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960Y1 - joint device of profile - Google Patents

joint device of prof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960Y1
KR200250960Y1 KR2020010021439U KR20010021439U KR200250960Y1 KR 200250960 Y1 KR200250960 Y1 KR 200250960Y1 KR 2020010021439 U KR2020010021439 U KR 2020010021439U KR 20010021439 U KR20010021439 U KR 20010021439U KR 200250960 Y1 KR200250960 Y1 KR 200250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ixed shaft
screw
shaf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43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선
Original Assignee
훼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훼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훼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1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96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960Y1/en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파일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의 파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접속구(11)와, 상기 파일의 선단 통로로부터 인입되는 고정축(12)이 상기 접속구(11)와 교차하면서 나사(15)의 조절에 의해 고정축(12)이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되고, 고정축(12)의 선단에 축머리(17)가 형성되어 이 축머리(17)를 상대 파일의 조립홈에 걸어서 상기 나사의 조작으로 조이도록 된 구성에 의해 매우 간편하게 조립식 파일의 접속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접속된 상태에서의 위치이동이 용이하며, 파일의 중심에서 결속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견고하고 안정된 조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서 뛰어난 작업성과 제품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device of a prefabricated pile, and the connection port (11)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pile on one side, and the fixed shaft (12) drawn from the leading passage of the pile crosses the connection port (11) while the screw ( By the adjustment of 15), the fixed shaft 12 is pulled to the rear, and the shaft head 17 is formed at the tip of the fixed shaft 12, and the shaft head 17 is hooked to the mating groove of the mating pile and the screw It is possible to connect and disconnect the prefabricated pile very easily by the configuration that is tightened by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movement in the connected state is easy, and the binding is made at the center of the pile, so that the solid and stable assembly state can be maintained.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product stability.

Description

조립식 파일의 접속장치{joint device of profile}Joint device of profile

본 고안은 각종 작업라인을 형성하는 조립식 파일(프로파일;profil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와 배관 또는 각종 연결라인을 형성하는 조립식 파일을 쉽게 접속하거나 분리 또는 위치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파일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rofile (profile; profile) for forming various work lines, and more particularly, to easily connect or separate or move the prefabricated pile forming a rod and pipe or various connection lines. A device for connecting a prefabricated pile.

여기서, 파일이라 함은 각종 틀을 형성하는 기본 단위로서의 막대를 의미하며, 특히 작업을 위한 작업라인을 형성하거나 기계나 기구 등의 받침대 또는 선반 등에서 폭 넓게 적용되는 막대를 뜻하며, 단순한 기둥에서부터 복잡한 공정의 생산라인 등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반 가정은 물론 각종 산업 분야에서 그 용도를 찾을 수 있는 단위 조립체(이하 '파일'이라 함)를 말한다.Here, the pile means a bar as a basic unit for forming various frames, and in particular, a bar that is widely applied in forming a work line for work or a pedestal or a shelf of a machine or a device, etc., from a simple column to a complex process. Not only can be widely used in the production line of the unit, but also refers to a unit assemb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le') that can find its use in various industries as well as general households.

그 중에서 종래 기술의 한 예를 들면, 특정 물품을 생산하기 위한 작업을 함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하여 작업대 또는 연속적인 작업라인을 형성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작업대는 다수의 파일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각 방향으로의 조립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파일은 그 용도에 따라 목재나 금속재가 사용되고 있는데, 근래에는 조립의 용이성과 가벼운 점 등으로 인하여 알루미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Among them, in the prior art, for example, in the production of a specific article, a worktable or a continuous workline is formed for more efficient work, which generally cuts a plurality of piles into appropriate lengths. Most of them are constructed by assembling in each direction, and wood or metal materials are used for these piles according to their use. Recently, aluminum is mainly used due to ease of assembly and light point.

그리고, 이 파일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조립홈이 연속 형성되어 있고, 이 조립홈의 입구 내측으로 턱이 형성되어 볼트머리 등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고 이러한 볼트 등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파일들을 조립하여 접속하게 된다.And, this pile is formed with a continuous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a jaw is formed inside the inlet of the assembly groove so that the bolt head, etc. are inserted and hooked together to assemble different piles using these bolts, etc. To connect.

