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226Y1 - Block for retaining wall - Google Patents

Block for retaining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226Y1
KR200245226Y1 KR2020010012056U KR20010012056U KR200245226Y1 KR 200245226 Y1 KR200245226 Y1 KR 200245226Y1 KR 2020010012056 U KR2020010012056 U KR 2020010012056U KR 20010012056 U KR20010012056 U KR 20010012056U KR 200245226 Y1 KR200245226 Y1 KR 200245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upper support
wall structur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0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한
Original Assignee
세진콘크리트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진콘크리트공업(주) filed Critical 세진콘크리트공업(주)
Priority to KR2020010012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22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226Y1/en

Links

Abstract

제방이나, 방파제 또는 도로 등의 측벽을 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옹벽 블럭(200)과 연결 블럭(200)을 개시한다. 이러한 연결블럭(200)은 하부지지체(210)와, 상기 하부 지지체에서 소정 길이 절곡된 상부지지체(2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옹벽 블럭은 머리부(110), 상기 머리부(110) 배면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 지지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구(122)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체(2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측면에 수용홈(123)이 형성된 목부(120), 및 상기 목부(120) 배면과 연결된 몸통부(1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지지체(220)는 일측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구(122)의 후방 접면은 상기 수용홈의 후방 접면과 실질적으로 동일면상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동일한 종류의 옹벽 블럭과 하나의 동일한 연결블럭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수직축조 및 후퇴축조를 할 수 있다.A retaining wall block 200 and a connection block 200 used to construct a sidewall of a dike, breakwater, road or the like are disclosed. The connection block 200 includes a lower support 210 and an upper support 220 bent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support.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is connected to the head 110, the back of the head 110, the insertion hole 122 is formed so that the lower support can be fitted and accommodated on the side so that the upper support 220 can be received A neck portion 120 having a groove 123 is formed, and a body portion 130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neck portion 120. Here, the upper support 220 may be bent to one side, the rear contact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22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substantially the rea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vertical construction and retreat construction using one same type of retaining wall block and one same connection block.

Description

보강토 옹벽 블럭 {Block for retaining wall}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Block for retaining wall}

본 고안은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제방, 방파제 또는 도로 등의 측벽을 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옹벽 블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aining wall block used to build sidewalls of embankments, breakwaters or roads.

일반적으로 제방이나 방파제 또는 도로 측벽에 형성된 토사는 쉽게 전단되거나 외압에 의하여 쉽게 변형된다. 이와 같이 제방이나 도로 측벽이 토압에 의하여 변형 또는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제방 등의 측벽에 석재나 콘크리트 등으로 된 블럭을 이용하여 옹벽 구조물을 축조한다. 이러한 옹벽 구조물에는 보강토 옹벽 공법, 중력식이나 핀형 또는 앵커형 공법 등이 있다.In general, soils formed on embankments, breakwaters or roadside walls are easily sheared or eas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hus,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constructed using blocks made of stone or concrete on the side walls of the embankment or the like to prevent deformation or collapse of the side walls of the embankment or the road due to earth pressure. Such a retaining wall structure includes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method, a gravity type or a pin type or anchor type method.

보강토 옹벽 공법은 보강섬유의 보강 작용만으로 토체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공법은 토압의 전부를 보강섬유가 받게 되어 공사비 대부분을 보강 섬유비가 차지하여 공사비 증가를 가져오며, 옹벽 블럭은 구조역학상의 기능이 거의 없는 단지 미관을 위한 요소로서 존재하는 한계를 가진다.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method is to form soil by only reinforcing action of reinforcing fiber, and this method receives all the earth pressure from reinforcing fiber, so most of construction cost is occupied by reinforcing fiber cost,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has structural mechanics function. There is a limit to exist as a factor for aesthetics that is rarely seen.

중력식은 옹벽 블럭의 크기를 크게 하여 자중에 의해 블럭과 보강 섬유를 구속하는 방식으로서, 자중이 커서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결합력이 불충분한 단점이 있다.Gravity type is a method of restraining the block and the reinforcing fiber by the weight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it is not only inconvenient to work because of the large weight, but also insufficient binding force.

