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828Y1 - 그네 - Google Patents

그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828Y1
KR200247828Y1 KR2020010018891U KR20010018891U KR200247828Y1 KR 200247828 Y1 KR200247828 Y1 KR 200247828Y1 KR 2020010018891 U KR2020010018891 U KR 2020010018891U KR 20010018891 U KR20010018891 U KR 20010018891U KR 200247828 Y1 KR200247828 Y1 KR 200247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swing
rope
suppor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828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그네의 구조를 보다 튼튼하고 간소화하면서도 그네(좌판)가 어느 일방으로 과도히 기울어져 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함으로서 제작상의 용이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한 그네에 관한 것으로서,
좌판(2)과 결합된 설치로프(4;Rope)를 설치봉(5)에 연결하여 좌판(2)이 전후로 스윙(Swing)작동되도록 한 통상의 그네(1)에 있어서, 좌판(2) 양측에 설치되어 좌판(2)의 전후 무게중심부에 형성된 연결부(8)에 설치로프(4)가 결속됨으로서 좌판(2)의 전후 균형이 연결부(8)를 중심으로 항상 수평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조립부재(6)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그네 {Swing toy}
본 고안은 그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그네의 제작구조를 튼튼하고 간소화하면서도 그네(좌판)가 어느 일방으로 과도히 기울어져 넘어지는 것(전복(顚覆))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함으로서 제작상의 용이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한 그네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기존의 그네는 주로 문틀 등에 설치봉을 고정시키고 여기에 그네의 좌판에 결합된 설치로프(Rope)를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서 좌판이 전후로스윙(Swing)작동되게 한 것으로, 이러한 기존 그네는 좌판에 설치로프를 끼워넣어 결합한 다음 좌판과 연결된 설치로프를 설치봉에 설치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좌판에 설치로프를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치 않으며 안전면에서도 여러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이하, 기존 그네의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존 그네는 좌판의 전후 결합공에 설치로프를 띠 형상으로 끼워 결합한 다음 좌판과 연결된 설치로프를 문틀 등에 고정시킨 설치봉에 연결하여 설치하는 바, 이러한 설치구조는 좌판에 설치로프를 끼워서 결합한 후 설치로프의 양 끝단을 연결하여 좌판에 연결된 설치로프를 설치봉에 걸어서 설치하게 되어 제작상의 난이도가 높은 것이었다.
즉, 그네의 좌판에 형성된 결합공측에 설치로프를 끼워서 결합한 다음 이를 설치봉에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로프의 양단을 서로 이어 연결하여야 하므로 좌판에 끼워 결합된 설치로프 양단을 좌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띠 형태로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좌판에 끼운 설치로프를 띠 형태로 연결하기 하여 설치로프의 양 끝단을 잇는 전술한 작업은 제작상에 있어서 이미 언급한 난점과 함께 양 끝단을 연결한 이음부가 부실할 경우 사용도중 끊어지게 되어 매우 심각한 안전사고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제작상에 상당한 주의력과 치밀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를 다시 언급하면; 좌판에 끼움결합한 설치로프를 띠상으로 연결하는 작업은 사용상에 있어 안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제작에 있어서 과도한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이음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치밀하고도 견고한 작업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또한, 좌판의 전후에 삽입되어 결합된 설치로프는 좌판 상측 꼭지부에서 손잡이를 겸한 연결구에 의해 한곳으로 모아져 좌판과 대략 삼각구도를 이루어 좌판의 전후측이 서로 수평의 균형을 이루어 설치봉을 중심으로 설치로프가 전후로 스윙작동될 시에 좌판에 앉은 어린이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좌판에 앉은 어린이의 무게중심은 삼각형태로 연결된 설치로프에 의해 좌판이 전후 어느 일방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놀이를 즐기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좌판의 전후 어느 일방으로 무게중심의 변동이 있게 되면 꼭지부로부터 좌판 양측에 삼각형태로 연결된 전후의 어느 일측 설치로프(무게중심의 이동이 있는 반대측)이 그 유연성에 의해 굴곡됨으로서 좌판이 꼭지부로부터 평행상태를 상실하게 되어 좌판이 전복되는 심각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발생되는 것이다.
