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019Y1 -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019Y1
KR200249019Y1 KR2020010021916U KR20010021916U KR200249019Y1 KR 200249019 Y1 KR200249019 Y1 KR 200249019Y1 KR 2020010021916 U KR2020010021916 U KR 2020010021916U KR 20010021916 U KR20010021916 U KR 20010021916U KR 200249019 Y1 KR200249019 Y1 KR 200249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ressure
signal
pressure sensor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배
Original Assignee
태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1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0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019Y1/ko

Links

Landscapes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주행중 타이어압이 규정압 이하로 저하될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타이어 압력감지장치에 관한다. 이 압력감지장치는 타이어(100)의 공기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50)와, 이 압력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59)와, 송신부에서 전송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60)와, 수신된 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70)와, 이 전기적신호로부터 탑승자가 인지하도록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알림신호발생부(80)와, 알림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점등부(90)를 구비한다. 압력감지센서는 타이어의 압력이 작용하는 휠(110)의 내주면에 송신부와 함께 설치된다. 이들 압력감지센서와 송신부는 케이스(120)에 수납된 상태로 휠(110)의 내주면에 부착설치되고, 수신부는 타이어와 대향된 차체에 설치되며, 점등부는 계기판에 설치된다. 이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는 타이어내의 압력과 탄성플레이트스위치(51)의 복원력과의 차이로 전원을 on/off하여 신호를 발생케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다.

