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439Y1 -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439Y1
KR200247439Y1 KR2020010018456U KR20010018456U KR200247439Y1 KR 200247439 Y1 KR200247439 Y1 KR 200247439Y1 KR 2020010018456 U KR2020010018456 U KR 2020010018456U KR 20010018456 U KR20010018456 U KR 20010018456U KR 200247439 Y1 KR200247439 Y1 KR 200247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discharge valve
valve
beverage discharge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병태
Original Assignee
채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병태 filed Critical 채병태
Priority to KR2020010018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4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439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수/온수 및/또는 상온수를 전용적으로 토출하는 다수의 음료토출밸브를 어셈블리화하여 음료공급장치에 대한 조립작업성이 개선되도록 하면서 커버기능을 부가하여 위생적인 면에서도 유리하도록 하기 위한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음료토출밸브가 하부체결부재와 상부체결부재에 의해 일체화되어 상기 음료공급장치의 전면에 형성된 단일의 음료토출밸브수납구에 조립되고, 상기 하부체결부재와 상기 상부체결부재에는 상기 음료토출밸브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반구형상의 요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체결부재에는 상기 음료토출밸브를 커버링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수관 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에는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음료토출조작레버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레버고정편이 수직방향에서 선회작동되도록 회동편에 의해 결합되며, 그 레버고정편의 선단에는 상기 음료토출조작레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턱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BEVERAGE DISPENSING VALVE ASSEMBLY}
본 고안은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온수기 또는 냉/온 정수기로 대표되는 음료공급장치에 채용되는 다수의 음료토출밸브를 어셈블리화하여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하수 또는 수도수를 다수의 필터에 의한 필터링과정을 경유하여 정수된 물을 냉수와 온수(또는 필요한 경우 상온수 포함)로 공급하는 냉/온 정수기라든지 냉/온수기가 널리 보급되는 상황이다.
그러한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로 대표되는 음료공급장치에는 냉수와 온수 및 필요한 경우 상온수를 선택적으로 토출하는 다수의 음료토출밸브가 설치된다.
도 1은 도 1은 일반적인 음료공급장치로서의 냉/온수기 또는 냉/온정수기에 음료토출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으로 표시된 음료공급장치의 전면패널의 소정위치에는음료토출밸브로서 냉수를 토출하는 냉수토출밸브(12)와 온수를 토출하는 온수토출밸브(14)가 설치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온수를 토출하는 상온수토출밸브(도시는 생략)도 설치된다.
그러한 음료토출밸브로서의 냉수토출밸브(12)와 온수토출밸브(14) 및/또는 상온수토출밸브는 대개 상기 음료공급장치의 냉수저수조와 온수저수조 및 상온수저수조로부터 연설되는 급수호스(도시 생략)가 후단에 결합되면서 그 선단에는 음료토출을 위한 밸브체가 형성되고, 그 밸브체의 상단에는 그 밸브체의 내부에 형성된 음료토출로를 개폐하기 위해 전후방향으로 작동가능한 음료토출조작레버가 구비된다.
따라서, 음료토출조작레버를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일정한 범위 이상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밸브체의 내부에 형성된 음료토출로가 개방되어 냉수, 온수 또는 상온수가 그 밸브체의 하측으로부터 토출되게 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음료공급장치(10)에 적용되는 음료토출밸브로서의 냉수토출밸브(12)와 온수토출밸브(14) 및 상온수토출밸브는 대개 음료공급장치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그 음료공급장치(10)의 전면패널에 다수의 음료토출밸브의 장착을 위한 다수의 밸브장착구를 개별적으로 형성하고나서 각 밸브장착구에 대응하는 음료토출밸브를 결합하고, 각 음료토출밸브에 대해 냉수저수조와 온수저수조 및 상온수저수조로부터 개별적인 급수호스를 연결해야만 된다.
