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336Y1 - 폐수정화설비 - Google Patents

폐수정화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336Y1
KR200248336Y1 KR2019990010810U KR19990010810U KR200248336Y1 KR 200248336 Y1 KR200248336 Y1 KR 200248336Y1 KR 2019990010810 U KR2019990010810 U KR 2019990010810U KR 19990010810 U KR19990010810 U KR 19990010810U KR 200248336 Y1 KR200248336 Y1 KR 200248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filter
bank
waste water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738U (ko
Inventor
강재건
Original Assignee
강재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건 filed Critical 강재건
Priority to KR2019990010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336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7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7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336Y1/ko

Link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부에 예비필터를 설치하여 오물에 의해 필터의 기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폐수정화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폐수정화장치는 폐수가 유입될 때 폐수가 막바로 필터층에 필터링되도록 되어 있어 필터가 부피가 큰 오물에 의해 막혀 폐수 정화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필터를 자주 청소해주어야하므로 관리가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폐수를 가두어두는 1차둑(10)과, 1차둑(10)보다 낮은 2차둑(14)으로 구성되며 1차둑(10)의 하부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2)가 형성되어 있고, 1차둑(10)과 2차둑(14)의 사이에는 유입구(12)와 연통되는 상향수로(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상향수로(15)내에는 다겹의 필터층(16)이 설치되어 폐수 및 오수를 정화하도록 한 폐수정화설비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 전방 양측에 세로로 형성된 가이드홈(22)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홈(22)에 폐수 및 하수에 포함된 오물을 걸러내는 예비필터(20)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폐수 및 오수를 처리할 때 예비필터(20)를 통해 부피가큰 오물을 걸러낸 후 오염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층(16)을 통과하게 되므로 필터링 기능이 향상 및 필터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수정화설비{The purification facilities for waste water}
본 고안은 폐수가 하부를 통해 상부로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는 수로구조를갖고 또 오버플로우되는 과정에서 필터에 의해 걸러져 폐수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물이 자연스럽게 흐르는 과정에 정화되도록 한 폐수정화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부에 예비필터를 설치하여 오물에 의해 필터의 기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폐수정화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나 각종 하수를 처리할 때에는 이들을 한 곳에 집수시키고 여러단계의 처리과정을 인위적으로 통과시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폐수처리시설은 시설비용 및 운영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그 용량이 한정되어 있어 인구의 증가 및 폐수를 발생하는 공장수가 증가하여 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폐수 및 하수를 처리하지 못하게 되므로 또다른 폐수처리시설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엄청난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비용 때문에 각 공장에서는 장마철과 같이 강수량이 풍부할 때 야간을 이용하여 폐수를 방류하는 불법을 자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번호 제97-16741호로 수질정화장치를 출원한바 있다.
즉, 지금까지의 폐수처리시설과 같이 각종 폐수 및 생활하수 등을 한 곳에 모아 처리하는 시스템을 지양하고 폐수가 발생되는 각 공장이나 하수구와 같은 곳에 간단한 구조 및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므로써 폐수처리에 엄청난 비용을 투자하지 않고도 손쉽게 폐수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출원된 폐수정화장치는 폐수가 유입될 때 폐수가 곧바로 필터층으로 유입되어 필터링되도록 되어 있어 필터층이 부피가 큰 오물에 의해 막혀 폐수 정화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필터층을 자주 청소해주어야하는 번거로운 일들을 수행해야 하므로 폐수정화장치의 관리가 어려운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가진 폐수정화장치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폐수가 유입되는 입구부에 큰 부피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예비 필터를 설치하여 협잡물들에 의해 필터층이 막히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폐수정화설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수정화설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수정화설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3b는 본 고안에 따른 폐수정화설비를 주변 환경에 따라 응용한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비필터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1차둑 12 - 유입구 13 - 안내부
14 - 2차둑 15 - 상향수로 16 - 필터층
17 - 배수안내부 20 - 예비필터 22 - 가이드홈
24 - 갈고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폐수를 가두어두는 1차둑과, 1차둑보다 낮은 2차둑으로 구성되며 1차둑의 하부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1차둑과 2차둑의 사이에는 유입구와 연통된 상향수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상향수로내에는 다겹의 필터층이 설치되어 폐수 및 오수를 정화하도록 한 폐수정화설비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 전방 양측에 세로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홈에 폐수 및 하수에 포함된 오물을 걸러내는 예비필터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수정화설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수정화설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정화설비는 폐수가 배수되는 수로나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이중의 둑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폐수를 가두어두는 1차둑(10)과, 1차둑보다 낮은 높이의 2차둑(1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차둑(10)의 하부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2)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유입구(12)로 폐수를 안내하는 안내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1차둑(10)과 2차둑(14)의 사이에는 폐수가 유입구(12)를 통해 상승하여 2차둑(14)을 오버플로우되도록 상향수로(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상향수로(15)내에는 다겹의 필터층(16)이 설치되어 있다. 필터층(16)은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되는데, 하부에 자갈을 망으로된 주머니에 자갈을 얇게 충진하여서된 자갈층(16a)과, 중앙부에 동일한 구조로 활성탄층(목탄층)(16b)이 구성되고, 상부에는 바이오세라믹층(16c)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중요하게는 물을 안내하는 안내부(13)에 부피가 비교적 큰 협잡물들을 걸러내는 예비필터(20)가 설치되어 있다. 예비필터(20)는 철망 또는 메쉬형태로 되어 있으며 오물을 용이하게 걷어 낼 수 있도록 양측 안내부(13)에 세로로 가이드홈(22)을 설치하여 이 가이드홈(22)을 타고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2차둑(14)의 후측 양측에는 배수되는 폐수를 정확한 수로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안내부(1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수되는 폐수 또는 오수가 관으로 배출될 때에는 도 4와 같이 오수가다른 곳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안내부(13)의 선단에 벽을 형성하고 이에 관이 유입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오수를 유입하고 또 필터링된 물이 관을 통해 배수되도록 배수안내부(17)를 가로질러 벽을 형성하고 이에 관을 연통시켜 배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폐수나 오수가 유입되면 안내부(13)를 통하여 유입구(12)로 유입된 후 상향수로(15)를 통해 2차둑(14)을 넘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유입된 폐수 및 오수는 2차둑(14)의 높이보다 수위가 높아질 때까지 저수되다가 2차둑(14)을 넘어 배수된다. 이때, 1차둑(10) 하부의 유입구(12)를 통해 연통된 상향수로(15)로 상승되면서 필터층(16)을 통과하여 각종 오염물질들이 필터링된 후 2차둑(14)을 넘어 배출되는 것이다. 2차둑(14)을 넘어 배출되는 물은 낙하되면서 공기와 접촉되어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칠 때 중요하게는 유입되는 폐수 또는 오수에 포함된 각종 오물들이 1차적으로 예비필터(20)에 걸러지게 된다. 예비필터(20)에 의해 오물이 걸러지게 됨에 따라 상향수로(15)에 설치된 필터층(16)에 부담을 덜어주기 때문에 더욱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가 있는 것이다.
사용시 오물이 예비필터(20)에 많이 부착될 경우에는 예비필터(20)를 상승시켜 오물을 제거한 후 다시 설치하면 된다.
또한 하천과 같이 폭이 넓은 수로에서는 도 3a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여러개 연결하여 설치할 수가 있다. 그리고 폐수의 오염정도가 심하여 필터링 기능을 향상시켜야 할 경우에는 도 3b와 같이 폐수정화설비를 연이어 다단으로 설치하여 필터링 과정을 여러회 거치도록 하므로써 더욱더 양호한 필터링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한편,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예비필터(20)의 하부에 여러개의 갈고리(24)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는 예비필터(20)를 청소하기 위해 들어올릴 때 표면에 걸려 있던 협잡물들이 예비필터(20)로부터 이탈되어 상향수로(15)의 필터층(16)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예비필터(20)를 들어올릴 때 걸려있던 협잡물이 이탈되면 하단에 설치된 갈고리(24)가 상승하면서 이탈되는 협잡물들을 걷어올리게 되므로 협잡물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폐수 및 오수를 처리할 때 예비필터를 통해 부피가 큰 협잡물들을 걸러낸 후 오염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층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어 필터링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이러한 효과로 인하여 필터를 자주 청소해주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정화설비는 시설비용 및 관리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각 공장 특히 영세한 공장들도 쉽게 도입하여 운영할 수 있며, 심지어는 각 가정에서도 시공할 수가 있으므로 환경오염방지에 일조를 할 수가 있다.

