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612Y1 -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 Google Patents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612Y1
KR200248612Y1 KR2020010016215U KR20010016215U KR200248612Y1 KR 200248612 Y1 KR200248612 Y1 KR 200248612Y1 KR 2020010016215 U KR2020010016215 U KR 2020010016215U KR 20010016215 U KR20010016215 U KR 20010016215U KR 200248612 Y1 KR200248612 Y1 KR 200248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mping
discharge
sho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람과 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람과 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람과 환경
Priority to KR2020010016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6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612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행시 신발 내부에서 공기의 방출 및 흡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내부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고, 상기 공기는 악취정화 및 수분탈취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발냄새를 방지함은 물론 각종 세균성 족부질환을 예방하도록 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발바닥 형태를 갖도록 판상으로 되어 신발 내의 바닥면에 끼워지는 바닥프레임(1)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뒷굽지지부 상에 설치되어 신발 착용자의 체중이 실린 압력을 선택적으로 받으면서 공기의 흡입 및 방출을 수행하는 공기펌핑수단(2)과, 상기 공기펌핑수단의 전방쪽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펌핑수단에 의해 공기의 흡입이 수행될 경우 바닥프레임(1)의 앞쪽에 있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공기펌핑수단(2)으로 안내하는 흡입공기 안내수단(5)과, 상기 공기펌핑수단의 전방쪽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펌핑수단(2)에 의해 공기의 방출이 수행될 경우 이 방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방출공기 정화수단(3)과, 상기 방출공기 정화수단의 전방쪽에 설치되어 방출공기 정화수단(3)에 의해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바닥프레임(1)의 앞쪽으로 안내하여 외부로 유출시켜 주는 방출공기 안내수단(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inner sole of shoe for capturing reek}
본 고안은 신발 깔창에 관련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 기술하면 보행시 신발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순환되는 공기는 악취정화 및 수분탈취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각종 악취 및 족부질환을 예방하도록 된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 깔창은 신발 바닥면에 끼워져 착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된 것으로서, 통상 신발 내부의 바닥면 모양에 따라 그 형상이 이루어지고 착용자가 보행시 편안함을 느끼고 피로감을 덜 수 있도록 쿠션재를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그러나, 운동화 등의 보온성이 있는 신발을 착용하였을 때에는 보행시 신발 내부에 열기가 많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발생된 열기가 쉽게 방출되지 못하므로 신발을 벗게 되는 경우에는 불쾌한 발냄새가 날 뿐만 아니라 발에서 생성된 땀에 의해서 각종 세균성 족부질환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더운 날씨에는 사용자가 이같은 운동화를 착용하는 것에 몹시 부담을 느끼게 되는데, 종래에는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공기 순환을 위해 신발 깔창에 많은 수의 통공을 형성하거나 그 상면에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열기를 식히도록 하는 방식이 고작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같은 신발 깔창은 지압효과 등의 부수적인 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신발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전혀 이루어지지지 못하므로 내부 열기를 식히거나 발냄새를 예방하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였다.
