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592B1 -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592B1
KR100424592B1 KR10-2001-0062171A KR20010062171A KR100424592B1 KR 100424592 B1 KR100424592 B1 KR 100424592B1 KR 20010062171 A KR20010062171 A KR 20010062171A KR 100424592 B1 KR100424592 B1 KR 100424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hot air
discharge
main body
dr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0305A (ko
Inventor
이강오
Original Assignee
이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오 filed Critical 이강오
Priority to KR10-2001-0062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592B1/ko
Publication of KR2003003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06F59/04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for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수의 장갑을 내, 외부에 거치하며, 내부의 장갑을 건조하기 위해 순환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열풍을 재이용하여 외부의 장갑을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발생기(70)가 내부에 설치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열풍을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배출부(20)와, 상기 배출부(20)의 상측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거치봉(30)과, 상기 거치봉(30)의 외측으로 건조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배출부(20)에 고정되는 건조통(40)과, 상기 건조통(4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 뚜껑(50)과, 상기 건조통(40)의 외부 상측에 설치되는 거치대(90)와, 상기 거치대(90)측으로 열풍을 배출함과 동시에 배수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건조통(40)의 외부 하측에 연통공(1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Description

건조장치{DRIER}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풍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갑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은 손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그 사용목적에 따라 보온용 및 작업용으로 대별되고, 이중 작업용 장갑은 재질에 따라 섬유재 장갑 및 고무재 장갑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고무재질로 마련되는 장갑은 손목 이상 부분을 덮도록 길게 형성되고 방수처리가 되어있어 외부의 수분 등으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보호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손이 작업물에 직접 닿지않게하여 위생상태를 향상시키게된다.
또한, 고무재질로 마련되는 장갑은 더러워진 경우, 이를 물과 세제로 세척하고, 손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입구를 하향으로하여 걸어놓거나 그 내부에 지지구조를 삽입하여 세워놓아 그 내부의 수분이 흘러내리도록하여 자연 건조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연 건조 방식은 고무재질 장갑의 입구를 통해 수분이 배출되고, 이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데, 고무재질 장갑이 방수처리되어 있어 그 내부로 공기유입이 원활하지 않아, 건조시간이 길어지고 건조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장갑을 내, 외부에 거치하며, 내부의 장갑을 건조하기 위해 순환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열풍을 재이용하여 외부의 장갑을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를 보인 분해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봉의 체결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부의 확대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통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본체 11,111:받침대
12:캐스터 20,120:배출부
21:고정공 30:거치봉
31:선단부 32:고정볼트
33:고정턱 34:고정너트
35:걸림턱 36:나사관
38:외주토출공 39:양면토출공
40,140:건조통 41:단턱
50,150:뚜껑 51:손잡이
60:오존발생기 70:열풍발생기
80:자동타이머 90,190:거치대
91:연장봉 92,192:테두리
93:집게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발생기가 내부에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열풍을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상측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거치봉과, 상기 거치봉의 외측으로 건조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배출부에 고정되는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 뚜껑과, 상기 건조통의 외부 상측에 설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측으로 열풍을 배출함과 동시에 배수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건조통의 외부 하측에 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를 보인 분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열풍발생기(70)가 설치된 중공 원통의 본체(10)가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10)의 하부측에는 본체(10)에 비해 확장된 지름으로서 외주면이 경사진 받침대(11)가 설치되고, 이 받침대(11)의 저면에는 건조장치의 이동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4개의 캐스터(12)가 설치된다.
또, 본체(10)의 상부측에는 열풍발생기(70)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상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부(20)가 설치되는데, 이 배출부(20)는 하단이 본체(10)를 감쌀 수 있도록 이보다 큰 지름으로 마련되고 상단은 작은 지름으로 마련되어 본체(10)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배출부(2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상면 외주측으로는 다수개의 거치봉(30)이 설치되는데, 이 거치봉(30)은 배출부(20)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중공관으로서 하단은 본체(10) 내부와 연통되고, 상단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열풍을 배출할 수 있도록 선단부(31)가 설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20)의 상면 외주측에는 다수개의 고정공(21)이 마련되고, 이 고정공(21)에는 거치봉(30)을 간단하고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볼트(32)와 고정너트(34)가 설치되는데, 고정볼트(32)는 중공으로 마련된 외주면 중간측에 고정공(21)에 비해 큰 지름의 고정턱(33)이 형성되고, 상단측은 거치봉(30)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지름으로 마련되며, 하단측은 고정공(21)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지름으로 마련되되, 상단측과 하단측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된다.
