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300Y1 - 발광(發光)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발광(發光)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300Y1
KR200246300Y1 KR2020010012231U KR20010012231U KR200246300Y1 KR 200246300 Y1 KR200246300 Y1 KR 200246300Y1 KR 2020010012231 U KR2020010012231 U KR 2020010012231U KR 20010012231 U KR20010012231 U KR 20010012231U KR 200246300 Y1 KR200246300 Y1 KR 200246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ase
emitting means
cosmetic cas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홍영
Original Assignee
유홍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홍영 filed Critical 유홍영
Priority to KR2020010012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300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發光)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통상의 화장품 케이스의 적정위치에 전구나 다이오드 등의 발광수단을 구비하므로서 주로 여성들이 야간에 화장을 할 경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은 케이스(10)를 이루는 본체(11)의 내부에 내용물(12)이 내장되고, 상부에는 뚜껑(15)이 걸림수단으로 취부된 화장품 케이스(10)에 있어서,
본체(11)의 내부 내용물(12)이 내장된 가장자리부에는 수개의 전구나 다이오드 등의 발광수단(20)을 결합하고, 일측에는 상기 발광수단(20)을 작동할 수 있는 스위치(21)를 구비하며, 저면측에는 커버(23)에 의해 전지(22)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배선하므로서 주로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 등에서 점등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발광(發光)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luminescence cosmetic case}
본 고안은 발광(發光)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통상의 화장품 케이스의 적정위치에 전구나 다이오드 등의 발광수단을 구비하므로서 주로 여성들이 어두운 장소나 야간에 화장을 할 경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 화장품은 여성들이 주로 사용하게 되는 바, 근래에 들어서는 화장품의 사용용도가 다양하여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의 경우도 화장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상기와 같은 화장품은 아름다움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그 용도에 따라 콤팩트, 립스틱, 화운데이션, 아이새도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화장품 케이스의 경우 대부분 케이스의 내부에 화장품을 내장하고, 가정에 비치하거나 간편하게 휴대하게 되며, 사용시에는 뚜껑을 열고 사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주간에는 주위가 밝기 때문에 별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주위가 어두운 밀실이거나 야간의 경우 화장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조명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화장품 케이스의 경우는 별도의 발광기능이 부재하여 야간이나 비교적 어두운 장소에는 직접적으로 조명이 구비된 한정된 장소에서만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명이 구비된 곳이라 할지라도 어두워야 할 경우는 타인에게 방해를 주게 된다.
즉, 어두운 곳이나 야간의 경우 조명이 없어야 할 경우 조명을 하게 되면 주위로부터 방해를 하게 되고, 조명이 구비되지 못한 장소 등에서는 사용을 할 수가 없게 되어 부득히 감각 내지는 느낌으로 화장을 하게 되어 자칫 목적으로 하는 화장의 아름다움을 나타내지 못하고 잘못 화장을 하게 되어 원래 목적으로 하는 바를 달성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화장품은 화장품 단일의 기능 이외에는 다른 부가적인 기능이 없으므로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 갈 경우는 별도의 플레쉬나 조명기구를 휴대하여야 하므로 사용에 있어서 편의성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따랐으며, 단일의 화장품으로서 다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할 것으로, 본 고안은 통상의 화장품 케이스의 적정위치에 발광기능을 할 수 있는 전구나 다이오드 등 발광수단을 결합하므로서 별도 마련된 전지에 의해 상기 발광수단이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발광되거나 점멸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주로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 등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이 내장된 화장품 케이스의 상부에는 뚜껑이 설치되어 걸림턱과 본체의 걸림홈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하고, 상기 뚜껑을 작동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작동구가 결합되며, 본체의 내부에는 화장을 하기 위한 내용물이 내장되어 있는 통상의 화장품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용물이 내장된 가장자리부의 적정위치에는 수개의 전구나 다이오드 등의 발광수단을 결합하고, 하부측에는 전지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커버를 결합하므로서 구성하며, 본체의 적정위치에는 상기 발광수단이 발광할 수 있도록 스위치를 구비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본 고안의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 용이하게 점등하여 조명을 비친 상태에서 화장을 할 수 있게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어두운 장소에서 조명을 사용하는 플레쉬 등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단일의 물품으로서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형상의 화장품 케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또다른 형상의 화장품 케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본체
