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262Y1 - 완력기 - Google Patents

완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262Y1
KR200250262Y1 KR2020010020608U KR20010020608U KR200250262Y1 KR 200250262 Y1 KR200250262 Y1 KR 200250262Y1 KR 2020010020608 U KR2020010020608 U KR 2020010020608U KR 20010020608 U KR20010020608 U KR 20010020608U KR 200250262 Y1 KR200250262 Y1 KR 200250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lt
tensioner
handl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룡
Original Assignee
임재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룡 filed Critical 임재룡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26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여 팔이나 가슴의 근육을 단련시키기 위한 완력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판을 중심으로 한 쌍의 지지대와 파수대가 각각 좌우측의 상하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와 파수대를 복수의 스프링으로 연결한 완력기에 있어서, 지지판에 구비된 이송볼트에 나선을 구비하여 회전시켜 나선에 의해 상하 동작하는 승하강편과 연결된 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스프링 장력의 강약을 조절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체형에 따라 사용 가능한 완력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송볼트상에 승하강편이 상하동작시 필요에 따른 자유단 및 멈춤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력기{PHYSICAL TRAINING DEVICE}
본 고안은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여 팔이나 가슴의 근육을 단련시키기 위한 완력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판을 중심으로 한 쌍의 지지대와 파수대가 각각 좌우측의 상하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와 파수대를 복수의 스프링으로 연결한 완력기에 있어서, 지지판에 구비된 이송볼트에 나선을 구비하여 회전시켜 나선에 의해 상하 동작하는 승하강편과 연결된 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스프링 장력의 강약을 조절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체형에 따라 사용 가능한 완력기에 관한 것이다.
강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완력기의 일반적인 형태는 고정된 지지대와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파수대가 복수의 스프링으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파수대를 스프링의 장력 이상의 힘으로 좁힐 때 팔이나 어깨 또는 가슴의 근육을 단련하게 되는 것으로서, 힘의 강약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지대 및 파수대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에 홀을 천공하는 형태로 다수개의 조절나공(공개실용신안 제 91-16429호)을 형성하여 핀을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하거나 또는 지지판 상에 레버삽입홈(등록실용신안 제 184396호)을 다수개 형성하여 조절레버를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하여 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완력기가 소개되었다.
그러나, 상기 완력기들은 강약 조절이 조절나공 또는 레버삽입홈의 위치에만 한정되어지므로 미세한 강약 조절이 불가능하고, 또한 강약 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핀이나 레버를 이동시킬 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 188635호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개선된 완력기는 미세한 강약을 조절하기 위해 완력기에 사용되었던 통상의 나사산을 이용한 완력기들을 더욱 개선한 것으로서, 나사봉(180)을 기판(14)에 수직으로 구비하고 나사봉의 외주변을 회전하는 이동구(16) 및 이와 연결된 링크(150)를 통하여 지지간(110)의 각도를 조절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완력기는 지지간의 각도 조절을 위한 구성품이 많이 소요되고 조립 공정이 많아 부품 생산비 및 조립비가 비싸고, 나사봉 전체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있어 지지간의 각도 회전 범위 전체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불편하며, 이동구가 나사봉의 회전으로 이동 가능한 최상점 및 최하점의 위치를 사용자가 가늠하기 어려워 강제 회전에 따른 불필요한 노동력을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기판 내부 중앙에 설치된 고정구(170)는 완력기의 사용중 스프링의 장력으로 인한 나사봉의 상승힘으로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고정구의 파손시에는 나사봉의 돌발 상승 이탈로 사용자가 다치게 되는 안전사고 발생의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상 안전사고의 위험 요인을 제거하는 구조로 개선함과 동시에 강약 조절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빠르고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하고,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를 낮출 수 있는 완력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이송나사의 외주면에 단계적으로 조임단, 자유단, 이송나선 및 멈춤단을 구성하여 지지대의 각도 변경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이송볼트의 외주면을 상하 이동하는 승하강편에 지지대가이드를 구비하여 지지대와 직접 연결될 뿐만 아니라, 이송볼트와 핸들을 금속재료로 하여 일체로 형성하여 소용되는 부품의 수를 현저히 줄이며, 스프링의 장력에 따른 이송볼트의 상승힘을 단계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볼트지지리브 및 핸들을 지지판의 하단에 위치하게 하는 것으로서, 제조비를 낮춤과 동시에 사용상의 안전까지 고려한 연구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사용상태 중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사용상태 중 좁혀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요부의 구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요부의 구조를 조립한 조립사시도.
