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324Y1 - 옥외용 간이 화장실 - Google Patents

옥외용 간이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324Y1
KR200246324Y1 KR2020010015044U KR20010015044U KR200246324Y1 KR 200246324 Y1 KR200246324 Y1 KR 200246324Y1 KR 2020010015044 U KR2020010015044 U KR 2020010015044U KR 20010015044 U KR20010015044 U KR 20010015044U KR 200246324 Y1 KR200246324 Y1 KR 200246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outdoor
microorganisms
side plate
simple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명
Original Assignee
한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명 filed Critical 한재명
Priority to KR2020010015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3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324Y1/ko

Links

Landscapes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분뇨를 분해하기 위한 미생물의 생식과 증식에 필요한 환경조건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며 또한 미생물에 의한 분뇨의 분해속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옥외용 간이 화장실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옥외용 간이 화장실은, 미생물이 혼합된 톱밥과 분뇨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스크류를 분뇨통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옥외용 간이 화장실을 콘크리트로 만들어주면 분뇨통의 내부온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미생물의 생식 및 증식을 크게 유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콘크리트제 옥외용 간이 화장실은 미생물이 분뇨를 분해하며 생식 및 증식을 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마련되는 동시에 분뇨와 미생물을 주기적으로 교반함으로써 분뇨의 분해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면서 항상 쾌적하고 악취가 없게 된다.