12 : 내용물 13 : 작동구
14 : 걸림홈 15 : 뚜껑
16 : 걸림턱
20 : 발광수단 21 : 스위치
22 : 전지 23 : 커버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방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본체(11)의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12)이 내장된 상태에서 일측에 걸림턱(16)이 형성된 뚜껑(15)이 각운동 가능하게 취부되고, 타측에는 걸림홈(14)이 형성되어 작동구(13)를 작동함에 따라 뚜껑(15)의 걸림턱(16)이 걸리거나 분리될 수 있게 하여 뚜껑(15)을 본체(11)로 부터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게 구성한 화장품 케이스(10)로서, 이러한 화장품 케이스(10)는 일반적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본체(11)의 내부 내용물(12)이 내장된 가장자리부에는 수개의 전구나 다이오드 등의 발광수단(20)을 결합하고, 일측에는 상기 발광수단(20)을 작동할 수 있는 스위치(21)를 구비하며, 저면측에는 커버(23)에 의해 전지(22)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배선하므로서 주로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 등에서 점등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물론 상기 케이스(10)와 뚜껑(15)은 반투명이나 완전투명 재질로 구성하여 발광수단이 점등될 경우 내용물(12)의 식별이 용이함은 물론 발광수단(20)과 전지(22) 및 내용물(12)은 사용후 소진될 경우 교체 사용할 수 있게 교환형으로 구성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함이 타당하고, 발광수단(20) 역시 점등시 화장을 할 수 있을 정도의 밝기가 보장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고안은 화장품 케이스(10)의 적정위치에 발광기능을 할 수 있는 전구나 다이오드 등 발광수단(20)을 결합하므로서 별도 마련된 전지(22)에 의해 상기 발광수단(20)이 스위치(21)의 작동에 의해 발광되거나 점멸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주로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 등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12)이 내장된 화장품 케이스(10)의 상부에는 뚜껑(15)이 설치되어 걸림턱(16)과 본체(11)의 걸림홈(14)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하고, 상기 뚜껑(15)을 작동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작동구(13)가 결합되고, 본체(11)의 내부에는 화장을 하기 위한 내용물(12)이내장되어 있는 통상의 화장품 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내용물(12)이 내장된 가장자리부의 적정위치에는 수개의 전구나 다이오드 등의 발광수단(20)을 결합하고, 하부측에는 전지(22)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커버(23)를 결합하므로서 구성하며, 본체(11)의 적정위치에는 상기 발광수단(20)이 발광할 수 있도록 스위치(21)를 구비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본 고안의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 용이하게 점등하여 조명을 비친 상태에서 화장을 할 수 있게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어두운 장소에서 조명을 사용하는 플레쉬 등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단일의 물품으로서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구성에 따른 사용방법과 작용상의 효과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을 이용하여 주간 등 주위가 밝을 경우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즉 본체(11)의 걸림홈(14)에 결합된 뚜껑(15)의 걸림턱(16)을 분리하면 되고, 이 경우는 본체(11)의 전방측에 구비된 작동구(13)를 누르게 되면 걸림홈(14)에 끼움 결합된 뚜껑(15)의 걸림턱(16)이 분리되어 뚜껑(15)을 개방한 상태에서 일반적인 화장품의 사용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야간이나 주위가 어두운 장소 등에서 본 고안의 화장품을 이용하여 화장을 할 경우는 본체(11)의 작동구(13)를 작동하게 되면 걸림홈(14)에 결합된 뚜껑(15)의 걸림턱(16)은 작동구(13)에 의해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뚜껑(15)을 개방하게 되면 뚜껑(15)은 본체(11)로부터 각운동하여 개방되고, 조명이 필요할 경우는 본체(11)의 적정위치에 취부되어 있는스위치(21)를 작동하게 되면 상기 스위치(21)와 배선되어 있는 전구나 다이오드 등의 발광수단(20)이 점등된다.
발광수단(20)이 점등됨에 따라 주위가 밝아져 용이하게 화장을 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케이스(10)를 이루는 본체(11)와 뚜껑(15)은 투명재질이나 반투명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조명의 밝기를 증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12)의 종류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야간에 화장을 하는 도중 화장품을 잘못 선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발광수단(20)은 주로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안출하므로서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한 충분한 밝기의 조도를 갖는 발광수단(20)을 선택함은 당연하다.
