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265Y1 -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265Y1
KR200245265Y1 KR2020010015655U KR20010015655U KR200245265Y1 KR 200245265 Y1 KR200245265 Y1 KR 200245265Y1 KR 2020010015655 U KR2020010015655 U KR 2020010015655U KR 20010015655 U KR20010015655 U KR 20010015655U KR 200245265 Y1 KR200245265 Y1 KR 2002452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purified water
reservoi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남
Original Assignee
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남 filed Critical 서남
Priority to KR2020010015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2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2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265Y1/ko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떨어지는 정화수를 거쳐 공기 중에 혼합된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정화하여 깨끗한 공기의 공급은 물론 습도를 유지하여 청결한 실내 공간을 제공하는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이다. 이는 일정한 면적으로 균일하게 물줄기를 낙하시키고 공기를 통과시켜 순환킴으로서 공기 중에 혼합된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자연정화하여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고, 실내의 습도를 유지하고, 수중의 세균 서식을 방지하여 청결한 실내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떨어지는 정화수가 물소리를 발생시켜 마치 비가 내리는 것과 같은 청각적인 효과를 제공하고, 이러한 물소리를 나지 않도록 저수조의 내부에 방음수단을 설치하여 특히, 야간 취침 시에 물소리가 나지 않게 하여 공기정화 및 습도유지는 물론 조용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DEVICE FOR USEING AIR PURIFY FOR PURIFICATION WATER}
본 고안은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떨어지는 정화수를 거쳐 공기 중에 혼합된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정화하여 깨끗한 공기의 공급은 물론 습도를 유지하여 청결한 실내 공간을 제공하는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유해물질들은 주로 실내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에 흡입되고, 호흡기관에 쌓이는 먼지는 크기에 따라 침투되는 위치가 각각 다르며, 이것은 인간의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주로 일정 크기의 먼지들은 코의 점막 등에 포집되어 호흡기관 상부에 쌓여서 사람들의 불쾌지수를 높이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고 더 나아가서는 건초열, 천식 등으로 호흡을 방해하고 고통을 주게 된다. 또한 작은 입자의 먼지들은 호흡기관하부와 폐에 침전되어 호흡기 계통에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근래에 들어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인류는 풍요로운 생활을 누리게 된 반면 이에 수반하여 환경오염에 따른 대기오염 문제가 심각히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국내 공개 실용신안공개번호 제1998-063913호(명칭: 다목적 공기정화 및 가습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고 그 기술 내용이 상세히 기술되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냉각수가 펌프로부터 파이프형태의 분무관을 통해 강제 분사되는데, 이러한 냉각수의 분사범위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전반적인 순환 공기의 정화가 어려우며, 냉각수의 분사면적이 균일하지 못하여 순환되는 공기의 흐름이 냉각수의 분사 밀도가 떨어지는 공간으로 쏠리면서 흐름이 발생하고, 이는 공기의 흐름이 불균일해짐은 물론 공기의 정화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정화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또한, 물을 분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다량의 미세한 물 알갱이가 정화된 공기와 함께 배출됨으로서 실내에 과도한 습도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단점이 예상된다. 그리고, 물이 분사되면서 과도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한 면적으로 균일하게 물줄기를 낙하시키고 공기를 통과시켜 순환킴으로서 공기 중에 혼합된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자연정화하여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는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목적은 수중의 세균 서식을 방지하고 실내의 습도를 유지하여 청결한 실내 공간을 제공하는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기의 정화 및 습도유지는 물론 떨어지는 물소리를 나지 않도록 하여 조용한 실내 분위기를 제공하는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수조에 물을 순환 공급하는 모터펌프와 양측의 개방구를 통해 공기를 상기 저수조의 내부로 순환시키는순환팬이 설치된 통상의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상부에 다수개의 구멍이 뚫린 차단판이 설치되어져 상기 차단판의 위로 공급된 물이 상기 구멍들을 통해 상기 저수조의 바닥으로 떨어지며; 상기 저수조에는 정화수를 살균하는 살균기와, 바닥에 원적외선 방사체가 담겨져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중앙에서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저수조 12: 입구
14: 출구 16: 순환관
18: 배수관 20: 차단판
21: 돌출부 22: 구멍
24: 모터펌프 28: 공급관
30: 여과망 32: 살균기
34: 방사체 36: 도어
40: 방음수단 42: 유도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구성은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저수조(10)와, 상기 저수조(10)에는 정화수를 순환 공급하는 모터펌프(24)와, 양측부에 개방된 공기통로 즉 입구(12)와 출구(14)와, 배수구(18)와, 상기 입구(12)에는 공기를 상기 저수조(10)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팬(1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0)의 상부에는 차단판(20)이 설치되고, 상기 차단판(20)에는 다수개의 구멍(22)이 뚫려 있다.
