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340Y1 -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 - Google Patents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340Y1
KR200249340Y1 KR2020010018264U KR20010018264U KR200249340Y1 KR 200249340 Y1 KR200249340 Y1 KR 200249340Y1 KR 2020010018264 U KR2020010018264 U KR 2020010018264U KR 20010018264 U KR20010018264 U KR 20010018264U KR 200249340 Y1 KR200249340 Y1 KR 2002493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aquarium
watch
pedest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욱
Original Assignee
허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욱 filed Critical 허정욱
Priority to KR2020010018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3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340Y1/ko

Links

Landscapes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벽시계 형상의 투명케이스의 내부에 물과 인조물고기를 넣어 수밀시킨 장식용 수족관의 상하에 시계를 연상케하는 장식구와 받침대를 설치하고 이의 후측에 시계와 추를 시계투시부와 추투시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시계와 수족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장식적 효과를 매우 크게 얻을 수 있도록 안출한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시계투시부와 추투시부가 상하로 형성된 대형 벽시계 형상의 투명케이스의 내부에 물과 인조물고기를 넣어 수밀시킨 모조수족관의 상하에 시계를 연상케하는 장식구와 받침대를 설치하여 시계형 수족관을 구성하고, 이의 후측에 문자판, 바늘, 구동부 등으로 된 통상의 시계와 추를 시계투시부와 추투시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Aquarium-laying clock}
본 고안은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계투시부와 추투시부가 상하로 형성된 대형 벽시계 형상의 투명케이스의 내부에 물과 인조물고기를 넣어 수밀시킨 장식용 수족관의 상하에 시계를 연상케하는 장식구와 받침대를 설치하고 이의 후측에 문자판, 바늘, 구동부 등으로 된 통상의 시계와 추를 시계투시부와 추투시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시계와 수족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장식적 효과를 매우 크게 얻을 수 있도록 안출한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실이나 사무실 등에는 실내 장식을 겸하면서 시간을 볼 수 있는 대형 벽시계와 수족관 등을 설치하게 되는 데 이들은 대개 크기가 대형으로서 설치시 각각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장소를 많이 차지하게 되고 실내공간을 협소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수족관은 물과 관상용의 활어를 사용하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물을 교체해야되는 불편과 번거러움이 있고 활어를 관리하는 데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대개 수족관은 물을 교체와 세척 등을 주기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가 경험칙이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장식적 효과가 상실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물속에 인조물고기를 기포에 의해 자유롭게 유영시켜 조명등과 함께 수족관의 느낌을 주는 모조수족관이 개발되어 장식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실제의 수족관과 같은 관리의 어려움은 없으나 어느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시계와 같이 실내의 장소를 많이 차지하게 되는 점에서는 동일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대형벽시계와 모조수족관을 결합하여 수족관과 시계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과 동시에 장식적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는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시계투시부와 추투시부가 상하로 형성된 대형 벽시계 형상의 투명케이스의 내부에 물과 인조물고기를 넣어 수밀시킨 모조수족관의 상하에 시계를 연상케하는 장식구와 받침대를 설치하여 시계형 수족관을 구성하고, 이의 후측에 문자판, 바늘, 구동부 등으로 된 통상의 시계와 추를 시계 투시부와 추투시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하며, 받침대의 내부에 조명등과 기포발생기를 설치하여 모조수족관의 내부에 기포를 공급하는 구조의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예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후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모조수족관 200 : 시계 1 : 시계투시부
2 : 추투시부 3 : 투명케이스 4 : 인조물고기
5 : 장식구 6 : 받침대 7 : 투명받침판
8 : 배기구 10 : 기포 발생기 11 : 공기관
12 : 배출구 13 : 문자판 14 : 바늘
15 : 구동부 16 : 추 17 : 간격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후측면도로서, 본 고안은 시계투시부(1)와 추투시부(2)가 상하로 형성된 투명케이스(3)의 내부에 물과 인조물고기(4)를 넣어 수밀시킨 모조수족관(100)의 상하에 시계를 연상케하는 장식구(5)와 받침대(6)가 설치되어 시계형 수족관을 형성하게 되는 데 시계투시부(1)를 형성하는 투명케이스(3)의 전면부는 볼록하게 구성되고 시계투시부(1)와 추투시부(2)의 경계부에는 투명받침판(7)이 간격(17)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배기구(8)가 뚫려 있다.
또, 받침대(6)의 내부에는 조명등(9)과 기포발생기(10)가 설치되어 있고 기포발생기(10)에 연결된 공기관(11)의 선단 배출구(12)는 투명케이스(3)의 외주 전체를 한바퀴 둘러 투명케이스(3)의 저면을 통해 내부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조수족관(100)의 후측에는 문자판(13), 바늘(14), 구동부(15)등으로 구성된 통상의 시계(200)와 상기 구동부(15)에 연결된 추(16)가 시계투시부(1)와 추투시부(2)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시계투시부(1)와 추투시부(2)를 상하로 형성한 투명케이스(3)의 내부에 물과 인조물고기(4)를 넣어 수밀되게 한 모조수족관(100)의 상하에 시계를 연상케하는 장식구(5)와 받침대(6)를 설치하여 시계형 수족관을 형성한 것이므로 외관상 통상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대형 벽시계를 연상케 하는 데, 투명으로서 내부에 물과 인조물고기(4)가 기포에 의해 자유롭게 유영하는 모조수족관(100 )의 후측에 시계(200)와 추(16)가 시계투시부(1)와 추투시부(2)에 각각 위치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계(200)와 추(16)가 인조물고기(4)가 유영하는 투명한 모조수족관(100)을 통해 투시되어 보이게 됨에 따라 대형 벽시계와 수족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모조수족관(100) 상부의 시계투시부(1)는 투명케이스의 전면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후측에 설치된 시계(200)의 문자판(13)이 보다 확대되어 잘 보이게 될 뿐 아니라 인조물고기(4)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커지고 작아지는 시각적 효과를 주게 되며 또한 내부의 인조물고기(4)는 기포발생기(10)에 의해 공급되는 기포에 의해 위로 상승되고 낙하되는 방법으로 자유로운 유영을 하게 되는 데 기포발생기(10)는 받침대(6)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에 연결된 공기관(11)의 선단 배출구
(12)가 투명케이스(3)의 외주를 한바퀴 둘러 투명케이스(3)의 저면을 통해 내부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원오프로 인해 기포발생기(10)가 작동하지 않을 때 물이 역류가 일어나지 않게 되며 또한 받침대(6)의 내부에 설치된 조명등(9)이 모조수족관 (100)의 내부로 투영되어 모조수족관(100)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조명하게 되므로 시각적으로 매우 아름다움을 표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모조수족관(100)을 구성하는 투명케이스(3)의 상면에는 배기구(8)가 뚫려 있으므로 내부의 공기와 습기가 배출되어 후측에 설치된 시계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모조수족관(100) 내부의 시계투시부(1)와 추투시부(2)의 경계부에는 투명받침판(7)이 간격(17)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투명으로 인해 조명등(9)의 빛은 통과됨과 동시에 기포발생기(10)로 부터 공급되는 기포가 상승되면서 받쳐 사방으로 분산됨에 따라 인조물고기(4)의 유영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또 기포와 물의 흐름이 바뀌면서 후측의 좁은 간격(17)을 통해 일부가 보다 강한 압력으로 시계투시부(1)로 상승되므로 시계투시부(1)에서는 기포가 약간 감소되는 반면에 인조물고기(4)의 유영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시각적 효과를 주면서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장식적 미감을 가지는 시계와 수족관을 일체로 결합한 시계형 수족관이므로 시계와 수족관의 기능을 동시에 발휘하여 실용적이고 장소를 적게 차지하며 실내를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크다.