도 1 및 도 2는 종래 파일의 접속장치를 일례로서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두 개의 파일을 직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각 파일(1)의 조립홈(3)에 너트(4)를 미리 삽입하여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키고 직각으로 굽어진 브라켓(5)을 파일의 접촉부위에 위치시킨 다음 볼트(6)에 의해 상기 브라켓(5)을 상기 각 너트(4)에 조립하여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파일을 연결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1 and 2 show a conventional file connecting device as an example, and referring to this, in order to connect two files at a right angle, the nut 4 is previously inserted into the assembly groove 3 of each file 1. And the bracket 5 is bent at a right angle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pile, and the bracket 5 is assembled to the nuts 4 by the bolts 6 to fix the pile. It is connected and fixed.

이러한 종래의 접속장치에 의해 파일을 접속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There is a problem in accessing a file by such a conventional connection apparatus.

즉, 볼트 조립을 위해 너트(4)를 미리 파일(1)의 조립홈(3)에 삽입하여야 하는데 이때, 너트(4)를 파일(1)의 최단부로부터 삽입하여 조립위치까지 이동시켜야 하고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자리잡기 어려워서 숙련이 요구되고, 특히, 조립하는 두 개의 파일에서 동시에 위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과, 직각으로 각각 볼트를 조립하여야 하는데 브라켓(5)과 너트(4)를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That is, in order to assemble the bolt, the nut 4 should be inserted into the assembly groove 3 of the pile 1 in advance. In this case, the nut 4 should be inserted from the shortest end of the pile 1 and moved to the assembly position.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position and requires skill, especially the hassle of positioning at the same time two files to be assembled, and the bolts must be assembled at right angles, so the bracket 5 and the nut 4 must be exactly matched. The work was very inconvenient.

또한, 브라켓(5)이 파일의 일측으로 조립되는 관계로 접속된 파일의 견고한 지지상태가 이루어지기 어렵고, 따라서 안정된 접속상태가 유지될 수 없으며, 일단 조립된 파일은 그 위치를 변경하거나 접속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도 일일이 볼트를 풀고 너트와 같은 부품을 다시 최단부로부터 인출하여야 하며, 다른 부위에 접속부분이 있을 경우에는 그 부분마저 분리하여야 부품을 인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서 비능률적인 폐단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bracket 5 is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pile, a firm support state of the connected pile is difficult to be achieved, and thus, a stable connection state cannot be maintained, and once the assembled pile is changed in its position or disconnected from the pile, If you want to do it, you have to loosen the bolts and pull out parts such as nuts again from the shortest part. If there is a connection part in another part, you have to remove the part even if there is a connection part. .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다 간편하고 능률적으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고, 견고하고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조립상태에서의 위치이동이 용이하며, 분리 또한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파일의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which can be assembled more easily and efficiently, can maintain a solid and stable connection state, easy to move the position in the assembled state, It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pile connect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유단을 가지고 길게 형성되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일부가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다수의 조립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파일을 접속하는 것에 있어서, 측면 일단에 연결구멍이 뚫어져 있고 윗면으로부터 상기 연결구멍에 연결되는 나사홈이 관통되어 이 나사홈에 선단이 원뿔형으로 된 나사가 결합되어 있는 접속구와; 길게 형성된 축으로 되어 상기 접속구의 연결구멍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외주연 일단에 원뿔홈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 선단에는 확경된 축머리가 형성되어 이 축머리의 일측 또는 마주하는 양측이 일부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고정축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ee end and is formed to be elongated to form a passa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assembling grooves formed at the outer side to partially open to the out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on port having a connection hole drilled in one end of the side and a screw groov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from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screw having a conical end coupled to the screw groove; The shaft is formed to be long and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of the connector, and a conical groov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n enlarged shaft head is formed at one end thereof so that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haft head are partially cut. There is a feature that is provided with a fixed shaft made of a form.