즉, 꼭지부로부터 전후 양측으로 연결된 설치로프의 어느 일측 연결부에 잡아당기는 등으로 무게중심의 변화가 있게 되면 타측 연결부가 들려지게 됨으로서 좌판이 뒤집어지게 되는 매우 위험한 사고가 발생되는 것으로, 이러한 안전사고발생은 좌판에 앉은 어린이의 위치이동이나 좌판 아래에서 좌판의 전후 일측을 잡아당기는 원인 등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도 꼭지부로부터 삼각형태로 좌판 양측에 연결된 설치로프가 소위 구부러지지 않고 항상 직선상태로 유지되게 함으로서 전술한 안전사고의 발생우려를 방지토록 한 안전장치를 구비한 그네가 이미 선고안된 바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19067호)
위 언급한 기존 그네의 안전장치는 대략 꼭지부로부터 좌판을 연결하는 설치로프를 실린더형 안전관체 내측에 관통 삽입된 상태로 연결함으로서 좌판의 무게중심이 전후 어느 일방으로 쏠리게 되더라도 안전관체에 의해 구부러지지 않는 고정상태에 있게 함으로서 좌판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즉, 좌판에 연결된 설치로프가 외측 안전관체에 의해 언제나 직선상태로 있게 함으로서 무게중심의 이동 등으로 인해 전후 어느 일측의 설치로프가 굴곡되는 변형을 막아 꼭지부를 중심으로 좌판이 항상 균형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러한 그네 안전장치는 대략 실린더형으로 안전관체를 구성하고 이의 내측을 통해 설치로프를 삽입하여 좌판과 연결하게 됨으로서 좌판과 설치로프를 연결하는 작업이 원만치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로프가 안전관체 내측을 통해 삽입상태로 연결됨으로서 설치로프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즉, 좌판을 연결하는 설치로프를 안전관체내로 삽입시켜 좌판과 연결하게 됨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좌판에 설치로프를 연결, 결합하는 작업의 난이성과 함께 외측 안전관체에 의해 내부의 설치로프가 가려지게 됨으로서 설치로프를 훼손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좌판과 연결된 안전관체 내부의 설치로프가 훼손되어 있는 만일의 경우 사용자가 이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놀이도중 좌판을 연결하고 있는 설치로프가 끊어지게 되어 매우 심각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그네는 그 놀이형태의 특성상 작은 부주의나 안전점검 미비가 치명적인 사고로 연결될 수 있어 사용전에 안전상태를 충분히 점검하는 것이 필수적인 바, 이러한 관점에서 전술한 기존의 그네는 좌판에 연결되는 설치로프가 구조상에 안전문제를 가지고 있고, 안전장치를 갖춘 위 그네 역시 미리 그 안전상태를 충분하고도 제대로 확인할 수 없다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를 충분히 해결하고 보다 확실한 안전확보로 안전사고 방지에 만전을 기하여 안전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새로운 그네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좌판에 설치로프가 직접 연결되지 않게 함으로서 설치로프를 좌판에 연결하여 제작하는 데 따른 난이성과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이와 동시에 어린이의 움직임 등으로 인해 좌판의 무게중심이 전후 어느 일방으로 쏠리게 되어 좌판이 기울어지는 안전사고의 발생원인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그네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언제라도 용이하게 그네의 안전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하고 더욱 안전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는 그네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 1a는 본 고안의 일시예를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보인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일부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결합상태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중 하나의 작용상태를 보인 작용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그네 2;좌판
3;등받이 4;설치로프
5;설치봉 6;조립부재
7,7';지지대 8;연결부
9;조립부 10;조립공
11;걸림부 12;끼움부
13;지지부 14,14';걸림봉
15,15', 19,19';끼움요구 16;걸림턱
17;걸림부 18;지지턱
20;걸림고정부 21;걸림요구
등받이(3)가 결합된 좌판(2)의 전후 양측으로 설치로프(4;Rope)가 결합되고, 설치로프(4)는 문틀 등에 고정시킨 설치봉(5)에 연결되어 좌판(2)이 전후로 스윙(Swing)작동됨으로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 통상의 그네(1)에 있어서,
본 고안은 설치로프(4)를 좌판(2) 전후로 삼각형태로서 직접 연결하지 않고 좌판(2) 양측에서 좌판(2)이 항시 전후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결합한 조립부재(6)를 결합하여 조립부재(6)의 상단 무게 중심부(꼭지부)에 형성된 연결부(8)에 설치로프(4)을 연결하여 그네(1)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1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 3은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좌판(2)이 항시 전후로 수평(균형)을 유지토록 하는 조립부재(6)를 결합하는 바, 상기 조립부재(6)는 상단 무게 중심부에 설치로프(4)를 결속하여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7)를 형성하여 설치봉(5)에 연결, 설치함으로서 그네(1)를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조립부재(6)는 좌판(2)의 전후 무게중심이 되는 상단 중심부인 연결부(8)의 양측으로 지지대(7,7')를 형성하여 좌판(2)과 결합하는 바, 조립부재(6)의 지지대(7,7')는 하단에 좌판(2)의 조립공(10)에 끼움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조립부(9)를 형성한다.