또한 착용자의 보행시에는 통상 발바닥의 앞굽쪽, 대개 발가락 부분에서 땀이 많이 발생하게 되나 종래에는 신발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발가락 부분에서는 공기의 순환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여 족부질환을 유발하는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 되므로 이 또한 종래 방식에 따라 해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보행시 신발 내부에서 공기의 방출 및 흡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내부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고, 상기 공기는 악취정화 및 수분탈취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발냄새를 방지함은 물론 각종 세균성 족부질환을 예방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의 전체 구성을 부분 절개하여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부분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Ⅱ-Ⅱ부분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Ⅲ-Ⅲ부분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펌핑력 전달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방출공기 정화수단의 내부 구성을 보인 요부 횡단면도
도 7a는 본 고안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의 공기 방출시 내부 형상을 보인 요부 개략도
도 7b는 도 7a에서 공기 흡입시 내부 형상을 보인 요부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공기방출관 및 공기흡입관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 프레임 2 : 공기펌핑수단
3 : 방출공기 정화수단 4 : 방출공기 안내수단
5 : 흡입공기 안내수단 6 : 메쉬부재
7 : 커버프레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발바닥 형태를 갖도록 판상으로 되어 신발 내의 바닥면에 끼워지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뒷굽지지부 상에 설치되어 신발 착용자의 체중이 실린 압력을 선택적으로 받으면서 공기의 흡입 및 방출을 수행하는 공기펌핑수단과, 상기 공기펌핑수단의 전방쪽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펌핑수단에 의해 공기의 흡입이 수행될 경우 바닥프레임의 앞쪽에 있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공기펌핑수단으로 안내하는 흡입공기 안내수단과, 상기공기펌핑수단의 전방쪽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펌핑수단에 의해 공기의 방출이 수행될 경우 이 방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방출공기 정화수단과, 상기 방출공기 정화수단의 전방쪽에 설치되어 방출공기 정화수단에 의해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바닥프레임의 앞쪽으로 안내하여 외부로 유출시켜 주는 방출공기 안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의 전체 구성을 부분 절개하여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부분 요부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Ⅱ-Ⅱ부분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Ⅲ-Ⅲ부분 요부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펌핑력 전달수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방출공기 정화수단의 내부 구성을 보인 요부 횡단면도이며, 도 7a는 본 고안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의 공기 방출시 내부 형상을 보인 요부 개략도이고, 도 7b는 도 7a에서 공기 흡입시 내부 형상을 보인 요부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공기방출관 및 공기흡입관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개략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요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발 내부에 끼워지는 신발 바닥면 형상의 바닥프레임(1)은 쿠션감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다음 기술되는 각 수단을 모두 포함하여서 된다.
도 1에서, 상기 바닥프레임(1)의 뒷굽지지부 상에는 신발 내부의 공기순환을 위해 공기를 연속적으로 흡입 및 방출하는 공기펌핑수단(2)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펌핑수단(2)은 상기 바닥프레임(1)의 뒷굽지지부 상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체중에 눌린 경우 전방쪽으로 유압을 발생시키는 펌핑부(200)와, 상기 펌핑부의 전방쪽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대략 사각 형태의 공기실린더(210)와, 상기 펌핑부(200)와 공기실린더 사이에 설치되어 펌핑부에서 발생된 압력을 전달받아 공기실린더(210)에서 공기가 방출 또는 흡입되도록 피스톤을 왕복운동시키는 펌핑력 전달수단(220)과, 상기 공기실린더(210)의 전방쪽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공기실린더(210) 내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소켓이음부(21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펌핑부(200)는 신발 착용자의 체중에 눌려 압박된 경우에 내부충만된 오일이 전방쪽에 일체로 형성된 오일실린더(205) 내부로 분사됨으로써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튜브(201)와, 상기 오일튜브의 상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뒷굽과 직접 접촉되는 누름캡(202)과, 상기 누름캡의 후단에 일정깊이로 홈(203)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홈에 삽입되어 오일튜브(201)가 압축되었을 때 복원력을 부가하는 판스프링(20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기실린더(210)는 펌핑부(200)를 향한 후방쪽이 개방됨과 함께 전방쪽은 각각 공기방출구(211)와 공기흡입구(212)가 인접한 상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공기방출구(211)에는 방출되는 공기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도록 방출구 개폐판(213)이 공기실린더(210) 바깥쪽에 설치됨과 함께 공기흡입구(212)에는 흡입되는 공기만을 통과시키도록 흡입구 개폐판(214)이 공기실린더(210) 안쪽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펌핑부(200)와 공기실린더(210) 사이에는 상기 펌핑부(200)로부터 발생된 유압을 전달받아 공기실린더(210) 내부에서 공기가 방출 또는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실린더(210)쪽으로 펌핑력을 전달하는 펌핑력 전달수단(220)이 설치되는데, 상기 펌핑력 전달수단(200)은 펌핑부(200)에서 발생된 유압에 의해 오일실린더(205) 내부에서 직접적으로 왕복운동되는 오일피스톤(221)과, 상기 오일피스톤의 커넥팅 로드(222)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짐과 함께 가운데 부분이 베이스(240) 상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축(223)에 각각 끼워져 오일피스톤(221)의 왕복운동에 따라 지렛대운동되는 링크부재(224)와, 상기 펌핑부(200)의 누름캡(202)과 오일피스톤(221)의 커넥팅 로드(2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오일피스톤이 전방으로 이동된 경우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스프링(225)과,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힌지연결편(226)이 상기 링크부재(224)의 타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공기실린더(8) 내부에서 왕복운동되는 사각 형태의 공기피스톤(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핑부(200)와 공기실린더(210) 사이에는 보호캡(227)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펌핑력 전달수단(220)의 개방된 상부가 보호되고, 상기 공기실린더(210)의 전방쪽에는 방출구 개폐판(213)과 일단이 기밀 연결되어 공기실린더(210)로부터 방출되는 공기를 전방으로 안내하도록 방출공기 안내관(300)이 설치됨과 함께 공기실린더의 일측에는 공기실린더(210) 내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소켓이음부(215)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펌핑부(200)는 바닥프레임(1)의 뒷굽지지부 상에 안착된 베이스(240)의 후방부에 고정 설치됨과 함께 펌핑력 전달수단(220)은 베이스의 전방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신발 착용자가 보행시 체중에 의한 압력을 견디도록 견고하게 구성되며, 상기 방출공기 안내관(300)은 그 외관이 주름처리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발생된 진동 및 휨압력을 흡수가능하도록 됨으로써 공기펌핑수단(2)의 전체 구성이 완성된다.
