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968Y1 - 롤러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롤러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968Y1
KR200244968Y1 KR2020010013384U KR20010013384U KR200244968Y1 KR 200244968 Y1 KR200244968 Y1 KR 200244968Y1 KR 2020010013384 U KR2020010013384 U KR 2020010013384U KR 20010013384 U KR20010013384 U KR 20010013384U KR 200244968 Y1 KR200244968 Y1 KR 200244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roller
window
opening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문
Original Assignee
남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문 filed Critical 남상문
Priority to KR2020010013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968Y1/ko

Links

Landscapes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최하단 폭 방향으로 자석체가 결부된 커튼과, 상기 커튼의 최상단 부분과 결부되어 커튼을 두루마리 방식으로 감거나 푸는 롤러와,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롤러의 양측단이 체결되며 윈도우 상단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롤러와 연동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을 기준으로 롤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개폐구동수단과, 상기 커튼의 폭만큼 윈도우 좌우측에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며 커튼의 좌우측면이 각각 삽입되어 개폐를 유도하는 좌우프레임, 및 상기 커튼의 길이만큼 윈도우 하단측에 설치되어 커튼의 최하단에 설치된 자석체가 결합되어 윈도우를 밀폐하는 하단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커튼을 칠 경우 윈도우를 완전히 밀폐시키게 되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햇빛과 소음을 보다 더 확실하게 차단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틈새 바람을 막아 차양, 방음 및 냉난방 효과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롤러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롤러 블라인드{Window Blind of rolling type}
본 고안은 블라인드(Window Blind)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롤러에 의해 승강되는 커튼의 좌우측에 커튼의 폭만큼 이격된 좌우프레임을 설치하고 커튼의 하단측에 철재용 하단프레임을 설치하되 커튼의 하단폭을 따라 설치된 자석체를 하단프레임 상에 부착하여 개폐함으로써, 방음, 차양 및 외풍방지 능력을 향상시킨 롤러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의 개폐방식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커튼이 있으며, 최근에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천재질의 커튼이 아니라 장식적 효과가 우수하여 실내분위기를 수려하게 하는 블라인드나 버티칼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블라인드는 무늬가 표현된 블라인드의 상측에 체결되어 상기 블라인드를 지지하는 축의 양측 선단에 체결된 구동롤러와 피동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롤러와 피동롤러가 체결되어 지지되며 벽 또는 창틀 등에 설치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졌다.
또한, 구동롤러에는 블라인드에 체결된 축을 회전시켜 블라인드를 권취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줄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블라인드는 구동롤러에 설치된 줄을 잡아 당겨 구동롤러를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롤러에 체결된 축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블라인드가 상기 축 상에 권취되거나 또는 해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라인드와 버티칼 등의 커튼은 그 상단만이 벽체에 지지 및 고정되어 있으며, 커튼의 측면과 하단은 벽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커튼들은 단지 차양(遮陽) 기능과 시각적인 기능에서 본다면 우수하지만, 다소 소음이 심한 지역이나 외풍이 심한 곳에서는 커튼의 좌우측 틈새와 하단으로 들어오는 소음과 틈새 바람으로 인해 방음과 보온 효과가 대폭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윈도우의 좌우측과 하단 벽체에 커튼과 함께 윈도우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는 프레임을 각기 설치하여 방음, 차양 및 냉난방보온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롤러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롤러에 의해 승강되는 커튼의 좌우측에 커튼의 폭만큼 이격된 좌우프레임을 설치하고 커튼의 하단측에 철재용 하단프레임을 설치하되 커튼의 하단폭을 따라 설치된 자석체를 하단프레임 상에 부착하여 개폐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윈도우를 완전 밀폐시켜 방음, 차양 및 냉난방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롤러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롤러 블라인드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좌우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하단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커튼 15: 자석체