상기 저수조(10)는 차단판(20)의 상부에 자외선을 발산하여 세균 등의 유해균을 살균하는 살균기(32)가 설치되고, 바닥에는 일정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방사체(34)가 담겨져 사용되는 정화수의 살균작용 및 수질의 신선도를 향상시킨다.상기 방사체(34)는 바람직하게는 바이오세라믹, 천연옥, 맥반석, 게르마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저수조(10)의 일측에는 일측부가 개방된 별도의 공간부를 마련하여 상기 모터펌프(24)가 설치되고 개방부에는 여과망(30)이 설치된다.
상기 차단판(20)의 밑면에는 상기 구멍(22)을 통해 떨어지는 정화수(50)가 다른 구멍(22)의 정화수(50)와 썩이지 않게 떨어지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그 흐름을 유도하는 돌출부(2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1)는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멍(22)의 일측부에 끝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멍(22)의 양측부 또는 중공관 형태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저수조(10)는 하단부에 지지대가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덮개를 덮어서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고, 내부가 보이도록 하여 그림, 사진 등의 배경인쇄물을 부착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모터펌프(24)는 저수조(10)의 하부와 배관 연결되어져 흡입된 정화수가 공급관(28)을 통해 상기 차단판(20)의 상부로 공급되고, 상기와 같이 공급된 정화수는 상기 구멍(22)들을 통해 상기 저수조(10)의 바닥으로 떨어져서 순환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구멍(22)을 통해 떨어지는 정화수는 구멍(22)을 크기를 작게하여 물방울 형태, 또는 연속적인 물줄기 형태로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순환팬(16)이 작동하여 공기를 흡입하면 상기 여과망(30)을 거쳐서 1차 여과된 공기가 저수조(10) 내부로 순환되고, 상기 구멍(22)들을 통해 떨어지는 정화수(50)를 거쳐 정화된 공기가 배출된다.
본 고안의 공기정화기는 정화수(50)를 지나며 정화된 공기에 수분이 함유되어져 습도를 유지함은 물론 상기 정화수(50)가 물소리를 발생시켜 마치 비가 내리는 것처럼 청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그런데, 이러한 물소리를 방지하고 할 때, 특히 야간 취침 시에는 상기 저수조(10)의 내부에 상기 구멍(22)을 통해 떨어지는 정화수(50)가 유도부(42)를 타고 흐르도록 하는 방음수단(40)을 설치하여 물소리가 나지 않게 한다.
