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579Y1 - 개량 화목보일러 - Google Patents

개량 화목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579Y1
KR200249579Y1 KR2020000031394U KR20000031394U KR200249579Y1 KR 200249579 Y1 KR200249579 Y1 KR 200249579Y1 KR 2020000031394 U KR2020000031394 U KR 2020000031394U KR 20000031394 U KR20000031394 U KR 20000031394U KR 200249579 Y1 KR200249579 Y1 KR 200249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hot water
inner cylinder
wall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호
Original Assignee
정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호 filed Critical 정지호
Priority to KR2020000031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5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579Y1/ko

Links

Landscapes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폐기물 쓰레기 또는 나무를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온수를 이용해 난방 또는 온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소실을 2개로 분리하며 1차 연소실과 외벽 사이에 방열판을 설치하여 열효율을 높이고 연소실의 외벽에 동파이프를 설치하여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량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목보일러는 공급되는 나무를 연소시켜 난방하는 것이므로 난방효율이 저하되고 화력의 조절이 불편하며 완전연소 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어(6)의 내부에 1차 연소실(2)을 형성하고 일측으로 지름이 작아지는 Z자 형태의 2차 연소실(2)을 연속해서 설치하여 연소시간을 늘이며 외측으로 다수의 방열판(9)을 설치한 내통(4)과, 상기 내통(4)의 방열판(9)이 없는 곳에는 급탕개념의 동파이프(5)를 설치하며, 상기 내통(4)의 외측과 외통(1)의 내벽에 세라믹이 코팅되어 물이 채워지고 양측에서 후면 지지판(10)과 전면 지지판(11)으로 지지되므로 2개의 연소실과 방열판 및 세라믹 코팅으로 열효율을 향상시키며 연소실 외벽에 급탕개념의 동파이프를 설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개량 화목보일러{a}
본 고안은 각종 폐기물 쓰레기 또는 나무를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온수를 이용해 난방 또는 온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소실을 2개로 분리하며 1차 연소실과 외벽 사이에 방열판을 설치하여 열효율을 높이고 연소실의 외벽에 동파이프를 설치하여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량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화목보일러는 각종 폐기물 쓰레기 또는 장작, 폐목 등의 나무를 연소시켜 난방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화목보일러는 연소실에서 1차로 연소된 후 곧바로 연통을 통하여 배출되는 구조이어서 도어의 전방에서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경우에도 열효율이 높지 않은 결점이 있다.
특히 갈탄을 연소시키거나 화목이 어느 정도 연소된 후 숯이 된 상태에서는 열기를 차단시켜 그 열을 보존시키는 것이 중요하나 연소실 입구의 도어에서 공기조절기를 설치하여 공기의 양을 조절하더라도 열기는 그대로 배출되어 버리므로 열 손실이 매우 크다.
또한 화목보일러는 연소되는 나무가 연소실에서 오랫동안 머물지 못하고 곧바로 배출되므로 연소시간이 짧아 연소가 오래진행되지 못하고 그대로 배출되므로 열효율이 낮은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연소실을 2개로 분리하고 지름이 작아지는 Z자 형태의 2차 연소실 면적을 1차 연소실 면적의 1/4 정도로 하며 연소가스의 체류시간을 길게하여 최대한의 열손실을 줄여 열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본 고안은 1차 연소실의 외벽에 다수개의 방열판을 설치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킨 화목보일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연소실의 외벽에 동파이프를 설치하여 난방용뿐만 아니라 급탕개념의 온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외벽에 다수개의 방열판이 설치된 1차 연소실을 이루는 내통의 일측으로 1차 연소실에서 미연소된 것이 연소되어 연통으로 배출되는 Z형의 2차 연소실을 지름이 작아지도록 설치하며, 상기 내통의 외측에 급탕개념의 동파이프를 설치하고 연소실 외측과 외통의 내벽에 세라믹 코팅으로 열효율을 향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측면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좌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우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1차 연소실