이러한 본원 접속장치에 의해 조립식파일을 접속할 때에는 접속하는 두 개의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파일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조립구멍을 뚫어서 상기 접속구를 삽입하고, 파일의 선단부 중앙의 통로로부터 상기 고정축을 후단부로부터 삽입하여 상기 접속구의 연결구멍에 끼워지도록 하고, 접속구의 나사를 조이면 나사의 원뿔형 선단이 고정축의 원뿔홈에 인입되면서 고정축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When the prefabricated pile is connected by such a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necting port is inserted by drilling an assembly hol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nd of one of the two piles to be connected, and the fixed shaft is moved from the rear end to the passage in the center of the leading end of the pile. By inserting the connector into the connection hole of the connector, and tightening the screw of the connector, the conical tip of the screw is introduced into the conical groove of the fixed shaft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fixed shaft.

여기서, 상기 나사의 중심은 고정축의 원뿔홈의 중심보다 약간 후방으로 위치되도록하여 나사의 선단이 원뿔홈의 후방측 경사면에 접촉되도록 한다.Here, the center of the screw is positioned slightly rearward of the center of the conical groove of the fixed shaft so that the tip of the screw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ide inclined surface of the conical groove.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축의 축머리를 상대 파일의 조립홈에 끼우고 상기 나사를 완전히 조이면 나사의 원뿔면과 원뿔홈의 접촉으로 고정축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축머리가 상대 파일의 조립홈에 형성된 턱을 당기게 되어 간단히 고정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shaft head of the fixed shaft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groove of the mating pile and the screw is completely tightened so that the shaft moves to the rear by contact of the conical surface of the screw and the conical groove, and the shaft head pulls the jaw formed in the assembly groove of the mating pile. Simply fixed.

도 1 - 종래 접속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1-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nnection device

도 2 - 상기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FIG.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접속장치의 사시도3-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 본 고안에 따른 접속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Figure 4-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 본 고안에 따른 접속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 사시도5-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 본 고안에 따른 접속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7-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1 ; 접속구 12 ; 고정축11; Connector 12; Fixed shaft

13 ; 연결구멍 14 ; 나사홈13; Connecting hole 14; Screw groove

15 ; 나사 16 ; 원뿔홈15; Screw 16; Conical groove

17 ; 축머리 18 ; 돌출부17; Shaft head 18; projection part

19 ; 스프링 21,31 ; 파일19; Springs 21,31; file

22,32 ; 통로 23,33 ; 조립홈22,32; Passage 23,33; Assembly groove

34 ; 턱34; chin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a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bodiment as follow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의 접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조립된 상태의 일부 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device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Figure 6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상기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접속구(11)와 고정축(12)으로 대별되며, 상기 접속구(11)는 측면에 연결구멍(13)이 형성되어 있고, 윗면으로부터 상기 연결구멍(13)에 통하는 나사홈(14)이 형성되어 선단이 원뿔형으로 된 나사(15)가 결합되어 있다.3 to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divided into a connector 11 and a fixed shaft 12, the connector 11 is formed with a connection hole 13 on the side, from the top surface A screw groove 14 is form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3 so that the screw 15 having a conical tip is joined.

상기 고정축(12)은 축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후단부에 근접한 외주면 일단에 원뿔홈(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에는 확경된 축머리(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머리(17)는 마주하는 양 측 또는 일측이 절단되어 그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The fixed shaft 12 is elongated in the form of a shaft, and a conical groove 16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end portion, and a shaft head 17 is enlarged at the tip end thereof. The shaft head 17 is cut on both sides or one side facing each other, and the width thereof is narrow.

이러한 본원 접속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파일(21)은 동일 단면의 연속된 긴 막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단면의 중앙에 통로(22)가 형성되어 있다.The pile 21 for using the connection device of this application consists of a continuous long rod of the same cross section, and the channel | path 2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통로(22)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조립홈(23)이 형성되어 있는데, 각조립홈(23)은 외측이 일부가 개구되어 그 입구의 양측으로 턱(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립홈(23)은 파일(21)의 측면에 이음매나 다른 파일이 연결될 때 볼트머리나 너트 등이 삽입되는 홈으로 사용된다.A plurality of assembling grooves 23 are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assage 22, and each of the assembling grooves 23 is partially open at the outside thereof, and jaws 24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inlet. The assembly groove 23 is used as a groove into which a bolt head or nut is inserted when a joint or another pile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pile 21.