Claims (4)

  1. 시계투시부(1)와 추투시부(2)가 상하로 형성된 대형 벽시계 형상의 투명케이스(3)의 내부에 물과 인조물고기(4)를 넣어 수밀시킨 모조수족관(100)의 상하에 시계를 연상케하는 장식구(5)와 받침대(6)를 설치하여 시계형 수족관을 구성하고, 이의 후측에 문자판(13), 바늘(14), 구동부(15)등으로 된 통상의 시계(200)와 추(16)를 시계투시부(1)와 추투시부(2)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
  2. 제 1 항에 있어서, 받침대(6)의 내부에 조명등(9)과 기포발생기(10)를 설치하여서 되는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시계투시부(1)와 추투시부(2)의 경계부에 투명받침판(7)이 설치된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
  4. 제 2 항에 있어서, 기포발생기(10)에 연결된 공기관(11)의 선단 배출구(12)는 투명케이스(3)의 외주 전체를 한바퀴 둘러 투명케이스(3)의 저면을 통해 내부로 설치된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
KR2020010018264U 2001-06-19 2001-06-19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 KR2002493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264U KR200249340Y1 (ko) 2001-06-19 2001-06-19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264U KR200249340Y1 (ko) 2001-06-19 2001-06-19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340Y1 true KR200249340Y1 (ko) 2001-11-16

Family

ID=7310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264U KR200249340Y1 (ko) 2001-06-19 2001-06-19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3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204A (ko) * 2001-10-19 2003-05-01 주식회사좋은인상 회전형 광표시 요소를 구비한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204A (ko) * 2001-10-19 2003-05-01 주식회사좋은인상 회전형 광표시 요소를 구비한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7137B1 (en) Illuminated waterfall lamp
US7544290B2 (en) Aquarium
US20070151523A1 (en) Fantasia aquarium
KR200249340Y1 (ko) 수족관이 부설된 시계
KR100753210B1 (ko) 핸드폰 진열대
CN201028449Y (zh) 防水装饰灯
JPH08275693A (ja) 壁掛式装飾具
CN105942791A (zh) 一种装饰水杯
KR200386972Y1 (ko) 장식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CN2207951Y (zh) 水晶画
KR200174232Y1 (ko) 장식용 수족관
KR200426192Y1 (ko) 수족관용 발광다이오드 바
CN2131299Y (zh) 真空注水双层彩灯鱼缸
KR200242071Y1 (ko) 장식용 액자
KR200313040Y1 (ko) 다용도 수족관
KR200246348Y1 (ko) 분수대
CN211153382U (zh) 一种新型高端长寿命亚克力鱼缸
JP2007170052A (ja) 発光便器
KR200188689Y1 (ko) 수반
CN207492722U (zh) 多用坐便器盖和坐便器
CN201310791Y (zh) 灯泡内有装饰物的小夜灯
JPH03266925A (ja) 観賞魚等用カプセル型水槽
KR200230456Y1 (ko) 수족관
KR200166787Y1 (ko) 수족관
KR200327145Y1 (ko) 야광판이 형성된 액자형 수족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