2' : 2차 연소실 3 : 연통
4 : 내통 5 : 동파이프
6 : 도어 7 : 공기 조절기
8 : 고리 9 : 방열판
10 : 후면 지지판 11 : 전면 지지판
12 : 수위조절 연결소켓 13 : 온도계 연결소켓
14 : 센서 연결소켓 15 : 온수출구
16 : 예비입구 17 : 온수 회출구
본 고안은 공기조절기(7)가 외측에 설치된 도어(6)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일측의 고리(8)를 통하여 도어(6)를 개폐시키도록 한다.
도어(6)가 전방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나무와 같은 연소물을 공급하는 공간인 1차 연소실(2)을 형성하는 내통(4)이 설치되며, 일측으로 급탕개념의 동파이프(5)가 설치된다. 내통(4)의 외측에 내통(4) 길이의 1/2 정도에 급탕개념의 동파이프(5)를 설치하고, 동파이프(5)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두께 4mm, 폭 50mm, 길이 600mm 정도의 방열판(9)을 내통 외벽에 24개소를 설치하여 내통(4)과 외통(1)사이의 물에서 열을 흡수할 수 있는 면적을 넓게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1차 연소실(2)의 안쪽에는 불연소된 상태로 공급되는 가스를 재차 연소시켜 완전연소에 가깝도록 하는 2차 연소실(2')을 Z형으로 설치하되 1차 연소실(2) 면적의 1/4 정도로 작아지도록 하여 2차 연소실(2')에서 연소가스의 체류시간을 길게하여 최대한 열손실을 줄여 열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2차 연소실(2')의 외측에는 연통(3)이 연결되어 있어서 연소가스를 외부로배출시키도록 한다.
내통(4)의 외부에는 원형의 외통(1)이 설치되어 내부에 물이 채워지며 전방에는 전면 지지판(11)이 후방에는 후면 지지판(10)이 설치되어 외통(1)을 양측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외통(1)의 상측에는 온수출구(15)가 형성되며 중앙의 양측으로 예비입구(16)와 온수 회출구(17)가 설치되고, 상측으로 수위조절 연결소켓(12)과 온도계 연결소켓(13) 및 센서 연결소켓(14)이 설치되어 있다.
내통(4)의 외측과 외통(1)의 내부에는 물이 채워져 있으며, 연소실 외통(1)의 내측에 세라믹 코팅을 하여 보온효과를 높여서 열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고리(8)를 이용하여 도어(6)를 개방시킨 후 1차 연소실(2)에 각종 폐기물 쓰레기 또는 나무를 삽입하여 소각되도록 한다.
폐기물 쓰레기 또는 나무가 소각되면서 도어(6)를 닫아 고리(8)에 의하여 개방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공기조절구(7)를 이용하여 공기의 공급을 조절함으로써 화력을 조절한다.
1차 연소실(2)에서 연소되면서 내통(4)과 외통(1)의 사이에 채워져 있는 물이 데워지게 된다.
이때 내통(4)의 외측으로 다수개의 방열판(9)이 돌출되어 있어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1차 연소실(2)에서 연소된 연소가스는 2차 연소실(2')로 이동되어 재차 연소가 이루어지므로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2차 연소실(2')은 Z형자로 형성되어 있으며 1차 연소실(2) 면적의 1/4 정도로 줄여서 연소가스의 체류시간을 길게하여 최대한의 열손실을 줄여 열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Z형의 2차 연소실(2')을 통과한 연소가스는 연통(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내통(4)의 외벽과 외통(1)의 내벽에는 세라믹 코팅을 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며, 내통(4)과 외통(1)의 사이에서 데워지는 물은 온수출구(15)를 통하여 정해진 파이프라인을 따라서 순환하며 난방을 하게 된다.
온수출구(15)를 통하여 정해진 파이프라인을 따라서 순환한 물은 온수 회출구(17)를 통하여 다시 유입되어 데워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세면 또는 목욕과 같이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통(4)의 외측으로 설치된 동파이프(5)를 통하여 급탕되도록 하는 것이다.
외통(1)을 양측에서 고정시킨 후면 지지판(10)과 전면 지지판(11)은 사각형의 안정된 지지역할을 제공하며,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에 있어서 도어(6)를 개폐시키는 것이 편리하고 내부에 나무와 같은 소각물의 공급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1차 연소실의 일측으로 2차 연소실을 Z형태로 형성시켜 연소실을 2개로 분리하여 충분한 연소 및 열기가 머물도록 함으로써 연소효과는 물론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1차 연소실의 외벽에 다수개의 방열판을 설치하여 온수와의 접촉면적을 높여 열효율을 향상시킨 화목보일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연소실의 외벽에 동파이프를 설치하여 난방용뿐만 아니라 급탕개념의 온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연소실 외통의 내측에 세라믹 코팅을 하여 충진된 물의 열을 외부에 빼앗기지 않고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하여 열효율을 높인 것이다.

