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297Y1 -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297Y1
KR200248297Y1 KR2020010021359U KR20010021359U KR200248297Y1 KR 200248297 Y1 KR200248297 Y1 KR 200248297Y1 KR 2020010021359 U KR2020010021359 U KR 2020010021359U KR 20010021359 U KR20010021359 U KR 20010021359U KR 200248297 Y1 KR200248297 Y1 KR 200248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housing
assembled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남
Original Assignee
이명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남 filed Critical 이명남
Priority to KR2020010021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2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297Y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 및 욕실 등의 수전과 연결되어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상수를 여과시키는 정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주방 또는 욕실의 수도꼭지에 연결되며, 분사판과 토출구를 가지고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수를 분사 또는 직수로 토출되게 변환시키는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에 조립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끼워지며, 상면에 돌출된 입수구가 상기 변환기의 직수 토출구와 연결되고, 내부에 필터층이 적층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과한 상수를 여과시키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조립되어 정수수단을 통과한 상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정수장치{omitted}
본 고안은 상수용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 또는 욕실 등의 수도꼭지 및 각종 수전과 연결되어 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사용자의 인체를 이롭게 하는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환경오염은 강을 비롯한 하천, 지하수 등을 오염시켜 마시는 음용수 마져 위협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에서는 정수기의 사용이 필수라 여겨질 만큼 정수기에 대한 보급이 당연시 되고 있으며, 이들 음용수를 여과시키는 정수기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는 역삼투압 방식은 이미 널리 알려진 정수기의 여과 방법이다.
가장 보편적인 정수기의 구조로는 정수필터는 정수하고자 하는 상수도물이 일측으로 인입되도록 하고, 타측으로 인출이 되도록 하는 것으며, 근래 개발된 정수기로는 정수기의 체적을 줄이기 위하여 동일한 크기의 정수필터의 중앙에 적벽을 설치하여 2개의 함실을 형성하고, 각각의 함실내에 정수재를 적층설치 함으로서 일측에서 인입되는 상수도물이 일측의 함실에 적층설치한 정수재에 골고루 접하여 1차적으로 정수가 되며, 타측의 함실에 적층설치한 정수재에 골고루 접하여 2차적으로 정수가 되어 정수필터의 외측으로 인출이 되도록 하는 방식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정수기는 음용수를 여과시키는 장치로써 주방이나 욕실에서 사용하는 물을 여과시키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으며, 가격이 고가이고, 대다수가 부피가 커서 운반 및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주방 및 욕실 등의 수전과 연결되어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상수를 여과시키는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변환기에 조립되어 직수인 경우에는 필터층을 통과하도록 하고, 분사구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여과되지 않도록 하는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이 간편하고, 분리 및 설치가 용이한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방 또는 욕실의 수도꼭지에 연결되며, 분사판과 토출구를 가지고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수를 분사 또는 직수로 토출되게 변환시키는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에 조립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끼워지며, 상면에 돌출된 입수구가 상기 변환기의 직수 토출구와 연결되고, 내부에 필터층이 적층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과한 상수를 여과시키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조립되어 정수수단을 통과한 상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전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하우징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적용된 필터 레이스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적용된 필터 케이스 덮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변환기 11 : 배출구
12 : 분사판 20 : 하우징
21 : 암나사 24 : 리브
30 : 필터 케이스 31 : 배수구
32 : 리브 40 : 필터
41 : 부직포 50 : 덮개
51 : 입수구 52 : 돌기
54 : 돌출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전단면도를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3 은 본 고안 정수 장치의 하우징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4 및 도 5 는 필터 케이스와, 이 필터 케이스에 덮어지는 덮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정수 장치(1)는 주방 또는 욕실의 수도꼭지(2)에 연결되어 상수를 분사 또는 직수로 토출되게 변환시키는 변환기(10)와, 상기 변환기(10)에 조립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삽입되며 상면에 돌출된 입수구(51)가 상기 변환기(10)의 직수 토출구(11)와 연결되고, 내부에 필터층(40)이 적층되어 상수를 여과시키는 필터 케이스(30)와, 상기 하우징(30)의 하단부에 조립되어 필터를 통과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덮개(2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변환기(10)는 이미 알려진 기술로써, 수도 꼭지(2)와 연결되어 레버(13)의 조작에 의해 물을 분사 배출시키거나, 직수로 배출되도록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이 변환기에 대한 구조는 상세히 설명하지 아니한다.
다만 상기 변환기(10)는 도면과 같이 공통적으로 직수 토출구(11)와, 다수개의 분사공이 천공된 분사판(12)이 갖추어져 있다.