그리고 핀형 블럭의 경우에는, 옹벽 블럭의 머리부에 두개의 작은 구멍을 형성하고 여기에 핀을 삽입 연결하여 인접하는 옹벽 블럭을 연결하여 지지토록 하는 것이지만, 핀의 지름 또는 외경이 매우 작아서 접점 면적이 작고 작업도 어려우며, 외부의 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약하며, 더욱이 토압에 의해 핀이 부러지거나 크랙이 발생하여 핀이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면서 심지어 무너지는 경우가 발생한다.In the case of a fin block, two small holes are formed in the head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a pin is inserted into the retaining wall block to connect adjacent retaining wall blocks so as to support the pin block. It is small and difficult to work with, the resistance to external earth pressure is very weak, and furthermore, the pin is broken or cracked by the earth pressure, causing the pin to break away.

또한, 앵커형 블럭의 경우에는, 옹벽 블럭에 앵커형 돌기가 형성되며 이러한 앵커형 돌기에 인접하는 블럭들이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나, 양커 자체가 작은 돌기로 되어 있어 뽑힐 가능성이 있고, 운반시 앵카형 돌기가 파손되며, 하나의 동일한 종류의 옹벽 블럭만으로는 수직축조와 후퇴축조가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없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anchor type block, an anchor typ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blocks adjacent to the anchor type protrusion are connected, but the yanker itself is made of a small protrusion, which may be pulled out, and an anchor type protrusion when transporting. Is broken,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be made at the same time vertical and retracting construction with only one type of retaining wall block.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공이 보다 간편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옹벽 블럭 및 연결 블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aining wall block and a connection block that can be more simple construction and shorter working time.

또한, 하나의 동일한 종류의 옹벽 블럭과 하나의 동일한 종류의 연결블럭을 이용하여 후퇴축조와 수직 축조가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는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aining wall structure in which a retreating shaft and a vertical shaft are simultaneously constructed using one same type of retaining wall block and one same type of connection block.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옹벽블럭 구조물에 사용되는 연결블럭과 옹벽 블럭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block and a retaining wall block used in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옹벽 블럭과 연결블럭을 이용하여 수직 축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rtically constructed state using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nection block of FIG. 1,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옹벽 블럭과 연결블럭을 이용하여 후퇴축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racted state using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necting block of FIG.

도 4는 도 2의 I-I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며,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도 5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로서 옹벽 블럭과 연결블럭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그리고5 and 7 are separat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nection block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6은 도 5의 옹벽 블럭과 연결블럭을 이용하여 후퇴축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tracted state using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nection block of FIG. 5.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300,500 : 옹벽 블럭 110 : 머리부100,300,500: retaining wall block 110: head

112,132 : 채움구 114 : 장입홈112,132: Filling hole 114: Charging groove

116 : 장입돌기 120 : 목부116: charging protrusion 120: neck

122 : 삽입구 122 : 안착홈122: insertion hole 122: seating groove

123 : 수용홈 130 : 몸통부123: receiving groove 130: the body

200,400,600 : 연결블럭 210,410,610 : 하부 지지체200,400,600: Connection block 210,410,610: Lower support

220,420,620 : 상부 지지체 222 : 지지돌기220,420,620: upper support 222: support protrus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지지체와, 상기 하부 지지체에서 소정 길이 절곡된 상부지지체를 구비한 연결블럭; 그리고 머리부, 상기 머리부 배면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 지지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측면에 수용홈이 형성된 목부, 및 상기 목부 배면과 연결된 몸통부를 구비하는 옹벽블럭;을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 사이에서 상기 목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는 상기 목부와 단차지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구는 상부와 하부가 연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몸통부는 후방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nection block having a lower support and an upper support bent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support; And a retaining wall having a head, a neck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head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to allow the lower support to be fitted, and a neck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at a side to accommodate the upper support, and a body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neck. A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rising a block is disclosed. Here, the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by recessing the neck inwardly between the head and the body portion, the head and the body portion may be connected to step with the neck, the insertion hole is the upper and lower It may be in communication, and the body portion may have a shape that is narrow in the rear.

나아가, 상기 상부 지지체는 일측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구의 후방 접면은 상기 수용홈의 후방 접면과 실질적으로 동일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may be bent to one side, the rear contact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may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substantially the rea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또한, 상기 상부지지체는 양측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지지체의 일측으로 절곡된 제1길이는 상기 수용홈의 후방 접면에 도달하는 길이이며, 상기 상부지지체의 타측으로 절곡된 제2길이는 상기 제1길이보다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may be bent to both sides, the first length bent to one side of the upper support is a length to reach the rear contact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he second length bent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pport is It may be larger than the first length.