Claims (1)

  1. 도어를 열고 나무와 같은 연소물을 삽입하여 연소되는 열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화목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도어(6)의 내부에 1차 연소실(2)을 형성하고 1차 연소실(2) 면적의 1/4 정도로 Z자 형태의 2차 연소실(2)을 연속해서 설치하며 내통(4) 외벽에 24개소의 방열판(9)을 설치한 내통(4)과,
    상기 내통(4)의 방열판(9)이 없는 곳에는 내통(2)의 외측에 내통(2) 길이의 1/2 정도에 급탕개념의 동파이프(5)를 설치하며, 상기 외통(1)의 내벽에 세라믹이 코팅되어 물이 채워지고 양측에서 후면 지지판(10)과 전면 지지판(11)으로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화목보일러.
KR2020000031394U 2000-11-10 2000-11-10 개량 화목보일러 KR200249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394U KR200249579Y1 (ko) 2000-11-10 2000-11-10 개량 화목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394U KR200249579Y1 (ko) 2000-11-10 2000-11-10 개량 화목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579Y1 true KR200249579Y1 (ko) 2001-11-16

Family

ID=7309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394U KR200249579Y1 (ko) 2000-11-10 2000-11-10 개량 화목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5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5845Y1 (ko) 목재용 온수보일러
KR200249579Y1 (ko) 개량 화목보일러
KR200231928Y1 (ko) 건류가스 완전연소장치
KR200207399Y1 (ko) 화목보일러
KR19990022714U (ko) 난방용온수를가열하는숯불점화기
SU1474390A1 (ru) Нагре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RU2116579C1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KR200227905Y1 (ko) 수냉식 사이클론 파이프를 구비한 액체 및 고체연료 겸용보일러
KR100313444B1 (ko) 건류식 폐열 보일러
RU2075011C1 (ru)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KR200223156Y1 (ko) 나선형 격판이 연도 상에 설치된 원통형 보일러
KR200219357Y1 (ko) 폐오일 난방장치
KR200304665Y1 (ko) 스파이럴 구조의 연소실을 가진 보일러.
KR20050083342A (ko) 장작(長斫)을 땔감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
KR200192678Y1 (ko) 난방용 온수보일러
KR200275129Y1 (ko) 기름보일러의 난방수 가열수로시스템
KR200223573Y1 (ko) 고체연료의 연소를 최소화시키도록 한 보일러
KR200315683Y1 (ko) 보일러의 연소실구조
FI89979C (fi) Centralvaermeenhet
KR900010503Y1 (ko) 보일러
KR890000256Y1 (ko) 가스용 순간 온수기
KR200232069Y1 (ko) 가정용 온수 보일러
KR200224414Y1 (ko) 소각기능을 갖춘 전기 보일러 겸용 나무 보일러
KR870001039Y1 (ko) 석유난로
KR20040041482A (ko) 스파이럴 구조의 연소실을 가진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