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066Y1 - 고무장갑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고무장갑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066Y1
KR200252066Y1 KR2020010022344U KR20010022344U KR200252066Y1 KR 200252066 Y1 KR200252066 Y1 KR 200252066Y1 KR 2020010022344 U KR2020010022344 U KR 2020010022344U KR 20010022344 U KR20010022344 U KR 20010022344U KR 200252066 Y1 KR200252066 Y1 KR 200252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gloves
disinfectant
disinfecting
fixing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한우
Original Assignee
태우종합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우종합산업(주) filed Critical 태우종합산업(주)
Priority to KR2020010022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0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066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알코올용액을 소독액으로 사용하는 고무장갑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고무장갑을 각각 독립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무장갑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함체; 상기 함체 내부를 향하여 고정 설치되는 소독액 분무수단; 상기 분무수단에 소독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소독액을 저장하는 소독액통; 상기 분무수단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분무제어수단 및 소독액 건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다량의 고무장갑을 손쉽고 신속하게 소독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고무장갑 소독장치{Sterilizer for rubber gloves}
본 고안은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무장갑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무장갑은 음식물 제조에 널리 사용된다. 따라서 그 위생상태는 엄격히 관리되어야 한다. 가정에서는 보통 세제를 사용하여 물에 빨거나 또는 햇볕에 말림으로써 소독을 하며, 대형식당 등에서는 자외선 소독기를 이용하거나 소독액이 감겨진 용기에 담가 씻어내는 정도의 소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학교급식 또는 뷔페식당과 같이 다량으로 음식을 조리하고 보급하는 곳에서의 위생상태는 간과되기 쉽다. 그러므로 종종 단체적인 인사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다량의 고무장갑을 소독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바 있으나 이는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고가이며, 중용량 정도의 소독기로는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이에 대하여 고무장갑용 소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 소독장치는 중대형 음식점 또는 학교, 기업체의 단체급식시설에서 사용하기 적당하도록 다량의 고무장갑을 동시에 소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소독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며, 사용상 안전할 것이 요구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독장치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독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독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고무장갑 소독장치 4,4' ; 함체
6 ; 개폐도어 12 ; 소독액통
14 ; 펌프 16,16' ; 분사노즐
20 ; 고무장갑 고정봉 26,26' ;(건조용)팬
28 ; 타이머 조절스위치 30 ; 분리판
위와 같은 목적은, 다수의 고무장갑을 각각 독립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무장갑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함체; 상기 함체 내부를 향하여 고정 설치되는 소독액 분무수단; 상기 분무수단에 소독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소독액을 저장하는 소독액통; 상기 분무수단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분무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소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무장갑 고정수단은 슬라이딩되며 상기 함체로부터 빼낼 수 있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직립하여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봉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소독액은 소독용 알코올용액 또는 알코올을 베이스로 하며 이에 적당한 첨가물을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본 고안자에 의하면, 70%의 알코올용액이 추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소독액을 분무한 후, 고무장갑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수단으로서 전동팬이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독장치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독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소독장치(2)는 10 켤레 이상의 고무장갑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함체(4)로 되어 있다. 고무장갑을 넣거나 빼내기 위한 개폐도어(6)가 함체의 정면 또는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개폐도어(6)는 경첩에 의해 연결된 투명 플라스틱재가 사용된다. 함체는 고무장갑을 고정시키기 위한 소독실(8)과 그 이외의 요소들이 장치되는 장치실(10)로 구분된다. 소독실과 장치실은 격벽에 의해 구분된다.
소독액을 저장하기 위한 소독액통(12)이 함체 내의 장치실 내에 설치된다. 소독액통(12)은 파이프에 의해 펌프(14)와 연결되어 있으며, 펌프는 함체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분사노즐(16)로 소독액을 압송하게 된다. 펌프는 소형화 및 저소음을 가능하게 하는 모터 구동형이 무난할 것이며, 때에 따라서는 그와 다른 방식이 채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고무장갑 고정수단은 다수의 고무장갑을 각각 독립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판(18) 및 일정하게 이격되어 받침판 상에 직립 고정된 다수의 고정봉(20)으로 구성된다. 받침판(18)은 함체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서랍식으로 설치된다.