한편, 상기 공기펌핑수단(2)의 전방쪽에는 공기펌핑수단의 방출공기 안내관(300)을 통해 방출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방출공기 정화수단(3)이 설치된다.
상기 방출공기 정화수단(3)은 공기펌핑수단의 전방쪽 일측에 연결되어 공기펌핑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공기를 전방쪽으로 안내하는 방출공기 안내관(300)과, 상기 방출공기 안내관의 일단에 접속된 사각형의 필터박스(310)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박스(3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311)는 그 내부가 복수개의 공간부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각 공간부에는 방출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필터링수단이 설치되는데, 상기 공기필터링수단은 각 공간부에 구비된 수분흡착필터와 탈취필터, 방향성분필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박스(310)의 공기 유로는 입구측에서 출구측까지 방출공기 안내관(300)을 통과한 공기를 케이스(311) 내부로 유도하는 입구(312)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수분 흡착제를 지나면서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탈취필터로 유도하는 제1연통공(313)과, 상기 탈취필터를 지나면서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방향성분필터로 유도하는 제2연통공(314)과, 상기 방향성분필터를 지나면서 상쾌한 방향성분이 함유되어 완전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유도하는 출구(315)가 순차적으로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방출공기 정화수단(3)의 앞쪽에는 정화된 공기를 전방쪽으로 안내하도록 방출공기 안내수단(4)이 설치된다.
상기 방출공기 안내수단(4)은 필터박스(310)의 출구쪽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소켓(402)과, 상기 소켓에 결합되어 바닥프레임(1)의 앞굽지지부 상에 방사형으로 분산 배치된 복수개의 공기방출관(401)으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방출관의 상부에는 공기의 방출을 위해 일정간격마다 방출공(403)이 연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출공기 안내수단(4)과 함께 바닥프레임(1)의 압굽지지부 전면에는 흡입공기 안내수단(5)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공기 안내수단(5)은 공기방출관(401)의 사이에 각각 분산 배치되고 상부에는 공기의 흡입을 위해 일정간격마다 흡입공(503)이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흡입관(501)과, 상기 공기흡입관의 끝단에 설치되어 소켓이음부(215)의 출구쪽과 상시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된 소켓(50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흡입관(501)은 앞서 설명된 공기방출관(401)의 사이에 각각 분산 배치됨과 함께 그 상부에 각각 연통 형성된 흡입공(503)과 방출공(403)이 수평선상에 있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방출공기 안내수단(4)과 흡입공기 안내수단(5)의 상부에는 통공(503)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그물 형태의 메시부재(6)가 안착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메시부재(6)를 포함한 바닥프레임(1)의 전면에는 다시 커버프레임(7)이 안착됨으로써 신발 깔창의 전체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신발 깔창을 신발 내부에 끼워 착용한 뒤, 착용자가 보행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바닥프레임(1)의 뒷굽부분이 체중에 눌려 압력을 받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바닥프레임(1)의 뒷굽지지부에는 펌핑부(200)의 누름캡(202)이 상부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보행시 주기적으로 상기 펌핑부(200) 상단에 누름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내부의 오일튜브(201)가 압축되면서 전방쪽으로 유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유압이 발생되어 오일피스톤(221)을 전방쪽으로 밀어주게 되는데, 이 때 오일피스톤(221)의 커넥팅 로드(222)에는 링크부재(224)의 일단이 함께 회동가능하게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링크부재가 베이스(240) 상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축(223)에 각각 끼워져 있음에 따라 상기 오일피스톤(221)이 전방으로 이동됨과 함께 이와 일체로 형성된 커넥팅 로드(222)도 전방으로 함께 이동된다.