본 고안은 사용도중 발광수단(20)과 내용물(12) 및 전지(22) 등이 소진될 경우는 이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교환타입으로 구성하여 각각 사용이 완료된 발광수단(20)이나 내용물(12) 또는 전지(22) 등을 교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고안은 케이스(10)를 이루는 본체(11)와 뚜껑(15)을 투명재질이나 반투명재질로 구성하므로서 발광수단(20)이 점등될 경우 내용물(12)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잘못 선택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내용물(12)의 잔량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도중 교환시기를 외부에서 확인하는 장점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케이스(10)에 취부된 스위치(21)를 별도 작동하는 타입으로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센서 등을 취부하여 자동으로 점등될 수 있게 할 수도 있고 주위의 밝기에 따라 어느정도의 조명이 변화되면 자동으로 점멸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저면에 취부되는 전지(22)와 커버(23)는 기존 화장품 케이스(10)의 본체(11) 규격을 변화하지 않고도 적정의 여백부에 취부하므로서 부피나 무게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소기의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장품 케이스(10)의 적정위치에 발광기능을 할 수 있는 전구나 다이오드 등 발광수단(20)을 결합하므로서 별도 마련된 전지(22)에 의해 상기 발광수단(20)이 스위치(21)의 작동에 의해 발광되거나 점멸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주로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 등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12)이 내장된 화장품 케이스(10)의 상부에는 뚜껑(15)이 설치되어 걸림턱(16)과 본체(11)의 걸림홈(14)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하고, 상기 뚜껑(15)을 작동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작동구(13)가 결합되며, 본체(11)의 내부에는 화장을 하기 위한 내용물(12)이 내장되어 있는 통상의 화장품 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내용물(12)이 내장된 가장자리부의 적정위치에는 수개의 전구나 다이오드 등의 발광수단(20)을 결합하고, 하부측에는 전지(22)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커버(23)를 결합하므로서 구성하며, 본체(11)의 적정위치에는 상기 발광수단(20)이 발광할수 있도록 스위치(21)를 구비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본 고안의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 용이하게 점등하여 조명을 비친 상태에서 화장을 할 수 있게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어두운 장소에서 조명을 사용하는 플레쉬 등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단일의 물품으로서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므로서 각종 발광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로서 그 기대되는 효과가 대단히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2)

  1. 케이스(10)를 이루는 본체(11)의 내부에 내용물(12)이 내장되고, 상부에는 뚜껑(15)이 걸림수단으로 취부된 화장품 케이스(10)에 있어서,
    본체(11)의 내부 내용물(12)이 내장된 가장자리부에는 수개의 전구나 다이오드 등의 발광수단(20)을 결합하고, 일측에는 상기 발광수단(20)을 작동할 수 있는 스위치(21)를 구비하며, 저면측에는 커버(23)에 의해 전지(22)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배선하므로서 주로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 등에서 점등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와 뚜껑(15)은 반투명 또는 투명으로 구성하고, 발광수단(20)과 전지(22) 및 내용물(12)은 교환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2020010012231U 2001-04-27 2001-04-27 발광(發光)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200246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231U KR200246300Y1 (ko) 2001-04-27 2001-04-27 발광(發光)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231U KR200246300Y1 (ko) 2001-04-27 2001-04-27 발광(發光)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247A Division KR20010069652A (ko) 2001-04-25 2001-04-25 발광(發光)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300Y1 true KR200246300Y1 (ko) 2001-10-12

Family

ID=7310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231U KR200246300Y1 (ko) 2001-04-27 2001-04-27 발광(發光)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3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5833B2 (ja) 両側照明モジュールを有するフラッシュライトと照明後部
US7566140B2 (en) Self illuminating belt buckle
US20060250785A1 (en) Logo illuminating device
KR101377120B1 (ko) 터치에 의한 발광기능을 갖는 색조화장품 케이스
KR20100007721U (ko) 조명 기능을 갖는 화장품용 컴팩트
KR200260980Y1 (ko) 조명수단을 가진 모자용 차양
KR200246300Y1 (ko) 발광(發光)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US7481548B2 (en) Portable case
KR20010069652A (ko) 발광(發光)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US20050152133A1 (en) Integrated greeting message and lighted jewelry box
US20050002181A1 (en) Illuminated cosmetic case structure
KR200420101Y1 (ko) 낚시용 태클박스
JP2002083501A (ja) 携帯型ライトと簡易ランタン
CN109140289A (zh) 室内照明灯
KR200402965Y1 (ko)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JP4075399B2 (ja) 照明装置
KR100557783B1 (ko)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KR200319262Y1 (ko) 조명장치를 갖는 화장품
US20170164706A1 (en) Lighted Purse
KR200260209Y1 (ko) 백열전구를 장착한 휴대용 콤팩트
CN214861124U (zh) 一种发光骰盅
JP3102645U (ja) 宝飾品ケース
ITBO20090060U1 (it) Pulsante luminoso
KR200263158Y1 (ko) 발광 인형완구
KR200391449Y1 (ko) 조명이 부가된 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