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673Y1 - an air bubble producer - Google Patents

an air bubble produc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673Y1
KR200248673Y1 KR2020010019128U KR20010019128U KR200248673Y1 KR 200248673 Y1 KR200248673 Y1 KR 200248673Y1 KR 2020010019128 U KR2020010019128 U KR 2020010019128U KR 20010019128 U KR20010019128 U KR 20010019128U KR 200248673 Y1 KR200248673 Y1 KR 200248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case
container
check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12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최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석 filed Critical 최원석
Priority to KR2020010019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67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673Y1/en

Links

Landscapes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테이너의 일측에 이동중 발생하는 물의 유동(쏠림)을 이용하여 대기중의 공기를 물속에 공급하므로서 이의 설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은 물론 이의 설치비용을 최소화하고, 낚시꾼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휴대용 소형 컨테이너에도 그 어떠한 동력없이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무동력 기포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low of water generated during movement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to supply air to the water, thereby facilitating its installa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minimizing its installation cost and being mainly used by angl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wered bubble generator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without any power in a portable small container.

특히, 본 고안은 일면이 개구된 공기 케이스(10)를 형성한 다음, 상기 공기 케이스(10)의 개구부(11)에 물의 유동시 발생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동작되게 다이아프램(20)이 스프링(22)과 함께 탄설되며, 상기 공기 케이스(10)의 또 다른 적소에 컨테이너(100)의 통기공(110)과 대응하여 그 내부로 외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역지수단(14)이 구비된 공기 흡입구(13)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공기 케이스(10)의 적소에 그 내부의 흡입된 외기를 물속으로 분사할 수 있게 역지수단(32)이 각각 구비된 하나 이상의 공기 분사관(30)이 소정길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공기 케이스(10)의 일측에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물을 배출할 수 있게 역지수단(41)을 구비한 물배출관(4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air case 10 having one surface opened, and then the diaphragm 20 is operated by a pressure of water generated when water flows in the opening 11 of the air case 10. 22) and an air inlet provided with a check means 14 so as to suck the outside air therein corresponding to the vent hole 110 of the container 100 in another place of the air case 10; At least one (13) is formed, each of the one or more air injection pipe 30 is provided with a check means (32) to inject the outside air sucked therein into the water in place of the air case (10) While a predetermined length is installed, a water discharge pipe 40 having a check means 4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ir case 10 to discharge water that can flow into the inside of the air case 10.

Description

무동력 기포발생장치{an air bubble producer}Non-powered bubble generator {an air bubble producer}

본 고안은 무동력 기포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중인 활어 컨테이너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무동력 기포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wered bubble gen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powered bubble generator for supplying air into the live fish container in motion.

일반적으로, 바다나 강에서 포획한 활어는 활어차량이나 선박, 그리고 운반용 컨테이너를 통해 운반되며, 이렇게 운반된 활어는 각 음식점이나 가정에 횟감이나 매운탕감으로 제공된다.In general, live fish caught in the sea or river are transported through live vehicles, vessels, and transport containers, and the live fish is provided to each restaurant or home as a sashimi or hot spicy.

따라서, 활어의 신선도가 매우 중요한데, 컨테이너 속의 활어가 먼거리를 이동할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물속의 산소용존량이 부족해져 물속의 활어가 죽거나 신선도가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물 속의 산소결핍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일측에 산소공급장치를 설치한다.Therefore, the freshness of live fish is very important.If the live fish in the container moves a long distance, oxygen dissolved in the water becomes insufficient as time passes and the live fish in the water dies or the freshness is greatly decreased. Install an oxygen supply.

그러나, 종래에는 활어차량 등에 산소탱크를 설치하여 산소를 물속에 공급하거나 공기펌프를 설치하여 대기중의 공기를 물속에 강제 공급하기 때문에 이들의 설치비용이 매우 클 뿐만 아니라, 특히 산소탱크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의 구입비용이 만만치 않음은 물론이고 산소의 투입량에 따라 활어의 신선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활어의 량에 따라 산소투입량 유지가 매우 번거롭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oxygen tanks are installed in live fish vehicles to supply oxygen to the water or air pumps are forced to supply atmospheric air to the wat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urchase cost of the fish is not only abundant, but also the freshness of the live fish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amount of oxygen, which is very cumbersome.