따라서, 상기 음료공급장치(10)에서 다수의 음료토출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가 상당히 복잡해지고, 그 때문에 상기 음료공급장치(10)의 제조효율 및 생산성이 열화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작업자에 의한 작업공수가 필요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 목적은 음료공급장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음료토출밸브를 어셈블리화하여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음료토출밸브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음료토출밸브가 어셈블리화하여 조립되는 경우 커버구조를 부가하여 위생적인 면에서도 유리하도록 하면서, 각 음료토출밸브에 대해 음료토출의 지속성을 선택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도 부가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양태에 따르면 전면패널에 냉수와 온수의 토출과 상온수의 선택적인 토출을 위한 다수의 음료토출밸브가 설치되는 음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음료토출밸브가 하부체결부재와 상부체결부재에 의해 일체화되어 상기 음료공급장치의 전면에 형성된 단일의 음료토출밸브수납구에 조립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하부체결부재와 상기 상부체결부재에는 상기 음료토출밸브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반구형상의 요홈이 형성된다.
그에 대해,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음료토출밸브에서 상호 인접한 음료토출밸브의 사이에는 밸브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결부재와 상기 상부체결부재에는 상기 밸브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설된 상기 음료토출밸브를 수용하기 위한 반구형상 요홈이 형성되며, 그 반구형상 요홈의 사이에는 상기 밸브연결부를 위한 밸브연결부수납요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체결부재에는 상기 음료토출밸브를 커버링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형성된다.
또,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음료토출조작레버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그 음료토출밸브의 수관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그에 대해,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수관 저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그 고정돌기에는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음료토출조작레버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레버고정편이 수직방향에서 선회작동되도록 회동편에 의해 결합되며, 그 레버고정편의 선단에는 상기 음료토출조작레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턱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전면패널에 냉수와 온수의 토출과 상온수의 선택적인 토출을 위한 다수의 음료토출밸브가 설치되는 음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음료토출밸브는 그 수관 부분이 밸브모듈체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음료공급장치의 전면에 형성된 단일의 음료토출밸브수납구에 조립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밸브모듈체의 내부에는 각 음료토출밸브에 연통하는 수로가 형성되고, 그 수로의 종단에는 그 음료토출밸브에 연결되는 급수호스를 위한 급수호스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나사형상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밸브모듈체에는 상기 음료토출밸브를 커버링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형성된다.
또,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음료토출조작레버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그 음료토출밸브의 수관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그에 대해,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수관 저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그 고정돌기에는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음료토출조작레버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레버고정편이 수직방향에서 선회작동되도록 회동편에 의해 결합되며, 그 레버고정편의 선단에는 상기 음료토출조작레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턱이 형성된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에서는 다수의 음료토출밸브가 하부체결부재와 상부체결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거나 밸브모듈체의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음료공급장치의 전면에 형성된 음료토출밸브수납구에 조립된다.
또, 상기 상부체결부재 또는 상기 밸브모듈체에는 상기 음료토출밸브를 커버링하는 커버부재가 제공됨에 따라 음료토출밸브의 위생적인 면에서 유리하게 될 뿐만 아니라 외관상 심미감도 향상된다.
더욱이, 상기 음료토출밸브에는 음료토출조작레버를 걸림홈과 걸림돌기의 작용 또는 레버고정편의 작용에 의해 음료가 지속적으로 토출되도록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음료공급장치에 다수의 음료토출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도,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도 5와 6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도 7a와 도 7b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의 구성과 그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a와 도 8b는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20a,20b,20c;20: 음료토출밸브,
30a: 하부체결부재, 30b: 상부체결부재,
40: 음료토출밸브수납구, 50: 밸브연결부,
60: 밸브모듈체, 80,80a: 커버부재.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0으로 표시된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는 다수의 음료토출밸브(20a,20b,20c)가 하부체결부재(30a)와 상부체결부재(30b)에 의해 일체화된다. 즉, 상기 하부체결부재(30a)상에는 상기 음료토출밸브(20a,20b,20c)의 수납을 위한 반구형상의 요홈(3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결부재(30b)에도 상기 하부체결부재 (30a)의 반구형상 요홈(32)에 대응하는 반구형상 요홈(3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체결부재(30a)의 반구형상 요홈(32)과 상기 상부체결부재 (30b)의 반구형상 요홈(34)의 사이에 상기 음료토출밸브(20a,20b,20c)를 위치시키고나서, 상기 하부체결부재(30a)와 상기 상부체결부재(30b)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공(36)을 통해 스크류(38)를 체결하게 되면 다수의 음료토출밸브 (20a,20b,20c)가 일체화된 어셈블리구조를 얻게 된다.
