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957Y1 - 흑색형광전구를 내장한 형광 조형물 - Google Patents

흑색형광전구를 내장한 형광 조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957Y1
KR200251957Y1 KR2020010023481U KR20010023481U KR200251957Y1 KR 200251957 Y1 KR200251957 Y1 KR 200251957Y1 KR 2020010023481 U KR2020010023481 U KR 2020010023481U KR 20010023481 U KR20010023481 U KR 20010023481U KR 200251957 Y1 KR200251957 Y1 KR 200251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black
light
sculptur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걸
Original Assignee
박성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걸 filed Critical 박성걸
Priority to KR2020010023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9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957Y1/ko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고시설물과 실내 장식용에 사용하는 형광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아크릴, 멜라민 등의 투명 수지 판을 사용하고 한쪽 면을 형광안료와 무형광안료 및 유성접착제를 혼합한 착색용 형광 조성물로 실크인쇄기법 또는 수작업으로 그림 및 무늬를 인쇄 또는 착색 시킨 후 착색 된 면을 내측으로 향하게 하고 내부에 공간이 생기도록 열압축기 또는 판금으로 입체 조형 한 후 그 조형물 내부에 흑색형광전구를 내장 시키고 비추면 블루자외선 또는 블랙라이트에 의해 형광조성물이 발광하고 그 빛으로 투명한 조형물을 투과하여 찬란하고 영롱한 색채가 나는 조형물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형물 본체 외부 표면이 투명한 수지재질이여서 세척 시 용이하고 형광 조성물 과 무형광안료의 배합 중량비에 따라 색상 과 형광색도의 밝기를 조절하고, 흑색형광전구의 조도 와 형광조형물을 착색 하는 방법에 따라 조형물의 입체효과(돌출 과 함몰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착색 시 무형광도료와 구분하여 형광조성물을 특정부위에만 사용하는 기법으로 색상과 색도를 차별 하여 발광 시킬 수 있어 무형광재료를 사용한 광고간판과 조형물에 비해 시각효과가 뛰어난 흑색형광전구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시설물 과 실내 장식에에 사용하는 형광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체(1)는 투명한 재질의 수지판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투명수지 입체표면판(2) 을 갖고 있고, 상기 표면판(2) 의 내측면에는 형광조성물(3)이 착색되어 있으며, 본체(1) 내부에는 형광 조성물(3)을 발광시키기 위한 흑색형광전구(4)와 이를 고정하는 조명부(5)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가 형성되며, 본체 상, 하 단부에는 전등 열 배출구(7)와 불량전구 교환을 위한 본체 분리부(8)로 구성한다.

