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279Y1 - 조명등이 달린 귀이개 - Google Patents

조명등이 달린 귀이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279Y1
KR200249279Y1 KR2020010014216U KR20010014216U KR200249279Y1 KR 200249279 Y1 KR200249279 Y1 KR 200249279Y1 KR 2020010014216 U KR2020010014216 U KR 2020010014216U KR 20010014216 U KR20010014216 U KR 20010014216U KR 200249279 Y1 KR200249279 Y1 KR 200249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earpick
light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구
Original Assignee
정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구 filed Critical 정재구
Priority to KR2020010014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2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279Y1/ko

Links

Landscapes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귀이개를 개량하여 내부에 조명등을 장설함으로써, 귓속을 소제할 시 귓속 내부를 밝게 투시할 수 있도록 하여 귀지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부주의로 인해 고막을 다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귀이개 본체(1)의 내부에는 발광다이오드(5)와 축전지(6)를 수납하고, 귀이개 본체(1)의 후단에는 회전캡(3)을 결합하여 이의 내측에 형성한 구동부(3b)가 상기 발광다이오드(5)의 전원 스위치(3c)를 ON, OFF 시킬 수 있게 하며, 귀이개봉(2)을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발광다이오드(5)의 조명빛을 선단의 귀이개판(2b)으로 광반사 시키도록 구성함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조명등이 달린 귀이개{An earpick having an illuminating light}
본 고안은 통상의 귀이개를 개량하여 내부에 조명등을 장설함으로써, 귓속을 소제할 시 귓속 내부를 밝게 투시할 수 있도록 하여 귀지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부주의로 인해 고막을 다치지 않도록 한 조명등이 달린 귀이개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종래의 귀이개는 단순히 가느다란 막대 끝에 귀지 청소를 위한 완만한 형태의 긁게판을 절곡형성한 구조이나, 이는 사용시 귓속이 어둡기 때문에 귀지의 부착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어 귓속을 효과적으로 소제할 수 없고 부주의한 경우 고막을 다치는 경우가 많아 안전성 면에서 매우 불합리 하였다.
본 고안은 이에 착안하여 귀이개를 손에 잡기 좋은 입체적 형태로 구성하고 이의 내부에 조명용 발광다이오드와 소형전지를 내장하여 이의 점등에 의해 투명재질로 된 광반사 귀이개봉을 발광시켜서 귓속을 밝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하여 귀지 소제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종래의 귀이개는 목재나 금속재 등 딱딱한 재질의 손잡이 봉에 긁게판을 일체로 형성시킨 것이므로, 이의 사용시 귀이개를 손으로 잡기가 불편하고, 특히 귓속 내부의 조명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귀지를 효과적으로 청소해 내기가 어려웠다.
본 고안은 귀이개의 손잡이 구조를 손에 잘 잡히도록 하여 귀이개의 취급성을 용이하게 하고, 귀이개 레버의 재질을 투명재질로 하며 내부에 장치한 발광등의 불빛이 이 투명재질의 귀이개 선단으로 광반사 되도록 하여 귓속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하여 조명 귀이개로서 실용화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회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귀이개봉
2a: 삽입봉 2b: 귀이개판
3: 회전캡 3a: 걸고리
3b: 구동부 3c: 스위치
4: 삽입공 5: 발광다이오드
6: 축전지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내부 단면도이다.
귀이개 본체(1)는 좌우로 분할되어 조립되게 하고, 후단은 걸고리(3a)를 가지며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는 회전캡(3)이 결합되어 있으며, 본체(1)의 선단은 삽입공(4)을 가지며 이 삽입공(4)에 투명재질의 귀이개봉(2)이 삽입봉(2a)을 통하여 결합된 것이다.
상기 귀이개봉(2)은 후측에 상기 삽입공(4)에 결합되는 삽입봉(2a)을 가지며, 선단은 반원형의 둥근 귀이개판(2b)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귀이개 본체(1)의 내부에는 도 2에 보는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5)와 소형 축전지(수은전지등)(6)가 직렬 연결되고, 이 축전지(6)의 회로에 스위치(3c)가 개재되어 상기 스위치(3c)를 회전캡(3)의 구동부(3b)가 ON, OFF 시켜 발광다이오드(5)의 점멸작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5)의 설치는 상기 귀이개봉(2)의 후단측에 가까이에서 조명할 수 있도록 삽입공(4)의 최인접부에 설치한다.
상기 구성의 본 고안은 평상시 사용을 하지 않을 시에는 회전캡(3)을 돌려서 편심 구동부(3b)로 하여금 스위치(3c)를 OFF 상태에 있도록 하고, 사용시는 회전캡(3)을 돌려서 ON 위치에 있도록 하여 직렬 연결된 축전지(6)에 의해 발광다이오드(5)가 조명이 되도록 하면 이의 조명빛이 귀이개봉(2)의 후단을 밝혀 준다.
이에 따라 귀이개봉(2)은 투명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의 광반사 효과에 의해 선단의 귀이개판(2b)이 빛을 발산하여 주위를 밝게 하여 준다.
이러한 점등 상태에서 귀이개 본체(1)를 손으로 잡고 귀이개판(2b) 측을 귓속에 넣으면 어두운 귓속이 밝게 조명되어 귀지의 위치를 밝게 투시할 수 있으므로 귓속 소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알맞은 길이로 귀이개판(2b)을 넣을 수 있어 고막을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이 끝나면 다시 회전캡(3)을 돌려서 스위치(3c)를 OFF 상태로 전환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귀이개봉(2)을 삽입공(4)으로부터 분리하면 부피를 더욱 간소하게 할 수 있다.
귀이개봉(2)은 구조를 달리하여 수개를 1조로 결합할 수 있으며, 귀이개판 (2b)을 좀 더 크게 형성한 것을 결합하면 콧속 청소용으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야간에 자동차 키 구멍 확인 또는 집 자물쇠 구멍 확인용 등의 소형 전등으로도 편리하게 겸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구성 및 작용설명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의 귀이개에 조명수단을 내장하고, 귀이개봉 자체를 투명재질로 구성하여 광반사 효과를 부여토록 함으로써, 귓속 소제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야간의 휴대용 소형 조명등 용도로 겸용할 수 있는 등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귀이개 본체(1)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귀이개봉(2)과,
    상기 귀이개 본체(1)의 내부에는 발광다이오드(5)와 축전지(6)를 수납하고,
    상기 귀이개 본체(1)의 후단에는 회전캡(3)을 결합하여 이의 내측에 형성한 구동부(3b)가 상기 발광다이오드(5)의 전원 스위치(3c)를 ON, OFF 시킬 수 있게 하며,
    상기 귀이개봉(2)은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발광다이오드(5)의 조명빛을 선단의 귀이개판(2b)으로 광반사 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이 달린 귀이개.
KR2020010014216U 2001-05-15 2001-05-15 조명등이 달린 귀이개 KR200249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216U KR200249279Y1 (ko) 2001-05-15 2001-05-15 조명등이 달린 귀이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216U KR200249279Y1 (ko) 2001-05-15 2001-05-15 조명등이 달린 귀이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279Y1 true KR200249279Y1 (ko) 2001-11-16