그에 대해, 음료공급장치의 전면에는 상기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20)의 수납을 위한 음료토출밸브수납구(40)가 개구되는 바, 그 음료토출밸브수납구(40)에 상기 일체화된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20)를 수납하여 예컨대 스크류를 포함하는 적절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하게 되면 다수의 음료토출밸브(20a,20b,20c)의 조립작업성이 개선되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20)에 구성되는 다수의 음료토출밸브(20a,20b,20c)에서 인접한 음료토출밸브(20a와 20b, 20b와 20c)의 사이에는 밸브연결부(50)가 형성되는 바, 그 밸브연결부(50)는 각 음료토출밸브 (20a,20b,20c)의 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체결부재(30a)와 상기 상부체결부재(30b)에 형성된 반구형상 요홈(32,34)의 사이에는 상기 밸브연결부(50)가 위치되는 밸브연결부수납요부(52)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20)는 각 음료토출밸브 (20a,20b,20c)가 밸브연결부(5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음료토출밸브 (20a,20b,20c)를 상기 하부체결부재(30a)와 상기 상부체결부재(30b)의 사이에 장착하는 작업이 더욱 간편해지게 되고, 그러한 형태로 조립된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20)는 음료공급장치의 전면에 형성되는 음료토출밸브수납구(40)에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20)는 다수의 음료토출밸브(20a,20b,20c)가 상기 하부체결부재(30a)와 상기 상부체결부재 (30b)에 의해 일체화되지만, 도 4에 도시된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20)는 다수의 음료토출밸브(20a,20b,20c)의 중간부분이 상기 음료공급장치의 전면에 형성된 음료토출밸브수납구(40)에 체결가능한 형상의 밸브모듈체(60)로 형성된다.
즉, 도 4a의 A-A'선을 따르는 4b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모듈체(60)는 상기 음료토출밸브(20a,20b,20c)에 연통되는 수로(60a,60b,60c)가 관통형성되고, 그 수로(60a,60b,60c)의 종단에는 냉수/온수/상온수급수호스가 연결되는 급수호스체결부재 (64)가 대응적으로 결합되는 나사형상부(62)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20)는 각 음료토출밸브(20a,20b,20c)가 밸브모듈체(60)의 형태로 일체화되고, 그 밸브모듈체(60)의 외주변에 형성된 스크류관통공(66)을 통해 스크류(68)를 상기 음료공급장치의 전면에 형성된 음료토출밸브수납구(40)의 외측에 형성된 스크류결합공(70)에 체결함으로써 그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20)가 음료공급장치의 전면에 더욱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도 5와 6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에 도시된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20)에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상부체결부재(30b)의 전단에 상기 음료토출밸브 (20a,20b,20c)를 커버링하기 위한 커버부재(80)가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그 커버부재(80)는 상기 상부체결부재(30b)의 선단에 일체로 성형되는 방식과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방식 및 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는 방식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되고, 그 커버부재(80)는 음료공급장치와 각 음료토출밸브 (20a,20b,20c)에 적합한 형상으로 설계하면 상기 음료토출밸브(20a,20b,20c)의 위생적인 면에서 유리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적절한 형상 및 컬러에 의해 전체적인 심미감의 향상도 보장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20)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수납구(40)에 대한 조립의 간편함과 각 음료토출밸브(20a,20b,20c)의 위생적인 면과 심미감의 향상이 도모된다.
