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410Y1 - Cup holder - Google Patents

Cup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410Y1
KR200248410Y1 KR2020010016837U KR20010016837U KR200248410Y1 KR 200248410 Y1 KR200248410 Y1 KR 200248410Y1 KR 2020010016837 U KR2020010016837 U KR 2020010016837U KR 20010016837 U KR20010016837 U KR 20010016837U KR 200248410 Y1 KR200248410 Y1 KR 2002484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up holder
main body
base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8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시표
Original Assignee
김시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표 filed Critical 김시표
Priority to KR2020010016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41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4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410Y1/en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의 수용홈 과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컵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지지, 보관, 비치 또는 운반할 수 있는 컵 홀더를 제공한다. 그 컵 홀더는 주변 둘레 전체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수분 수집부가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중앙부에 일정높이의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컵의 입구부의 외측면이 접촉되도록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컵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각각의 수용홈의 하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rmly fixed to the cup using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support member of the main body provides a cup holder that can be stably supported, stored, furnished or transported. The cup holder may include a base provided with a water collecting unit by a flange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periphery; A main body having a con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circumference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of the cup contacts; And a support member integrally protruding from a lower end of each receiving groove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Description

컵 홀더 {CUP HOLDER}Cup holder {CUP HOLDER}

본 고안은 컵 홀더(cup hold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을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그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위생적이며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that can hold the cup hygienically, can stably support the cup, and can be stably, hygienic and easily transported. .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서는 다양한 주방용구 또는 도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도구 들 중 가장 일반적이고 흔하게 또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컵이 있다. 컵은 그 용도에 따라 또는 사용장소에 다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용도 또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보관되고 있다. 예컨대, 자주 사용되지 않고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는 컵의 경우에는 주방의 캐비닛 또는 주방 가구 등에 진열되어 보관되는 반면, 물 컵 또는 식당의 식탁에 기본적으로 비치되는 컵들은 쟁반 또는 별도의 접시에 비치되거나 또는 별도의 컵걸이 또는 홀더에 즉시 사용하기 간편하게 보관되고 있다.In general, a variety of kitchen utensils or tools are used in daily life, and cups are the most common and commonly used tools among such tools. Cups can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ir use or place of use, and they are also stor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ir use or location. For example, cups that are not frequently used for special purposes are stored on display in kitchen cabinets or kitchen furniture, whereas cups basically provided in a water cup or a dining table in a restaurant may be provided in a tray or a separate plate, or It is stored in a separate cup holder or holder for immediate use.

예컨대, 쟁반에 컵을 비치하는 경우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엎어놓으면 물기가 컵의 입구 또는 쟁반으로 흘러내려 해당부분을 더럽히거나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식당 등에서 종업원이 쟁반에 컵을 올려 놓고 운반할 때 부주의하게 다루면 컵이 이탈되거나 넘어져 깨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when a cup is provided on a tray, if the container is not completely removed, the water may flow down to the entrance of the cup or the tray to contaminate or contaminate the corresponding part. Inadvertently handled when placed and transpor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p is broken or fall off.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다소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다수의 컵을 보관하거나 지지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컵 홀더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 컵 홀더는 컵이 단지 복수개의 지지대에 꽂혀 지지되는 방식으로 컵을 유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solution to some of these problems, a cup holder has been proposed as a way of storing or supporting a plurality of cups, and the cup holder is a cup holder in a way that only the plurality of supports are supported by the cup is supported. Keeping up.

그러나, 이와 같은 컵 홀더를 이용하여 컵을 비치하거나 운반하는 경우 역시 각각의 컵이 흔들리거나 요동되어 컵 홀더의 지지대에 부딪히거나 컵들 상호간이 부딪힐 수 있어 손상되거나 깨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컵 홀더에 컵을 지지한 상태로 운반하는 경우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cup is held or transported using such a cup holder, each cup may be shaken or shaken to hit the support of the cup holder or the cups may collide with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is generated when carrying the cup in a supported state.

이에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 보관, 비치 또는 운반하기 위한 컵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holder for stably supporting, storing, holding or transporting the cup.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컵을 위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컵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holder for keeping the cup hygienic.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컵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컵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holder capable of stably and firmly holding cups of various sizes.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목적에 적합하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컵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holder which can be effectively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various plac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컵 홀더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컵 홀더의 종단면도.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up holder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컵 홀더의 횡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p holder of FIG. 1.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컵 홀더의 사용상태도.Figure 4 is a state of use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도 4의 컵 홀더의 종단면도.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up holder of FIG. 4;

도 6은 도 4의 컵 홀더의 횡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p holder of FIG. 4.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베이스 12: 플랜지10: base 12: flange

14: 수집부 20: 본체14: collecting unit 20: main body

22: 수용홈 24: 지지부재22: receiving groove 24: support member

26: 손잡이 C: 컵26: handle C: cup

이 같은 목적들은, 컵을 거꾸로 유지하기 위한 컵 홀더에 있어서, 주변 둘레 전체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수분 수집부가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중앙부에 일정높이의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컵의 입구부의 외측면이 접촉되도록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컵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각각의 수용홈의 하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Such objects include: a cup holder for holding a cup upside down, comprising: a base provided with a water collecting portion by a flange protruding from the perimeter; A main body having a con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circumference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of the cup contacts; And a support member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each receiving groove of the main body so as to support the inner side of the cup.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up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컵 홀더는 테이블 또는 주방의 바닥에 배치되거나 놓여지는 베이스(1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그 베이스(10)의 바닥은 안정적인 배치를 위해 평평하게 유지되거나 또는 복수개의 지지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 disposed or placed on the bottom of a table or kitchen. The base 10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user or a manufacturer. Of course, the bottom of the base 10 may be kept flat for stable placement, or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not shown) may be integrally formed.

