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498Y1 - 자동 유리닦기 - Google Patents

자동 유리닦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498Y1
KR200248498Y1 KR2020010018598U KR20010018598U KR200248498Y1 KR 200248498 Y1 KR200248498 Y1 KR 200248498Y1 KR 2020010018598 U KR2020010018598 U KR 2020010018598U KR 20010018598 U KR20010018598 U KR 20010018598U KR 200248498 Y1 KR200248498 Y1 KR 200248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unit
glass
window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덕
Original Assignee
최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덕 filed Critical 최상덕
Priority to KR2020010018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498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유리창을 닦는 세척부가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적은 노동력으로 유리창을 닦을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자동 유리닦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모터(18)가 구비된 구동부(10)와, 유리창을 닦을 수 있는 세척포 등과 같은 세척부재(22)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세척부(20)와, 상기 케이스(12)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30)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부(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40)가 설치되어, 사용시 상기 스위치(40)를 온시키면 구동부(10)에 의해 세척부(20)가 회전되면서 유리창을 닦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유리닦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 유리닦기{window cleaning machine}
본 고안은 자동 유리닦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자동 유리닦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유리창 등을 닦을 때에는 흔히 유리닦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유리닦기는 일반적으로 본체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데,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유리창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스폰지가 구비되고, 이 스폰지의 하측에는 유리창에 공급된 물을 밀어서 유리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고무날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유리닦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폰지에 물을 묻혀 유리창에 물을 공급한 다음, 고무날이 유리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면서 유리닦기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유리를 닦을 때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며 작업시간도 길어진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유리닦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고무날을 유리에 가압시켜 미는 힘 등에 따라 유리창의 세척정도가 결정되므로 경우에 따라 유리창이 효과적으로 세척되지 않으며, 요구되는 노동력이나 시간에 비해 세척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목적은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유리창을 닦는 세척부가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적은 노동력으로 유리창을 닦을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자동 유리닦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구동부 20. 세척부
30. 손잡이부 40. 스위치
본 고안에 따르면, 모터(18)가 구비된 구동부(10)와, 유리창을 닦을 수 있는 세척포 등과 같은 세척부재(22)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세척부(20)와, 상기 케이스(12)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30)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부(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40)가 설치되어, 사용시 상기 스위치(40)를 온시키면 구동부(10)에 의해 세척부(20)가 회전되면서 유리창을 닦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유리닦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유리닦기는 내부에 모터(18)가 구비된 구동부(10)와, 세척포와 같은 세척부재(22)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10)에 연결되는 세척부(20)와, 상기 구동부(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10)는 방수처리된 케이스(12)에 모터(18)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구동부(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세척부(20)가 연결된다. 상기세척부(20)는 구동부(10)의 모터(18)에 연결되는 연결축(28)이 돌출형성된 프레임(24)과, 이 프레임(24)의 저면에 구비되는 세척부재(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부(20)의 연결축(28)은 감속기어를 통해 모터(18)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재(22)로는 두꺼운 직물이나 돼지털과 같은 기모가 형성된 브러시 등이 사용된다. 노
한편, 상기 손잡이부(3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원형파이프(33,34)가 슬라이드 신축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상기 파이프들(33,34)의 연결부위에는 길이가 조절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고정구(36)가 구비된다. 이러한 손잡이부(30)는 그 일단이 상기 구동부(10)의 저면에 결합되는데, 그 타단에는 상기 구동부(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40)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시 작업자가 작업상황에 따라 스위치(40)를 온오프시켜 세척부(20)의 작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10)와 스위치(40)를 연결시키는 전선을 파이프(33,34) 내부로 배선하여 전선이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아 제품의 외관이 깔끔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10)의 케이스(12) 저면에 브라켓(19)을 일체로 형성하여 손잡이부(30)를 연결시키는데, 필요에 따라 손잡이부(30)와 구동부(10)의 결합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0)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리창을 닦을 때, 작업자가 스위치(40)를 온시켜 세척부(30)를 회전시키면서 작업을 하는데, 세척부가 회전되면서 유리창을 문지르기 때문에 유리창이 효과적으로 청소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는 세척부가 유리창의 전면을 고르게 닦을 수 있도록 유리닦기를 이동시키기만하면 되므로 작용이 용이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세척부가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적은 노동력으로 유리창을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어서 노동력과 작업시간이 절감되는 새로운 구성의 자동 유리닦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특히 손잡이의 단부에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작업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세척부의 작동을 순간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하 수 있다.

Claims (1)

  1. 모터(18)가 구비된 구동부(10)와, 유리창을 닦을 수 있는 세척포 등과 같은 세척부재(22)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세척부(20)와, 상기 케이스(12)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30)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부(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40)가 설치되어, 사용시 상기 스위치(40)를 온시키면 구동부(10)에 의해 세척부(20)가 회전되면서 유리창을 닦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유리닦기
KR2020010018598U 2001-06-21 2001-06-21 자동 유리닦기 KR200248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598U KR200248498Y1 (ko) 2001-06-21 2001-06-21 자동 유리닦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598U KR200248498Y1 (ko) 2001-06-21 2001-06-21 자동 유리닦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625A Division KR100442582B1 (ko) 2001-07-14 2001-07-14 자동 유리닦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498Y1 true KR200248498Y1 (ko) 2001-10-31

Family

ID=7310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598U KR200248498Y1 (ko) 2001-06-21 2001-06-21 자동 유리닦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4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0268A (en) Hand-held scrubbing device
SE509783C2 (sv) Anordning vid städmaskin
KR200248498Y1 (ko) 자동 유리닦기
JP2007030859A (ja) 電動洗車装置
KR101726703B1 (ko) 자동 회전형 걸레 청소기
CN209932578U (zh) 自动旋转双面擦窗工具
US20030009843A1 (en) Automate glass surface cleaning machine
KR100442582B1 (ko) 자동 유리닦기
JPH08140900A (ja) サッシ窓ガラス面清掃装置
CN211355180U (zh) 多功能清洗器
CN209915848U (zh) 手持式自动旋转擦窗器
WO2023221134A1 (zh) 清洁装置、清洁方法及存储介质
CN2482378Y (zh) 多功能清洁器
KR20010106605A (ko) 다용도 세척기
KR20070078299A (ko) 전동 청소기
GB2114878A (en) Multi-purpose device for washing and cleaning vehicles
KR20050101958A (ko) 회전 벨트식 전동 청소기
CN2087497U (zh) 多功能冲洗刷
CN215191225U (zh) 一种多功能擦窗器
CN216090373U (zh) 一种水杯内部清污器
CN218009609U (zh) 清洁系统、清洁设备
JPS6010419Y2 (ja) ワイヤ−シヤフトブラシ
CN217524916U (zh) 手持式多向清洁工具
JP2001157650A (ja) ガラス用清掃具
CN210931203U (zh) 一种多功能拖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