도 2는 도 1의 A - 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상기 방음수단(40)은 도 2에서처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된 다수개의 유도부(42)를 이루어져 그 사이로 공기가 통과되며, 상기 정화수(50)는 유도부(42)를 타고 자연스럽게 바닥으로 흘러내린다. 상기 저수조(10)는 방음수단(40)이 통과되도록 일측방으로 개방된 개방구가 마련되고,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도어(36)가 설치된다. 상기 유도부(42)는 항균소재이고, 바람직하게는 테두리가 프레임으로 지지되어 펼쳐진 항균천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저수조 내부를 순환되는 공기가 떨어지는 정화수를 지나면서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자연정화되고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여 청결한 실내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정화수를 지나며 정화된 공기에 수분이 함유되어져 적절한 실내습도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자외선을 발산하여 세균 등의 유해균을 살균하는 살균기 및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바이오세라믹 등의 방사체가 구비되어져 사용되는 정화수의 살균작용은 물론 수질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떨어지는 정화수가 물소리를 발생시켜 마치 비가 내리는 것과 같은 청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물소리를 나지 않도록 저수조의 내부에 방음수단을 설치하여 특히, 야간 취침 시에 물소리가 나지 않게 하여 공기정화 및 습도유지는 물론 조용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저수조(10)에 물을 순환 공급하는 모터펌프(24)와 양측의 개방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저수조(10)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팬(16)이 설치된 통상의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0)는 상부에 다수개의 구멍(22)이 뚫린 차단판(20)이 설치되어져 상기 차단판(20)의 위로 공급된 정화수(50)가 상기 구멍(22)들을 통해 상기 저수조(10)의 바닥으로 떨어지며;
    상기 저수조(10)에는 정화수(50)를 살균하는 살균기(32)와, 바닥에 원적외선 방사체(34)가 담겨져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20)에는 구멍(22)을 통해 떨어지는 정화수(50)의 흐름을 유도하는 돌출부(2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0)는 내부에 상기 구멍(22)을 통해 떨어지는 정화수(50)가 유도부(42)를 타고 흐르도록 하는 방음수단(4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수단(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부(42)가 일정 간격으로 경사지게 다수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20010015655U 2001-05-28 2001-05-28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02452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655U KR200245265Y1 (ko) 2001-05-28 2001-05-28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655U KR200245265Y1 (ko) 2001-05-28 2001-05-28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265Y1 true KR200245265Y1 (ko) 2001-10-15

Family

ID=73065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655U KR200245265Y1 (ko) 2001-05-28 2001-05-28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2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657B1 (ko) 2009-01-05 2011-10-07 이종래 전동차에 설치되는 지하철 터널의 공기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657B1 (ko) 2009-01-05 2011-10-07 이종래 전동차에 설치되는 지하철 터널의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593637U (zh) 室内空气消毒净化器
WO2016200047A1 (ko) 오염 공기 살균 및 정화 부재가 구비된 천정 부착 복합 기능 선풍기
US20060177356A1 (en) Positive pressure air purification and conditioning system
KR100707499B1 (ko) 제습,가습 및 공기정화 겸용 복합기
KR102123794B1 (ko) 이끼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20020073330A (ko) 건물 또는 폐쇄 공간 내의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및 장치
SE512523C2 (sv) Anordning för förbättring av kavaliten hos inomhusluft, innefattande bladväxter placerade i hölje genom vilket luften får strömma
CN109237652A (zh) 一种带有新风系统的空气净化装置
US7635401B2 (en) Adjustable air flow ventilation device and system
KR20200018057A (ko) 워터 커튼 형성을 위한 분무 노즐과 구멍이나 바 타입 워터받이 샤워, 초음파 진동자, 자외선램프, 탈취 필터, 방범 및 방충기능 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공기청정기
TW200408789A (en) Air clean apparatus
KR101034868B1 (ko) 지능형 다단 수처리 방식의 공기정화 살균 가습장치
KR100250160B1 (ko) 관상어수조를 이용한 수경재배 및 정화장치
CN104613551B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0609477B1 (ko)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CN108644959A (zh) 厕卫用智能空气净化除臭系统
KR200245265Y1 (ko) 정화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0718249B1 (ko) 모듈형 공기정화장치
KR101999794B1 (ko)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KR100635515B1 (ko) 송풍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공기청정시스템
KR100209822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가습기
KR200308486Y1 (ko) 공기청정기를 갖는 침대
CN1566817A (zh) 一种改善室内居住生态环境的方法
CN205593085U (zh) 新风智能生态净化器
KR200262744Y1 (ko)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