특히, 베이스(10)의 둘레 전체에 댐과 같은 형태의 플랜지(12)가 일정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베이스(10)의 둘레에 플랜지(12)가 형성됨으로써, 후술되는 바와 같이 물기가 있는 컵을 지지하는 경우 그 컵으로 부터 흘러내리거나 떨어지는 물기를 모을 수 있는 수분 수집부(14)가 형성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nge 12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dam protrudes to a constant height all around the base 10. As such, the flange 12 is formed around the base 10 so that the water collecting part 14 capable of collecting the water flowing down or falling from the cup when supporting the wet cup, as described below, It is formed.

베이스(10)의 표면 중앙부에는 상방을 향해 본체(2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본체(20)는 적정한 높이를 지니며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대체로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20 is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surface center portion of the base 10. The main body 20 may have various heights and have a proper height, but is generally formed in a conical shape.

특히, 본체(20)에는 그 것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수용홈(22)이 형성된다. 각각의 수용홈(22)은 본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수용홈(22)은 'V'형 단면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U'형 또는 반원형의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수용홈(22)의 개수는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본체의 사이즈 또는 제조업자의 의도에 따라 임의로 선택되어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eceiving body 22 is formed in the main body 20 at regular intervals along its circumference. Each receiving groove 22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In addition, each receiving groove 22 preferably has a 'V' cross section, but may be formed to have a 'U' or semi-circular cross section.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he receiving grooves 22 is shown as five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may be arbitrarily selected and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dy or the manufacturer's intention.

본체(20)의 하부,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에 형성된 각각의 수용홈(22)의 하단에는 지지부재(24)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들 각각의 지지부재(24)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컵이 지지되는 경우 각각의 컵에 다소의 가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탄성을 지니거나 유연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member 24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more specifically, at the lower end of each receiving groove 22 formed in the main body. Each of the supporting members 24 is preferably formed elastically or flexibly so as to apply some pressing force to each cup when the cup is supported as described below.

선택적으로, 본체(20)의 상단에는 컵 홀더 전체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2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26)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특정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고리 또는 반지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Optionally, a handle 26 is preferably formed at the top of the body 20 so as to easily grip and transport the entire cup holder. The handle 26 may be formed in a specific sha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well as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ing or a ring sh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를 구성하는 베이스, 본체 및 지지부재는 예컨대, 금속, 합성수지, 자기, 유리, 목재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제조방식 또한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the main body and the supporting member constituting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synthetic resin, porcelain, glass, wood, etc.,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ay also be used in various ways. .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컵 홀더의 사용방법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도 4 내지 6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de of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먼저, 가정에서의 사용자 업소에서의 종사자는 각각의 컵(C)을 각각의 지지부재(24)에 꽂은 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그 각각의 컵(C)의 입구의 외주변이 수용홈(22)에 접함과 동시에 지지부재(24)가 컵(C)의 내측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컵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되는 것이다.First, the worker at the user's place in the home plugs each cup (C) to each support member 24 and then moves downward,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let of the respective cup (C) receiving groove 22 ) And the support member 24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C) at the same time to maintain the cup as shown in FIG.

특히, 컵(C)이 본체(20)의 수용홈(22)과 지지부재(24)사이에서 컵의 내측면 및 외측면이 접지되고 또한 지지부재(24)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요동되거나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컵의 거치에 있어서, 직경이 큰 컵은 그 것의 입구가 본체(20)의 수용홈(22)에 의해 저지되어본체(20)의 수용홈의 비교적 상부에 거치되어 유지되는 반면, 직경이 작은 컵은 그것의 입구가 본체(20)의 수용홈(22)의 상대적으로 하부에 거치되어 유지되는 것으로 이해된다.In particular, the cup C is swung by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up being grounded between the receiving grooves 22 and the support member 24 of the main body 20 and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member 24. It can be kept stable without shaking. Of course, in the mounting of such a cup, the cup having a large diameter is blocked by the receiving groove 22 of the main body 20, while being held in a relatively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main body 20, It is understood that the cup having a small diameter is held in its inlet at a relatively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22 of the body 20.