또한 상기 커넥팅로드(42)는 링크부재(224)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있음과 함께 상기 링크부재(224)는 다시 공기피스톤(230)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힌지연결편(226)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링크부재(224)가 지렛대운동되면서 공기피스톤(230)은 이와 반대로 공기실린더(210) 내부에서 후방으로 끌어당겨지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공기피스톤(230)이 공기실린더(210)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공기실린더(210)는 공기를 빨아들이게 되므로 신발 내부의 공기가 공기흡입관(501)을 통해 공기실린더(210) 내로 흡입되는데, 이 때 상기 공기흡입관과 공기실린더(210)의 연결부분에는 흡입되는 공기만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공기실린더 안쪽으로 흡입구 개폐판(214)(예로서, 고무판막 따위)이 부설되어 있음에 따라 공기실린더(21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게 된다.
한편, 이와 반대로 상기 공기실린더(210)의 흡입구 개폐판(214) 측방에는 방출구 개폐판(213)이 공기실린더(210) 바깥쪽에 부설되어 있음에 따라 흡입구 개폐판(214)을 통해 외기가 공기실린더(210) 내로 흡입될 때 이와 함께 공기방출관(401)을 통해 외기가 흡입됨을 차단하게 된다.
이 후, 착용자가 보행시 다시 발을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펌핑부(200)에는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더 이상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펌핑부(200)도 더 이상 유압을 발생시키지 않음은 이해가능하다.
이 때에는 상기 펌핑부(200)와 오일피스톤(221)의 커넥팅 로드(222) 사이에 설치된 탄성스프링(225)이 복원력을 작용하게 되므로 오일피스톤(221)이 다시 후방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되고, 이와 결합된 링크부재(224)도 지렛대운동에 의해 공기피스톤(230)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공기실린더(210) 내에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피스톤(230)의 압력을 받아 다시 신발 내부로 방출되도록 압력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일련의 과정에 의해 공기는 자연스럽게 방출구 개폐판(213)과 방출공기 안내관(300)을 통해 공기방출관(401)쪽으로 유도되는데, 이 때 상기 방출공기 안내관(300)과 공기방출관(401) 사이에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박스(310)가 더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방출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박스(310)를 통과하면서 깨끗한 공기로 정화된 후 방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박스(3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가 복수개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각 부분에는 탈취필터와 방향성분필터, 수분흡착필터가 각각 삽입되어 있음에 따라 방출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박스(310)의 입구쪽에서 진입되어 각 정화단계를 거침으로써 출구쪽으로 빠져나갈 때에는 깨끗하게 정화된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서, 신발 내부로 방출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박스의 수분흡착필터를 통과하면서 일차적으로 각종 세균류의 번식을 유발하는 수분(땀 입자)을 걸러주고, 이차적으로 탈취필터를 거치면서 발냄새를 일으키는 각종 악취성분을 여과하며, 최종적으로 방향성분필터를 통과할 때에는 신발 내부에서 상쾌한 향이 발현되도록 방향성분이 함유된 상태로 방출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서 공기흡입관(501)의 형상은 공기방출관(401)의 형상과 조금 상이한데, 이는 상기 공기흡입관(501)이 공기방출관(401)보다 조금 하방에 위치된 상태로 조립된 뒤 공기방출관(401)의 사이에 각각 분산 배치되어짐을 감안할 때, 상기 공기흡입관(501)이 바닥프레임(1)의 앞굽쪽에서는 공기방출관(401)과 수평선상에 있도록 하기 위해 공기흡입관(501)의 일정부분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됨은 이해가능하다.
한편, 여기서 상기 신발 깔창의 제작공정을 일실시예에 따라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한 장치부분을 발바닥 형상으로 된 금형에 삽입한 뒤, 상기 장치부분의 높이와 거의 일치하게끔 용융된 쿠션재를 부어 몰딩처리함으로써 상기 장치부분이 포함된 바닥프레임을 성형한다.