Description

옥외용 간이 화장실 {Outdoor Toilets}
본 고안은 옥외용 간이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에 의한 분뇨의 분해속도를 극대화시킴으로써 항시 청결하고 악취가 없는 옥외용 간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간이 화장실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개폐문이 부착된 하우징의 내부에 변기를 설치한 형태의 것으로서, 이는 설치작업 및 이동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공원 혹은 유원지 등의 옥외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지만, 분뇨를 사람이 직접 처리하여야 하므로 분뇨의 처리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처리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특히 여름철에 분뇨가 쌓여 있을 경우에는 심한 악취가 발생하고 비위생적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미생물을 톱밥 등에 혼합한 후에 간이 화장실의 분뇨통에 투입하여 분뇨를 분해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이 경우에는 미생물과 접촉하는 일부의 분뇨만이 서서히 분해되기 때문에 분뇨의 분해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종래의 간이 화장실은 설치 및 이동의 편리성을 위하여 플라스틱 혹은 금속재를 이용하여 하우징을 만들었기 때문에 이러한 간이 화장실을 옥외에 설치한 경우에는 새벽과 한낮의 일교차에 의해 화장실 내부의 온도가 크게 변화하게 되고, 따라서 미생물의 활발한 증식을 유도하는 환경조건을 유지시키기가 무척 어려워서 커다란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분뇨를 분해하기 위한 미생물의 생식과 증식에 필요한 환경조건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며 또한 미생물에 의한 분뇨의 분해속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옥외용 간이 화장실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옥외용 간이 화장실은, 미생물이 혼합된 톱밥과 분뇨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스크류를 분뇨통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즉, 분뇨통의 양 측면에 한 쌍의 측판 슬라브를 각각 연설하고, 이들 측판 슬라브 중에서 어느 하나의 측판 슬라브에는 공간부를 연설하고, 전술한 공간부가 연설되어 있는 측판 슬라브에는 환기관이 연결되는 배출구 및 미생물이 혼합된 톱밥을 상기 분뇨통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형성하여 공간부까지 연장시키고, 이 공간부에는 구동모터 및 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술한 교반 스크류에 전달하여 교반 스크류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설치한 구성인 것이다.
전술한 구동모터는 타이머에 연결되어서 이 타이머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회전주기 및 회전시간에 따라 교반 스크류를 작동시킴으로써 미생물이 혼합된 톱밥과분뇨를 주기적으로 혼합하여 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옥외용 간이 화장실의 하우징을 버섯 모양 또는 초가집 모양으로 만들어주면 이용자들에게 친근감을 주고 옥외의 분위기와 어울리는 환경 친화적인 화장실이 제공된다.
더욱이, 전술한 분뇨통, 측판 슬라브 및 공간부를 콘크리트로 만들어주면 분뇨통의 내부온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미생물의 생식 및 증식을 크게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분뇨통, 측판 슬라브 및 공간부는 제작시간 및 제작비용의 절감을 위해서 하나의 금형에 의해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운반의 편리성을 위해서 각각의 금형에 의해 제작한 후에 시공현장에서 적당한 연결부재로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콘크리트제 옥외용 간이 화장실은 미생물이 분뇨를 분해하며 생식 및 증식을 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마련되는 동시에 분뇨와 미생물을 주기적으로 교반함으로써 분뇨의 분해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면서 항상 쾌적하고 악취가 없는 화장실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옥외용 간이 화장실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옥외용 간이 화장실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옥외용 간이 화장실의 상부에 개폐문이 부착된 하우징을 설치한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옥외용 간이 화장실의 상부에 다른 형태의 하우징을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옥외용 간이 화장실 3 : 분뇨통
5 : 분뇨 유입구 7a, 7b : 측판 슬라브
9 : 고정용 홈 11 : 교반 스크류
13 : 축(shaft) 15 : 배출구
17: 투입구 19 : 공간부
21 : 개구부 30 : 구동모터
31 : 제1 풀리 33 : 제2 풀리
35 : 벨트 37 : 타이머
40 : 변기 50, 60 : 하우징
70 : 환기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간이 화장실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 화장실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내부 구조가 드러나 보이도록 일부 면이 절개되어 있다)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간이 화장실의상부에 개폐문이 부착된 하우징을 설치한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 화장실의 상부에 다른 형태의 하우징을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간이 화장실(1)은 분뇨통 (3)이 있고, 분뇨통(3)의 상면 중앙에는 분뇨유입구(5)가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분뇨통(3)의 양 측면에는 측판 슬라브(7a)(7b)가 각각 연설되어 있는데 이들 측판 슬라브(7a)(7b)는 그 상면이 분뇨유입구(5)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분뇨통(3)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측판 슬라브(7a)(7b)의 상면에는 다수의 고정용 홈(9)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측판 슬라브(7a)에는 분뇨통(3)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 및 미생물이 혼합된 톱밥을 분뇨통(3)에 투여하거나 분뇨통(3)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17)가 형성되어 있다.
분뇨통(3)의 내부에는 교반 스크류(攪拌 screw)(도면에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음)(1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교반 스크류(11)의 축(13)의 양 단부는 전술한 측판 슬라브(7a)(7b)의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다. 교반 스크류(11)는, 미생물이 혼합된 톱밥이 분뇨통(3)의 내부에 투입되었을 때에 미생물과 분뇨를 함께 교반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배출구(15)와 투입구(17)가 있는 측판 슬라브(7a)에는 공간부(19)가 연설되어 있는데, 공간부(19)의 일면은 개구되어 출입문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내부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공간부(19)의 내부에는 교반 스크류(11)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는데, 이 구동장치는 구동모터(30)와, 구동모터(30)의 회전로드에 부착된 제1 풀리(31)와, 교반 스크류(11)의 축(13)의 종단부에 설치된 제2 풀리(33)와, 제1 풀리 (31)와 제2 풀리(33)의 사이를 연결하는 벨트(35)와, 구동모터(30)의 회전주기 및 회전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37)로 구성된다. 구동모터(30)는 타이머(37)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회전주기 및 회전시간에 따라 작동되어 제2 풀리(33), 벨트(35), 제1 풀리(31)를 따라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교반 스크류(11)를 회동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장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제1 및 제2 풀리(31)(33)를 스프로켓으로 대체하고 벨트 (35)를 체인으로 대체하여 구동모터(30)의 회전운동을 교반 스크류(11)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분뇨통(3), 측판 슬라브(7a)(7b) 및 공간부(19)는 외부 환경에 비교적 변화가 적은 콘크리트에 의해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작시간 및 제작비용의 절감을 위해서 하나의 금형(즉, 거푸집)에 의해 제작하거나 혹은 운반의 편리성을 위해서 각각의 금형에 의해 제작한 후에 시공현장에서 적당한 연결부재로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분뇨통(3), 교반 스크류(11), 측판 슬라브(7a)(7b), 공간부(19) 및 구동장치가 구비되면, 변기(40)가 안치된 바닥판(41)(도 3 및 도 4 참조)을 측판 슬라브(7a)(7b)와 분뇨 유입구(5)의 상면에 재치시키고 고정용 홈(9)에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이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변기(40)는 당연히 분뇨유입구(5)의 바로 위에 설치된다. 배출구(15)에는 환기관(70)이 연결되어 분뇨통 (3)의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41)의 상부에 버섯 모양의 하우징(50) 또는 초가집 모양의 하우징(60)을 안치하면 이용자들에게 친근감을 주고 옥외의 분위기와 어울리는 환경 친화적인 화장실이 완성된다.
참조부호(80)은 옥외 화장실을 출입하기 위한 다리형태의 통로를 예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간이 화장실은 미생물이 혼합된 톱밥과 분뇨가 교반 스크류의 회동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교반되기 때문에 분뇨의 분해속도가 빠르며, 특히 종래의 간이 화장실의 주재(主材)인 플라스틱재 혹은 금속재의 대신에 콘크리트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분뇨통의 내부온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미생물의 생식 및 증식을 크게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옥외용 간이 화장실은 미생물이 용이하게 생식 및 증식하여 분뇨를 분해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이 마련되고, 교반 스크류의 주기적인 회동에 의해서 분뇨와 미생물이 주기적으로 교반 및 혼합되기 때문에 분뇨의 분해속도를 더욱 향상시키면서 또한 항상 쾌적하고 악취가 없게 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상면에 분뇨 유입구(5)를 가진 분뇨통(3)과 상기 분뇨 유입구(5)의 상부에 안치되는 변기(40) 및 상기 변기(40)를 외부로부터 가려주는 하우징을 구비한 옥외용 간이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분뇨통(3)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측판 슬라브(7a)(7b)가 각각 연설되고,
    상기 측판 슬라브(7a)(7b) 중에서 하나의 측판 슬라브(7a)에는 공간부(19)가 연설되고,
    상기 측판 슬라브(7a)에는 환기관(70)이 연결되는 배출구(15) 및 미생물이 혼합된 톱밥을 상기 분뇨통(3)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7)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9)까지 연장되고,
    상기 분뇨통(3)의 내부에는 상기 미생물이 혼합된 톱밥과 분뇨를 혼합하기 위한 교반 스크류(1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19)에는 구동모터(30) 및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 상기 교반 스크류(11)에 전달하여 상기 교반 스크류(11)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간이 화장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30)는 타이머(37)에 연결되어서 상기 타이머(37)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회전주기 및 회전시간에 따라 상기 교반 스쿠류(11)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미생물이 혼합된 톱밥과 상기 분뇨를 주기적으로 혼합하여 주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간이 화장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환경친화적인 버섯 모양의 하우징(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간이 화장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환경친화적인 초가집 모양의 하우징(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간이 화장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통(3), 상기 측판 슬라브(7a)(7b) 및 상기 공간부(19)가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간이 화장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통(3), 상기 측판 슬라브(7a)(7b) 및 상기 공간부(19)가 하나의 금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간이 화장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통(3), 상기 측판 슬라브(7a)(7b) 및 상기 공간부(19)가 별개의 금형에 의해 개별적으로 형성되어서 현장에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간이 화장실.
KR2020010015044U 2001-05-22 2001-05-22 옥외용 간이 화장실 KR200246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044U KR200246324Y1 (ko) 2001-05-22 2001-05-22 옥외용 간이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044U KR200246324Y1 (ko) 2001-05-22 2001-05-22 옥외용 간이 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324Y1 true KR200246324Y1 (ko) 2001-10-29