더욱이, 상기 연결 블럭은 적어도 2개일 수 있으며, 상기 삽입구는 상기 상부지지체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구는 실질적으로 'T'형상일 수 있다.Further, the connection block may be at least two, the insertion por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Here, the insertion hole may be substantially 'T' shape.

한편, 상기 머리부의 일측면에는 정합 돌기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상기 정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정합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에는 소정의 채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채움구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mat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ead, a mating groove for inserting the mat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head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are filled to accommodate a predetermined filling material. Spheres can be formed.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옹벽 블럭 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옹벽블럭 구조물에 사용되는 연결블럭과 옹벽 블럭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block and a retaining wall block used in a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연결블럭(200)은, 하부 지지체(210)와, 하부 지지체(210)에서 일측으로 소정 길이 절곡된 상부지지체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지지체(220)는 'L' 형상 즉, 하부 지지체(210)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돌출 연장된 제1돌출부(224)와 상기 제1돌출부(224)의 상단에서 전면으로 돌출 연장된 제2돌출부(222)를 가지며, 그리고, 연결블럭(200)은 전체럭으로 'T' 형상을 가진다.Referring to FIG. 1, the connection block 200 includes a lower support 210 and an upper support bent to a side from the lower support 210. The upper supporter 220 has a 'L' shape, that is, a first protruding portion 224 protruding to both si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er 210 and a second protrudingly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224 to the front surface. It has a protrusion 222, and the connection block 200 has a 'T' shape as a whole.

옹벽 블럭(100)은 머리부(110), 목부(120) 및 몸통부(130)를 구비하며, 일체의 콘크리트 단위체로 형성된다.The retaining wall block 100 includes a head 110, a neck 120, and a body 130, and is formed of an integral concrete unit.

머리부(110)는 측면이 외측으로 만곡된 장방 형상을 가지며, 그 전면에는 반원통상의 다수의 요철면으로 간격진 골이 형성되며, 또한 그 상면에는 옹벽 구조물 축조시 콘크리트 쇄골재나 자갈 등과 같은 채움재가 수용되어 채워질 수 있도록 제1채움구(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머리부(110)의 전면은 기타 줄무늬, 파쇄면, 매끄러운 면이나 톱니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채움구(112)는 상부로 개방된 홈형상일 수 있으며 상면과 하면이 연통된 관통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채움구(112)에 의하여, 일체의 콘크리트 단위체에서 그 중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운송 비용 이 절감되며 및 시공이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으며, 더욱이 자갈 등이 채워짐으로써 상부에 놓여지는 다른 옹벽블럭(100)과의 마찰 저항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옹벽 구조물의 토사 지지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Head 110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the side curved outward, the front surfac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mi-cylindrical irregular groove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concrete cinder aggregate or gravel when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The first filling hole 112 is formed to be accommodated and filled. Here, the front of the head 110 may have a variety of shapes, such as other stripes, crushed surface, smooth surface or sawtooth shape, and the first filling hole 112 may be a groove shape open to the top.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may be formed in a through-hole communication. In addition, by the first filling hole 112, since the weight is reduced in the unit of the concrete un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ansportation cost is reduced and the construction is easy, and the other retaining wall placed on the top by filling the gravel, etc. Since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block 100 can be increa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oil support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improved.

머리부(110)의 일 측면에는 반원통상으로 돌출된 장입돌기(116)가 형성되며, 타 측면에는 인접하는 옹벽 블럭(100)의 장입돌기(116)가 삽입될 수 있는 장입홈(1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합 돌기와 정합홈에 의하여, 인접하는 옹벽블럭(100)들은 머리부(110)에 의하여 1차적으로 상호 체결되기 때문에 옹벽구조물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정합 돌기와 정합홈 사이에서 그 접촉면적이 크게 되기 때문에 옹벽 구조물의 배후에서 작용하는 수압에 저항하는 힘이 커지게 된다.One side of the head 110 is formed with a semi-cylindrical charging projection 116, the other side is a charging groove 114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harging projection 116 of the adjacent retaining wall block 100 is Is formed. Here, the retaining wall blocks 100 may be more firmly supported by the matching protrusions and the matching grooves because the adjacent retaining wall blocks 100 are firstly fastened by the head 110, and between the matching protrusions and the matching grooves. Since the contact area becomes large, the force that resists the hydraulic pressure acting behind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ncreases.

