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574Y1 - 오존 발생기 - Google Patents

오존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574Y1
KR200248574Y1 KR2020010001325U KR20010001325U KR200248574Y1 KR 200248574 Y1 KR200248574 Y1 KR 200248574Y1 KR 2020010001325 U KR2020010001325 U KR 2020010001325U KR 20010001325 U KR20010001325 U KR 20010001325U KR 200248574 Y1 KR200248574 Y1 KR 2002485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wire
case
ozone generator
a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익
Original Assignee
김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익 filed Critical 김태익
Priority to KR2020010001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5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5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574Y1/ko

Links

Landscapes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존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존발생기를 살펴보면, 양극과 음극이 석영관으로 된 램프의 내부와 외부에 서로 분리되게끔 설치되는데, 석영관을 중심으로 외부에는 대전음극으로 사용되는 띠 형상의 그라운드를 설치하고, 상기 석영관 내부에는 양극으로 사용되는 게터를 설치하며, 석영관 하부에 별도 구성된 소켓에 체결되어 전원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접속부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오존 발생기는 부품수가 과다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높일뿐만 아니라 절연효과가 크게 떨어져 고장이 잦고 수명이 짧은 폐단이 따른다.
이에 본 고안은 합성수지 사출물로 성형된 케이스와 양극으로 사용되는 핀, 상기 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와이어의 연결을 매우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핀지지부재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나 아연망으로 형성하여 음극으로 사용되게 한 그물망부재로 구성하여 부품수 절감으로 조립성 및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하고, 내구성과 신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오존 발생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존 발생기{An ozonizer}
본 고안은 오존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오존발생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분침투가 불가능하게끔 함으로써, 내구성과 신뢰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수명연장 효과가 극대화되게 하고,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여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오존 발생기는 오존을 다량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통상 생활 악취제거를 비롯하여 각종 용 폐수처리 등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나 기구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근자에 와서는 각종 작물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나 유리하우스 등에 설치하여 작물의 성장촉진을 유도하거나 또는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음이온 발생기 등에 설치 사용하여 공기정화효과와 각종 악취제거를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오존발생기(선 발명특허 제 0239890호)는 수명이 짧고 구성이 복잡하며 오존 발생효과도 크게 떨어지는 등의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즉, 상기한 선 발명특허의 구조를 살펴보면, 양극과 음극이 석영관으로 된 램프의 내부와 외부에 서로 분리되어 있는데, 상기 석영관을 중심으로 외부에는 대전음극으로 사용되는 띠 형상의 그라운드를 설치하고, 상기 석영관 내부에는 양극으로 사용되는 게터를 설치하며, 석영관 하부에 별도 구성된 소켓에 체결되어 전원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접속부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 석영관의 내부는 아르곤(Ar), 질소(N), 수은(Hg)으로 이루어진 혼합가스로 충진되어 있으며, 이 혼합가스의 혼합비를 변화시켜 오존의 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띠 형상의 그라운드 대신에 알루미늄, 아연망 또는 스테인레스로 된 그물망캡을 석영관 외부에 씌운 것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선 발명특허의 경우 석영관으로 된 램프와 띠 형상 또는 그물망 형상의 그라운드, 그리고 게터와 이들을 지탱해 주는 합성수지로 된 케이스 및 소켓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조립부품수가 과다하고, 또 램프 내부에 아르곤, 네온, 질소, 수은등으로 이루어진 혼합가스가 충진 되어야 함에 따라 제조원가가 과다하게 들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 상기한 종래의 오존발생기는 여러개의 부품이 서로 조립되는 과정에서 조립부분이 모두 노출되는 구성이기에 습도가 높은 지역이나 비닐하우스나 유리하우스와 같은 각종 작물을 재배하는 장소에서는 습기 또는 물기가 유입되어 쉽게 고장이 발생되거나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등의 폐단도 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오존발생기에 대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 사출물로 성형된 케이스와 양극으로 사용되는 핀, 상기 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와이어의 연결을 매우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핀 지지부재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로 형성하여 음극으로 사용되게 한 그물망부재로 구성하여, 부품수 절감으로 조립성 및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하고, 내구성과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오존 