도 6에 도시된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20)는 도 4a에 도시된 구조에서 상기 밸브모듈체(60)의 선단에 커버부재(80a)를 갖추게 되고, 그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20)의 경우에도 도 5에 도시된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20)와 동일하게 상기 밸브모듈체(60)의 선단에 일체로 성형되는 방식과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방식 및 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는 방식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되면서, 상기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수납구(40)에 대한 조립의 간편함과 각 음료토출밸브(20a,20b,20c)의 위생적인 면과 심미감의 향상이 도모된다.
도 7a와 도 7b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의 구성과 그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내지 제 3실시예에 도시된 다수의 음료토출밸브 (20a,20b,20c)의 어느 하나를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바, 그 음료토출밸브(20)의 음료토출조작레버(90)의 소정 위치 양측에는 걸림홈(92)이 형성되고, 그 음료토출밸브(20)의 수관(94)의 소정위치에도 상기 걸림홈(92)에 대응하는 걸림돌기(96)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92)의 진입단은 상기 걸림돌기(96)에 강압적으로 끼워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음료토출조작레버(90)를 후방향으로 밀어서 그 걸림홈(92)이 상기 걸림돌기(96)에 결합되도록 하게 되면 음료가 지속적으로 토출되고(도 7b 참조), 그 걸림홈(92)과 상기 걸림돌기(96)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음료의 토출이 정지되게 된다.
도 8a와 도 8b는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즉,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음료토출밸브(20a,20b,20c)중에서 대표적으로 도시된 음료토출밸브(20)의 수관(94)의 저면 양측에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돌기(100)가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그 고정돌기(100)의 중간에는 음료토출조작레버(102)의 컵받침부(104)의 상단을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레버고정편(106)이 회동핀(108)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고정편(106)은 그 중심의 후방이 상기 고정돌기(100)와 동축적으로 상기 회동핀(108)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그 선단이 항시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늘어진 상태로 유지되고, 그 선단에는 상기 음료토출조작레버(102)의 컵받침부(104)의 상단을 걸어서 지지하기 위한 고정턱(106a)이 형성되며, 그 후단은 상기 고정턱(106a)이 상기 음료토출조작레버(102)의 컵받침부(104)의 상단을 걸어서 지지하는 경우에 상기 수관(94)의 저면에 밀착되어 음료토출조작레버(102)의 개방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한 지지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음료토출조작레버(102)를 후방향으로 밀어내어 그 컵받침부 (104)가 상기 레버고정편(106)의 고정턱(106a)에 접하는 경우 그 레버고정편(106)이 그 컵받침부(104)에 의해 상승되고, 그 컵받침부(104)가 상기 고정턱(106a)을 넘어서게 되면 그 레버고정편(106)은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복귀하게 되면서 그 고정턱(106a)이 상기 음료토출조작레버(102)의 컵받침부(104)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음료토출조작레버(102)가 음료의 지속적인 토출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 음료토출조작레버(102)를 후방향으로 더 밀어내면서 상기 레버고정편(106)을 들어올려 그 고정턱(106a)과 상기 음료토출조작레버(102)의 컵받침부(104)의 상단이 결합해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음료토출조작레버(102)가 원위치되도록 하게 되면 음료의 지속적인 토출이 정지되면서, 상기 레버고정편 (106)도 본래의 위치로 유지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는 않고 고안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음료토출조작레버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레버고정편은 상기 수관에 결합되는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하부체결부재로부터 연설되는 형태로 형성하거나 상기 밸브모듈체로부터 연설되는 형태로 형성해도 된다.