도 4(4a, 4b, 4c)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판 11 : 조임 지지단
12 : 볼트 지지리브 13 : 핸들 받침단
20 : 이송볼트 21 : 핸들
22 : 멈춤단 23 : 이송나선
24 : 자유단 25 : 조임단
30 : 승하강편 31, 31` : 지지대가이드
40, 40` : 지지대 41, 41` : 가이드핀
50 : 파수대 60 : 지지대축핀
61 : 파수대축핀 70 : 조임너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사용상태 중 지지대가 최대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사용상태 중 지지대가 일정량 좁혀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먼저 도 1a의 상태는 사용자가 완력기의 사용상 최대의 힘이 요구되는 것으로서, 비교적 근육이 단련된 사용자에게 적합한 것이다. 반대로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여성이 완력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1b의 상태와같이 적절한 양만큼 지지대(40)(40`)의 각도를 줄일 필요가 있게 되는데, 이때 지지판(10)의 하단에 위치한 핸들(21)을 회전시키면 지지판(10)의 상부에 위치한 지지대축핀(60)(60`)을 축으로 지지대(40)(40`)는 하향 회전하게 되고, 상기 지지대와 복수의 스프링(80)으로 연결된 파수대(50)(50`)는 파수대축핀(61)(61`)을 축으로 각각 하향 회전하게 되면 도 1b와 같은 상태로 되고, 사용자는 손잡이(90)(90`)를 잡고 완력기를 사용할 때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의 체력에 따라 핸들(21)을 좌우로 회전시켜 지지대(40)(4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적절한 상태의 강약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완력기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요부 구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판(1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진 판재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단에는 조임지지단(11)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핸들받침단(13)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임지지단의 중앙에는 지지단홀(11`) 및 상기 지지단홀을 유지하며 연장된 볼트지지리브(12)가 하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핸들받침단의 중앙에는 받침단홀(13`)이 구비되었으며, 상기 지지판의 양측에는 소정의 위치에 연통되는 핀홀(14)이 4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의 이격된 공간의 중심에는 최상단에 조임단(25)과 자유단(24), 이송나선(23), 멈춤단(22) 및 핸들(21)이 순서대로 배치되는 이송볼트(20)가 수직하게 조립되는데, 그 순서는 상기 이송볼트 상의 조임단(25)을 상기 지지대 상의받침반홀(13`)의 아래로부터 위로 관통시키는 것이며, 이때 상기 이송볼트 상의 자유단(24) 상단부는 상기 지지판의 볼트지지리브(12)의 하단면과 접촉되어 더 이상 이송볼트의 상승을 제어하게 되고, 지지단홀(11`)을 관통하여 돌출된 조임단(25)에 조임너트(70)를 체결함으로서 이송볼트의 고정을 이룬다. 또한, 상기 핸들의 상단면은 핸들받침단(13)의 하단면과 미세한 공간을 이루어 핸들의 회전시 마찰 저항을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승하강편(30)은 상기 이송볼트의 이송나선(23)과 대응하여 회동 가능한 이송너트(32)가 조립되고 그 좌우측으로는 각각 소정거리 이격되어 돌출되고 돌출편 내부에는 타원형의 홀을 형성한 지지대 가이드(31)(31`)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 가이드의 이격된 공간에는 지지대(40)(40`)가 가이드핀(41)(41`)에 의해 각각 좌우에 삽착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지지대는 각각 축홀(44)(44`)이 형성되어 지지판 상에 형성된 상측의 핀홀(14)과 연통되고, 좌우의 가이드핀(41)(41`)은 상기 지지대 가이드의 홀에 삽입되어 가이드 홀을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하며, 지지대축핀(60)(60`)이 상기 축홀(44)(44`)과 연통된 핀홀(14)을 관통하여 리벳팅을 함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손잡이(90)가 부착된 파수대(50)(50`)는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핀홀(54)(54')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핀홀(54)(54`)은 지지판(10) 상의 하측에 형성된 핀홀(14)과 각각 연통되어 파수대축핀(61)(61`)에 의해 지지대 조립과 같이 리벳팅 처리되어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완력기 요부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며, 설명하지 않은 구성인 스프링이 지지대와 파수대에 연결된 구조는 통상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고,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지지대의 각도 변경 구조 및 순서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4a는 지지대(40)(40`)가 최대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승하강편(30)이 작동거리의 최하단에 위치한 것으로서, 이송너트(32)의 하단면이 멈춤단(22)의 상단부에 접촉되어 승하강편(30)의 회전 하강을 방지하여 상기 좌우의 지지대가 수평 이상의 각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지지대의 각도가 최대로 되었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의 각을 줄이기 위하여 핸들(21)을 회전시키면, 이송나선(23)과 대응하는 이송너트(32) 및 이와 일체로 된 승하강편(30)이 상승하게 되고 지지대 가이드(31)(31`)와 연결된 지지대 상의 가이드핀(41)(41`)이 지지대축핀(60)(60`)을 축으로 상승하며, 이 축핀(60))60`)을 중심으로 지지대의 반대측은 하강하여 상기 지지대의 각도가 도 4b와 같은 형태로 이동되고, 파수대(50)(50`)는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에 의해 지지대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파수대축핀(61)(61`)을 중심으로 각각 하강하게 되어 파수대의 각도 또한 작아지게 된다.