상기 조립부(9)는 조립부재(6)가 좌판(2)의 조립공(10) 하부로부터 상향으로 끼움결합되어 조립부재(6)를 상향으로 걸림지지하는 조립부(8)의 걸림부(11)와, 조립부재(6)를 하향으로 걸림지지하는 끼움부(12)를 각각 상하향으로 고정하는 지지대(13)를 조립공(10)에 형성하여 조립공(10)에 결합된 조립부재(6)가 상하로 고정되게 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조립부재(6) 하단의 조립부(9)에는 도 4에서와 같이 걸림부(11)와 끼움부(12)를 상하로 형성하여 이를 조립공(10)의 지지부(13) 상하로 걸림지지되게 결합한다.
이와 같이 조립부재(6)를 좌판(2) 양측에 결합토록 하고, 조립부재(6)의 상측 연결부(8)측에 설치로프(4)를 결속하여 연결함으로서 좌판(2)에 고정시킨 조립부재(6)에 의해 좌판(2)이 조립부재(6) 상단의 무게중심부, 즉 연결부(8)를 중심으로 전후 균형이 항시 일정하게 (수평으로) 유지되게 한다.
상기 조립부재(6)는 도 1a에서와 같이 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은 이러한 형상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조립부재(6)의 조립구성을 달리한 것으로, 조립부재(6)의 지지대(7,7') 하측 조립부(9)에 내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걸림봉(14,14')을 형성하여 좌판(2)의 측면으로 개구 형성한 끼움요구(15,15')에 끼워서 걸림턱(16)에 걸림되어 결합되게 한 것이다.
즉, 상기 조립부재(6)는 양측의 지지대(7,7') 하측에 대략( L )형의 걸림봉(14,14')을 형성하여 좌판(2)의 끼움요구(15,15')로부터 끼움결합하고 걸림턱(16)에 걸림지지되도록 결합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7,7')에는 끼움요구(15,15')의 상단 지지턱(18)에 하향으로 걸림지지되어 조립부재(6)를 하향으로 고정지지하는 걸림부(17)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좌판(2)의 양 끼움요구(19,19')는 도 8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전후 양방향으로 개구 형성하여 끼워서 여기에 조립부재(6)의 지지대(7,7') 하측 걸림봉(14,14')을 끼움결합토록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립부재(6)의 지지대(7,7') 하측 걸림봉(14,14')을 좌판(2)의 전후측에서 개구형성된 끼움요구(19,19')에 끼움결합하여 걸림턱(16)에 걸림지지되도록결합토록 하는 것으로, 이때, 지지대(7,7')의 걸림부(17)와 끼움요구(19,19')의 지지턱(18)은 생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립부재(6)는 도 10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조립부재(6)의 양 지지대(7,7') 하측에 대략 (ㅗ)형의 걸림고정부(20)를 형성하고, 좌판(2)에는 상기 걸림고정부(20)가 끼움결합되어 걸림고정될 수 있는 걸림요구(21)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좌판(2)상에 걸림요구(21)를 형성하고 조립부재(6)의 지지대(7,7')하측에는 여기에 걸림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고정부(20)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토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전술한 각 실시예에 의한 