또, 그 레버고정편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음료토출조작레버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로 적용되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에 의하면, 냉수/온수 및 필요한 경우 상온수를 토출하는 다수의 음료토출밸브를 어셈블리형태로 일체화함으로써 음료공급장치에 대한 조립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일체화된 다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에 대해 커버부재를 제공함에 따라 각 음료토출밸브에 대한 위생적인 면에서의 유리함과 외관상의 심미감도 향상되게 된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각 음료토출밸브의 음료토출조작레버를 위치고정시켜 음료가 지속적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다량의 음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전면패널에 냉수와 온수의 토출과 상온수의 선택적인 토출을 위한 다수의 음료토출밸브가 설치되는 음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음료토출밸브가 하부체결부재와 상부체결부재에 의해 일체화되어 상기 음료공급장치의 전면에 형성된 단일의 음료토출밸브수납구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결부재와 상기 상부체결부재에는 상기 음료토출밸브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반구형상의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음료토출밸브에서 상호 인접한 음료토출밸브의 사이에는 밸브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결부재와 상기 상부체결부재에는 상기 밸브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설된 상기 음료토출밸브를 수용하기 위한 반구형상 요홈이 형성되며, 그 반구형상 요홈의 사이에는 상기 밸브연결부를 위한 밸브연결부수납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결부재에는 상기 음료토출밸브를 커버링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음료토출조작레버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그 음료토출밸브의 수관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수관 저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그 고정돌기에는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음료토출조작레버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레버고정편이 수직방향에서 선회작동되도록 회동편에 의해 결합되며, 그 레버고정편의 선단에는 상기 음료토출조작레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7. 전면패널에 냉수와 온수의 토출과 상온수의 선택적인 토출을 위한 다수의 음료토출밸브가 설치되는 음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음료토출밸브는 그 수관 부분이 밸브모듈체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음료공급장치의 전면에 형성된 단일의 음료토출밸브수납구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밸브모듈체의 내부에는 각 음료토출밸브에 연통하는 수로가 형성되고, 그 수로의 종단에는 그 음료토출밸브에 연결되는 급수호스를 위한 급수호스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나사형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9. 제 7항과 제 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밸브모듈체에는 상기 음료토출밸브를 커버링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음료토출조작레버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그 음료토출밸브의 수관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수관 저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그 고정돌기에는 상기 음료토출밸브의 음료토출조작레버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레버고정편이 수직방향에서 선회작동되도록 회동편에 의해 결합되며, 그 레버고정편의 선단에는 상기 음료토출조작레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KR2020010018456U 2001-06-20 2001-06-20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KR200247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456U KR200247439Y1 (ko) 2001-06-20 2001-06-20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456U KR200247439Y1 (ko) 2001-06-20 2001-06-20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439Y1 true KR200247439Y1 (ko) 2001-10-17

Family

ID=7310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456U KR200247439Y1 (ko) 2001-06-20 2001-06-20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4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1877B1 (en) Container structure containing water, beverage or the like therein
USD531499S1 (en) Aperture for a dispenser cover
CA2340681A1 (en) Dispensing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USD471047S1 (en) Liquid dispensing cartridge
USD471964S1 (en) Handle
KR200247439Y1 (ko) 음료공급장치의 음료토출밸브 어셈블리
USD449872S1 (en) Irrigation valve
USD454384S1 (en) Shower spray mode selector ring
USD426103S (en) Chafing dish (rectangular)
USD497198S1 (en) Faucet spout
USD463014S1 (en) Tub spout
USD499113S1 (en) Air directional control valve
CN100498164C (zh) 电冰箱的分配器
USD463534S1 (en) Tub spout
JP3533598B2 (ja) 吐水ヘッド
KR100760355B1 (ko) 수도꼭지
USD467313S1 (en) Handle
USD482271S1 (en) Squeezable container for liquid and lotion dispensing
JP3560021B2 (ja) 吐水具
KR200268997Y1 (ko) 냉온수 혼합 수도밸브
CN215568116U (zh) 一种龙头本体和龙头
CN212698550U (zh) 一种带自清洁功能的龙头装置
KR200411277Y1 (ko) 자동판매기용 밸브 조립체
US20070295837A1 (en) Dual-flow faucet head
JP4285969B2 (ja) 切換弁及びその切換弁を用いた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