이때, 이송나선(23)과 이송너트(32)의 나사산을 2선나사로 형성하여 핸들(21)의 회전에 따른 승하강편(30)의 이송속도를 빠르게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른 이송나선(23) 및 이송너트(32)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힘의 전달면적이 확대되어 핸들을 돌리는 데 큰 힘이 들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승하강편(30)과 지지대가 상기 지지대가이드와 가이드핀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안내되므로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별도의 링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또한, 핸들(21)을 계속 회전시켜, 승하강편(30)의 이송너트(32)가 상승하여 이송나선(23)의 구간을 벗어나게 되면, 승하강편(30)은 이송볼트(20) 상의 자유단(24)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지지대 및 파수대는 도 4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소의 각도를 유지하는 상태로 됨과 동시에 나사산의 마찰이나 기계적 마찰 등에서 오는 저항을 더 이상 받지 않는 자유 상태로 되어 사용자가 최소각을 유지하였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완력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파수대에 완력을 가할 때, 승하강편(30)이 장력에 의해 상승하는 힘을 받게 되어 이송볼트(20)가 상승힘을 받게 되는데 이때, 자유단(24) 상단부가 볼트지지리브(12)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상승을 방지하게 되므로 별도의 고정구가 필요하지 않게 되며, 만일, 상기 볼트지지수단이 파손되어 이송볼트(32)가 계속 상승할 경우라도 핸들(21)의 상단면이 핸들받침단(13)의 하단면에 2차 지지되어 견고하고 안정된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완력기는 이송나선 및 이송너트의 나사산이 2선 나사로 가공되어 핸들(21)의 회전에 의한 승하강편(30)의 상하 이동 속도가빠르고 나사산의 접촉면적을 늘려 핸들을 회전시키는 것이 큰 힘이 들지 않게 된다.
또한, 핸들을 회전시켜 지지대의 각을 크게 할 경우 상기 이송너트(32)의 하단면이 상기 멈춤단(22)의 상단부에 접촉되어 최대각에서 승하강편(30)의 회전 하강을 방지하여 상기 좌우의 지지대가 수평 이상의 각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지지대의 각도가 최대로 되었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지지대의 각을 줄일 경우에는 최소각에서 승하강편이 자유단에 위치하여 기계적 마찰저항을 받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최소각을 이루었다는 사실을 쉽게 인지하여 무리한 회전을 하지 않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완력기를 사용하여 운동을 할 때, 이송볼트(20)가 상승힘을 받게 되는데, 이때 핸들(21)의 상단면이 핸들받침단(13)의 하단면에 지지되어 견고하고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어 사용상 안전하며, 볼트의 상승을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승하강편(30)과 지지대가 상기 지지대가이드와 가이드핀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안내되는 구조로 하여 별도의 링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에게는 완력을 가할 때 안전사고의 위험 요인을 제거하여 신뢰감을 줄 수 있게 되고, 강약 조절의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생산자에게는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동일한 형상의 지지판이 마주보며 일정 거리 이격되고, 그 내부에는 나사산이 가공된 이송볼트에 의한 회전수단 및 이와 대응하여 상하 동작 가능한 승하강편이 구비되며, 한 쌍의 지지대 및 파수대가 각각 축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고 지지대와 파수대가 상호 스프링에 의해 체결되게 하여 강약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완력기에 있어서,
    이송볼트(20)의 외주면에 조임단(25), 자유단(24), 2선 각산으로 된 이송나선(23), 멈춤단(22)이 차례로 구비되고, 최하부에는 핸들(21)이 일체로 구비되어 지지판(10)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상부로 돌출된 상기 조임단에 조임너트(70)를 체결하여 고정하며, 상기 이송볼트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하 이동되는 승하강편(30) 양측으로 각각 일정거리 이격된 지지대 가이드(31)(31`)가 지지대(40)(40`)의 가이드핀(41)(41`)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편(30)의 하강시 상기 멈춤단(22)에 의해 정지되어 지지대가 최대각을 이루고, 상승시 이송나선(23)을 이탈하여 자유단(24)에서 지지대가 최소각을 이루며, 상기 자유단 상단부는 지지판 상부에서 하향 돌출된 볼트지지리브(12)와 접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KR2020010020608U 2001-04-02 2001-07-09 완력기 KR20025026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10061 2001-04-02
KR2020010010061 2001-04-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262Y1 true KR200250262Y1 (ko) 2001-11-17