도면에서 파일(21)은 사각형의 단면을 이루고 있으나, 원형이나 다른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22) 또한 사각형이나 타원 등 그 단면 형상을 달리할 수 있다.In the drawing, the file 21 forms a cross section of a rectangle, but may be formed of a circle or another polygon, and the passage 22 may also have a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 such as a rectangle or an ellipse.

이러한 조립식파일을 접속할 때에는 접속하는 두 개의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파일(21)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조립구멍(25)을 뚫어서 상기 접속구(11)를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조립구멍(25)의 위치는 상기 고정축(12)의 길이를 고려하여 고정축(12)의 축머리(17)로부터 원뿔홈(16)의 거리를 계산하여 형성하게 된다.When the prefabricated pile is connected, the connecting hole 11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25 at a position adjacent to an end of one of the two piles to be conn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fixed shaft 12 is formed by calculating the distance of the conical groove 16 from the shaft head 17 of the fixed shaft 12.

상기 파일(21)의 선단부 중앙의 통로(22)에 상기 고정축을 후단부로부터 삽입하여 상기 접속구(11)의 연결구멍(13)에 끼워지도록 하고, 접속구(11)의 나사(15)를 조이면 나사(15)의 원뿔형 선단이 고정축(12)의 원뿔홈(16)에 인입되면서 고정축(12)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The fixed shaf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 13 of the connector 11 from the rear end by inserting the fixed shaft into the passage 22 in the center of the tip end of the pile 21, and screwing the screw 15 of the connector 11 Conical tip of (15) is introduced into the conical groove 16 of the fixed shaft 12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fixed shaft 12.

여기서, 상기 나사(15)의 중심은 고정축(12)의 원뿔홈(16)의 중심보다 약간 후방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나사(15)의 선단이 원뿔홈(16)의 후방측 경사면에 접촉되도록 한다.Here, the center of the screw 15 is positioned slightly rearward of the center of the conical groove 16 of the fixed shaft 12 so that the tip of the screw 15 is in contact with the rear inclined surface of the conical groove 16. .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축(12)의 축머리(17)를 상대 파일(31)의 조립홈(33)에 끼우게 되는데, 축머리(17)를 파일(31)의 최 단부로부터 조립홈(33)에 삽입하여도 무방하나 축머리(17)의 폭이 좁은 부분을 조립홈(33)의 길이방향에 맞추어 인입시킨 다음 직각으로 비틀게 되면, 축머리(17)의 폭이 넓은 부분이 조립홈(33)의 턱(34)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In this state, the shaft head 17 of the fixed shaft 12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groove 33 of the mating pile 31, and the shaft head 17 is assembled from the outermost end of the pile 31. The width of the shaft head 17 may be inserted into the assembly groove 33 when the narrow portion of the shaft head 17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ssembly groove 33 and then twisted at a right angle. The jaw 34 of the 33 is caught and is not detached.

이 상태에서 상기 나사(15)를 완전히 조이면 나사(15)의 원뿔면이 원뿔홈(16)의 후방 경사면을 밀면서 진입되어 결국, 고정축(12)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축머리(17)가 상대 파일(31)의 조립홈(33)에 형성된 턱(34)을 당기게 되어 각 파일(21,31)이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screw 15 is completely tightened, the conical surface of the screw 15 enters while pushing the rear inclined surface of the conical groove 16, and as a result, the shaft head 17 moves to the relative pile while the fixed shaft 12 is moved backward. The jaw 34 formed in the assembly groove 33 of the 31 is pulled so that the piles 21 and 31 are in close contact and fixed.