목부는 머리부(110) 배면과 몸통부(130) 전면에 연결된다. 즉, 상기 머리부(110)와 상기 몸통부(130) 사이에 위치한다. 목부의 상면에는 연결블럭(200)의 하부 지지체(2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구(122)가 형성되며, 또한 그 양측면에는 연결블럭(200)의 상부 지지체(220)가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수용홈(1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블럭(200)이 끼워지는 삽입구(122)가 옹벽블럭(100)의 대략적인 무게중심인 목부(120)에 형성되어 머리부(110)에 형성되는 경우보다 연결블럭(200)에 작용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이점이 있다.The neck is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head 110 and the front body 130. That is, it is located between the head 110 and the body 130. An insertion hole 12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eck so that the lower supporter 210 of the connection block 200 may be fitted, and both sides may be accommodated and supported by the upper supporter 220 of the connection block 200. Receiving groove 123 is formed. Here, the insertion hole 122 into which the connection block 200 is fitted is formed in the neck 120, which is an approximate center of gravity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and thus acts on the connection block 200 than the case formed in the head 110. There is an advantage to effectively distribute the load.

상기 삽입구(122)는 직사각형 봉형상의 하부 지지체(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봉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공(122b)과, 상부 지지체(220)의 제1돌출부(224)가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절개된 안착홈(122a)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안착홈(122a)의 절개 깊이는 연결블럭(200)이 삽입구(122)에 끼워졌을 때 상부 지지체(220)의 일부가 블럭 상면으로 돌출될 수 있는 깊이이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옹벽 구조물에서, 상부에 위치한 연결블럭(100)에 전단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연결블럭(200)의 제1돌출부(224)는 목부의 걸림턱(121)에 걸리면서 상부의 옹벽블럭(10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insertion hole 122 has a through hole 122b formed in a rectangular bar shape so that the lower support 210 of a rectangular rod shape can be inserted therein, and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224 of the upper support 220 can be seated. It consists of a recessed groove 122a cut into. Here, the cutting depth of the seating groove 122a is a depth at which a part of the upper support 220 may protrud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when the connection block 200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2. Accordingly,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even if the shear load acts on the connection block 100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the first protrusion 224 of the connection block 200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121 of the neck and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상기 수용홈(123)은 머리부(110)와 몸통부(130) 사이에서 목부가 양측에서 함몰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122) 배면은 상기 몸통부(130) 전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삽입구(122)의 후방 접면과 수용홈(123)의 후방 접면(126)은 실질적으로 동일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머리부(110)와 상기 몸통부(130)는 상기 목부(120)와 단차지도록 함몰될 수도 있다.The receiving groove 123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neck is recessed from both sides between the head 110 and the body portion 130, the back of the insertion hole 122 is located in front of the body portion 130. Accordingly, the rear contact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22 and the rear contact surface 126 of the receiving groove 123 are positioned on substantially the same surface. Here, the head 110 and the body 130 may be recessed to step with the neck 120.

상기 몸통부(130)는 옹벽 구조물에서 만곡 축조를 위하여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그 배면에는 인접하는 상하 옹벽 블럭(100)들이 서로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양측으로 돌출 연장된 꼬리부(133)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몸통부(130)의 상면에는 자갈 등의 채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채움구(132)가 형성된다.The body portion 130 has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for the curved construction i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the rear portion extending protruding to both sides so that the adjacent upper and lower retaining wall blocks 100 are stably disposed with each other ( 133 is provided. In addition, a first filling hole 132 that can accommodate a filling material such as gravel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30.

이러한 옹벽블럭(100)과 연결블럭(200)은 해당 형틀에 몰타르를 다져 넣고 찍어냄으로써 일체의 콘크리트 단위체로 양산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옹벽블럭(100)과 연결블럭(200)을 이용하여 옹벽 구조물을 축조하게 된다.The retaining wall block 100 and the connection block 200 may be manufactured in mass production as a single unit of concrete by dipping mortar into the mold, and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and the connection block 200. Will be built.