그리고, 우리나라의 낚시인구가 600만명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휴대용 소형 컨테이너에는 산소나 대기중의 공기를 물속으로 공급하여 주는 수단을 설치하기가 매우 어렵고 별도의 구동수단이나 산소통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 실정이다.And, although the fishing population of our country is more than 6 million people, it is very difficult to install a means for supplying oxygen or air into the water in a conventional portable small container, and it is almost used because it must be provided with a separate driving means or oxygen tank. It is not tru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컨테이너의 일측에 이동중 발생하는 물의 유동(쏠림)을 이용하여 대기중의 공기를 물속에 공급하므로서 이의 설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은 물론 이의 설치비용을 최소화하고, 낚시꾼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휴대용 소형 컨테이너에도 그 어떠한 동력없이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무동력 기포발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by using the flow of water generated during movement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to supply the air in the air into the water to facilitate its installa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non-powered bubble generator that minimizes its installation cost and enables simple installation and use without any power in portable small containers that are mainly used by angler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a)와 (b)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A) and (b) of Figure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도 3은 도 1의 또 다른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installation state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공기 케이스 11:개구부10: air case 11: opening

13:공기 출입구 14:역지수단13: Air exit 14: Check means

20:다이아프램 30:공기분사관20: diaphragm 30: air injection pipe

32:역지수단 40:물배출관32: check means 40: water discharge pipe

41:역지수단41: station mea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면이 개구된 공기 케이스를 형성한 다음, 상기 공기 케이스의 개구부에 물의 유동시 발생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동작되게 다이아프램이 스프링과 함께 탄설되며, 상기 공기 케이스의 또 다른 적소에 컨테이너의 통기공과 대응하여 그 내부로 외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역지수단이 구비된 공기 흡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공기 케이스의 적소에 그 내부의 흡입된 외기를 물속으로 분사할 수 있게 역지수단이 각각 구비된 하나 이상의 공기 분사관이 소정길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공기 케이스의 일측에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물을 배출할 수 있게 역지수단을 구비한 물배출관을 설치할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form an air case with one surface opened, and then the diaphragm is coalesced together with a spring to be operated by the water pressure generated when the water flows in the opening of the air case, the air At least one air inlet having a check means is formed in another place of the case to correspond to the air vents of the container and to suck the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case. One or more air injection pipes each provided with a check means to be sprayed ar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while a water discharge pipe provided with check mean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ir case to discharge water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air case. It is characterized by.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의 (a)와 (b)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and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먼저, 컨테이너(100)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공기 케이스(10)가 형성되는데, 상기 공기 케이스(10)의 일면에 개구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벽과 면접되는 다른 일면에는 컨테이너(100)의통기공(110)을 관통하여 컨테이너(100)의 외측에서 너트(12)로 결합 고정되는 공기 흡입구(13)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구(13)의 내측 적소에는 공기 케이스(10) 내부의 공기가 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역지수단(14)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공기흡입구(13)는 공기 케이스(10)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First, an air case 1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to be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container 100. An opening 1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ir case 10, and an inner wall of the container 10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terview is formed an air inlet (13) is coupled to the nut 12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00 through the vent hole 110 of the container 100, the inner place of the air inlet (13) The check means 14 are installed in the air case 10 so that the air inside the air case 10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air inlet 13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ir case (10).

그리고, 공기 케이스(10)의 개구부(11)에는 컨테이너(100) 유동시 발생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동작되는 연질의 다이아프램(20)이 보강대(21)에 의해 나사결합되는데, 상기 공기 케이스(10)의 내부 벽면과 다이아프램(20)의 내측면 사이에 다수의 스프링(22)을 탄설하여 도 2의 (a)와 같이 다이아프램(20)이 원위치로 복귀시킨다.In addition, a soft diaphragm 20, which is operated by the pressure of water generated when the container 100 flows, is screwed into the opening 11 of the air case 10 by the reinforcing rod 21. The air case 10 A plurality of springs 22 are coalesced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iaphragm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hragm 20 to return the diaphragm 20 to its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다이아프램(20)이 설치된 공기 케이스(10)의 주변 일측에 다이아프램(20)의 압압으로 인하여 압축된 공기를 물속으로 분사할 수 있게 다수의 통공(31)이 마련된 공기분사관(30)이 설치되는데, 상기 공기분사관(30)의 내부 적소에 다이아프램(20)의 복귀시 공기 케이스(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역지수단(32)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사관(30)의 외주부에는 수중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여과필터부재(34)가 설치되어진다. 이때, 상기 역지수단(32)에는 다소 약한 스프링(33)을 탄지하여 역지수단(32)을 최대한 빨리 동작시키므로서 공기 케이스(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injection pip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1 to inject the compressed air into the water due to the pressure of the diaphragm 20 on one side of the air case 10, the diaphragm 20 is installed ( 30) is installed, the check means 32 is installed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air case 10 when the diaphragm 20 is returned to the proper location of the air injection pipe (3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air injection pipe 30, a filtration filter member 34 is install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water. At this time, the check means 32 is supported by a slightly weak spring 33 to operate the check means 32 as soon a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air case (10).