조립부재(6)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조립식으로 구성하지 않고 도 12와 같이 좌판(2) 양측에서 각각 일체로 성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3에서와 같이 그네놀이 도중 조립부재(6)가 좌판(2)의 전후 균형을 항시 일정하게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되어 설치로프(4)가 연결된 연결부(8)를 중심으로 좌판(2)이 전후 어느 일방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균형상태(설치로프(4)가 연결된 연결부(8)를 중심으로 한 좌판(2) 전후의 수평상태)가 언제나 고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좌판(2)이 전후 어느 일방으로 기울어짐으로서 뒤집어지는 등의 문제(顚覆, 顚倒)가 근본적으로 방지되며, 또한 이러한 조립부재(6)에 설치로프(4)가 연결됨으로서 기존과 같이 좌판(2)에 설치로프(4)를 결합하고 설치로프(4)의 양 끝단을 서로 이음하여 설치로프(4)를 띠 형태로 구성하는 이음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제작상의 잇점과 설치로프(4)의 이음부가 분리되어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발생우려를 방지함으로서 매우 안전하게 그네 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좌판(2)과 조립부재(6)간의 조립과정 등과 작용에 대하여 우선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조립부재(6)의 조립부(9)에 형성된 걸림부(11)와 끼움부(12)를 형성한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조립부재(6)를 좌판(2)의 조립공(10)측에 하방에서 상향으로 끼움하여 각 걸림부(11)와 끼움부(12)를 조립공(10)의 지지부(13)에 결합하여 상하로 고정지지되게 결합한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 및 도 8 내지 도 9의 경우에 있어서는 걸림봉(14,14')을 각 끼움요구(15,15'),(19,19')에 끼움결합하여 걸림턱(16)에 고정시켜 결합하고, 걸림부(17)는 지지턱(18)에 하향으로 고정지지되게 결합한다.
또한, 도 10, 11의 경우에는 조립부재(6)의 지지대(7,7')의 걸림고정부(20)는 좌판(2)의 걸림요구(21)에 걸림고정시켜 결합하는 것으로, 조립부재(6)와 좌판(2) 상호간의 결합작업은 전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며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 본 고안은 조립부재(6)를 좌판(2) 양측에 결합한 상태에서 좌판(2)의 전후균형을 일정하게 고정시키는 지지대(7,7') 상측 의 무게중심부(꼭지부), 즉 연결부(8)에 설치로프(4)를 결속하여 설치봉(5)과 연결, 설치한 상태에서 그네놀이를 하게된다.
따라서 좌판(2)은 전후로 스윙동작될 시에 설치로프(4)이 조립부재(6) 상단의 연결부(8)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연결부(8)를 중심으로 좌판(2)이 전후로 스윙 작동되며, 이와 같이 좌판(2)이 설치로프(4)와 연결된 상단 연결부(8)를 중심으로 전후로 스윙작동됨으로서 도 13에서와 같이 좌판(2)은 연결부(8)를 중심으로 스윙작동중은 물론 어느 경우에도 그 무게중심부(연결부(8))를 중심으로 전후 균형이 일방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것이다.