또한, 컵(C)에 묻어있던 물기 또는 물방울이 하방으로 완전히 흘러내림은 물론 그 컵(C)의 내부로의 공기의 유동이 완전하여 자연적인 건조가 이루어지며, 더욱이 컵(C)의 입구로 흘러내린 물기는 그 컵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베이스(10)의 수집부(24)에 고이게 되므로 컵(C)이 위생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 수집된 물이 베이스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컵 홀더의 주변을 항상 깨긋아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ater or water droplets on the cup C completely flows downward, as well as the flow of air into the inside of the cup C is completely natural, and furthermore, to the entrance of the cup C. The drained water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cup and accumulated in the collecting part 24 of the base 10 so that the cup C can be kept hygienic and the collected water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of the base. You can always keep your surroundings awake.

한편, 업소에서의 컵의 운반 시에도 종사자가 컵 홀더의 손잡이(26)를 간단하게 파지 하여 운반할 수 있으므로, 컵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운반 중 컵 홀더 전체가 다소 흔들리더라도, 각각의 컵들이 본체(20)와 지지부재(24)에 의해 지지되며 특히, 컵(C)의 입구 주변이 수용홈(22)의 적정위치에 견고하게 안치되어 지지됨으로써 컵(C)이 안정적으로 유지된 상태로 운반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carrying a cup in a store, a worker can easily carry and hold the handle 26 of a cup holder, and can carry a cup stably. Even if the whole cup holder is slightly shaken during such transportation, the respective cups are supported by the main body 20 and the support member 24, and in particular, the periphery of the inlet of the cup C is in the proper position of the receiving groove 22. By being firmly placed and supported, the cup C may be transported in a stable state.

또한, 식탁에 컵 홀더를 비치하는 경우 식탁의 분위기 및 격조를 한껏 높일 수 있으며, 음료수 공급원 주변에 비치하여 사용자 또는 음용자가 컵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회용 컵의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위생적으로 컵을 유지 및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cup holder is provided on the dining table, the atmosphere and tone of the dining table can be enhanced to the maximum, and the cup can be easily used by the user or the drink by being disposed around the drinking water source, thereby reducing the use of the disposable cup, as well as sanitary To keep and use the cup.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컵 홀더에 의하면, 본체의 수용홈 과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컵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지지, 보관, 비치 또는 운반할 수 있어 제품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p can be firmly fixed using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support member of the main body, it can be stably supported, stored, furnished or transported,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ability and convenience. There is.

그리고, 컵을 거꾸로 유지할 수 있고 컵내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여 별도로 수집할 수 있으므로 컵을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since the cup can be kept upside down and can be collected separately by completely removing the water in the cup, there is an advantage in keeping the cup hygienic.

또한, 컵의 크기 및 종류에 관계없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목적으로 다양한 장소에서 적합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적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size and type of cup can be maintained stable and robust and can be used effectively and in various places for a variety of purpos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pplicability is improved.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3)

컵을 거꾸로 유지하기 위한 컵 홀더에 있어서,In the cup holder for holding the cup upside down, 주변 둘레 전체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수분 수집부가 구비되는 베이스;A base provided with a water collecting part by a flange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periphery; 상기 베이스 중앙부에 일정높이의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컵의 입구부의 외측면이 접촉되도록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본체; 및A main body having a con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circumference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of the cup contacts; And 상기 컵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각각의 수용홈의 하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And a support member integrally protruded from a lower end of each receiving groove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컵 홀더를 운반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The cup hold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carry or move the cup h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용홈은 'V'형 단면을 지니며, 각각의 지지부재는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The cup hold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receiving grooves has a 'V' cross section, and each supporting member has elasticity.
KR2020010016837U 2001-06-05 2001-06-05 Cup holder KR20024841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837U KR200248410Y1 (en) 2001-06-05 2001-06-05 Cup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837U KR200248410Y1 (en) 2001-06-05 2001-06-05 Cup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410Y1 true KR200248410Y1 (en) 2001-10-19

Family

ID=7310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837U KR200248410Y1 (en) 2001-06-05 2001-06-05 Cup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41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4026B1 (en) Food, beverage and utility tray
US5860559A (en) Heat insulated cup holder
US6491170B1 (en) Drying and organizing rack for kitchen utensils, flatware and china
US5056749A (en) Receptacle and coaster assembly
US20140367392A1 (en) Dual purpose plate with removable beverage container
US6622885B1 (en) Arm mounted transporting tray for food containers
US5131532A (en) Contact lens case
CA2830093C (en) Bottle drying stand
KR20080064940A (en) Flatware drying rack
US5938060A (en) Holder for stackable drinking cups
GB2259239A (en) A plate with means for receiving and holding a cup
KR200248410Y1 (en) Cup holder
US20040134918A1 (en) Multi-piece vessel
US20030205645A1 (en) Spoon & lid rest
US20040134919A1 (en) Multi-piece vessel
EP1836937A1 (en) Bottle Holder
US20050161354A1 (en) Bathroom accessory holder and method therefor
KR101761659B1 (en) A spoon stand
JP3615703B2 (en) Cup holder
KR200235318Y1 (en) Small Dining Table With a Sunken Place
JP3026757U (en) Container fall prevention tool
JP3242257U (en) drainer cup stand
CN217792382U (en) Soft protective sleeve of container
KR102447181B1 (en) Stand for cooking tools
US10791877B2 (en) Food wash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