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309Y1 -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 - Google Patents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49309Y1 KR200249309Y1 KR2020010015961U KR20010015961U KR200249309Y1 KR 200249309 Y1 KR200249309 Y1 KR 200249309Y1 KR 2020010015961 U KR2020010015961 U KR 2020010015961U KR 20010015961 U KR20010015961 U KR 20010015961U KR 200249309 Y1 KR200249309 Y1 KR 20024930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ervertebral
- fusion cage
- vertebral
- intervertebral fusion
- cag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기형의 교정과 골절탈구, 척추디스크, 척추관협착증, 종양 등의 척추체를 제거하는 수술시에 불안정한 척추를 안정화시키고 질병이 발생한 추체를 제거시키고 결손된 추체를 복원시키기 위하여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에 골이식편, 인공골, 수산화아파타이트와 같은 것을 삽입하여 추체간을 정상적인 상태와 같이 복원시킬 수 있는 척추고정용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질병이 발생하여 제거되어지는 척추 추간판 또는 추체를 복원시키기 위하여 추체간사이에 삽입이 용이하고 추체간 유합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골이식편, 인공골, 수산화아파타이트 등이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고 수술이 용이하도록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에 연결하여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연결장치와: 상기한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역방향의 톱니 형태의 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척추기형의 교정과 골절탈구, 척추디스크, 척추관협착증, 종양, 추체간판의 협소 등과 같이 추체를 제거하고 제거된 추체간의 결손부위의 골유합을 촉진하여 복원시키고 추체간의 간격을 복원, 유지하여 척추를 정상적인 상태로 교정하는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추체간의 유합 성공여부는 골편에 따른 요인과 생체역학적인 요인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골편에 따른 요인으로는 유합시 사용되는 골편의 종류(자가골 또는 동종골), 골편의 강도 및 골편이 추체와 접촉되는 면적 등이 있으며 생체역학적인 요인으로는 유합이 이루어지는 동안 분절의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추체간 유합 고정장치는 유합이 이루어지는 동안 장골에서 커다란 크기의 단단한 지주골을 얻지 않고도 부스러기 형태의 뼈를 채워 체중부하를 견디며 결손된 추체를 복원하여 추체간의 간격을 그대로 유지시키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는 골유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환자 자신의 장골에서 채취한 골편이나 타인의 골편, 또는 골편 대체물을 넣어 사용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는 다양한 형태의 종류가 있는데 재료에 따라서 탄소섬유 케이지, 폴리머 케이지, 티타늄 케이지로 나눌 수 있는데 탄소섬유와 폴리머 케이지는 피질골과 같은 탄성계수를 갖고 있다는 장점이외에는 생체와의 이물질 반응과 조직과의 해리 등의 단점을 갖고 있다. 종류별로 보면 나사형태, 직육면체, 총알형태, 사각형태, 속이 비어있는 형태, 속이 가득찬 형태 등 여러 모양의 케이지가 선보이고 있으나 이들 케이지는 분절의 안정성, 추체의 복원, 생체역학적인 목적은 달성하였으나 케이지와 골유합을 확실히 이룬다는 측면에서는 보완해야 할 사항들이 많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디자인된 것으로, 골과의 효과적인 유합을 위하여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의 안쪽에 골이식편, 인공골, 수산화아파타이트와 같은 것을 삽입하여 상기한 것들이 골유합을 촉진시키며 뼈가 보다 치밀하고 안정적으로 자라도록 작은 구멍들을 형성하였고, 골편의 이탈을 방지하고 척추체간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연결장치에 고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추체간에 삽입이 용이하고,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가 뒤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톱니를 구성하였다. 더불어 톱니의 크기를 요추 만곡에 맞추어 그 크기를 달리함으로 요추 전만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와 연결장치의 부품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와 연결장치의 결합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추체
2;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
3; 척추체
4; 유합촉진 구멍
5; 톱니
6; 연결장치 상하단부
7; 연결장치 중앙부
8; 연결장치
9;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 전단부
10;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 지지대
11;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 측단부
12;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와 연결장치의 연결하는 홈
13; 그물망, 가는철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골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척추추간체 유합케이지(2)에 연결장치(8)를 연결하여 척추추간체 유합케이지(2)를 감싸도록 하여 골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며 척추체간(1,3)에 삽입시 척추추간체 유합케이지(2)가 흔들리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중앙(7), 상하단(6)부위를 감싸도록 하였다. 척추체(1,3)와 직접 닿는 상하단부에 톱니 형태의 돌기(5)를 형성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2)는 척추체(1,3)를 제거하고 척추를 골유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골편을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2)에 삽입하는데 이때 골편을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로(2)부터 손쉽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전단부를 부드러운 곡선(9)으로 가공하였으며,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2)에 경사면(5)을 형성하여 척추체간(1,3)에 삽입 후 만곡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척추추간체 유합케이지(2)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단부(5)를 연결장치(6,8)로 감싸도록 하여 골편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그물망 또는 가는 철사로 엮어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2)의 하단부(13)를 막을 수 있다. 상기한 척추추간체 유합케이지(2)를 척추체간(1,3)에 삽입할 때 원하는 위치에 장착하기 위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연결장치(6,8)의 중앙부위(7), 상하단부위(6,8)를 연결장치(8,6)에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한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2)가 골과의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측면(11)에 작은 구멍(4)들을 만들어주어서 뼈가 안정되게 자라 들어오도록 하였다.