그리고, 상기 공기 케이스(10)의 상부에 그 내부로 유입된 물을 다시 배출할 수 있게 역지수단(41)을 구비한 물배출관(40)이 설치된다.In addition, a water discharge pipe 40 having a check means 41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case 10 so as to discharge the water introduced therein again.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상기 기포발생장치를컨테이너(100)의 내부 상면에 설치하여도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action and effect can be obtained even i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동력 기포발생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tion of the non-powered bubble gener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컨테이너(100)의 내벽에 기포발생장치를 설치하는데, 도 2와 같이 컨테이너(100)의 통기공(110)에 공기 케이스(10)의 공기흡입구(13)를 관통시킨 다음, 상기 컨테이너(100)의 외측에서 공기흡입구(13)에 밀폐링을 끼운 다음, 너트(12)로서 단단히 결합하여 통기공(110)을 통해 컨테이너(100) 내부의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First,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100. As shown in FIG. 2, the air inlet 13 of the air case 10 passes through the vent hole 110 of the container 100, and then the container ( Insert the sealing ring to the air inlet 13 from the outside of the 100, and then tightly coupled as the nut 12 to prevent the water inside the container 100 leak through the vent hole (110).

그런 다음, 공기 케이스(10)의 저부에 설치되어진 공기분사관(30)을 컨테이너(10)의 바닥면에 설치하는데, 이때 공기분사관(30)의 외주부에 설치되어진 여과 필터부재(34)는 수중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한다.Then, the air injection pipe (30)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air case 1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 wherein the filtration filter member 34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air injection pipe (30)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water.

상기와 같이 무동력 기포발생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컨테이너(100)가 이동하게 되면, 도 2의 (b)와 같이 그 내부의 물이 쏠리게 되는데, 이때 그 물의 압력이 다이아프램(20)에 작용하여 화살표와 같이 압압되며, 이와 동시에 공기 케이스(10) 내부에 있는 공기가 공기분사관(30)을 통해 수중으로 분사되므로서 수중의 활어에게 공기속의 산소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20)이 압압될 시에는 공기흡입구(13)의 내측의 역지수단(14)은 닫혀 공기 케이스(10)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반면, 공기분사관(30) 내부의 역지수단(32)은 공기의 힘에 의해 개방된다.When the container 100 is moved in the state in which the non-powered bubble generator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inside thereof is drawn as shown in (b) of FIG. 2, wherein the pressure of the water acts on the diaphragm 20 and the arrow is moved. As it is pressed,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in the air casing 10 is injected into the water through the air injection pipe 30, the oxygen in the air is supplied to the live fish in the water. When the diaphragm 20 is pressed, the check means 14 inside the air inlet 13 are closed to prevent air from flowing out of the air case 10, while the air injection pipe 30 The internal check means 32 are opened by the force of air.

한편, 도 2의 (a)와 같이 컨테이너(100) 내의 물이 다른 쪽으로 쏠리게 되면, 공기 케이스(10)의 내부 벽면과 다이아프램(20)의 내측면 사이의 스프링(22) 복원력에 의해 다이아프램(20)이 원상복귀되는데, 이때 공기흡입구(13)의 내측의 역지수단(14)이 개방되어 다량의 외기가 유입되는 반면에 공기분사관(30) 내부의 역지수단(32)은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닫힘으로써 공기분사관(30) 내부로 유입된 물이 공기 케이스(10)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water in the container 100 is directed to the other side as shown in Figure 2 (a), the diaphragm by the spring 22 restoring force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ir case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hragm 20 Wherein 20 is returned to the original, at this time the check means 14 of the inside of the air inlet 13 is opened so that a large amount of outside air flows while the check means 32 inside the air injection pipe 30 is a spring (33) By closing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air injection pipe 30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air case 10.

