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527Y1 -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527Y1
KR200249527Y1 KR2020010020578U KR20010020578U KR200249527Y1 KR 200249527 Y1 KR200249527 Y1 KR 200249527Y1 KR 2020010020578 U KR2020010020578 U KR 2020010020578U KR 20010020578 U KR20010020578 U KR 20010020578U KR 200249527 Y1 KR200249527 Y1 KR 200249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plate
synthetic resin
plate
earth
regular interv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수
Original Assignee
(주)우성에스에이씨
이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성에스에이씨, 이연수 filed Critical (주)우성에스에이씨
Priority to KR2020010020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5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52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H빔의 플랜지부 사이에 적층/설치되는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토류판은 전·후면 횡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요입홈 및 돌출부가, 내부 횡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종렬 소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횡으로는 결합홈이, 하면 횡으로는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설치시에 상기 요입홈 및 소공을 통하여 휨강도를 강화하고 변형을 방지하며, 상기 토류판에 횡으로 강철재 보강판를 더 구비하여 합성수지의 약점을 보강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는 토류벽, 낙석방지벽, 방음벽 등의 다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 자재비 절감, 공사기간 단축, 주문제작 가능, 수입 목재에 대한 대체 효과, 폐자재의 재활용도 향상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A PLASTIC MULTIPURPOSE PLATE FOR THE PREVENTION OF A LANDSLIDE}
본 고안은 H빔의 플랜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토류판 전·후면 횡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요입홈과 돌출부가, 내부 횡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종렬 소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횡으로는 결합홈이, 하면 횡으로는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설치시에 상기 요입홈 및 소공을 통하여 휨강도를 강화하고 변형을 방지하며, 상기 플레이트에 횡으로 구비된 강철재 보강판를 통하여 합성수지의 약점을 보강하여 토류벽, 낙석방지벽, 방음벽 등의 다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토류판은 H빔을 도로공사 또는 건물 신축시 등의 경우에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박고, 상기 H빔의 플랜지부 사이에 목재 토류판을 적층한 후, 상기 토류판 뒷면에 쐐기를 박아 고정시킴으로써, 토사를 방지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목재 토류판은 한 번 공사에 활용되면 눈비로 인하여 부식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함과 아울러, 시멘트 등의 오물이 묻게 되어 심각한건축 폐기물의 발생요인이 되어 왔다.
또한 종래의 목재 토류판은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심각한 외화 낭비의 원인이 되고있다.
이와 더불어 목재의 특성상 다양한 형태로 주문제작이 불가능하며, 방음, 방수 등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성을 도입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목재 토류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을 통하여 목재 토류판을 대체시켜 외화 낭비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토류판을 성형함으로써 자원재활용률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외 본 고안은 합성수지 토류판에 강도 보강, 방수, 방음, 자외선 차단 등과 같은 기능성을 도입하여 토사방지, 담장, 낙석방지, 거푸집 대용기능 등의 다용도·다목적으로 활용되는 토류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토류판은 전·후면 횡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요입홈 및 돌출부가, 내부 횡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종렬 소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횡으로는 결합홈이, 하면 횡으로는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특징들에 따른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른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a 및 5b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의 분해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토류판 11a: 요입홈
11b: 돌출부 13: 소공
15a: 결합홈 15b: 결합돌기
17: 보강판 19a: 흡음공
19b: 흡음재 20: H빔