상기한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2)는 척추체(1,3)의 상하단부와 접하는 상하부(5)에 역방향의 톱니(5)를 형성하여 척추체(1,3)의 비틀림이나 굽힘에 의해 미끌리지 않게 하였으며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2)를 척추체(1,3)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기구를 톱니(5)에 맞게 제작하여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2)를 연결장치(6,8)에 끼워서 척추체간(1,3)에 원활히 삽입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한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2)의 톱니(5)의 외경은 일정한 크기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톱니의 깊이는 후반부로 갈수록 깊이를 깊게 형성하고,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척추체간(1,3)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고정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와 연결장치가 결합되었을 때 외경이 같도록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의 톱니안쪽(12)으로 연결장치(6,8)가 결합되도록 하여 척추체간에 삽입할 때 장애를 받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한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2)의 톱니(5) 형태는 부벽형식(Buttress type)( )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2)의 중앙에 지지대(10)를 형성하여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한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는 기존의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와 달리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척추체간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였고, 또한, 이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는 내벽과 외벽사이가 두껍지 않아 같은 부피의 다른고정장치에 비해 많은 양의 골편을 채울 수 있고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의 단면적이 그대로 척추 추체골과의 접촉면을 이루며, 골과의 유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골이식편, 인공골, 수산화아파타이트 등을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에 삽입하여 사용할 때 상기한 것들이 빠져나오지 않고 골유합을 촉진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은 척추, 특히 척추기형의 교정과 골절탈구, 척추디스크, 척추관 협착증, 종양 등의 척추체를 제거하는 수술시에 척추체 유합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주고 유합을 촉진시켜 불유합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변형이 된 분절의 교정을 도울 뿐만 아니라 교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수술의 결과를 좋게 하고 향후 발생 가능한 후유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4)
- 척추체간에 삽입을 쉽게 하고 골변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의 같은 외경으로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 사이에 끼워서 사용하는 연결장치와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
- 제1항에 있어서,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가 흔들리지 않도록 중앙, 상하단 부위를 고정할 수 있는 연결장치와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
- 제1항에 있어서, 골변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에 그물망 또는 철사로 엮어 하단부를 막아주는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
-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가 파손되는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부위에 지지대를 형성하는 척추 추체간 유합케이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5961U KR200249309Y1 (ko) | 2001-05-29 | 2001-05-29 |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5961U KR200249309Y1 (ko) | 2001-05-29 | 2001-05-29 |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49309Y1 true KR200249309Y1 (ko) | 2001-11-16 |
Family
ID=7310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15961U KR200249309Y1 (ko) | 2001-05-29 | 2001-05-29 |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49309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8755B1 (ko) * | 2002-05-06 | 2005-07-01 | 김철생 | 척추체 유합케이지 |
-
2001
- 2001-05-29 KR KR2020010015961U patent/KR20024930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8755B1 (ko) * | 2002-05-06 | 2005-07-01 | 김철생 | 척추체 유합케이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3258526B2 (en) | Surgical implant | |
US6440168B1 (en) | Articulating spinal implant | |
US6736850B2 (en) | Vertebral pseudo arthrosis device and method | |
US6179874B1 (en) | Articulating spinal implant | |
KR101106427B1 (ko) | 다중편 동종 임플란트 | |
EP1287796A1 (en) | Intervertebral fusion device | |
US20080208342A1 (en) | Spinal implant | |
JP2004209249A (ja) | 新規のバナナ形ケージ | |
KR20020071855A (ko) | 톱니 형상면을 갖는 추간판 인공보철물 | |
JP2004195232A (ja) | 一対の腰椎椎体間インプラントおよび隣接する椎体を癒合させる方法 | |
JPH10234755A (ja) | 椎骨間関節固定用人工的補綴物 | |
JP2004337277A (ja) | 椎間スペーサ | |
KR200249309Y1 (ko) |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 | |
JPH05208029A (ja) | 人工椎体スペーサ | |
KR100498755B1 (ko) | 척추체 유합케이지 | |
CN101889914B (zh) | 微创组合式可吸收椎间融合器 | |
JP2006223667A (ja) | 椎間インプラント | |
CN111265347A (zh) | 一种椎间融合器 | |
US9427324B1 (en) | Intervertebral fusion device and method of use | |
KR100287022B1 (ko) | 모듈형 척추 추체간 유합 케이지 | |
EP2315552B1 (en) | Osteosynthesis device making it possible to replace an articular bone head on the corresponding bone | |
EP1278487B1 (en) | Rotating, locking intervertebral disk stabilizer | |
AU2002301243B2 (en) | Articulating Spinal Implant | |
KR20020012330A (ko) | 조절형 척추체 대체 유합 고정장치 | |
JP2005287611A (ja) | 人工椎間板機能を有する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人工椎間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