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573Y1 - 오존 발생기 - Google Patents

오존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573Y1
KR200248573Y1 KR2020010001324U KR20010001324U KR200248573Y1 KR 200248573 Y1 KR200248573 Y1 KR 200248573Y1 KR 2020010001324 U KR2020010001324 U KR 2020010001324U KR 20010001324 U KR20010001324 U KR 20010001324U KR 200248573 Y1 KR200248573 Y1 KR 2002485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generator
pin
anode
cathode
quartz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익
Original Assignee
김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익 filed Critical 김태익
Priority to KR2020010001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5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573Y1/ko

Links

Landscapes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존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존발생기를 살펴보면, 양극과 음극이 석영관으로 된 램프의 내부와 외부에 서로 분리되게끔 설치되는데, 석영관을 중심으로 외부에는 대전음극으로 사용되는 띠 형상의 그라운드를 설치하고, 상기 석영관 내부에는 양극으로 사용되는 게터를 설치하며, 석영관 하부에 별도 구성된 소켓에 체결되어 전원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접속부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오존 발생기는 부품수가 과다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높일뿐만 아니라 절연효과가 크게 떨어져 고장이 잦고 수명이 짧은 폐단이 따른다.
이에 본 고안은 합성수지 사출물로 성형된 케이스와 양극으로 사용되는 핀, 상기 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와이어의 연결을 매우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핀지지부재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나 아연망으로 형성하여 음극으로 사용되게 한 그물망부재로 구성하여 부품수 절감으로 조립성 및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하고, 내구성과 신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오존 발생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존 발생기{An ozonizer}
본 고안은 오존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오존발생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오존 발생부와 전원입력부로 분리 구성하되, 이들을 결합시 수분침투가 예방되고, 오존발생부의 교환이 매우 용이하며, 더불어 내구성과 신뢰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수명연장 효과가 극대화되게 하고,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여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오존 발생기는 오존을 다량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통상 생활 악취제거를 비롯하여 각종 용 폐수처리 등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나 기구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근자에 와서는 각종 작물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나 유리하우스 등에 설치하여 작물의 성장촉진을 유도하거나 또는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음이온 발생기 등에 설치 사용하여 공기정화효과와 각종 악취제거를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오존발생기(선 발명특허 제 0239890호)는 수명이 짧고 구성이 복잡하며 오존 발생효과도 크게 떨어지는 등의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즉, 상기한 선 발명특허의 구조를 살펴보면, 양극과 음극이 석영관으로 된 램프의 내부와 외부에 서로 분리되어 있는데, 상기 석영관을 중심으로 외부에는 대전음극으로 사용되는 띠 형상의 그라운드를 설치하고, 상기 석영관 내부에는 양극으로 사용되는 게터를 설치하며, 석영관 하부에 별도 구성된 소켓에 체결되어 전원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접속부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 석영관의 내부는 아르곤(Ar), 질소(N), 수은(Hg)으로 이루어진 혼합가스로 충진되어 있으며, 이 혼합가스의 혼합비를 변화시켜 오존의 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띠 형상의 그라운드 대신에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로 된 그물망캡을 석영관 외부에 씌운 것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선 발명특허의 경우 석영관으로 된 램프와 띠 형상 또는 그물망 형상의 그라운드, 그리고 게터와 이들을 지탱해 주는 합성수지로 된 케이스 및 소켓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조립부품수가 과다하고, 또 램프 내부에 아르곤, 네온, 질소, 수은등으로 이루어진 혼합가스가 충진 되어야 함에 따라 제조원가가 과다하게 들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 상기한 종래의 오존발생기는 여러개의 부품이 서로 조립되는 과정에서 조립부분이 모두 노출되는 구성이기에 습도가 높은 지역이나 비닐하우스나 유리하우스와 같은 각종 작물을 재배하는 장소에서는 습기 