일반적으로 옹벽 구조물은 먼저 구조해석에 따라 충분한 지내력을 가질 수 있도록 기초 터파기 작업을 실시하고, 그 저면에 배수성이 양호한 굵은 모래나 콘크리트 쇄골재 등을 이용하여 기초저면을 고른 후에 옹벽블럭(100)을 설치한다.In general,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subjected to the foundation trenching work so as to have sufficient bearing capacity according to the structural analysis, and after selecting the foundation bottom using coarse sand or concrete crushed aggregate having good drainage on the bottom,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Install it.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연결 블럭과옹벽블럭(100)을 이용하여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ocess of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connection block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도 2는 도 1의 옹벽 블럭과 연결블럭을 이용하여 수직 축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옹벽 블럭과 연결블럭을 이용하여 후퇴축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2의 I-I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rtically constructed state using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necting block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tracted state using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necting block of FIG. 1, and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2.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하부에 첫째 단을 쌓는 경우에, 연결블럭(200)은 제2돌출부(222)가 전방을 향하도록 하부 옹벽블럭(100a)의 삽입구(122)에 끼워진다. 이때 하부 지지체(210)는 목부(120)의 관통공(122b)에 삽입되고 제1돌출부(224) 저면은 안착홈(122a)이 형성된 목부(120)에 안착되며, 'ㄱ' 형상의 제1돌출부(224) 전면과 제2돌출부(222) 저면이 목부(120)의 걸림턱에 걸리고 제2돌출부(222)가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하부 옹벽블럭(100)들은 장입돌기(116)와 장입홈(114)이 맞춰지도록 배치한다. 옹벽블럭(100)의 첫째 단이 쌓여진 후에는 머리부(110)와 몸통부(130)의 채움구 및 삽입홈 등에 인접하는 옹벽블럭(100)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쇄골재 등을 채워넣게 된다.Referring to FIG. 2, first, when the first stage is stacked on the lower portion, the connection block 200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2 of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 100a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222 faces forward. In this case, the lower supporter 21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2b of the neck part 120 and the bottom of the first protrusion part 224 is seated in the neck part 120 in which the seating grooves 122a are formed.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rusion 224 and the bottom of the second protrusion 222 are caught by the locking jaw of the neck 120, and the second protrusion 222 is protruded upward. In addition, the adjacent lower retaining wall blocks 100 are arranged so that the charging protrusion 116 and the charging groove 114 are aligned. After the first end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is stacked, concrete cinder aggregate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adjacent to the filling hole and the insertion groove of the head 110 and the body 130.

다음으로 둘째 단을 쌓는 경우에는, 하부 옹벽블럭(100)에서 돌출되어 있는 연결블럭(200)의 제2돌출부(222)를 중심으로 하여 그 좌우에서 상부 옹벽블럭의 수용홈(123)에 상기 제2돌출부(222)가 삽입되도록 옹벽 블럭(100)들을 쌓는다. 이때, 토사나 수압 등에 의하여 옹벽블럭(100)의 후방에서 전단 하중이 옹벽블럭(100)에 작용하더라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돌출부(222)에 걸리게 되고 상부지지체가 목부 걸림턱(121) 전면에 걸쳐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연결블럭(200)과 옹벽블럭(100)과의 접점면적이 커서 상하 옹벽블럭(100) 사이에서 그 지지력이 커지고 외부에 토압에 대한 저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Next, in the case of stacking the second stage, the second recess 222 of the connection block 200 protruding from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 100 has the center in the receiving groove 123 of the upper retaining wall block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The retaining wall blocks 100 are stacked so that the two protrusions 222 are inserted. At this time, even if the shear load acts on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at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due to earth and sand pressure,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protrusion 222 is caught, and the upper support is caught by the neck. (121) It is in the state supported over the whole surface. Accordingly, a larg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nection block 200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ha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bearing for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taining wall blocks 100 and improving the resistance to earth pressure to the outside.

그리고 제2돌출부(222)는 전방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수직 축조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결블럭(200)의 제1돌출부(224)를 중심으로 그 좌우에서 옹벽 블럭의 수용홈(123)에 제1돌출부(224)가 삽입되도록 시공하기 때문에 작업 및 시공이 보다 간편해진다.Since the second protrusion 222 faces forward, vertical construction is performed. Here, since the first protrusion 224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23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round the first protrusion 224 of the connection block 200, the work and the construction are more simple.

도 3을 참조하면 후퇴 축조를 위한 연결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상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으나, 첫째 단을 쌓는 경우에 연결블럭(200)의 제1돌출부(224)가 후방을 향하도록 하부 옹벽블럭의 삽입구(122)에 끼워진다. 그리고, 'ㄱ' 형상의 제1돌출부(224) 전면과 제2돌출부(222) 저면은 목부(120)와 단차진 몸통부(130)의 걸림턱에 걸리게 된다. 다음으로, 둘째 단을 쌓는 경우에는, 하부 옹벽블럭(100)에서 돌출된 제2돌출부(222)가 상부 옹벽 블럭 제2돌출부(222)가 후방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제2돌출부(222)의 돌출된 길이만큼 후퇴축조가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3, there is shown a connection state for retreating construction, and this state is as shown in FIG. 2, but the first protrusion 224 of the connection block 200 faces the rear when the first stage is stacked. It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2 of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 The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24 and the bottom of the second protrusion 222 of the 'b' shape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of the neck 120 and the stepped body portion 130. Next, in the case of stacking the second stage, the second protrusion 222 protruding from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 100 has the second protruding length of the second protrusion 222 since the upper retaining wall block second protrusion 222 faces backward. As long as retraction is achieved.