21: 플랜지부 23: 쐐기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종 3열 및 종 2열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른 강철재 보강판이 구비된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흡음 기능을 갖는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5a 및 5b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1a 및 2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특징에 따른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은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고정된 H빔(20) 플랜지부(21) 사이에 적층되는 토류판에 있어서, 전·후면 횡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요입홈(11a) 및 돌출부(11b)가, 내부 횡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종렬 소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횡으로는 결합홈(15a)이, 하면 횡으로는 결합돌기(15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입홈(11a), 돌출부(11b) 및 종렬 소공(13)은 토류판의 휨강도와 비틀림을 보강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소공(13)의 종렬 수는 토류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하여, 종 1열(미도시 됨)의 토류판은 담장용 또는 거푸집 대용으로, 종 2열(도 1b 참조)의 토류판은 방음벽으로, 종 3열(도 1a 참조) 이상의 것은 토사및 낙석 방지 등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 소공(13)을 통하여 토류판 제작에 소모되는 합성수지의 양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토류판(10)이 담장용, 거푸집, 방음벽과 같이 큰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용도로 사용될 경우에는 합성수지 소재를 주로 폐합성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자원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결합홈(15a)과 결합돌기(15b)는 도 2a 및 도 5a에서와 같이 제1 토류판(10a)의 결합돌기는 제2 토류판(10b)의 결합홈과, 제2 토류판의 결합돌기는 제3 토류판(10c)의 결합홈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H빔(20)의 플랜지부(21) 사이에 적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특징에 따른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은 상기 토류판(10)에는 다수의 강철재 보강판(17)이 횡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판(17)은 상기 종렬 소공과 소공 사이에서 토류판(10)의 세로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개재되어 있어, 토류판(10)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에서는 상기 보강판(17)의 양단이 직상방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평판형상 또는 양단이 각각 직상방과 직하방으로 절곡된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판(17)은 상기 토류판(10)이 낙석 방지와 같은 특수한 강도를 요구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토류판(10) 자체의 소재를 강화 플라스틱으로 하여 보다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특징에 따른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은 상기 다수의 전면 및/또는 후면 돌출부(11b)에 상기 소공(13)과 연통되도록 다수의 흡음공(19a)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소공(13)에는 흡음재(19b)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공(13)에 충진되는 흡음재(19b)는 예를 들어 미국, TAILORED, CO.社의 상품명 'CORE-FILL 500'일 수 있다. 상기 흡음공(19a)은 도로변과 같이 일방향에서만 소음이 발생될 경우에는 그 방향의 토류판에만 형성되고, 양 방향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토류판의 전후면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도 2a 및 2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4 특징에 따른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은 상기 토류판(10)의 전면 및/또는 후면 각 양단에 방수 패킹재(P1)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 패킹재(P1)는 토류판(10) 양단이 H빔(20)의 플랜지부(21)와 접하는 부위 전체 또는 일부에 부착되며, 주목적은 건물 지반 공사시에 지하수, 빗물 등이 안쪽으로 스며들게 됨으로써, 시멘트 양생을 방해하여 시멘트의 굳기 강도를 약화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확실하게 방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 2b와 같이 H빔(20)의 플랜지부(21) 사이에 적층/설치된 최하면 토류판의 하면 중 일부를 천공하여 지하수 등이 바닥에 고이게 하고, 일정 정도 모이면 퍼내는 방식이 필요하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류판(10b)의 결합홈(15a) 저면에 방수 패킹재(P2)를 부착하여 이와 같은 방수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5 특징에 따른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은 상기 토류판(10)의 겉면에 자외선 차단 코팅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자외선 코팅제(예: (주)우성SAC의 '우성크린 바이오 페인트')는 태양광 중 자외선으로 인한 토류판(10)의 부식 및 약화를 방지하여 방음벽, 담장 등으로 활용되어 상설될 경우에 도장된 색의 지속성을 유지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여 토류판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지면으로 노출된 길이가 4.00m 높이가 되도록 H빔(20)을 1.92m 간격으로 지면에 박는다. 상기 H빔(20)의 플랜지부(21) 사이에 폭 1.92m ×높이 0.63m ×두께 0.08m의 종 3열 토류판(10)을 최하단부터 차례로 적층시킨다. 