또는 물기가 유입되어 쉽게 고장이 발생되거나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등의 폐단도 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오존발생기에 대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오존 발생기를 오존발생부와 전원입력부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오존발생부에는 후미에 삽입관부를 형성하여 이곳 내부에 음극과 양극단자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양극과 음극단자는 각각 양극으로 이용되는 핀과 음극으로 사용되는 그물망부재와 연결되게 하여,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핀과 그물망 부재에 의해 오존이 발생되게 하며, 전원입력부에는 상기 삽입관부에 끼워지면서 양극 및 음극단자가 끼워져 전원이 연결되게 한 삽입부로 구성하여, 오존발생부의 교환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습기의 유입을 예방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오존 발생기의 수명이 매우 길어지고, 신뢰성이 극대화되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도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이다.
상기 도1-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원입력부(2)와 오존 발생부(3)로 분리 구성하여, 전원입력부(2)에 오존발생부(3)를 접속시키면 오존발생기(1)에서 오존이 발생되게 하되,
전원입력부(2)는 합성수지로 형성하되, 와이어(21)와 연결된 도전성이 양호한 관(22)(22')을 인서트 몰딩하고, 선단부에는 삽입부(23)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부(23)에는 상부와 정면에 위치결정요홈(24)(25)을 형성하며,
오존 발생부(3)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본체(31)와, 음극으로 사용되는 그물망부재(32), 그리고 양극으로 사용되는 핀(33)으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31)의 전후부에는 삽입관부(34)와 그물망부재(32)와 핀(33)을 조립하는 조립관부(35)를 형성하며, 삽입관부(34)와 조립관부(35) 사이의 격벽(36)에 핀(33)과 연결된 단자(37)와 그물망부재(32)와 연결된 단자(37')를 인서트몰딩하고,
더불어 격벽(36) 중앙부와 삽입관부(34) 내주벽면에 상기 위치결정 요홈(24)(25)과 결합되는 위치결정 돌부(38)(39)를 형성하며, 조립관부(35)내부에 에폭시 또는 실리콘 수지(38)를 충진시켜, 본체(31)의 삽입관부(34)를 전원입력부(2)의 삽입부(23)에 끼워 조립하면 오존이 발생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원입력부(2)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 된데다가 선단내부에 와이어(21)와 연결된 도전성이 양호한 관(22)(22')을 인서트 몰딩하고, 선단부에는 삽입부(23)를 형성하였기에, 오존발생부(3)의 본체(31)에 형성된 삽입관부(34)를 상기 전원입력부(2)의 삽입부(23)에 끼웠을 때 항상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조립되게 된다.
또. 전원입력부(2)에 형성된 관(22)(22')과 오존 발생부(3)에 형성된 단자(37)(37')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들 내부로 습기나 물기가 유입될 염려가 전혀 없으며, 따라서 합선이나 단락의 염려가 적고 수명이 매우 길어져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전원입력부(2)와 오존발생부(3)가 손쉽게 분해조립 되기 때문에 오존발생부(3)가 고장 또는 파손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잇점도 따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오존발생기를 오존발생부와 전원입력부로 분리 구성하되, 분해 조립이 쉬워 오존발생부의 교환이 용이하고, 수분침투가 어려워 수명이 장구하게 유지됨은 물론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효과가 따르는 매우 용이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원입력부(2)와 오존 발생부(3)로 분리 구성하여, 전원입력부(2)에 오존발생부(3)를 접속시키면 오존발생기(1)에서 오존이 발생되게 하되,
    전원입력부(2)는 합성수지로 형성하되, 와이어(21)와 연결된 도전성이 양호한 관(22)(22')을 인서트 몰딩하고, 선단부에는 삽입부(23)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부(23)에는 상부와 정면에 위치결정 요홈(24)(25)을 형성하며,
    오존 발생부(3)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 된 본체(31)와, 음극으로 사용되는 그물망부재(32), 그리고 양극으로 사용되는 핀(33)으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31)의 전후부에는 삽입관부(34)와 그물망부재(32)와 핀(33)을 조립하는 조립관부(35)를 형성하고, 삽입관부(34)와 조립관부(35) 사이의 격벽(36)에 핀(33)과 연결된 단자(37)와 그물망부재(32)와 연결된 단자(37')를 인서트몰딩하며,
    더불어 격벽(36) 중앙부와 삽입관부(34) 내주벽면에 상기 위치 결정요홈(24)(25)과 결합되는 위치 결정돌부(38)(39)를 형성하며, 조립관부(35) 내부에 에폭시 또는 실리콘 수지(38)를 충진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기.
KR2020010001324U 2001-01-12 2001-01-12 오존 발생기 KR200248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324U KR200248573Y1 (ko) 2001-01-12 2001-01-12 오존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324U KR200248573Y1 (ko) 2001-01-12 2001-01-12 오존 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573Y1 true KR200248573Y1 (ko) 2001-09-29