발생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1-도3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고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요부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1-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케이스(1)와, 양극으로 이용되는 핀(2), 상기 핀(2)을 케이스(1)에 끼워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와이어(3)의 연결이 원활하게 되도록 유도하는 핀 지지부재(4)와, 알루미늄 또는 아연망이나 스테인레스로 되어 음극으로 사용되는 그물망부재(5)로 구성되는데, 상기 합성수지로 된 케이스(1)에는 그물망부재(5)가 안정적으로 조립되도록 하기 위해 망 지지요홈(6)을 형성하여 상기 망 지지요홈(6)이 그물망부재(5)의 안정적 지지와 더불어 절연막의 작용을 하게 하고, 케이스(1) 일측 선단에 물낙하방지편(7)을 형성하여, 상기 물 낙하방지편(7)에 의해 사용과정에서 물이 가급적 양극으로 사용되는 핀(2)에 접촉되지 못하도록 하며, 케이스(1)의 중앙 내부에 핀지지부재(4)를 정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핀 지지부재 삽입부(8)를 형성하여 이곳을 통하여 핀(2)과 와이어(3)의 안정적 조립이 이루어지게 하고, 케이스(1)의 일측 선단부와 타측 후미에 각각 와이어(3)연결을 위한 와이어 삽입구멍(10)(11)을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 삽입구멍(10)(11)을 통하여 와이어(3)를 삽입하되, 와이어 삽입구멍(10)으로는 와이어(3)가 그물망부재(5)와 연결 접속되게 하고, 와이어 삽입구멍(11)을 통해서는 와이어(3)가 핀 지지부재(4)에 연결 접속되게 하며, 이들을 조립한 뒤에 케이스(1)의 중심부위와 망지지요홈(6)에 실리콘이나 우레탄 또는 에폭시등과 같은 절연물질(9)을 충진 시킴으로써 습기 등의 유입을 완벽하게 예방하고 취급시나 사용시 고장 및 파손을 예방하며 이에 따라 내구성이 극대화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종래 오존 발생기에 비하여 부품수가 적고 석영관과 같은 램프가 없어 구성이 매우 간단하며, 양극으로 작용하는 핀(2)이나 음극 그라운드로 작용하는 그물망부재(5)가 와이어(3)와 결합 고정될 때 매우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성인데다가, 절연물질에 의해 완전히 밀폐된 상태로 조립 고정되는 구성이기에 안정성과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된 케이스(1)와, 양극으로 이용되는 핀(2), 상기 핀(2)을 케이스(1)와 연결 결합시켜 주면서 와이어(3)의 연결 또한 손쉽게 해주는 핀 지지부재(4)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또는 아연망으로 형성되면서 음극으로 이용되는 그물망부재(5)로 구성되어 있어, 일단 종래 구성에 비하여 구성부품수가 적고, 전원의 연결이 와이어(3)에 의해 직접 인가되도록 구성하였기에 오존발생기 자체에 물기나 습기가 침투될 염려가 전혀 없게 되어 수명이 당연히 장구하게 유지되고, 제조원가가 극히 적게 들며 신뢰성이 극대화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오존발생기가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는 또 다른 이유는, 양극으로 사용되는 핀(2)이 케이스(1)에 조립될 때 핀지지부재(4)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립되고, 또 상기 핀 지지부재(4)에는 와이어(3)가 연결 조립된 뒤, 케이스(1) 내부에 에폭시나 우레탄등의 절연물질이 충진되므로서 핀(2)이 매우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되는 것이며, 더불어 와이어 또한 선단부가 핀지지부재(4)에 결합된 상태에서 절연물질에 묻히게 됨에 따라 습기나 물기의 유입이 전혀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에는 망 지지요홈(6)이 형성되어 있어 이곳에 그물망 부재(5)를 끼운 뒤, 와이어 삽입구멍(11)을 통하여 와이어를 끼워 그물망부재(5)에 와이어(3)를 연결 결합시킨 뒤 망지지요홈(6)에 절연물질(9)을 충진 시킴으로서 매우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신뢰성이 극대화된다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한 케이스와 양극으로 사용되는 핀, 그리고 핀 지지부재와 음극으로 사용되는 그물망부재로 된 부품들을 유기적으로 조립 구성하여 오존 발생기를 구성함으로써, 부품수가 적어 조립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원가절감효과가 매우 크고, 케이스 자체에 그물망부재의 삽입 고정이 원활하게끔 망지지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망지지요홈이 절연막의 작용을 하도록 함에 따라 절연값이 크게 향상되면서 수명이 장구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며, 옆으로 뉘여서 설치시 물 낙하 방지편에 의해 물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습기가 많은 장소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오존 발생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 케이스(1)와, 양극으로 이용되는 핀(2), 상기 핀(2)을 케이스(1)에 끼워 고정시켜줌과 동시에 와이어(3)의 연결이 원활하게 되도록 유도하는 핀 지지부재(4)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로 되어 음극으로 사용되는 그물망부재(5)로 구성하되,
    상기 합성수지로 된 케이스(1)에는 그물망부재(5)가 안정적으로 조립되도록 하기 위해 망 지지요홈(6)이 그물망부재(5)의 안정적 지지와 더불어 절연막의 작용을 하게 하고, 케이스(1) 일측 선단에는 물 낙하 방지편(7)을 형성하며, 케이스(1)의 중앙 내부에 핀 지지부재(4)를 정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핀 지지부재 삽입부(8)를 형성하여 이곳을 통하여 핀(2)과 와이어(3)의 안정적 조립이 이루어지게 하며, 케이스(1)의 일측 선단부와 타측 후미에 각각 와이어(3)연결을 위한 와이어 삽입구멍(10)(11)을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 삽입구멍(10)(11)을 통하여 와이어(3)를 삽입하되, 와이어삽입구멍(10)으로는 와이어(3)가 그물망부재(5)와 연결 접속되게 하고, 와이어 삽입구멍(11)을 통해서는 와이어(3)가 핀 지지부재(4)에 연결 접속되게 하며, 이들을 조립한 뒤에 케이스(1)의 중심부위와 망지지요홈(6)에 실리콘이나 우레탄 또는 에폭시등과 같은 절연물질(9)을 충진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기.
KR2020010001325U 2001-01-12 2001-01-12 오존 발생기 KR2002485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325U KR200248574Y1 (ko) 2001-01-12 2001-01-12 오존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325U KR200248574Y1 (ko) 2001-01-12 2001-01-12 오존 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574Y1 true KR200248574Y1 (ko) 2001-09-29