이 토류판의 높이는 통상의 목재 토류판의 높이에 2배 크기이나 중량은 목재에 비하여 1/2 수준이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이때 적층은 제1 토류판(10a)의 결합돌기는 제2 토류판(10b)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류판이 하나 설치될 때마다, 또는 일정 개수(예를 들어 2개씩) 설치된 후, 또는 4.00m 높이로 적층된 후에 쐐기(23)를 후면에 박아 상기 토류판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시공의 목적이 건물 건축시 지하에서 이루어 질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토류판의 양단에는 방수 패킹재(P1)가 부착되어 있어, 지하수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최하단 토류판에 구멍을 천공하여 지하수를 모아 퍼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은 폐합성수지 또는 일반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를 통하여 종래 목재 토류판을 대체시켜 외화 낭비를 방지하고 자원 재활용률을 높이며, 공사의 용이성과 공기 단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다용도 토류판은 그 목적에 따라 요입홈, 돌출부, 소공, 강철재 보강판을 통하여 토류판의 강도를 보강하고, 패킹재,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통하여 방수성을 높이며, 흠음공과 흡음재를 통하여 토류판이 방음효과를 갖게 하고, 자외선 차단 코팅제를 통하여 토류판의 내구성을 높임으로써, 토류판의 용도를 거푸집 대용, 토사 및 낙석 방지용, 담장용, 방음벽용 등과 같이 다양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고정된 H빔 플랜지부 사이에 적층되는 토류판에 있어서,
    전·후면 횡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요입홈(11a) 및 돌출부(11b)가, 내부 횡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종렬 소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횡으로는 결합홈(15a)이, 하면 횡으로는 결합돌기(15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10)에는 다수의 강철재 보강판(17)이 횡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면 및/또는 후면 돌출부(11b)에는 상기 소공(13)과 연통되도록 다수의 흡음공(19a)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소공(13)에는 흡음재(19b)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횡으로 형성된 소공(13)은
    종으로 3열씩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10)의 전면 및/또는 후면 각 양단에는 방수 패킹재(P1)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10)의 겉면에는 자외선 차단 코팅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
KR2020010020578U 2001-07-07 2001-07-07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 KR200249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578U KR200249527Y1 (ko) 2001-07-07 2001-07-07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578U KR200249527Y1 (ko) 2001-07-07 2001-07-07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688A Division KR20030004931A (ko) 2001-07-07 2001-07-07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527Y1 true KR200249527Y1 (ko) 2001-11-17

Family

ID=7306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578U KR200249527Y1 (ko) 2001-07-07 2001-07-07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5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348B1 (ko) 고강성구조 c형강을 적용한 방음벽지주
ZA200106545B (en) Sound barrier.
KR101126666B1 (ko) 수직배수 유도형 네일옹벽
KR100875793B1 (ko) 앞면 마감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옹벽구조
KR100842076B1 (ko) 배면지반 반력으로 지지한 부축식 역제형 환경 목석재블록 합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249527Y1 (ko)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
KR101495997B1 (ko)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KR100563787B1 (ko)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및 이의조립시공방법
KR102095581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용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20030004931A (ko) 합성수지재 다용도 토류판
KR102170427B1 (ko) 토류벽 및 그 시공방법
CN110306588B (zh) 一种用于加筋土挡墙的面板模块单元及加筋土挡墙
KR100752544B1 (ko) 토류판
KR200369480Y1 (ko) 토목섬유를 사용한 토류판
KR200194534Y1 (ko) 조립식옹벽블럭
KR200424147Y1 (ko) 배면지반 반력 및 변위 부축을 이용한 역제형 환경목석재블록 합벽
KR101127631B1 (ko) 조립식 식생 방음벽
KR200497489Y1 (ko) 친환경 모듈형 조립식 옹벽
KR102571761B1 (ko)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KR101201796B1 (ko) 빗물 저류조
KR100448442B1 (ko) 볼트접합강재를 구비한 옹벽보강재
KR200335066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옹벽시공구조
KR200258944Y1 (ko)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직립식 도로 옹벽구조
KR100380907B1 (ko) 아치형 통로 구축용 프리캐스트 부재와 이것을 이용한아치형 통로 구축시공방법
KR102579631B1 (ko) 적층 시공이 용이한 옹벽 패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