Family

ID=7309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324U KR200248573Y1 (ko) 2001-01-12 2001-01-12 오존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57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749Y1 (ko) * 2008-03-12 2012-03-07 김태익 오존발생기
KR101211861B1 (ko) 2012-05-21 2012-12-12 권재희 오존발생장치
KR101212990B1 (ko) * 2011-07-05 2012-12-18 김태익 오존발생기용 방전핀
KR20150088073A (ko) * 2014-01-23 2015-07-31 이솔희 오존 발생용 전극장치 및 그 전극장치의 전류 전압 제어방법
KR102065874B1 (ko) * 2019-02-21 2020-01-13 남궁장 산소원자 발생기
KR20210088139A (ko) * 2020-01-06 2021-07-14 남궁장 산소원자 발생기용 노즐 및 그 방전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749Y1 (ko) * 2008-03-12 2012-03-07 김태익 오존발생기
KR101212990B1 (ko) * 2011-07-05 2012-12-18 김태익 오존발생기용 방전핀
KR101211861B1 (ko) 2012-05-21 2012-12-12 권재희 오존발생장치
KR20150088073A (ko) * 2014-01-23 2015-07-31 이솔희 오존 발생용 전극장치 및 그 전극장치의 전류 전압 제어방법
KR101582026B1 (ko) 2014-01-23 2015-12-31 이솔희 오존 발생용 전극장치 및 그 전극장치의 전류 전압 제어방법
KR102065874B1 (ko) * 2019-02-21 2020-01-13 남궁장 산소원자 발생기
KR20210088139A (ko) * 2020-01-06 2021-07-14 남궁장 산소원자 발생기용 노즐 및 그 방전핀
KR102426368B1 (ko) * 2020-01-06 2022-07-27 남궁장 병해충 방제기용 산소원자 발생기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2036B2 (en) Electrical wall tap assembly
CA1165797A (en) Compact lamp unit having plug-in fluorescent lamp and module components
US5980064A (en) Illumination cell for a votive light
RU99119310A (ru) Полезная сигарета
KR200248573Y1 (ko) 오존 발생기
DE50206521D1 (de) Federklemme und Federklemmenreihung
US6634902B1 (en) Purification lamp connector
KR200248574Y1 (ko) 오존 발생기
US10724715B1 (en) Ground-plug LED lamp holder
WO2005099360A2 (en) An electric light
US4454451A (en) Circular fluorescent lamp unit
CN208794095U (zh) 一种应急灯管
HUP9800061A2 (hu) Kompakt kisnyomású kisülőlámpa
CN220366298U (zh) 一种灯泡结构及灯具组件
US4463280A (en) Shaped discharge lamp with starting aid
CN203289725U (zh) 氙气灯用安定器及一种氙气灯
CN209180692U (zh) 一种led插脚灯
US4447861A (en) Circular fluorescent lamp unit
CN210771561U (zh) 一种台灯
CN219458142U (zh) 一种可拆装的电器加长杆
KR200359224Y1 (ko) 전구식 형광등의 모듈형 음이온 발생장치 장착 구조
CN212784198U (zh) 管式内置型环形电极组件
CN218939883U (zh) 一种抗摔电池仓组件
JPS6245364Y2 (ko)
CN220359411U (zh) 一种新型等离子体发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