Description

흑색형광전구를 내장한 형광 조형물{The Fluorescent Shape with a built-in BLB(Black Light Bulb)}
본 고안은 광고시설물과 실내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형광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투명한 재질의 수지판을 사용하고 형광안료 와 무형광안료 및 유성접착제를 배합한 형광 조성물을 실크인쇄 또는 그리는 방법으로 조형물 내부에 착색 한 후 조형물 내부에서 흑색형광전구를 비추면 블루자외선 또는 블랙라이트에 의해 발광하는 형광안료의 찬란하고 영롱한 색채를 광고시설물과 실내 장식용 조형물로 활용 하여 시각적으로 입체효과(돌출과 함몰효과)를 높이고 다양한 색상과 강렬한 색도를 연출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형광전구가 내장된 형광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용 간판과 선전용 조형물 들은 상품의 판매량을 늘리기 위한 목적을 갖고 홍보용으로 제작 되여 점포의 옥,내외에 설치 하게 된다.
종래에는 광고용 간판과 조형장식물의 경우 천과 불투명수지를 사용하고 그 외부 면 위에 실크인쇄 또는 그림, 필름 등을 부착시킨 후 조형물을 제작하여 조형물 내부 또는 외부에 무형광전구를 설치하고 그 빛으로 불투명한 간판과 조형장식물의 그림과 형체 만을 연출하였고 발광 하는 색체효과 또는 입체효과 와 같은 광고물의 생명인 특수한 효과는 연출하지 못하였다. 또한, 색감과 색도를 높이기 위하여서는 많은 조명등이 필요하여 이에 따르는 조명시설설치와 많은 전력소비 부담등 문제점이 있었다.
그 외에 발광하는 광고물 종류로는 네온사인이 있으나 가느다란 네온 유리관을 주재료로 구부려서 사용하기 때문에 그림과 같은 섬세한 부분의 사실적 표현이 불가능하고 주간보다는 야간에 활용도가 높아 광고물이 갖는 홍보효과도 떨어지고 광고의 표현범위가 국한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특히, 실내 장식용의 경우 재료소재 자체가 불투명재질로 만들어져 있어 내부에서 전등을 비추는 방식보다는 외부에 조명기구를 설치하여 비추었으며 피조물의 입체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피조물 주변에 여러 각도에서 조명등을 설치해야 되었다. 그리고, 조형물 보다는 나무중심의 재료에 벽지나 도료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런 경우, 별도의 조명기구 설치 공간확보가 필수적이며 전등불빛이 사람 눈에 직접 투시 되여 시각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
그리고, 일반적으로 흑색형광전구 사용은 광고시설물 보다는 형광벽지, 바닥용 형광직조물 과 형광페인트 등 주로 실내 장식용 형광자재들을 외부에서 비춰주는 보조 조명등으로 활용되고있다.
본 고안의 과제는 상기와 같이 광고시설물과 실내 장식용 조형물의 상술한 제결점 들을 해소하기위해 외형을 투명한 수지판을 사용하여 투명 조형물을 조형하고 내측벽면에 형광안료가 혼합된 형광 조성물을 사용하여 그림, 무늬, 문자 등을 직접인쇄방법 또는 천종류, 수지종류, 종이종류 등에 인쇄 후 부착하는 방법등으로 내부에서 발광하는 형광안료의 영롱한 불빛을 투과 하도록 하였다,
또한, 소비전력이 적은 흑색형광전구의 조명으로도 색도가 높고 영롱하게 색체를 발광하는 형광안료의 특성을 이용하고 시야에 조명등 불빛이 안 보이게 흑색 형광전구를 조형물 내부에 내장하여 불필요한 외부조명기구설비를 없애고, 종래의 광고물 보다 월등한 색상과 색감을 이용하여, 평면투명판에 실크인쇄 또는 수작업만으로 인쇄 또는 착색하여도 입체효과(돌출과 함몰효과)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특징을 이용하여 홍보용 광고시설물 및 실내 장식용에 사용 할 수 있도록 창안 한 것이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측 단면 상태도
제 1a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측 단면 상태도
제 2a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측 단면 상태도
제 3a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주요부호의 설명
1. 조형물 본체 2. 투명수지 표면판 3. 형광 조성물
4. 흑색형광전구 5. 조명부 6. 전원부
7. 열 배출구 8. 분리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면을 통해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도면에 한정되지않는다.
예컨대, 조형물의 크기가 모양과 내용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흑색형광전구의 장치 수량이 달라질 수 있고, 직류. 교류전기종류에 따라 전선연결방식도 바뀔수가있다. 또한, 조형물의 규모, 색도의 밝기, 색상, 부분발광기법등에 따라 흑색형광전구를 직류용과 교류용에서 선택 장착할 수 있으며, 무형광 도료나 일반 색 필름을 동시에 사용 할 경우에도 일반형광등과 백열 전구를 함께 사용할 수 도 있기 때문이다.
제1도와 도1a는 본 고안의 벽면 부착용 입체간판의 측 단면 상태도와 사시도이며, 제2도와 도2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벽걸이용 양면 입체간판의 측 단면상태도와 사시도를 도시 한 것으로 본 고안의 본체(1) 는 플라스틱, 아크릴, 멜라민, 비닐 등의 투명한 수지판으로 내부가 비여 있는 투명수지 입체표면판(2)을 갖고있고, 상기 표면판(2) 내측면에는 형광안료와 무형광안료 및 유성접착제를 배합하여 조성된 안료와 유성접착제를 색상, 색도에 따라 무게비 약 1대 3에서 2대 5로 혼합한 착색용 형광 조성물(3)이 실크인쇄기법 또는 그림을 그리는 방식으로 두께 0.2mm ~ 6.0mm로 착색 되어 있으며, 본체(1)내부에는 착색용 조성물(3)을 발광시키기 위한 블루자외선 또는 블랙라이트가 발생하는 흑색형광전구(4)와 이를 고정하는 조명부(5)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5)에 직류와 교류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부(6)가형성되며, 본체(1) 의 상,하부에는 조명전구 열 배출구(7)와 불량전구 교환을 위해 본체(1)를 분리 할 수 있는 분리부(8)로 구성 한 것이다.
상기에서 착색용 형광 조성물(3)의 인쇄두께와 부착용 재료두께는 조형물의 명암, 색상, 색도처리 방법에 따라 착색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본체(1)의 투명 표면판(2)은 섭씨60도이상 고온에도 변형이 없는 내열성과 내구성이 강한 투명한 재질의 수지로 사용두께를 조형물의 크기, 설치장소, 연출하고자 하는 모양등에 따라 두께0.5mm~15.0mm의 재료를 사용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조형물 본체(1) 내부에 설치한 흑색형광전구에서 발생하는 전구 열은 열량 세기에 따라 흑색형광전구의 교류사용 전구를 전원부(6)에 전류교체기를 설치하여 전구 발열이 적은 직류사용 전구로 교체 토록 하여 내부 열을 최소화 하고 나머지 전구 열은 열 배출구(7)를 통해 배출 되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완성된 조형물은 흑색형광전구(4)가 내부에서 불빛을 비추면 상기 표면판(2) 위에 착색 된 형광 조성물이 찬란하고 화려하게 발광을 하고, 이 빛은 투명한 표면판(2) 을 투과하여 조형물이 빛 날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3도와 도3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장식용 입체조형물의 측 단면 상태도와 사시도를 도시 한 것으로 본체(1)가 입체형으로 바닥에 세워지는 방식으로 불빛이 사방으로 비추어진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때, 조명부(5)의 조명고정기구가 조형 물 표면에 그림자를 나타내지 못하도록 조명부(5)에 고정하는 흑색형광전구(4)의 고정장치를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구성한다.
상기한 투명조형물 본체와 그 내부에 형광조성물 을 착색한 방식 및 흑색형광전구를 내장한 구성에 의해 형광조형물이 적은 전력으로도 색상이 화려하고 색도가 짙은 색체를 발산 함으로서 종래의 광고간판 및 조형물과 비교 하여 볼 때 입체효과( 돌출과 함몰효과 ) 와 시각효과가 높아 광고의 사실적 표현을 적절히 연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직류12볼트전기(DC용) 흑색형광전구 사용 시 자동차부착 발광 광고물은 물론 별도의 전선이 불필요해 이동식 광고간판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홍보용도의 광고물을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설치 할 수 있어 광고간판산업 및 장식용 조형물 산업에 매우 유용 한 것이다.