Description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 {Device for sensing tire pressure}
본 고안은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특히 주행중 설정압 이하로 타이어압력이 저하될 때 이를 운전자등 탑승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타이어는 자동차의 하중을 지지하고 구동력 및 제동력을 노면에 전달하고,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하는 스프링과 댐퍼(damper)의 기능을 하며, 자동차의 방향전환등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타이어의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적정한 타이어 압력이 요구된다.
실제로 주행중 각 타이어압력이 다를 경우 주행성 및 핸들의 조작 감도등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타이어의 공기압력이 규정압력보다 높으면 주행중에 트램핑(tramping)현상이 발생되어 승차감이 불량하고 타이어가 망실되며, 규정압력보다 낮으면 조향 조작력이 커지고 타이어의 사이드 마모의 원인이 된다.
이를 위한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들이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고 있는 바, 그 일예의 타이어 압력 체크장치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이 체크장치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1999-21305호에 공개된 것으로써, 타이어(30)의 공기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34)와, 압력감지부(34)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RF(radio frequence)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35)와, 변환된 RF주파수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36)와, 송신부(36)에서 전송된 타이어압력값에 해당하는 RF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7)와, 수신된 타이어 압력값에 해당하는 RF신호를 설정되어 있는 기준 RF신호와 비교하여 감지된 타이어 압력값에 해당하는 RF신호와 기준RF신호가 서로다른 경우 타이어의 압력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음발생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8)와, 제어부(38)에서 제공되는 경고음발생 제어신호에 따라 임의의 경고음을 일정 시간동안 발생하여 스피커(40)를 통해출력하는 경고음발생부(39)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체크장치는 어떻게 타이어의 압력을 감지하는지 압력 감지부(34)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이 되어 있지 않으며, 타이어의 공기압력에 해당하는 측정압력값을 그 해당 RF신호로 변환해야 하고 또한, 설정된 압력값에 대한 RF신호와 측정된 RF신호를 비교하여야하는 등 별도의 회로요소들이 요구된다.
또한, 압력감지부(34)는 휠(31)에 설치되고 주파수변환부(35)와 송신부(36)는 구동축에 설치되므로, 그 설치가 번거롭고 주행중 외부에 노출된 주파수변환부와 송신부가 물기 또는 돌등의 영향으로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타이어 압력 체크장치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타이어 압력의 저하상태를 감지할수 있는 압력센서가 구비된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행중 물기 또는 돌과 같은 외부영향에 의하여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감지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 감지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 감지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감지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탄성플레이트스위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압력감지센서 51...탄성플레이트스위치
59...송신부 60...수신부
70...제어부 80...알림신호발생부
100...타이어 110...타이어 휠
120...케이스 130...코일보빈
140...회로기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타이어의 공기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와, 압력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송신부에서 전송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신호를 탑승자가 인지하도록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알림신호발생부를 구비하는 타이어압력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타이어의 공기압력이 작용하는 휠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이 공급되어 자장이 형성되는 코일부와;
일정한 압력으로 탄성수축된 내부공간을 가지고 타이어의 공기압력에 의해서 그 수축된 형태를 유지하며, 타이어의 공기압력이 저하될 때 탄성복원되면서 상기 전원을 연결시키는 탄성플레이트스위치;를 구비하여서,
상기 타이어의 공기압력이 저하될 때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복원으로 전원이 연결되면서 일정한 주파수가 발생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감지센서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휠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케이스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는 타이어의 압력이 규정압과 탄성플레이트의 복원력과의 차이로 신호를 발생케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압력감지센서가 케이스에 수납되어 휠의 내주면에 부착됨으로써 주행중 물기 또는 돌과 같은 외부영향에 의하여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타이어 압력감지장치를 나타낸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이 압력감지장치는 타이어(100)의 공기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50)와, 이압력감지센서(5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59)와, 송신부(59)에서 전송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60)와, 수신된 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70)와, 이 전기적신호로부터 탑승자가 인지하도록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알림신호발생부(80)와, 알림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점등부(90)를 구비한다.
상기 압력감지센서(50)는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이어(100)의 공기압력이 작용하는 휠(110)의 내주면에 송신부(59)와 함께 설치된다.
이들 압력감지센서(50)와 송신부(59)는 케이스(120)에 수납된 상태로 휠(110)의 내주면에 부착설치되고, 수신부(60)는 타이어(100)와 대향된 차체(미도시)에 설치되며, 점등부(90)는 계기판(미도시)에 설치된다.
압력감지센서(50)는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배터리:53)와, 전원이 공급되어 자장이 형성되는 코일부(55)와, 일정한 압력으로 탄성수축된 내부공간을 가지고 타이어(100)의 공기압력에 의해서 그 수축된 형태를 유지하며 타이어(100)의 공기압력이 저하될 때 탄성복원되면서 전원을 연결시키는 탄성플레이트스위치(51)를 구비한다.
이 탄성플레이트스위치(51)는 상부플레이트(51a)와 하부플레이트(51b)가 상호 플라즈마용접되어 일정한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정상압이 작용하는 타이어(100) 내부공간에 위치될 경우, 도3a에 도시된 바와같이 타이어(100)의 압력에 의해서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타이어(100)의 공기압력이 저하될 때 도3b탄성플레이트(51a)(51b)의 복원으로 내부공간이 팽창하게 된다.
이때 탄성플레이트스위치(51)의 상하측에 위치된 단자(52a)(52b)에는 팽창되는 상부플레이트(51a)와 하부플레이트(51b)가 접촉되어 전원(배터리;53)이 연결되게 되고, 이때 LC회로에 따른 주파수(27~35KHZ)가 발생되며 발생된 주파수신호는 송신부(59)를 통해 송신하게 된다.
한편, 압력감지센서(50)와 송신부(59)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20)에 수납되어서, 타이어의 휠(110)의 내주면에 부착되어진다.
탄성플레이트스위치(51)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55)이 권회되는 코일보빈(130)에 형성된 브라켓트(135)에 결합지지되고, 탄성플레이트스위치(51)의 상하측에는 단자(52a)(52b)가 결합되어지며, 코일보빈(130)에는 저항소자등 주파수발생을 위한 회로요소들이 설치되는 회로기판(140)이 조립된다.
이와 같은 압력감지장치는 주행중 타이어(100)의 공기압력이 설정압력 이하로 저하되게 되면, 수축되었던 탄성플레이트스위치(51)가 탄성복원되면서 단자(52a)(52b)에 접촉되어 배터리(53)로부터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약 33KHZ의 주파수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주파수신호는 송신부(59)를 통해 송신된다.
한편, 타이어(100)의 외측 차체에 설치된 수신부(60)는 송신부(59)로 부터의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신호는 제어부(70)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며, 변환된 전기적신호는 알림신호발생부(80)에서 탑승자가 인지하도록 알림신호를 발생하며, 이러한 알림신호는 계기판에 마련된 점등부(90)를 통해 점등되면서 탑승자가 인지하도록 한다. 이때 알림신호는 경고음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차내에 스피커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는 타이어내의 압력과 탄성플레이트스위치(51)의 복원력과의 차이로 전원을 on/off하여 신호를 발생케 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설정된 압력값에 대한 RF신호와 측정된 RF신호를 비교하여야하는 등 별도의 회로요소들이 요구되지 아니하여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압력감지센서 및 송신부가 케이스에 수납되어 휠의 내주면에 부착됨으로써 주행중 물기 또는 돌과 같은 외부영향에 의하여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타이어의 공기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와, 압력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송신부에서 전송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신호를 탑승자가 인지하도록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알림신호발생부를 구비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타이어의 공기압력이 작용하는 휠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이 공급되어 자장이 형성되는 코일부와;
    일정한 압력으로 탄성수축된 내부공간을 가지고 타이어의 공기압력에 의해서 그 수축된 형태를 유지하며, 타이어의 공기압력이 저하될 때 탄성복원되면서 상기 전원을 연결시키는 탄성플레이트스위치;를 구비하여서,
    상기 타이어의 공기압력이 저하될 때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복원으로 전원이 연결되면서 일정한 주파수가 발생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센서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휠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케이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감지장치.
KR2020010021916U 2001-07-16 2001-07-16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 KR200249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916U KR200249019Y1 (ko) 2001-07-16 2001-07-16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916U KR200249019Y1 (ko) 2001-07-16 2001-07-16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310A Division KR20010082411A (ko) 2001-06-04 2001-06-04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019Y1 true KR200249019Y1 (ko) 2001-11-17