그리고, 접속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나사(15)를 약간만 풀면, 당겨지는 압력이 해제되면서 느슨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조립홈(33)의 길이방향으로 고정축(12)을 이동시켜서 다시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시키거나 또는, 직각으로 비틀어서 축머리(17)의 폭이 좁은 부분을 이용하여 조립홈(33)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And, if you want to disconnect the connection only loosen the screw 15 slightly, the pressure is released to loosen, in this state to move the fixed shaft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ssembly groove (33) again to position It can be fixed by adjusting or twisted at right angles to easily separate from the assembly groove 33 by using a narrow portion of the shaft head (17).

이러한 본 고안의 접속장치에 의해 조립식 파일을 매우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연결된 상태에서 위치이동이 매우 용이하고, 접속 수단이 파일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접속이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By the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pile can be connected very simply, the position movement is very easy in the connected state, and the connection means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ile so that the connection can be maintained firm and stable.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고정축(12)의 선단측 일단에 돌출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18)와 조립된 상태의 접속구(11)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19)이 더 설치되어 있다.7 and 8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a protrusion 18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xed shaft 12, the assembled state with the protrusion 18 The coil spring 19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opening 11 of this.

이에 따라, 고정축(12)은 스프링(19)에 의해 상기 접속구(11)로부터 전방으로 탄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각 파일을 조립한 상태에서 접속을 분리하기위하여 나사(15)를 풀면, 스프링(19)의 탄력으로 고정축(12)이 전방으로 탄지되고, 따라서, 축머리(17)가 조립홈의 턱으로부터 쉽게 이탈된다.Accordingly, the fixed shaft 12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carried forward from the connector 11 by the spring 19, and loosening the screw 15 to separate the connection in the state of assembling each pile, The fixed shaft 12 is pushed forwar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9, so that the shaft head 17 is easily detached from the jaws of the assembling grooves.

이는 결국, 나사를 푸는 조작을 쉽게 하고 상대파일에의 분리를 돕게 되어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This, in turn, facilitates the operation of loosening the screw and facilitates separation to the partner file, thereby providing a function for improving work efficiency.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조립식파일을 매우 편리하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별도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없이 다룰 수 있어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위치이동이 간편하며, 조립안정성이 뛰어나서 소비자들에 대한 신뢰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in this way, the prefabricated pile can be assembled or separated very conveniently, and can be handle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skilled techniqu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easy to move position, and excellent assembly stability for consumers You can increase your confidence.

이상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내용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의 설명일 뿐 이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The contents shown and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implement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일측의 파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접속구(11)와, 상기 파일의 선단 통로로부터 인입되는 고정축(12)이 상기 접속구(11)와 교차하면서 나사(15)의 조절에 의해 고정축(12)이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되고, 고정축(12)의 선단에 축머리(17)가 형성되어 이 축머리(17)를 상대 파일의 조립홈에 걸어서 상기 나사의 조작으로 조이도록 된 구성에 의해 매우 간편하게 조립식 파일의 접속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접속된 상태에서의 위치이동이 용이하며, 파일의 중심에서 결속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견고하고 안정된 조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서 뛰어난 작업성과 제품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djustment of the screw 15 while the connecting port 11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pile on one side, and the fixed shaft 12 drawn from the leading passage of the pile crosses the connecting port 11. The fixed shaft 12 is pulled backward by the shaft, and the shaft head 17 is formed at the tip of the fixed shaft 12, and the shaft head 17 is fastened by the operation of the screw by hooking the shaft head 17 to the mating groove of the mating pile. It is possible to connect and disconnect the prefabricated pile very easily by the configuration so that it is easy to move the position in the connected state, and the binding is made at the center of the pile, so that the solid and stable assembly state can be maintained.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performance and product stability.