또, 고정공(21)의 상부측을 통해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볼트(32)의 하단에는 이를 배출부(2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고정너트(34)가 체결되는데, 이로써, 고정볼트(32)는 고정턱(33)으로 배출부(20)의 외부면과 밀착되고 하단측 외주면에 체결되는 고정너트(34)로서 배출부(20)의 내부면과 밀착되므로 배출부(20)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아울러, 고정볼트(32)의 상단측 내부로 삽입되는 거치봉(30)의 하단 중간측에는 이에 비해 큰 지름으로 마련되어 고정볼트(32) 상단측의 선단과 밀착되는 걸림턱(35)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35)의 상측 외부에는 걸림턱(35)을 하향으로 지지하도록 상단이 거치봉(30)을 감싸며 하단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고정볼트(32)의 상단측 외주면과 체결되는 나사관(36)이 마련된다.
이로써, 거치봉(30)의 하단은 고정볼트(32)의 내부로 삽입되어 세워지고, 서로 체결되는 고정볼트(32)와 나사관(36)의 사이에 걸림턱(35)이 배치되어 거치봉(30)의 축방향 이동이 제한되므로 거치봉(30)은 고정볼트(32)와 나사관(36) 사이에 그 하단이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31)는 거치봉(30)의 상측 선단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그 하단이 중공원통으로 마련되고 상단은 원반형상으로 마련되어 그 외주측이 하단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의 외주측에는 외부로 열풍을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다.
즉, 다수개의 구멍은 그 외부측에 설치되는 고무재질 장갑(1)의 각각의 손가락 측으로 열풍을 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원반형상으로 마련된 상단의 외주 상측에 네 개가 형성되는 외주토출공(38)과, 전,후면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는 양면토출공(39)으로 구분된다.
이때, 외주토출공(38)은 검지, 중지, 약지, 소지에 대응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데, 이때 각 외주토출공(38)의 중심측 간의 각도는 대략 28°정도로 형성한다.
또, 선단부(31)의 전,후면으로 형성되는 양면토출공(39)은 원반형상으로 마련된 상단의 중심 하측으로 좌,우양측에 서로 대칭되어 고무재질 장갑(1)의 엄지 측으로 열풍을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외주토출공(38)과 양면토출공(39)은 좌,우 양측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므로, 고무재질 장갑(1)의 좌측이나 우측을 설치하였을 때에 상관없이 각각의 손가락 측으로 열풍을 토출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즉, 고무재질 장갑(1)의 우측을 설치할 경우 외주토출공(38)의 좌측부터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배치되고, 엄지측에는 전면의 좌측에 있는 양면토출공(39)이 배치되고, 이와는 반대로 고무재질 장갑(1)의 좌측을 설치할 경우에는 외주토출공(38)의 좌측부터, 소지, 약지, 중지, 검지가 배치되고, 엄지측에는 전면의 우측에 있는 양면토출공(39)이 배치된다.
아울러, 거치봉(30)의 외측으로는 건조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출부(2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중공 원통의 건조통(40)이 설치되는데, 이 건조통(40)의 하단측은 본체(10)를 감싸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단측은 이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에는 단턱(41)이 마련된다.
그리고, 건조통(40)의 상단에는 그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원형의 뚜껑(50)이 마련되는데, 이 뚜껑(50)의 외주측은 건조통(40)의 상단이 그 내부에 삽입되도록 요철형성되고 중심측에는 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51)가 형성된다.
한편, 본체(10)의 내부에는 오존발생기(60)가 설치되는데, 건조통(4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열풍발생기(70)와 연결 형성되어, 열풍의 발생시 이에 오존을 포함시킴으로써 고무재질 장갑(1)에 있는 각종 세균 등을 멸균 및 탈취하고, 이로 인해 고무재질 장갑(1)의 건조와 청결성을 함께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외부 일측에는 이 열풍발생기(70)와 오존발생기(60)에 전원을 인가함과 동시에 일정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설정하는 자동타이머(80)가 설치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열풍발생기(70)에서 발생되어 건조통(40)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이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건조통(40)의 외부측에 고무재질 장갑(1)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고 건조통(40)의 하단측에는 열풍이 배출되는 구조가 마련된다.
즉, 도 1과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통(40)의 외주 상측에는 고무재질의 장갑(1)을 설치할 수 있도록 거치대(90)가 마련되는데, 이 거치대(90)는 일단이 건조통(40)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연장봉(91)과 이 연장봉(91)의 타단에 고정되는 테두리(92)와 이 테두리(92)의 일측이 고정되는 집게(93)로 구비된다.