물론 상기 변환기(10)는 하나의 실예에 불과하고, 다른 형태의 변환기에 본 고안의 정수장치가 조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우징(20)은 원통형상으로 상단 내측에 상기 변환기(10)에 조립되게 암나사산(21)을 가지고 있으며, 하단 외측면에 수나사산(22)이 형성되어 배출덮개(25)가 조립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의 내측면에 최소 3개 이상의 리브(24)가 돌출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필터 케이스(30)와의 사이에 간극(20a)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상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 필터 케이스(30)는 내측에 필터층(40)이 적층되는 구조로, 상기 필터(40)는 활성탄을 비롯하여 규사, 맥사, 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층과 층 사이에는 부직포(41)가 개재되어 교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필터 케이스(30)의 내측 하단부에는 도 4 과 같이 다수의 리브(32)가 돌출되어 있는데, 이는 필터층(40)과, 필터 케이스(30) 하단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필터층(40)을 통과한 물을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 케이스(30)의 하단부에 배수구(31)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배수구(31)의 저면에 다수개의 미세 분사공(33)이 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필터 케이스(30)의 상단부에는 덮개(50)가 씌워지는데, 이 덮개(50)는 도 5 와 같이 상판(53)의 저면으로 상기 필터 케이스(30)에 끼워지게 돌출부(5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측 중앙으로는 입수구(51)가 형성되어 상기 변환기(10)의 토출구(11)에 끼워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수구(51)의 외주변 즉 상판(53)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기(52)가 형성되어 이 돌기(52)가 상기 변환기(10)의 하단에 밀착 조립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 돌기(52)와 돌기(5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 상기 입수구(51)의 내측에는 다수의 미세공(55) 천공되어 이를 통해 상수가 필터층(40)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출 덮개(25)는 하우징(20)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것으로, 중앙 하방으로 상기 필터 케이스(30)의 배수구(31)가 끼워지는 유출구(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 바닥에는 다수의 미세공(27)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50a는 덮개의 돌기와 변환기 하단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필터 케이스(30)의 내측에 필터(40)를 적층시키고, 그 상면에 덮개(50)를 끼워 덮은 다음 하우징(20)의 내측에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필터 케이스(30)는 하우징(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리브(24)의 안쪽으로 끼워져 필터 케이스(30)의 외측면과, 하우징(20)의 내측면사이에 간극(20a)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다음, 상기 필터 케이스(30)의 덮개(50)에 형성된 입수구(51)를 변환기(10)의 토출구(11)에 끼워 조립하면, 덮개(50) 상면에 돌출된 돌기(52)는 변환기(10)의 하단과 밀착되어 조립되고, 이들 사이에 공간(50a)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하우징(20)의 하단부에는 배출덮개(25)가 되게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의 정수장치(1)는, 변환기(10) 즉 배출구(11)를 통과한 상수가 입수구(51)를 통해 필터층(40)에 유입되고, 필터층(40)을 통과한 상수는 각종 이물질이 여과된 상태에서 배수구(31)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변환기(10)의 레버(13)를 조작하여 직수 배출구(11)를막고, 분사판(12)을 통해 상수가 배출되도록 하였다면, 이 분사판(12)을 통과한 물은 덮개(50)의 상면에 돌출된 돌기(52) 사이 사이의 공간(50a)을 따라 흐르게 되고, 이 물은 다시 필터 케이스(30)의 외측 다시 말해, 필터 케이스(30)와, 하우징 (20)사이에 형성된 간극(20a)을 따라 흐르게 되고, 배출 덮개(25)에 형성된 미세공(2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수가 필터층(40)을 통과하는 경우와, 그렇치 않은 경우를 구분하는 것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물을 여과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동시에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변환기에 조립되는 정수장치로써, 변환기를 통과한 직수는 필터층을 거치게 되고, 직수 배출구가 아닌 분사판을 통과한 상수는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 이는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분해, 조립이 간편하고, 부피가 작아 취급이 간편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주방 또는 욕실의 수도꼭지에 연결되며, 분사판과 토출구를 가지고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수를 분사 또는 직수로 토출되게 변환시키는 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에 조립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끼워지며, 상면에 돌출된 입수구가 상기 변환기의 직수 토출구와 연결되고, 내부에 필터층이 적층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과한 상수를 여과시키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조립되어 정수수단을 통과한 상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단부에 덮개를 씌워 조립하되, 이 덮개에 상기 직수 토출구와 연결되어 상수를 필터층으로 유입시키는 입수구를 가지며, 상기 입수구 주변 덮개 상면에 다수의 돌기를 구비하여 이 돌기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따라 상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3.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리브를 형성하고, 이 리브의 내측으로 필터 케이스가 조립하여 필터 레이스의 외측면과,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로 함으로써, 상기 덮개의 돌기 사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흐르는 상수가 이 간극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수 장치.
KR2020010021359U 2001-07-13 2001-07-13 정수장치 KR200248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359U KR200248297Y1 (ko) 2001-07-13 2001-07-13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359U KR200248297Y1 (ko) 2001-07-13 2001-07-13 정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297Y1 true KR200248297Y1 (ko) 2001-10-29

Family

ID=7306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359U KR200248297Y1 (ko) 2001-07-13 2001-07-13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2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185B1 (ko) * 2017-03-17 2017-12-08 주식회사 케이엔텍 다수의 필터를 이용한 복합 여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185B1 (ko) * 2017-03-17 2017-12-08 주식회사 케이엔텍 다수의 필터를 이용한 복합 여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6245C2 (ru)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смонтированных на водопроводном кране фильтровальных систем
US3822018A (en) Water filter device
JP2008534260A (ja) 燃料フィルター
KR100884847B1 (ko) 정수기용 필터
WO2009025413A1 (en) Water purifier filter having a filter washing function
KR200248297Y1 (ko) 정수장치
KR100926211B1 (ko) 정수용 필터 조립체
KR930000145A (ko)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와 거기에 사용되는 보디 및 카트리지
KR20090098581A (ko) 원터치 착탈식 어댑터
KR200269460Y1 (ko) 정수기용 필터의 조립구조
JPH11253936A (ja) 浄水器
CN112252418A (zh) 一种具有微气泡功能龙头
JPH11253935A (ja) 浄水器
JP2002224665A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水処理装置
CN218281282U (zh) 反渗透膜滤芯
KR102449255B1 (ko) 필터 일체형 수전
JPH11253934A (ja) 浄水器
KR960007675Y1 (ko) 보조 정수기
KR200152298Y1 (ko) 샤워기
JP2004305796A (ja) 浄水器
KR200285221Y1 (ko) 급수관과 수도꼭지의 연결관
CN211445255U (zh) 一种双路冲洗的净水装置
KR200285997Y1 (ko) 급수관과 수도꼭지의 연결관
KR890002198Y1 (ko) 음료수 여과기
KR200417835Y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