Claims (4)

  1. 유리, 플라스틱, 아크릴, 멜라민, 비닐 등의 투명한 수지판 과 유리판을 사용하여 내부에 공간이 생기도록 외부면을 입체 와 평면으로 조형한 투명한 표면판(2)이 있고, 상기 표면판(2)의 내측면에 형광안료와 무형광안료 및 유성접착제를 배합하여 조성된 안료와 유성접착제를 무게비 약 1~2 : 3~5로 혼합된 착색용 형광조성물(3)을 사용하여, 도안 하고자 하는 그림, 문자, 무늬 등을 실크인쇄기법 또는 수작업으로 인쇄 또는 착색 하고, 조형물 본체(1)의 내부에는 조명장치로 직류전기사용 또는 교류전기사용 흑색형광전구(4)를 내장하여, 상기 흑색형광전구(4)를 발광 시켜 비추면, 투명한 조형물의 내측면에 착색된 형광조성물(3) 속에 함유된 형광안료가 블루자외선 또는 블랙라이트에 의하여 찬란하고 영롱한 색체를 발광하고, 그 빛으로 조형물을 밝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색형광전구(4)를 내장한 광고시설물과 실내 장식용에 사용하는 형광조형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판(2) 내측면에 상기 형광조성물(3)을 사용하여 천 종류, 수지종류, 종이종류 위에 직접 실크인쇄 또는 수작업으로 형광조성물(3)을 인쇄 또는 착색을 한 접착용 필름 또는 천, 종이를 부착하고 흑색형광전구(4)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시설물 과 실내 장식용에 사용하는 형광 조형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직류12볼트전기사용 흑색형광전구(4)를 내장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부착 광고간판과 홍보용 이동식 형광조형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같은 방법으로 본체(1)를 구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실내 천정 및 내벽면 인테리어용 형광조형물.
KR2020010023481U 2001-08-01 2001-08-01 흑색형광전구를 내장한 형광 조형물 KR200251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481U KR200251957Y1 (ko) 2001-08-01 2001-08-01 흑색형광전구를 내장한 형광 조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481U KR200251957Y1 (ko) 2001-08-01 2001-08-01 흑색형광전구를 내장한 형광 조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957Y1 true KR200251957Y1 (ko) 2001-11-22

Family

ID=7310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481U KR200251957Y1 (ko) 2001-08-01 2001-08-01 흑색형광전구를 내장한 형광 조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9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74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the appearance of a neon sign
TW457469B (en) Fluorescent, structured shaped article
KR100523213B1 (ko) 광고와 조명 인테리어 표시매체 및 간접광고 조명등
KR20080079359A (ko) 광고 와 인테리어 간접조명 표시매체
US7357551B2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microlight sources and soft light panel
KR200251957Y1 (ko) 흑색형광전구를 내장한 형광 조형물
KR100338715B1 (ko) 투명 아크릴 플라스틱 판의 조각면을 이용하여 다양한조명을 연출하는 조명 간판 및 등갓 조명 스탠드
KR101123369B1 (ko) 이미지 표시장치
CN101856186A (zh) 超薄发光画灯
KR20050007088A (ko) 조명등
KR200227995Y1 (ko) 광섬유와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 장치
JP2000149606A (ja) 発光物
KR100694867B1 (ko) 엘이디의 반사광을 이용한 발광 사인물
KR200264961Y1 (ko) 형광 수지를 이용한 조명 간판
KR200291662Y1 (ko) 엘이디를 이용한 발광광고장치
JP3021208U (ja) 近紫外線照射発光の無機蛍光体を用いた氷床及び氷柱
KR200374110Y1 (ko) 엘이디의 반사광을 이용한 발광 사인물
KR200392013Y1 (ko) 간판 조명장치
CN2338842Y (zh) 电子冷光招牌
CN1285373A (zh) 新型发光装饰材料
KR200211977Y1 (ko) 다양한 화면이 표출되는 광고판
KR200293947Y1 (ko) 조명방식의 광고겸용 장식액자
RU23516U1 (ru) Устройство визуального представ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KR0169308B1 (ko) 장식용 형광판넬
JPH03425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