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502Y1 - 건축용 벽돌 - Google Patents

건축용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502Y1
KR200246502Y1 KR2020010017863U KR20010017863U KR200246502Y1 KR 200246502 Y1 KR200246502 Y1 KR 200246502Y1 KR 2020010017863 U KR2020010017863 U KR 2020010017863U KR 20010017863 U KR20010017863 U KR 20010017863U KR 200246502 Y1 KR200246502 Y1 KR 200246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mortar
layer
natural
natural gemston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현
김기봉
Original Assignee
이장현
김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현, 김기봉 filed Critical 이장현
Priority to KR2020010017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5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502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면이나 담장 등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벽돌에 관한 것으로, 형틀의 내하단에 천연원석을 투입한 후 일정 높이만큼 모래를 채워 넣고 그 상부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부어넣어 일정시간 양생한 후 형틀에서 빼어내어 외표면의 모래를 털어내는 종래의 방법이나 형틀을 통해 표면에 요홈을 형성한 후 요홈에 천연원석을 부착하는 종래의 방법으로 제작된 종래의 건축용 벽돌은 그 제작이 번거롭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생산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천연원석을 제외한 벽돌 본체에 많은 기공을 생성되기 때문에 방음성과 방습성이 좋지 못할 뿐 아니라 벽돌 본체의 외표면에 값싼 시멘트의 질감이 그대로 나타나게 되고, 자외선을 통한 변색 및 백화현상이 생기기 쉽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표면에 상광하협의 사다리꼴 요입부(12)가 형성된 제 1성형체(11)의 사다리꼴 요입부(12)에 시멘트 모르타르층(13)을 형성하는 동시에 시멘트 모르타르층(13) 표면에 천연원석(14)을 삽입 설치하고, 천연원석(14)의 돌출 외표면을 제외한 시멘트 모르타르층(13)의 외표면에 보강 장식층(15)을 형성하며, 천연원석(14)의 외표면을 포함한 시멘트 모르타르층(13)의 외표면에 발수처리층(1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제 1성형체(11)를 대량의 제작하여 비축한 후 필요에 따라 후속 작업으로 완성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제작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보강 장식층(15)과 발수처리층(16)을 통해 건축용벽돌(10)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게 되고 강성 및 발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므로 건축용 벽돌(10)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건축용 벽돌 { a block }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면이나 담장 등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벽돌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일정크기의 천연원석이 벽돌 본체의 외표면에 돌출 설치되는 건축용 벽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방형 등으로 제작되는 건축용 벽돌은 바닥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건물의 벽면이나 담장 등을 축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특히 일정크기의 천연원석이 벽돌 본체의 외표면에 돌출 설치되어 뛰어난 장식미를 갖도록 한 건축용 벽돌에 관계하는 것이다.
상기 건축용 벽돌은 형틀의 내하단에 천연원석을 투입한 후 일정 높이만큼 모래를 채워 넣고 그 상부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부어넣어 일정시간 양생한 후 형틀에서 빼어내어 외표면의 모래를 털어내는 방법이나 형틀을 통해 표면에 요홈을 형성한 후 요홈에 천연원석을 부착하는 방법 등으로 제작되었던 바, 이러한 종래의 제조방법 중 전자의 경우는 양생을 마친 후 외표면에 부착된 모래를 털어내는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후자의 경우 희석 모르타르나 그 밖의 접착물질로 일일이 천연원석을 부착하는 작업이 번거롭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생산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건축용 벽돌은 천연원석을 제외한 벽돌본체에 많은 기공을 생성되기 때문에 방음성과 방습성이 좋지 못할 뿐 아니라 벽돌 본체의 외표면에 값싼 시멘트의 질감이 그대로 나타나게 되고, 자외선을 통한 변색 및 백화현상이 생기기 쉽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축용 벽돌 및 그 제조방법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일정크기의 천연원석이 벽돌 본체의 외표면에 돌출 설치되는 건축용 벽돌을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천연원석을 제외한 벽돌 본체의 외표면에 보다 간편하고도 안전하게 보강 장식층을 형성하여 외표면의 강성과 발수성 