소독액 분무수단은 분사펌프(14), 분사노즐(16) 및 이들 각각을 연결하는 파이프 등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기능은 익히 알 수 있는 바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분사노즐은 함체의 측벽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분사노즐은 소독액을 무화에 가까운 입자상으로 분무하도록 하는 형식이다. 분무된 소독액은 함체 내에서 부유하는 중 각각의 고무장갑에 고르게 흡착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단지 일측벽 상부에 2개의 분사노즐(16)이 설치되고 있지만, 그의 개수 및 설치장소 등은 분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실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소독액통(12)에 소독액을 보다 용이하게 투입하기 위한 종래의 여러 방법들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소독액의 잔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레벨확인수단이 도시된바와 같은 투시창(24)식 또는 잔류량이 적정선 이하가 되면 부저 또는 경보등이 점등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함체의 일측벽에는 소독액을 증발 건조시키기 위한 소독액 건조수단이 제공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1개 이상의 팬(26)이 설치될 수 있다. 팬과 더불어 또는 대체적으로 백열등, 히터와 같은 발열수단이 소독액 건조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팬(또는 발열수단)의 설치 상태에 따라 건조능력이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소독액분무시간을 설정하게 되면 건조시간이 자동적으로 설정되어 소독후 자동적으로 건조과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무수단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분무제어수단이 제공된다. 분무제어수단은 분사펌프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무용 타이머, 건조 타이머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분무용 타이머는 펌프(14)의 가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하며, 건조타이머는 팬(26)의 가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타이머 조절스위치(28) 및 전원스위치(29)는 장치실 전방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된 바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당업자는 그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한도에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소독액의 물성(예를 들면, 휘발성 등)에 따라 그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수단이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풍을 가하는 방법이 일반적일 것이다. 이를 위해 전열히터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자외선램프가 채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단지 자외선 램프는 아니라 하더라도 함체 내의 조명을 위한 조명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분무시간 및 건조시간의 종료됨을 알리기 위한 벨소리와 같은 알람장치가 제공됨으로써 주위에서 일을 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이를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로 설치되는 분무노즐을 선택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소량의 고무장갑을 소독하기 위해 바람직한 수단일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분사노즐(16')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밸브(도시되지 않음), 함체(4')의 공간을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착탈 가능한 분리판(30)이 더 제공될 수 있다. 분사노즐(16')과 팬(26')은 각 공간마다 설치된다. 작업자는 분리판을 장치하고 일측의 분사노즐 및 팬을 작동시킴으로써 자체용량의 1/2만을 가동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량의 고무장갑을 손쉽고 신속하게 소독할 수 있는 고무장갑 소독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특히 알코올용액을 소독액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고무장갑 소독장치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장치는 학교 또는 업체와 같은 단체급식시설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위생에 이바지하게 된다. 또한, 장치가 간단하고 손쉽게 작동할 수 있어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다수의 고무장갑을 각각 독립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무장갑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함체(4); 상기 함체 내부를 향하여 고정 설치되는 소독액 분무수단; 상기 분무수단에 소독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소독액을 저장하는 소독액통()12; 상기 분무수단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분무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소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장갑 고정수단은 서랍식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함체로부터 빼낼 수 있는 받침판(18) 및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직립하여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봉(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소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 내로 분무된 소독액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팬, 발열등 또는 전열히터와 같은 소독액 건조수단이 상기 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소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4')는 착탈 가능한 분리판(30)에 의해 구분될수 있으며, 분리되는 각 공간마다 분사노즐(16') 및 팬(26')과 같은 건조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분리판의 선택적 설치에 의해 소독용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소독장치.
KR2020010022344U 2001-07-24 2001-07-24 고무장갑 소독장치 KR200252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344U KR200252066Y1 (ko) 2001-07-24 2001-07-24 고무장갑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344U KR200252066Y1 (ko) 2001-07-24 2001-07-24 고무장갑 소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066Y1 true KR200252066Y1 (ko) 2001-11-22

Family

ID=7310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344U KR200252066Y1 (ko) 2001-07-24 2001-07-24 고무장갑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06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592B1 (ko) * 2001-10-09 2004-03-27 이강오 건조장치
KR100493373B1 (ko) * 2002-07-31 2005-06-07 김훈 주방용품 살균소독장치
KR101410310B1 (ko) 2012-09-19 2014-06-24 김옥희 가정용 고무장갑 살균건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592B1 (ko) * 2001-10-09 2004-03-27 이강오 건조장치
KR100493373B1 (ko) * 2002-07-31 2005-06-07 김훈 주방용품 살균소독장치
KR101410310B1 (ko) 2012-09-19 2014-06-24 김옥희 가정용 고무장갑 살균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198336U (zh) 一种基于物联网系统的多功能消毒柜
CN203861617U (zh) 自控厨具消毒器
KR102046846B1 (ko) 전기 식기 소독장
KR100960540B1 (ko) 주방용 칼 세척 및 살균소독기
US6363951B1 (en) Ozonization system
KR200252066Y1 (ko) 고무장갑 소독장치
CN105455758A (zh) 清洗消毒一体机
CN206315303U (zh) 一种蒸汽式餐具消毒装置
JP5153234B2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CN207125910U (zh) 一种多功能医用消毒柜
CN205286272U (zh) 清洗消毒一体机
CN108095362B (zh) 一种台板及橱柜
KR200252089Y1 (ko) 고무장갑의 살균건조기
CN104436254A (zh) 一种具有保护结构的烘干消毒装置
CN209092243U (zh) 一种碗碟消毒柜
KR101025560B1 (ko) 조리도구용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1797789U (zh) 一种多功能消毒柜
KR20050006518A (ko) 세척 및 살균, 건조가 가능한 핸드 크리닝 장치
CN208319591U (zh) 一种多功能医用消毒柜
CN209975188U (zh) 一种便携式杀菌烘干装置
CN204890698U (zh) 一种厨房消毒柜
CN2803389Y (zh) 除尘消毒灭菌装置
CN207590998U (zh) 一种微生物细菌消毒设备
KR200283852Y1 (ko) 도마건조기
CN219595307U (zh) 双门高身式消毒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