20: 지지프레임 30: 롤러
40: 개폐구동수단 50: 좌우프레임
60: 하단프레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최하단 폭 방향으로 자석체가 결부된 커튼; 상기 커튼의 최상단 부분과 결부되어 커튼을 두루마리 방식으로 감거나 푸는 롤러;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롤러의 양측단이 체결되며 윈도우 상단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롤러와 연동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을 기준으로 롤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개폐구동수단; 상기 커튼의 폭만큼 윈도우 좌우측에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며 커튼의 좌우측면이 각각 삽입되어 개폐를 유도하는 좌우프레임; 및 상기 커튼의 길이만큼 윈도우 하단측에 설치되어 커튼의 최하단에 설치된 자석체가 결합되어 윈도우를 밀폐하는 하단프레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롤러 블라인드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 커튼(10), 지지프레임(20), 롤러(30), 개폐구동수단(40), 좌우프레임(50) 및 하단프레임(6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블라인드는, 최하단 폭 방향으로 자석체(15)가 결부되어 있음과 아울러 표면상에는 미적 디자인과 함께 방염제가 도포된 커튼(10)과, 상기 커튼(10)의 최상단 부분과 결부되어 커튼을 두루마리 방식으로 감거나 푸는 롤러(30)와, 상기 롤러(30)가 회전 가능하도록 롤러의 양끝단과 체결되며 윈도우(5) 상단 벽체(1)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0)과, 상기 롤러(30)와 연동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을 기준으로 롤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개폐구동수단(40)과, 상기 커튼(10)의 폭만큼 윈도우 좌우측에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며 커튼의 좌우측면이 각각 삽입되어 개폐를 유도하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50), 및 상기 커튼의 길이만큼 윈도우 하단 벽체(1)에 설치되어 커튼(10)의 최하단에 설치된 자석체(15)가 결합되어 윈도우를 밀폐하게 되는 하단프레임(6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튼(10)의 자석체(15)는, 커튼의 최하단의 폭을 따라 결부된 대략 '⊥'자형 지지틀(15-1), 및 상기 지지틀(15-1) 저면에 자석 특성의 재료가 도포된 자석층(15-2)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롤러(30)는, 커튼이 감기는 원통형의 회전체(31)와, 상기 회전체(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20)의 양측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35), 및 상기 회전체(31)와 고정축(35)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베어링수단(3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구동수단(40)은 롤러회전체의 일측단에 체결되어 회전체와 연동되는 스프로킷과 같은 회전수단(41), 및 상기 회전수단(41)과 상호 체결되어 사용자 임의로 회전수단(41)을 회전시켜 커튼을 개폐시키는 당김줄과 같은 개폐조절수단(45-1, 45-2)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롤러(30)와 개폐구동수단(40)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며, 기본적으로 회전체, 베어링, 고정축, 스프로킷(기어) 등의 필수구성 요소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좌우프레임(50) 및 하단프레임(60)을 벽체(1)에 고정 설치할 때 수나사와 같은 피스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데 체결 후에 벽체(1)와 프레임(20, 50, 60)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실리콘 등의 마감재를 이용하여 틈새를 없애는 것도 중요하다.
아울러, 미설명 부호 25는 지지프레임을 덮는 장식 캡이다.
이와 같이 윈도우(5)는 커튼(10)과 지지프레임(20), 좌우프레임(50) 및 하단프레임(60)에 의해 완전히 밀폐되는 구조를 갖게 되며, 커튼(10)의 좌우 일측면은 좌우프레임(50)에 삽입된 채로 좌우프레임(50)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하 이동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A부위인 좌우프레임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부위인 하단프레임의 단면도이다.
좌우프레임(50)은 윈도우(5)의 좌우측에 커튼(10)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나사로 각각 벽체(1)에 부착하게 되며, 좌우프레임(50)의 커튼(10)이 삽입되는 밀착부재(51) 사이에 커튼(10)의 좌우측 일면이 각각 삽입되어 밀착부재(51)의 절곡점(55)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커튼이 밀착된 상태로 상하 개폐된다.