상기 공정 후에는 바닥프레임의 상면에 표출된 공기방출관과 공기흡입관의상부에 메시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방출관 및 흡입관에 형성된 통공(방출공과 흡입공)을 통해 이물질이 관내로 유입되거나 상기 통공이 막히는 폐단을 방지하며, 이 후 전체 바닥프레임의 상면에는 다시 통기성을 갖는 커버프레임을 덮어 마무리함으로써 하나의 신발 깔창이 완성되게 된다.
이로써, 신발 착용자는 보행시 신발 내부의 공기가 계속적으로 순환되면서 정화되므로 신발 내부는 항상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고, 특히 신발 내부로 방출되는 공기는 족부에서 땀이 많이 발생되는 발바닥의 앞굽쪽(발가락 부분)에 집중 분사되므로 착용자는 보행시 매우 상쾌한 기분을 만끽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앞굽쪽에서 계속적으로 공기를 분사됨과 함께 순환과정에서 수분이 제거됨으로써 착용자의 신발 내부는 항상 일정습도로 유지되므로, 이에 따라 신발 내부에서 악취의 발생 및 세균번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은 보행시 신발 내부에서 방출되는 공기가 자연스럽게 착용자의 발가락쪽으로 유도되도록 하고, 또한 흡입된 공기는 악취정화 및 수분탈취의 과정을 거쳐 다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신발 내부에서 발생되는 각종 악취 및 세균성 족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신발 깔창은 땀이 많이 나는 발가락부분에서 집중적으로 공기가 방출 및 흡입됨으로써 착용자는 보행시 상쾌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의 피로함을 덜 수 있는 유익한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발바닥 형태를 갖도록 판상으로 되어 신발 내의 바닥면에 끼워지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뒷굽지지부 상에 설치되어 신발 착용자의 체중이 실린 압력을 선택적으로 받으면서 공기의 흡입 및 방출을 수행하는 공기펌핑수단과,
    상기 공기펌핑수단의 전방쪽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펌핑수단에 의해 공기의 흡입이 수행될 경우 바닥프레임의 앞쪽에 있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공기펌핑수단으로 안내하는 흡입공기 안내수단과,
    상기 공기펌핑수단의 전방쪽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펌핑수단에 의해 공기의 방출이 수행될 경우 이 방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방출공기 정화수단과,
    상기 방출공기 정화수단의 전방쪽에 설치되어 방출공기 정화수단에 의해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바닥프레임의 앞쪽으로 안내하여 외부로 유출시켜 주는 방출공기 안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펌핑수단은, 밑판을 이루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 후방부에 구비되어 신발 착용자의 뒷굽에 눌린 경우 전방으로 유압을 발생시키는 펌핑부와,
    상기 베이스의 전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펌핑부쪽을 개방함과 함께 그 반대쪽에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공기흡입구 및 공기의 방출을 위한 공기방출구가 각각 형성된 공기실린더와,
    상기 공기실린더의 공기흡입구 상에 설치되어 공기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주는 흡입구 개폐판 및 공기방출구 상에 설치되어 공기방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주는 방출구 개폐판과,
    상기 공기실린더 내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펌핑부의 펌핑력을 받을 경우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흡입력을 제공하거나 펌핑부의 펌핑력을 받지 않을 경우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방출력을 제공하는 공기피스톤과,
    상기 펌펑부와 공기피스톤 사이에 구비되어 펌핑부에서 발생된 펌핑력을 공기피스톤으로 전달시켜 주는 펌핑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전방쪽으로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튜브와,
    상기 오일튜브의 출구에 일체로 형성된 오일실린더와,
    상기 오일튜브의 상부를 커버링한 상태로 전단이 베이스 상에 힌지결합되고 후단은 일정깊이로 홈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홈에는 압축시 복원력을 부가하는 판스프링이 삽입되어진 누름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력 전달수단은, 펌핑부에서 발생된 유압에 의해 직접적으로 왕복운동되는 오일피스톤과,
    상기 오일피스톤의 커넥팅 로드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타단이 공기피스톤에 결합되고, 가운데 부분은 베이스 상에 수직하게 형성된 한 쌍의 돌축에 각각 끼워짐에 따라 지렛대운동되는 링크부재와,
    펌핑부와 오일피스톤의 커넥팅 로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오일피스톤이 전방쪽으로 이동된 경우 복원력을 부가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기 안내수단은, 일단이 공기펌핑수단을 이루는 공기실린더의 공기흡입구에 소켓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은 바닥프레임의 앞굽쪽으로 넓게 분산 배치되어 바닥프레임의 앞쪽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실린더 내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공기흡입관과, 상기 각 공기흡입관의 상부에 바닥프레임의 앞쪽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연통 형성된 흡입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공기 정화수단은, 복수개로 분할된 공간부를 가지며 정화를 위한 공기가 들어오는 입구를 구비함과 함께 정화된 공기가 빠져나가는 출구를 갖는 필터박스와,