즉, 좌판(2)은 설치로프(4)와 연결된 연결부(8)를 중심으로 양 지지대(7,7')가 좌판(2)의 전후 양측에 고정설치되어 연결부(8)를 중심으로 한 좌판(2)의 전후 균형(무게중심)이 항시 고정상태로 있어 좌판(2)이 뒤집어지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원인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조립부재(6)는 좌판(2)에 연결되고, 조립부재(6)의 연결부(8)에 설치로프(4)가 결속되어 설치되므로 설치로프(4)의 설치상태 등을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확인한 상태에서 그네 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즉, 설치로프(4)는 조립부재(6)의 상부 연결부(8)측에 결속되므로 설치로프(4)의 연결 및 훼손 상태 등이 한눈에 손쉽게 확인되어 안전점검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그네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됨은 물론 기존과 같이 설치로프(4)을 띠 형태로 연결하여 이의 이음부가 떨어져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까지 간단히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다시 살펴보면; 본 고안은 조립부재(6)의 연결부(8)와 설치로프(4)의 결속상태를 한눈에 비교적 용이하고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연결부(8)와 설치로프(4)의 결속상태를 확인만으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안전검점을 행할 수 있어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그네(1)에 있어서, 좌판(2)에 조립부재(6)가 결합되고, 여기에 설치로프(4)가 연결되므로 기존과 같이 설치로프(4)를 띠 형태로 이음하여 좌판(2)에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치 않게 되어 제작상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설치로프(4)의 이음부가 분리될 우려가 전혀 없어 매우 안전하게 그네 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좌판(2)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조립부재(6)에 의해 전후 균형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좌판(2)의 전후 불균형으로 좌판(2) 뒤집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발생 우려가 없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제작상의 용이성 등은 물론 그네놀이의 안전에 직접적이고 가장 중요한 요소인 좌판(2)과 설치로프(4)의 연결관계, 좌판(2)의 균형유지, 설치로프(4) 연결상태 및 훼손상태 점검확인가능 등의 안전사고발생 원인을 일시에 해결할 수 있는 등의 여러 효과와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좌판(2)과 결합된 설치로프(4;Rope)를 설치봉(5)에 연결하여 좌판(2)이 전후로 스윙(Swing)작동되도록 한 통상의 그네(1)에 있어서,
    좌판(2) 양측에 설치되어 좌판(2)의 전후 무게중심부에 형성된 연결부(8)에 설치로프(4)가 결속됨으로서 좌판(2)의 전후 균형이 연결부(8)를 중심으로 항상 수평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조립부재(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6)는, 설치로프(4)가 결속되는 연결부(8)를 중심으로 좌판(2) 전후 측에 결합되는 지지대(7,7')와, 지지대(7,7') 하단에 형성되어 좌판(2)의 조립공(9) 하방으로부터 상향으로 끼움결합되는 조립부(9)와, 좌판(2) 조립공(10)의 지지부(13)에 상하로 걸림결합되어 고정되는 조립부(9)의 걸림부(11)와 끼움부(1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6)는, 설치로프(4)가 결속되는 연결부(8)를 중심으로 좌판(2) 전후로 결합되는 지지대(7,7')의 걸림봉(14,14')과, 걸림봉(14,14')이 좌판(2)의 끼움요구(15,15')로부터 끼움결합되어 걸림지지되는 걸림턱(16)과, 끼움요구(15,15')의 지지턱(18)에 하향으로 걸림결합되는 지지대(7,7')의 걸림부(17)로 구성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그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6)는 지지대(7,7') 하측에 걸림고정부(20)를 형성하여 좌판(2)의 걸림요구(21)에 걸림결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그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6)는 좌판(2) 양측에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네.
KR2020010018891U 2001-05-19 2001-06-23 그네 KR20024782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740 2001-05-19
KR20010014740 2001-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828Y1 true KR200247828Y1 (ko) 2001-10-26

Family

ID=73103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891U KR200247828Y1 (ko) 2001-05-19 2001-06-23 그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8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4922B2 (en) Connecting pin
US20050139410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front and rear frame parts of a cart for people to ride on
KR200247828Y1 (ko) 그네
JP3123197U (ja) 組立て足場の連結装置
KR102047146B1 (ko) 비계용 커플링 부재
JP2007277981A (ja) 足場骨組みの継手構造
US9260873B1 (en) Truss member and truss connector
PL192026B1 (pl) Zespół podporowy wysięgników mocujących przewód ślizgowy trakcji elektrycznej
ES2582532T3 (es) Plataforma modulable
KR200404527Y1 (ko)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CN215653510U (zh) 一种安全带悬挂装置
JP4387568B2 (ja) 張り出しブラケットなどの仮設足場部材
JP4146474B2 (ja) トランポリン
JP2019196657A (ja) 先行手摺
JP3502863B2 (ja) ラッシングロッド
JP2007146363A (ja) 避難梯子
KR200349884Y1 (ko) 안전그네
KR200262455Y1 (ko) 그네의 안전장치
JP6450117B2 (ja) 立設構造および振れ止め具
JP2003090133A (ja) コーナー部用パイプ連結ジョイント
JP2500350Y2 (ja) 仮設足場用手摺枠の建枠ホルダ―
JP2000303649A (ja) 免震手摺
KR200344093Y1 (ko) 안전그네
KR102273375B1 (ko) 교량의 케이블 연결부의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부의 보수 방법.
JP4195709B2 (ja) 組立足場及びその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