined motor housing, blade irons, switch housing and light fixture unit for a ceiling fan
KR920006025Y1 (ko) 후레쉬가 내장된 콤팩트
KR930005977Y1 (ko) 포켓용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