Family

ID=7308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916U KR200249019Y1 (ko) 2001-07-16 2001-07-16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0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9907B1 (en) Tir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JP4351703B2 (ja) 車両ホイールに割り当てられたホイール電子装置の動作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555659B1 (ko) 자가발전형 센싱 모듈 및 그것을 사용하는 타이어 공기압모니터링 시스템
JP4341559B2 (ja) 車輪情報処理装置
US5285189A (en) Abnormal tire condition warning system
KR100491042B1 (ko)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 및 방법
EP1700719B1 (en) Electronic wireless tire pressure monitoring apparatus
US7212105B2 (en) Transmitter for tir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JP3993824B2 (ja) 低電流消費のタイヤ圧力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7032443B2 (en)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03182328A (ja) タイヤ状態監視装置の送信機及びタイヤ状態監視装置
JP4548113B2 (ja) 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JP4127206B2 (ja) タイヤおよび車輪情報処理装置
JP2004258992A (ja) タイヤ状態監視装置の送信機及びタイヤ状態監視装置
JP2004189034A (ja) タイヤ状態監視装置のトランスポンダ
US76461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rotation of a wheel
JP2006007902A (ja) タイヤ状態監視装置
KR200249019Y1 (ko)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
EP1500528B1 (en)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tir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KR20010082411A (ko) 타이어 압력 감지장치
KR20030080569A (ko) 자동차의 타이어 모니터 시스템
JP2005114558A (ja) タイヤ空気圧検知装置
US20060243041A1 (en) Sensor device for tire
KR100521173B1 (ko)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감지장치
KR20010027306A (ko) 차량의 타이어 상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