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벽돌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은 동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3는 동 실시예의 제 1성형체의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형틀로 제 1성형체를 성형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4b는 제 1성형체의 사다리꼴 요입부에 시멘트 모르타르와 천연원석을 설치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4c는 천연원석의 돌출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한 후 시멘트 모르타르층 시멘트 모르타르층에 표면처리제를 스프레이 뿜칠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4d는 천연원석의 외표면에서 보강 장식층을 벗겨낸 상태의 종단면도
도 4e는 시멘트 모르타르층 및 천연원석 외표면에 발수처리층을 형성한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건축용 벽돌 11 : 제 1성형체
12 : 사다리꼴 요입부 13 : 시멘트 모르타르층
14 : 천연원석 15 : 보강 장식층
16 : 발수처리층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형틀을 통해 표면에 상광하협의 사다리꼴 요입부가 형성되도록 제 1성형체를 제작하고, 제 1성형체의 사다리꼴 요입부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동시에 시멘트 모르타르 표면에 천연원석을 삽입 설치하고 일정시간 양생한 후 천연원석의 돌출 외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한 다음 표면처리제를 시멘트 모르타르층의 외표면에 스프레이 뿜칠하여 건조함으로써 벽돌 본체에 보강 장식층을 형성한 후 천연원석 부위의 보강 장식층을 제거하고, 천연원석의 외표면을 포함한 벽돌 본체의 외표면에 발수처리제를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천연원석의 외표면을 포함한 벽돌 본체의 외표면에 발수처리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및 도 3까지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기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의 건축용 벽돌(10)은 표면에 상광하협의 사다리꼴 요입부(12)가 형성된 제 1성형체(11)의 사다리꼴 요입부(12)에 시멘트 모르타르층(13)을 형성하는 동시에 시멘트 모르타르층(13) 표면에 천연원석(14)을 삽입 설치하고, 천연원석(14)의 돌출 외표면을 제외한 시멘트 모르타르층(13)의 외표면에 보강 장식층(15)을 형성하며, 천연원석(14)의 외표면을 포함한 시멘트 모르타르층(13)의 외표면에 발수처리층(16)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a에서 도 4e까지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건축용 벽돌(10)의 제작공정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의 건축용 벽돌(10)은 형틀(20)을 통해 표면에 상광하협의 사다리꼴 요입부(12)가 형성되도록 제 1성형체(11)를 제작하고, 이 제 1성형체(11)의 사다리꼴 요입부(12)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동시에 시멘트 모르타르 표면에 천연원석(14)을 삽입 설치하고 일정시간 양생한 후 천연원석(14)의 돌출 외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한 다음 표면처리제를 시멘트 모르타르층(13)의 외표면에 스프레이 뿜칠하여 건조함으로써 시멘트 모르타르층(13)에 보강 장식층(15)을 형성한 후 천연원석(14) 부위의 보강 장식층(15)을 제거하고, 천연원석(14)의 외표면을 포함한 시멘트 모르타르층(13)의 외표면에 발수처리제를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천연원석(14)의 외표면과 시멘트 모르타르층(13)의 외표면에 발수처리층(16)을 형성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박리제는 식용유나 그 밖의 식물성 기름, 동물성 기름을포함하는 각종 유성 박리제나 그 밖의 수용성 박리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천연원석은 천연화강석, 대리석, 규석 등의 일반 광석은 물론 직경 25mm 이하의 1종 건자재 및 직경 40mm 이하의 2종 건자재에 해당되지 않아 폐기하여야 하는 직경 40mm 이상의 폐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시멘트 모르타르층(13)의 외표면에 스프레이 뿜칠되는 표면처리제는 백시멘트와 규사를 일정량의 물과 혼합한 형태의 기존의 것이나 천연화강석과 방수성 에멀젼 수지를 혼합한 것, 또는 황토와 방수성 에멀젼 수지를 혼합한 것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발수처리제는 투명도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표면에 사다리꼴 요입부(12)가 형성된 제 1성형체(11)를 대량으로 제작하여 비축한 후 필요할 때마다 제 1성형체(11)에 시멘트 모르타르층(13)과 천연원석(14)을 설치하고, 보강장식층(15)과 발수처리층(16)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완성된 건축용 벽돌(10)을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보강장식층(15)이나 발수처리층(16)을 형성할 때에는 많은 양의 제 1성형체(11)를 서로 밀착시켜 배열한 후 스프레이 뿜칠을 하게 되면 동시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는 보강 장식층(15)의 외표면 및 천연원석(14)의 외표면에 형성된 발수처리층(16)을 통하여 미세구멍을 밀폐할 수 있게 되므로 건축용 벽돌(10)의 표면 발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표면에 