Family

ID=7306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044U KR200246324Y1 (ko) 2001-05-22 2001-05-22 옥외용 간이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3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617B1 (ko) 2019-02-20 2019-11-13 주식회사 블루텍 미생물을 이용한 소멸식 화장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617B1 (ko) 2019-02-20 2019-11-13 주식회사 블루텍 미생물을 이용한 소멸식 화장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94199A1 (en) Treatment apparatus for excrement and a bio-toilet using the same and a treatment method for decomposing excrement
CN110754985A (zh) 一种智能微生物马桶
CN201409867Y (zh) 一种无水型生态环保厕所
CN102482630B (zh) 改进的基于可生物降解废物的生物沼气化设备
CN100415147C (zh) 一种免水冲生态厕所
KR200246324Y1 (ko) 옥외용 간이 화장실
CN110772156B (zh) 一种槽轮式电动免冲洗干湿混合型旱厕
CN104644038A (zh) 一种防臭免冲洗公厕
KR20110009269U (ko) 배설물 처리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친환경 화장실 설비
CN110833352A (zh) 一种电能无水生态自动出肥厕所
CN2520822Y (zh) 用微生物菌降解粪便的环保卫生用具
CN115231791A (zh) 一种含有微生物降解球的装配式公厕降解用智能控制系统
CN109893015A (zh) 一种免水免电零排放生态环保厕所
JP5129787B2 (ja) バイオトイレ
KR200320394Y1 (ko) 옥외용 화장실
CN2432878Y (zh) 一种免冲式厕所
CN111603969A (zh) 高效搅拌机构以及使用该机构的环保坐便器
KR200211134Y1 (ko) 간이 화장실
JP2006057417A (ja) 可搬式簡易トイレ
CN211511597U (zh) 一种智能微生物马桶
CN209685540U (zh) 一种微生物环保电动分解装置
CN212283734U (zh) 高效搅拌机构以及使用该机构的环保坐便器
CN204445653U (zh) 一种防臭免冲洗公厕
CN205346977U (zh) 粪便处理系统及具有其的生态厕所
KR200303080Y1 (ko) 고속건조 발효식 화장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