이와 같이 동일한 하나의 옹벽블럭(100)들과 하나의 연결블럭(200)을 이용하여 동시에 수직 축조 및 후퇴축조가 가능하게 된다.As such, vertical and retreat construction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using the same one retaining wall block 100 and one connection block 200.

옹벽블럭(100) 쌓기가 끝나면, 현장의 유용토 등을 활용하여 뒷채움을 하고 소형 다짐기 등을 이용하여 다짐 작업을 한다. 그리고 옹벽 구조물이 높게 축조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연결블럭(200)을 이용하여 지오그리드(geogrid)를 옹벽블럭(100)에 완전히 결속하여 포설한다.When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is finished stacking, it backfills using useful soil, etc., and compacts by using a compact compactor. Whe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highly constructed, the geogrid is completely boun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and installed using the connection block 200 as necessary.

이상과 같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블럭(200)과 옹벽블럭(100)은 본 고안에 따른 일예로서 설명된 것으로, 그 형상이나 모양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T' 형상의 연결블럭(200)과, 직사각형 봉 형상의 하부 지지체(210) 및 'L' 형상의 상부 지지체(220)가 도시되었으나 그 형상은 옹벽블럭(100)의 삽입구(122)와의 관계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블럭(200)의 지지체의 형상은 옹벽 구조물의 후퇴축조 및 수직 축조와의 관계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로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block 200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as illustrated in FIGS. 1 to 4 are described a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 or shape thereof may be variously modified. A connecting block 200 having a 'T' shape, a lower support 210 having a rectangular rod shape, and an upper support 220 having an 'L' shape are illustrated, but the shape of the connecting block 20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In the relationship can be variously modified, the shape of the support of the connection block 200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back and vertical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Therefore, with reference to Figures 5 to 7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로서 옹벽 블럭과 연결블럭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옹벽 블럭과 연결블럭을 이용하여 후퇴축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5 and 7 are separat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nection block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tracted state using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nection block of FIG. 5. .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previously denote the same member having the same func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옹벽 블럭(300)과 연결블럭(400)은 도 1을 참조로 설명된 옹벽 블럭(100) 및 연결블럭(200)과 같으나, 연결 블럭(400)의 상부 지지체(420)에서 제1돌출부(224)가 없는 것과, 목부(320)에서 안착홈(122a)이 없는 것이 서로 다르다. 또한 상기 연결블럭(400)과 삽입구(322)가 각각 2개인 것이 서로 다르다.Referring to FIG. 5, 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ing wall block 300 and the connection block 400 are the same as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and the connection block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re is no first protrusion 224 in the upper support 420 of the 400 and there is no seating groove 122a in the neck 320. In addition, the connection block 400 and the insertion hole 322 are each different from each other.

그러나, 삽입구(322)의 후방에서 가상 접면을 형성하였을 때 수용홈(123)의 후방에서 가상 접면을 형성한 경우에는 각각의 접면은 서로 겹치게 되어 실질적으로 동일면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체(410)에서 'ㄱ'자로 절곡된 상부 지지체(420)를 후방으로 하여목부(320)의 삽입구(322)에 끼워 넣으면, 옹벽 구조물은 후퇴축조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 지지체(420)를 전방으로 향하게 하여 목부(320)의 삽입구(322)에 끼워 넣으면, 옹벽 구조물은 수직 축조된다. 이러한 연결 블럭(400)은 통상 콘크리트 이외에 강화수지나 금속재 등의 재질을 활용하여 옹벽 블럭을 보다 간편히 축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virtual contact surface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insertion hole 322, when the virtual contact surface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receiving groove 123, the respective contact surfaces overlap each other and are positioned on substantially the same surface. As shown in FIG. 6, when the upper support 420 bent at the lower support 4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22 of the neck 320,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retracted. Then, when the upper support 4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22 of the neck 320,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vertically constructed. The connection block 400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build the retaining wall block by using a material such as a reinforced resin or a metal material in addition to the concrete.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옹벽 블럭(500)과 연결블럭(600)은 도 1을 참조로 설명된 옹벽 블럭(100) 및 연결블럭(200)과 같으나, 연결 블럭(600)의 상부 지지체(620)에서 제2돌출부(624)가 상기 제1돌출부(622)에서 양측으로 절곡되어 제3돌출부(623)가 형성되는 것과, 목부(520)의 삽입구(522)가 목부(520)의 중앙부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크게 다르다.Referring to FIG. 7, the retaining wall block 500 and the connection block 600 are the same as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and the connection block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upper support 620 of the 600, the second protrusion 624 is bent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protrusion 622 to form a third protrusion 623, and the insertion hole 522 of the neck 520 It is greatly different from the one formed near the center of the neck 520.