또, 단턱(41)으로 형성되는 건조통(40)의 하단측 외주 저면에는 건조통(40)의 내부에서 순환된 후 배출되는 열풍이 거치대(9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연통공(100,도 6 참조)이 형성되는데, 이 연통공(100)은 열풍을 배출함과 동시에 건조통(40) 내부에 고이는 수분을 건조통(40)의 외부로 배수하는 기능을 함께 갖추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명칭과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건조장치를 사각통 형상으로 마련하는 것이다.
즉, 받침대(111)를 가지는 본체(110)와, 이 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는 배출부(120)와, 이 배출부(120)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조통(140)과, 이 건조통(140)의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뚜껑(150)과, 건조통(140)의 외부에 설치되며 테두리(192)를 가지는 거치대(190)가 사각형상으로 마련되어, 건물의 구석진 곳에 설치하기 용이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더러워진 상태를 물과 세제로 세척한 고무재질의 장갑(1)을 그 내,외부에 설치하게되는데, 이때 고무재질의 장갑(1)은 손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입구를 하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건조통(40,140)의 내부에서는 거치봉(30) 선단에 마련된 선단부(31)의 외측으로 설치하고, 건조통(40,140)의 외부에서는 거치대(90,190)의 집게(93)를 벌린 후 그 사이에 고무재질의 장갑(1)의 손가락 부분을 물리게 된다.
이로써, 고무재질의 장갑(1)은 입구가 하측으로 향하게 되므로, 그 내부의수분이 하측으로 흘러내리게되고, 이때 자동타이머(80)를 동작시켜 전원을 동작시킴과 더불어 적정한 시간을 설정하게되면 열풍발생기(70)와 오존발생기(60)가 동작하여 열풍과 오존이 발생된다.
그리고 발생된 열풍과 오존은 배출부(20)의 상단측을 통과하여 건조통(40,140)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선단부(31)의 외주토출공(38)과 양면토출공(39)을 통해 고무재질 장갑(1) 내부의 각각의 손가락으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건조통(40,140)의 내부에서는 열풍이 순환하고 이 열풍에 의해 고무재질 장갑(1)의 내, 외부가 건조됨과 동시에 오존의 발생으로 인해 고무재질 장갑(1)에 묻어있는 세균 등을 멸균 및 탈취하고, 이로 인해 고무재질 장갑의 건조와 청결성을 함께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순환된 열풍은 건조통(40,140)의 저면 외주측에 형성된 연통공(1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와 함께 건조통(40,140)의 바닥에 고여있는 수분이 연통공(1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 외부로 배출된 열풍은 외부의 공기온도에 비해 높은 온도이므로 연통공(100)을 통과하여 건조통(40,140)의 외주면을 따라 그 상측으로 상승하고, 이때, 입구가 하향으로 배치된 고무재질의 장갑(1)의 내부로 유입되어 그 내부의 수분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멸균 및 탈취를 수행하게 된다.
이로써, 본원발명의 건조장치는 고무재질 장갑(1)의 입구를 하향으로 배치하여 자연 건조시킴과 동시에 그 내부로 열풍을 유입시켜 신속하게 수분을 증가시키며, 건조통(40,140)의 내부를 순환한 열풍이 연통공(100)을 통해 외부에 거치된 고무재질 장갑(1)을 내부로 유입되어 열풍발생기(70)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외주토출공과 양면토출공으로 인해 고무재질 장갑 내부 각각의 손가락으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어 건조를 신속히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외주토출공과 양면토출공이 좌,우대칭으로 마련되어 고무재질 장갑의 좌,우측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건조통의 내부에 설치된 고무재질 장갑을 건조 및 멸균 탈취 시키고 배출되는 열풍으로 그 외부측에 설치된 고무재질 장갑을 다시 건조시키게되므로, 열풍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된다.