    상기 필터박스의 입구를 통해 들어온 공기가 출구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각 공간부와 입, 출구를 서로 연통시켜 주는 연통공과,
    상기 필터박스의 입구와 공기펌핑수단의 공기방출구를 연결하여 공기방출구를 통해 방출되는 공기를 필터박스로 안내하는 방출공기 안내관과,
    상기 필터박스 내의 각 공간부에 채워져 입구를 통해 필터박스 내로 들어온 공기가 출구를 통해 필터박스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이 공기를 깨끗하게 정화하는 공기필터링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필터링수단은, 필터박스 내에,
    하나의 공간부에 구비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흡착필터와, 다른 하나의 공간부에 구비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제거하는 탈취필터와, 또 다른 하나의 공간부에 구비되어 공기 중에 상쾌한 향의 방향성분을 포함시키는 방향성분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공기 안내수단은, 일단이 방출공기 정화수단을 이루는 필터박스의출구에 소켓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은 바닥프레임의 앞굽쪽으로 넓게 분산 배치되어 필터박스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정화공기를 바닥프레임의 앞쪽으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공기방출관과, 상기 각 공기방출관에 형성되어 공기방출관을 통해 바닥프레임의 앞쪽으로 안내된 방출공기를 수직 상방으로 배출하는 방출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공기 안내관은 일부분이 주름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10. 제 5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방출관 및 공기흡입관의 상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메시부재가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에는 통기성을 갖는 커버프레임이 더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KR2020010016215U 2001-05-31 2001-05-31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KR200248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215U KR200248612Y1 (ko) 2001-05-31 2001-05-31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215U KR200248612Y1 (ko) 2001-05-31 2001-05-31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612Y1 true KR200248612Y1 (ko) 2001-10-17

Family

ID=7310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215U KR200248612Y1 (ko) 2001-05-31 2001-05-31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6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1420A (zh) * 2022-09-02 2022-11-04 成都磐陇投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运动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1420A (zh) * 2022-09-02 2022-11-04 成都磐陇投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运动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7140U (ja) 換気可能な靴中敷の構造
EP0732067A1 (en) Moulded shoe sole, able to take in air from the inside of the shoe and push it out from the heel
KR200426095Y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JPH10508208A (ja) 履物の改良
KR100470751B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200248612Y1 (ko) 발냄새 탈취용 신발 깔창
KR200450304Y1 (ko) 향기 배출수단이 구비된 신발깔창
JP2001275708A (ja) 水虫防止用靴
KR100462809B1 (ko) 외부 공기 유입용 신발깔창
KR200259486Y1 (ko) 기능성 신발
CN219962094U (zh) 具有理疗除臭功能的增高鞋垫
KR200372085Y1 (ko)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용 깔창
KR200240542Y1 (ko) 스프링을장착한통풍깔창
KR200354578Y1 (ko) 신발깔창
EP2334210B1 (en) Device for internal ventilation of a shoe
KR100478942B1 (ko) 신발용 인솔
JPH031805A (ja) エアーポンプ付インソール
JP2009142307A (ja) 蒸れ防止機能付き健康靴およびその中敷
KR200226041Y1 (ko) 신발용 깔창
KR0138648Y1 (ko) 통기 신발창
KR20080108168A (ko) 향기 신발
KR960010488Y1 (ko) 신발환기용 통기펌프 어셈블리
KR200297996Y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200351007Y1 (ko) 신발용 인솔
KR920008949Y1 (ko) 개량한 위생화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