Family

ID=7306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608U KR200250262Y1 (ko) 2001-04-02 2001-07-09 완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2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066B1 (ko) 완력기
CN104853815B (zh) 握力器
US9352185B2 (en) Exercise device with inclination adjusting mechanism
US20080103026A1 (en) Hand Gripper
JPH02265577A (ja) ウエイトスタック式トレーニング装置
EP1793898A1 (en) Reversible resistance assembly for hydraulic exercise apparatus
US20180112860A1 (en) Support arm device
US20160271440A1 (en) Stepper
US5409436A (en) Gripper device
KR200250262Y1 (ko) 완력기
KR20100045008A (ko)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ITBO980170A1 (it) Macchina per l'esercizio muscolare.
KR101932019B1 (ko) 캐스터형 가구 받침다리
US4911431A (en) Cam structure
KR102256111B1 (ko) 악력기
KR200336943Y1 (ko) 학생용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장치
KR200437125Y1 (ko) 완력기
CN214913237U (zh) 一种带滑轨位置可调的把手装置
CN109590960B (zh) 一种工作台三维转动调节机构
CN108939435B (zh) 一种腿部肌肉锻炼装置
CN217854353U (zh) 摇臂器组件及健身器材
KR200482430Y1 (ko) 모노리프트
CN109576912B (zh) 缝纫机压布脚的膝操作升降机构
CN206887342U (zh) 圆织机的纱布扩幅结构
US6926642B1 (en)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0211

Effective date: 200309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3 Request for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invalidation of limitation]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TRIAL FOR CORRECT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040614

Effective date: 200502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OF CORREC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050401

Effective date: 2006070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614

Effective date: 200611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614

Effective date: 20061128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221

Effective date: 2007052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