Family

ID=7309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325U KR200248574Y1 (ko) 2001-01-12 2001-01-12 오존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57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749Y1 (ko) * 2008-03-12 2012-03-07 김태익 오존발생기
KR101212990B1 (ko) * 2011-07-05 2012-12-18 김태익 오존발생기용 방전핀
KR101367630B1 (ko) * 2011-07-05 2014-02-27 김원현 오존발생기
KR101367631B1 (ko) * 2012-07-06 2014-02-27 김원현 오존 발생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749Y1 (ko) * 2008-03-12 2012-03-07 김태익 오존발생기
KR101212990B1 (ko) * 2011-07-05 2012-12-18 김태익 오존발생기용 방전핀
KR101367630B1 (ko) * 2011-07-05 2014-02-27 김원현 오존발생기
KR101367631B1 (ko) * 2012-07-06 2014-02-27 김원현 오존 발생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2036B2 (en) Electrical wall tap assembly
DE50206521D1 (de) Federklemme und Federklemmenreihung
US20060092637A1 (en) LED illumination module
US6514105B2 (en) Decorative lighting device
KR200248574Y1 (ko) 오존 발생기
KR200248573Y1 (ko) 오존 발생기
US4454451A (en) Circular fluorescent lamp unit
CA2140187A1 (en) Bulb socket structure
GB2214364A (en) Lamp holder for screw and bayonet lamps
KR102025303B1 (ko) 무선 led 등기구 장치
US4447861A (en) Circular fluorescent lamp unit
KR200433498Y1 (ko) 시공면적을 줄인 채널용 전등
US20030156406A1 (en) Waterproof head assembly for a flashlight
US5691596A (en) Christmas tree light
CN213061420U (zh) 一种用于洗衣机的紫外杀菌装置
KR200404097Y1 (ko) 전구소켓용 절연패드
CN219067297U (zh) 装配稳定的Type-C母座
CN213723714U (zh) 一种紫外杀菌装置的防水结构及紫外杀菌装置
CN220017304U (zh) 一种灯具接线堵头结构
CN211670251U (zh) 一种新型防水防漏液电池盒
EP1271715B1 (en) Bulb socket assembly
KR200255593Y1 (ko) 형광등의 소켓 결합 구조
KR200367138Y1 (ko) 전자식 형광등
KR101619404B1 (ko) 저전력소모 및 고내구성을 갖는 오존 발생기
KR200255359Y1 (ko)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