Claims (2)

  1. 폐수를 가두어두는 1차둑(10)과, 1차둑(10)보다 낮은 2차둑(14)으로 구성되며 1차둑(10)의 하부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2)가 형성되어 있고, 1차둑(10)과 2차둑(14)의 사이에는 유입구(12)와 연통되는 상향수로(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상향수로(15)내에는 다겹의 필터층(16)이 설치되어 폐수 및 오수를 정화하도록 한 폐수정화설비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 전방 양측에 세로로 형성된 가이드홈(22)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홈(22)에 폐수 및 하수에 포함된 오물을 걸러내는 예비필터(20)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정화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필터(20)의 하부에 여러개의 갈고리(2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정화설비.
KR2019990010810U 1999-06-17 1999-06-17 폐수정화설비 KR200248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810U KR200248336Y1 (ko) 1999-06-17 1999-06-17 폐수정화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810U KR200248336Y1 (ko) 1999-06-17 1999-06-17 폐수정화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738U KR20010000738U (ko) 2001-01-15
KR200248336Y1 true KR200248336Y1 (ko) 2001-09-29

Family

ID=5476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810U KR200248336Y1 (ko) 1999-06-17 1999-06-17 폐수정화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3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738U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4643C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 light fluid from a heavy one and/or removing sediment from a fluid stream
JP3315489B2 (ja) 沈砂池の集砂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285211B2 (en) Process and system for separating solids from combined sewer overflows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203152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72911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EP1380330A4 (en) RAINWATER TREATMENT DEVICE IN MIXED SEWAGEWATER AND ASSOCIATED BACKWATER WASHING METHOD
KR102365033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48810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704901B1 (ko)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우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74716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78395B1 (ko) 강우수 정화장치
KR100762981B1 (ko)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090033680A (ko) 우수처리시스템 및 우수처리방법
KR102078387B1 (ko) 섬유상 여과형 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200248336Y1 (ko) 폐수정화설비
KR101203059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0988864B1 (ko) 수처리 시스템
KR200331355Y1 (ko) 우수 및 하천수 정화구조
KR20230065482A (ko) 계단식 스크린을 구비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27333B1 (ko) 부상수문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311288B1 (ko) 초기우수처리시설의 정체수 배수장치
KR102046562B1 (ko) 초기 빗물이 배출 가능한 빗물 정화장치
JP2624505B2 (ja) 気水洗浄型関放無弁式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