사다리꼴 요입부(12)가 형성되도록 형틀(20)로 제 1성형체(11)를 성형한 후 제 1성형체(11)의 사다리꼴 요입부(12)에 시멘트 모르타르층(13) 및 천연원석(14)을 설치하고, 보강 장식층(15) 및 발수처리층(16)을 형성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제 1성형체(11)를 대량의 제작하여 비축한 후 필요에 따라 후속 작업으로 완성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제작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보강 장식층(15)과 발수처리층(16)을 통해 건축용 벽돌(10)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게 되고 강성 및 발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므로 건축용 벽돌(10)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표면에 상광하협의 사다리꼴 요입부(12)가 형성된 제 1성형체(11)의 사다리꼴 요입부(12)에 시멘트 모르타르층(13)을 형성하는 동시에 시멘트 모르타르층(13) 표면에 천연원석(14)을 삽입 설치하고, 천연원석(14)의 돌출 외표면을 제외한 시멘트 모르타르층(13)의 외표면에 보강 장식층(15)을 형성하며, 천연원석(14)의 외표면을 포함한 시멘트 모르타르층(13)의 외표면에 발수처리층(1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벽돌.
KR2020010017863U 2001-06-15 2001-06-15 건축용 벽돌 KR200246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863U KR200246502Y1 (ko) 2001-06-15 2001-06-15 건축용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863U KR200246502Y1 (ko) 2001-06-15 2001-06-15 건축용 벽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718A Division KR20020095578A (ko) 2001-06-15 2001-06-15 건축용 벽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502Y1 true KR200246502Y1 (ko) 2001-10-31

Family

ID=7310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863U KR200246502Y1 (ko) 2001-06-15 2001-06-15 건축용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50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690B1 (ko) * 2009-12-02 2012-07-16 이장현 건축용 벽돌
KR102085504B1 (ko) 2019-04-01 2020-03-05 김교원 스티로폼을 결합한 기능성 벽돌 제조방법
KR102434649B1 (ko) * 2021-10-08 2022-08-24 청진건설(주) 인테리어용 기능성 칼라 벽돌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테리어용 기능성 칼라 벽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690B1 (ko) * 2009-12-02 2012-07-16 이장현 건축용 벽돌
KR102085504B1 (ko) 2019-04-01 2020-03-05 김교원 스티로폼을 결합한 기능성 벽돌 제조방법
KR102434649B1 (ko) * 2021-10-08 2022-08-24 청진건설(주) 인테리어용 기능성 칼라 벽돌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테리어용 기능성 칼라 벽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6502Y1 (ko) 건축용 벽돌
US2007016448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olded products having surface designs
KR20020095578A (ko) 건축용 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90766A (ko) 건축용 벽돌의 표면처리방법
US5520298A (en) Method of decorating concrete
CN112376982A (zh) 密檐式唐塔古建结构及建造方法
KR101165690B1 (ko) 건축용 벽돌
KR100736191B1 (ko) 건축물 내장재
KR100222197B1 (ko) 돌이 부착된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3433A (ko) 나무결 입체 질감을 갖는 건축용 마감판재 및 그 제조방법
DE60130469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tonplatten
JP2000008589A (ja) 外装形成方法
KR19990075851A (ko) 건축용 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200238471Y1 (ko) 다용도 장식재
KR200207481Y1 (ko) 벽돌과 양생접합된 콘크리트 마블성 장식석재
KR19980025216A (ko) 자연석을 이용한 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67749Y1 (ko) 건축자재
KR200219369Y1 (ko) 황토층을 가진 인조석
KR200219693Y1 (ko) 건축물 내`외장용 인조석
KR200290844Y1 (ko)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KR0166990B1 (ko) 자연석 블록의 제조방법
KR100198135B1 (ko) 장식돌이 취부된 시멘트판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1314709A3 (de) Verfahren zum Veredeln der Oberfläche von Bauteilen aus zementgebundenen Baustoffen
KR200353074Y1 (ko) 흙벽돌
KR20220077475A (ko) 보강부재가 구비된 콘크리트 슬래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