그러나, 상부 지지체(620)의 일측으로 절곡된 제3돌출부(623)의 제1길이(L1)는 수용홈(123)의 후방에 가상으로 접촉되는 가상 접면에 도달하는 길이 즉, 상기 수용홈(123)의 후방에 가상으로 접촉하는 접면과 상기 일측으로 절곡된 면(624')의 연장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으로 절곡된 제2길이(L2)는 타측으로 절곡된 제1길이(L1)보다 크게 형성된다.However, the first length L1 of the third protrusion 623 bent to one side of the upper support 620 is a length reaching the virtual contact surface that is virtually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receiving groove 123, that is, the receiving groove ( The contact surface virtually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123 and the extension surface of the surface 624 'bent to one side is located on substantially the same surface. The second length L2 bent to one side is larger than the first length L1 bent to the other side.

이에 따라, 하부지지체(610)에서 일측으로 절곡된 상부 지지체의 제3돌출부(623)가 후방으로 향하도록 목부(520)의 삽입구(522)에 끼워 넣으면 옹벽 구조물은 수직축조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 지지체(620)의 제2돌출부(624)를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목부(520)의 삽입구(522)에 끼워 넣으면, 제1길이(L1)와 제2길이 (L2)차이만큼 옹벽 구조물은 후퇴 축조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third protrusion 623 of the upper support bent to one side from the lower support 6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22 of the neck 520,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vertically constructed. Then, when the second protrusion 624 of the upper support 620 is inserted backward into the insertion hole 522 of the neck 520,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as much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length (L1) and the second length (L2) Retreat construction.

이상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그 일예로서 각각 설명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이상과 같이 본원 고안에 따르면, 한 종류의 동일한 옹벽 블럭과 한 종류의 동일한 연결블럭을 각각 사용하여, 삽입되는 연결블럭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직 축조와 후퇴 축조를 동시에 할 수 있으며, 상부 옹벽 블럭에 끼워진 연결 블럭을 중심으로 그 좌우에서 상부 옹벽 블럭의 수용홈에 연결블럭의 상부 지지체가 수용되도록 작업할 수 있어 작업 및 시공이 쉽고 공기가 단축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using one kind of the same retaining wall block and one kind of the same connection block,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lock to be inserte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vertically and retreat construction at the same time, the upper retaining wall block The upper support of the connection block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upper retaining wall block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connection block fitted to the easy operation and construction is easy to shorten the air.

Claims (21)