그리고, 상기 공기케이스(10)로 들어온 소량의 물은 다이아프램(20)이 압압될 때 역지수단(41)을 구비한 물배출관(40)을 통해 컨테이너(100)로 배출된다.Then, a small amount of water entering the air case 10 is discharged to the container 100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40 having the check means 41 when the diaphragm 20 is pressed.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상기 기포발생장치를 컨테이너(100)의 내부 상면에 설치하여도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용을 한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has the same effect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본 고안은 컨테이너의 일측에 이동중 발생하는 물의 유동(쏠림)을 이용하여 대기중의 공기를 물속에 공급하므로서 이의 설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은 물론 이의 설치비용을 최소화하고, 낚시꾼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휴대용 소형 컨테이너에도 그 어떠한 동력없이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flow of water generated during movement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to supply air to the water, thereby facilitating its installa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minimizing its installation cost, and mainly used by anglers. Portable small container is also very useful effect that can be installed and used without any power.

Claims (1)

일면이 개구된 공기 케이스(10)를 형성한 다음, 상기 공기 케이스(10)의 개구부(11)에 물의 유동시 발생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동작되게 다이아프램(20)이 스프링(22)과 함에 탄설되며, 상기 공기 케이스(10)의 또 다른 적소에 컨테이너(100)의 통기공(110)과 대응하여 그 내부로 외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역지수단(14)이 구비된 공기 흡입구(13)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공기 케이스(10)의 적소에 그 내부의 흡입된 외기를 물속으로 분사할 수 있게 역지수단(32)이 각각 구비된 하나 이상의 공기 분사관(30)이 소정길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공기 케이스(10)의 일측에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물을 배출할 수 있게 역지수단(41)을 구비한 물 배출관(4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무동력 기포발생장치.After the air case 10 having one surface is formed, the diaphragm 20 is engaged with the spring 22 so that the diaphragm 20 is operated by the pressure of water generated when the water flows in the opening 11 of the air case 10. At least another air inlet 13 having a check means 14 is provided at another location of the air case 10 to correspond to the vent hole 110 of the container 100 so as to suck outside air therein. One or more air injection pipes 30 each having one or more formed therein and provided with check means 32 to inject air sucked therein into the water in place of the air case 10 ar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water discharge pipe (40) having a water discharge pipe (40) provided with a check means (41) to discharge water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air case (10).
KR2020010019128U 2001-06-22 2001-06-22 an air bubble producer KR20024867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128U KR200248673Y1 (en) 2001-06-22 2001-06-22 an air bubble produc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128U KR200248673Y1 (en) 2001-06-22 2001-06-22 an air bubble produc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673Y1 true KR200248673Y1 (en) 2001-11-16

Family

ID=7310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128U KR200248673Y1 (en) 2001-06-22 2001-06-22 an air bubble produc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67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7129250A (en) SEALED GLASS FOR FEEDING, INCLUDING INSERT AND BOTTOM AIR INLET VALVE
CN101124149A (en) Up-lock seal for dispenser pump
US6364622B1 (en) Vibratory pump apparatus
KR200248673Y1 (en) an air bubble producer
KR20020094851A (en) an air bubble producer
JP3965645B2 (en) Fuel supply device for motorcycle fuel injection device
KR960703680A (en) Hand lever operated pump (LEVER-OPERATED PUMP)
KR200303383Y1 (en) an air producer by powerless
US5186611A (en) Pump arrangement for pumping liquid by means of compressed air
KR200303384Y1 (en) an air producer by powerless
KR20020012500A (en) Vacuum sewer system
US2949615A (en) Water closet ventilator
ATE418373T1 (en) WATER TANK WITH FILTER CARTRIDGE
US5356274A (en) Supplying self-suction unit
GB2271327A (en) A fuel tank reservoir.
JPH0657843U (en) Foam jet pump container
JPH0210284Y2 (en)
JP2004306034A (en) Suction pipe device
JPH0889A (en) Device for diffusing gaseous carbon dioxide into water
WO2023092461A1 (en) Pump body structure and foam pump
MY130127A (en) A liquid level control device
CN205421418U (en) No negative pressure water supply jar
KR200221952Y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liquid tank from being tranform by inside pressure
JPH0961024A (en) Water feeder for ice making tray of refrigerator
EP0623098A1 (en) Apparatus for the oxidation of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