Claims (2)

자유단을 가지고 길게 형성되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일부가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다수의 조립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파일을 접속하는 것에 있어서,In connecting a prefabricated pile having a free end,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a passa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assembling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ide, the part of which is opened outwardly, 측면 일단에 연결구멍(13)이 뚫어져 있고 윗면으로부터 상기 연결구멍(13)에 연결되는 나사홈(14)이 관통되어 이 나사홈(14)에 선단이 원뿔형으로 된 나사(15)가 결합되어 있는 접속구(11)와;A connecting hole 13 is drilled at one end of the side, and a screw groove 14 connected to the connecting hole 13 is penetrated from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screw 15 having a conical tip is coupled to the screw groove 14. A connection port 11; 길게 형성된 축으로 되어 상기 접속구(11)의 연결구멍(13)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외주연 일단에 원뿔홈(16)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 선단에는 확경된 축머리(17)가 형성되어 이 축머리(17)의 일측 또는 마주하는 양측이 일부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고정축(12)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의 접속장치.It is formed as a long axis is movably fitted into the connecting hole 13 of the connector 11, the outer peripheral end is formed with a conical groove 16, one end is formed with a shaft head 17 is enlarged A connecting device for a prefabricated pile, characterized in that a fixed shaft (12) is formed in which one side or opposite sides of the shaft head (17) are partially cu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축(12)의 선단측 외주연에 돌출부(18)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18)와 접속구(11)의 사이에 스프링(19)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의 접속장치.Protruding portion 18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fixed shaft 12, the spring 19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18 and the connection port 11, the connection device of the prefabricated pile .
KR2020010021439U 2001-07-14 2001-07-14 joint device of profile KR20025096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439U KR200250960Y1 (en) 2001-07-14 2001-07-14 joint device of prof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439U KR200250960Y1 (en) 2001-07-14 2001-07-14 joint device of prof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960Y1 true KR200250960Y1 (en) 2001-11-17

Family

ID=7310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439U KR200250960Y1 (en) 2001-07-14 2001-07-14 joint device of prof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960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08B1 (en) * 2014-06-05 2015-06-03 정형진 Connector for aluminium profile
KR101597318B1 (en) * 2015-07-29 2016-02-24 김용진 Apparatus for fastening frame member
KR101849272B1 (en) * 2016-05-02 2018-05-24 (주)머스트비 Frame structure for exhibition booth and construction method of exhibition booth using the frame structure
KR20210068879A (en) * 2019-12-02 2021-06-10 최미림 Aluminium profile assemb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08B1 (en) * 2014-06-05 2015-06-03 정형진 Connector for aluminium profile
KR101597318B1 (en) * 2015-07-29 2016-02-24 김용진 Apparatus for fastening frame member
KR101849272B1 (en) * 2016-05-02 2018-05-24 (주)머스트비 Frame structure for exhibition booth and construction method of exhibition booth using the frame structure
KR20210068879A (en) * 2019-12-02 2021-06-10 최미림 Aluminium profile assembly
KR102282926B1 (en) * 2019-12-02 2021-07-27 최미림 Aluminium profile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0187A (en) Toggle fastener and the method for installing toggle fastener
RU2007107405A (en) HOSE CLAMP
WO2010006357A1 (en) Borehole casing centraliser
KR20050041447A (en) Structure for mounting with one-touch type in automobile
KR200250960Y1 (en) joint device of profile
US20070031187A1 (en) Tubing frame connection insert
US5799988A (en) Oil-tight coupling device
US6685384B2 (en) Cable harness assembly for bicycle
US4993124A (en) Worm drive clamp with automatic spring lever
EP0374156A1 (en) Connector.
KR100555145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pipe for tap water
KR20010002131U (en) Joint deuice for furniture leg of cookhouse
KR200341413Y1 (en) Connector for Construct
KR200289940Y1 (en) joint device of profile
CN2854273Y (en) Pipe clips with expansion sleeve
JP2685855B2 (en) Hose fittings
EP1118533B1 (en) Cable harness assembly for bicycle
JP3885788B2 (en) Frame connection structure
CN1348072A (en) Connecting mechanism for thin-wall stainless steel pipe and joint
KR200187816Y1 (en) Connecting apparatus for pipes
KR200264967Y1 (en) Improvements in brush for cleaning inner side of pipe
US6202639B1 (en) Switch assembly barbecue grill
KR102518611B1 (en) Pipe joint
KR930006017Y1 (en) Hose bend clip
KR200213667Y1 (en) Pipe c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