즉, 낭비되는 열을 재활용하여 열풍발생기의 열효율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이를 구동시키는 전원을 절약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대량의 고무재질 장갑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발생기가 내부에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열풍을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상측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거치봉과, 상기 거치봉의 외측으로 건조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배출부에 고정되는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 뚜껑과, 상기 건조통의 외부 상측에 설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측으로 열풍을 배출함과 동시에 배수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건조통의 외부 하측에 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봉(30)은 상기 열풍발생기(70)와 연통되도록 중공으로 마련되고 그 선단측에는 장갑(1) 등을 거치하기 용이하도록 원반형상으로 확대 형성된 선단부(31)가 마련되되, 상기 선단부(31)에는 상기 장갑(1)에 형성된 각각의 손가락과 연통되도록 외주토출공(38)과 양면토출공(39)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토출공(38)은 상기 장갑(1)의 좌우측 검지 중지 약지 소지 손가락에 대응되도록 상기 선단부(31)의 외주 상측에 중심측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토출공(39)은 상기 장갑(1)의 좌우측 엄지 손가락에 대응되도록 상기 선단부(31)의 전후면에 중심측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90)는 일단이 상기 건조통(40)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연장봉(91)과 이 연장봉(91)의 타단에 고정되는 테두리(92)와 이 테두리(92)의 일측이 고정되는 집게(93)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100)은 상기 배출부(20)의 외주측으로 확장형성된 건조통(40)의 저면 외주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이동용 캐스터(12) 3개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건조통(4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오존발생기(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열풍발생기(70)와 오존발생기(60)가 일정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설정하는 자동타이머(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배출부(20)와 건조통(40)과 거치대(90)와 뚜껑(50)은 원형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와 배출부(120)와 건조통(140)과 거치대(190)와 뚜껑(150)은 사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KR10-2001-0062171A 2001-10-09 2001-10-09 건조장치 KR100424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171A KR100424592B1 (ko) 2001-10-09 2001-10-09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171A KR100424592B1 (ko) 2001-10-09 2001-10-09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305A KR20030030305A (ko) 2003-04-18
KR100424592B1 true KR100424592B1 (ko) 2004-03-27

Family

ID=2956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171A KR100424592B1 (ko) 2001-10-09 2001-10-09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5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1052B (zh) * 2020-06-29 2021-12-31 老肯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臭氧消毒机的手套放置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998U (ja) * 1993-02-12 1994-09-06 大同特殊鋼株式会社 絶縁手袋乾燥装置
KR20000005913U (ko) * 1998-09-04 2000-04-06 이강오 건조장치
KR200225686Y1 (ko) * 2000-12-29 2001-06-01 이강오 건조장치
KR200252066Y1 (ko) * 2001-07-24 2001-11-22 태우종합산업(주) 고무장갑 소독장치
KR200252089Y1 (ko) * 2001-07-31 2001-11-23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고무장갑의 살균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998U (ja) * 1993-02-12 1994-09-06 大同特殊鋼株式会社 絶縁手袋乾燥装置
KR20000005913U (ko) * 1998-09-04 2000-04-06 이강오 건조장치
KR200225686Y1 (ko) * 2000-12-29 2001-06-01 이강오 건조장치
KR200252066Y1 (ko) * 2001-07-24 2001-11-22 태우종합산업(주) 고무장갑 소독장치
KR200252089Y1 (ko) * 2001-07-31 2001-11-23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고무장갑의 살균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305A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4213B2 (en) Laundry appliance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freshening contents thereof
CN106620755B (zh) 一种消毒盒
DE69525350D1 (de) Verfahren zur Energieeinsparung in Haushaltsgeräten und Gerät mit verbessertem Energiewirkungsgrad
DE502004010217D1 (de)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energiesparenden trocknungseinrichtung
KR100424592B1 (ko) 건조장치
KR101468112B1 (ko) 화장솔 자동 세척장치
ITPN990085A0 (it) Metodo e apparecchio a cesto rotante del tipo a condensazione per asci ugare biancheria
CN207357728U (zh) 一种医用试管自动清洗干燥装置
KR20050115970A (ko) 건조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용 받침대
CN209752909U (zh) 一种化学实验室用试剂瓶存放装置
KR20050115968A (ko) 건조기능을 갖는 드럼 세탁기용 받침대
DK2072658T3 (da) Elektrisk indretning til vaskning og/eller tørring af artikler
KR101041904B1 (ko) 건조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용 받침대
CN212051993U (zh) 一种用于手术衣洗涤的消毒装置
CN207749322U (zh) 一种手持式洗衣器
CN210740923U (zh) 一种医疗试管干燥装置
CN205413773U (zh) 一种全自动载玻片清洗烘干一体仪
CN209984323U (zh) 一种手术室洗手干手机
EP1402808A4 (en) MECHANICAL WASHING BRUSH, INTEGRATED STRUCTURE OF GROOVED PULSATOR AND WATER REMOVAL CYLINDER
CN206444965U (zh) 一种吸管清洗晾干装置
CN215018975U (zh) 多功能内镜附件放置架
CN210279229U (zh) 一种医用实验台
CN215936555U (zh) 一种带有雨伞烘干功能的背包
KR101042109B1 (ko) 골프장갑용 살균 건조기
CN209810236U (zh) 一种分子生物学实验操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