Family

ID=7306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216U KR200249279Y1 (ko) 2001-05-15 2001-05-15 조명등이 달린 귀이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2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6414A (en) Portable light with stand
US6059676A (en) Illuminated footbag
CN101749549B (zh) 灯头罩可伸缩的照明灯
EP1442930A3 (en) Exterior mirror with light
US20020126507A1 (en) Luminescent lollipop
US5826969A (en) Illuminating screw driver
KR200249279Y1 (ko) 조명등이 달린 귀이개
CN201636559U (zh) 灯头罩可伸缩的照明灯
US7614177B1 (en) Modified lighted fishing pole
KR200190900Y1 (ko) 양방향 손전등
JP3118261U (ja) 光る耳かき
JP5452945B2 (ja) 蓄光器
KR200212526Y1 (ko) 컴퓨터 발광(發光) 전원 s/w보턴
KR200322830Y1 (ko) 소형 작업등을 구비한 랜턴
JP3060298U (ja) 照明装置付歯鏡
KR200233579Y1 (ko) 작업등이 형성된 랜턴
KR200206280Y1 (ko) 소형 작업등을 착탈하는 랜턴
KR200389203Y1 (ko) 우산 손잡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전등
JP3096742U (ja) 筆記具
JPH023433Y2 (ko)
KR200226053Y1 (ko) 손전등이 결합된 치경
KR100332575B1 (ko) 조명을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KR200249273Y1 (ko) 조명등이 달린 낚시미끼통
KR200291683Y1 (ko) 전등과 송풍기가 내장된 치경
JPH0637666Y2 (ja) 撒餌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