하부지지체와, 상기 하부 지지체에서 소정 길이 절곡된 상부지지체를 구비한 연결블럭; 그리고A connection block having a lower support and an upper support bent from the lower support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머리부, 상기 머리부 배면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 지지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측면에 수용홈이 형성된 목부, 및 상기 목부 배면과 연결된 몸통부를 구비하는 옹벽블럭;을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A retaining wall block having a head, a neck portion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so that the lower support can be fitted, and a neck portion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at a side surface to accommodate the upper support, and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neck.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용홈은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 사이에서 상기 목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by recessing the neck inwardly between the head and the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는 상기 목부와 단차지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step with the nec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삽입구는 상부와 하부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The insertion hole is a 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commun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몸통부는 후방으로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is narrow in the rear.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상부 지지체는 일측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pport is bent to one sid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삽입구의 후방 접면은 상기 수용홈의 후방 접면과 실질적으로 동일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contact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is located substantially on the same surface as the rear contact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상부지지체는 양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pport is bent to both sides.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상부지지체의 일측으로 절곡된 제1길이는 상기 수용홈의 후방 접면에 도달하는 길이이며, 상기 상부지지체의 타측으로 절곡된 제2길이는 상기 제1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ength bent to one side of the upper support is a length reaching the rear contact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he second length bent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pport is greater than the first length.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9 상기 연결 블럭은 적어도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connection blocks.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9, 상기 삽입구는 상기 상부지지체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has a mounting groove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삽입구는 실질적으로 'T'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is substantially 'T' shape.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9, 상기 머리부의 일측면에는 정합 돌기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상기 정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정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ing projec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the matching groove into which the mating projection is inserted in the other side.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에는 소정의 채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채움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head and the body portion can accommodate a predetermined filling material. 하부지지체와, 상기 하부 지지체에서 소정 길이 절곡된 상부지지체를 구비한 연결블럭을 이용하여 옹벽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것으로서: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connecting block having a lower support and an upper support bent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support: 머리부;Head; 상기 머리부 배면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 지지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측면에 수용홈이 형성된 목부; 및A neck portion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so that the lower support can be inserted therein and a receiving groove formed at a side surface to accommodate the upper support; And 상기 목부 배면과 연결된 몸통부;를 포함하는 옹벽 블럭.Retaining wall block comprising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neck.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상부 지지체는 일측으로 절곡되며,The upper support is bent to one side, 상기 삽입구의 후방 접면은 상기 수용홈의 후방 접면과 실질적으로 동일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Retaining wal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contact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is located substantially on the same surface as the rear contact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상부지지체는 양측으로 절곡되며,The upper support is bent to both sides, 상기 상부지지체의 일측으로 절곡된 제1길이는 상기 수용홈의 후방 접면에 도달하는 길이이며, 상기 상부지지체의 타측으로 절곡된 제2길이는 상기 제1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Retaining wal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ength bent to one side of the upper support is a length reaching the rear contact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he second length bent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pport is greater than the first length.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or 17. 상기 연결 블럭은 적어도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Retaining wal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two connection blocks.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or 17, 상기 삽입구는 상기 상부지지체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Retaining wall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머리부는 외측으로 만곡된 측면부를 구비하며,The head has an outwardly curved side portion, 상기 측면부의 일측에는 정합 돌기가 형성되며,One side of the side portion is formed with a mating projection, 상기 측면부의 일측에는 상기 정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정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Retaining wal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ing groove in which the mating projection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ide portion.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몸통부는 후방으로 폭이 좁아지며,The torso narrows backwards,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에는 소정의 채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채움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Retaining wal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head and the body portion can accommodate a predetermined filling material.
KR2020010012056U 2001-04-26 2001-04-26 Block for retaining wall KR20024522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056U KR200245226Y1 (en) 2001-04-26 2001-04-26 Block for retaining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056U KR200245226Y1 (en) 2001-04-26 2001-04-26 Block for retaining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226Y1 true KR200245226Y1 (en) 2001-10-12

Family

ID=7310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056U KR200245226Y1 (en) 2001-04-26 2001-04-26 Block for retaining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22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297B1 (en) 2007-09-21 2007-12-27 최형국 Block for retaining wa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297B1 (en) 2007-09-21 2007-12-27 최형국 Block for retaining w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12591C (en)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setback locator therefor
US5567089A (en) Block for contstructing retaining wall and constructed retaining wall structure
US20070196184A1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1516832B1 (en) Foundation structure for retaining wall up-and-down boundary structure of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KR20110086689A (en) Retaining wall block and retaining wall
KR200245226Y1 (en) Block for retaining wall
KR200339448Y1 (en) Block for reinforced earth revetment
KR100998502B1 (en) Gravity type precast retaining wall for having shear key and steel pile
KR100392590B1 (en) Block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KR100592346B1 (en) Construction method of a retaining wall with knuckle joint for road
KR200238747Y1 (en) Anchor block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KR200448904Y1 (en) Prefabricated Block for retaining wall
KR200354766Y1 (en) Retaining wall block
KR100400169B1 (en) Block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interlocking pin therefor
KR200245227Y1 (en) Block for retaining wall
KR100574778B1 (en) Block for reinforcement or vegetation
KR19990021988U (en) Block for breastwall
EP0733741B1 (en) Block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ed retaining wall structure
KR200358082Y1 (en) Revetment block
JP2000230240A (en) Stack block for retaining wall
KR200404055Y1 (en) Retaining Wall System with connected Anchor Bar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Able to Control Of the Construction Angle
KR200308702Y1 (en) Block having many function for breast wall
KR102302181B1 (en) Retaining wall block with action and fall protection
JP4576018B2 (en) Retaining wall
KR100621664B1 (en) structure of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