그리고, 하단프레임(60)은 윈도우(5)의 하단에 커튼(10)의 폭만큼 연장되어 나사로 벽체(1)에 부착하게 되며, 하단프레임(60)은 대략 '┣┛'형태로 이루어져 지지프레임(20) 방향으로 오픈되고 평평한 상단을 갖는 개방부(61)를 갖고 있어 하강되는 커튼의 최하단에 결부된 자석체(15)가 하단프레임(60)의 평면상단(65)에 결합되어 윈도우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어 윈도우를 통해 들어오는 차양(遮陽)이나 방음 및 냉난방 효과가 탁월하다.
물론, 하단프레임(60)은 커튼의 최하단에 결부된 대략 '⊥'자형 자석체(15)와 결합할 수 있는 금속재질이거나 또는 하단프레임 중 평면상단만 커튼의 하단 자석체(15)와 결합할 수 있는 금속재질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커튼개폐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튼(10)의 개폐조절수단(45)인 제 1 당김줄(45-1)을 당기면 회전수단(41)의 회전에 따라 롤러(30)의 회전체(31)가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체(31)에 감겨 있던 두루마리 커튼(10)이 하단 방향으로 풀리게 된다.
이때, 두루마리 커튼(10)은 좌우프레임(50)의 밀착부재(51)에 의해 좌우측면이 다소 삽입된 채로 하단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내려가게 된다.
상기 커튼이 좌우프레임(50)에 가이드된 채로 하단프레임(60)까지 하강하면 커튼의 최하단의 폭을 따라 설치된 자석체(15)가 하단프레임(60)의 평면상단(65)에 자동 부착되어 윈도우(5)를 완전히 밀폐시키게 된다.
물론, 커튼(10)을 롤러(30)에 감을 경우에는 개폐조절수단(45)인 제 2 당김줄(45-2)을 당기면 된다.
제 2 당김줄(45-2)을 당기면 회전수단(41)이 회전되어 롤러(30)의 회전체(31)를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커튼을 감게 되며, 커튼을 감으려는 힘에 의해 커튼의 최하단에 설치된 자석체(15)가 하단프레임(60)으로부터 자동 분리되고 커튼은 좌우프레임(50)의 밀착부재(51)에 삽입된 채로 롤러의 회전체에 감겨 올라가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좌우프레임과 하단프레임의 형상 및 자석체의 형상을 다소 변경하는 등의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롤러에 의해 승강되는 커튼의 좌우측에 커튼의 폭만큼 이격된 좌우프레임을 설치하고 커튼의 하단측에 철재용 하단프레임을 설치하되 커튼의 하단폭을 따라 설치된 자석체를 하단 프레임상에 부착하여 개폐함으로써, 커튼을 칠 경우 윈도우를 완전히 밀폐시키게 되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햇빛과 소음을 보다 더 확실하게 차단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틈새 바람을 막아 차양, 방음 및 냉난방 효과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튼 표면을 방염제로 처리함에 따라 화재시 유독가스나 화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최하단 폭 방향으로 자석체가 결부된 커튼;
    상기 커튼의 최상단 부분과 결부되어 커튼을 두루마리 방식으로 감거나 푸는 롤러;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롤러의 양측단이 체결되며 윈도우 상단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롤러와 연동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을 기준으로 롤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개폐구동수단;
    상기 커튼의 폭만큼 윈도우 좌우측에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며 커튼의 좌우측면이 각각 삽입되어 개폐를 유도하는 좌우프레임; 및
    상기 커튼의 길이만큼 윈도우 하단측에 설치되어 커튼의 최하단에 설치된 자석체가 결합되어 윈도우를 밀폐하는 하단프레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커튼이 감기는 원통형의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의 양측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 및 상기 회전체와 고정축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상기 롤러 회전체의 일측단에 체결되어 회전체와 연동되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수단과 체결되어 연동되며 사용자 임의로 회전수단을 회전시켜 커튼을 개폐시키는 개폐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튼의 자석체는, 커튼의 최하단의 폭을 따라 결부된 대략 '⊥'자형 지지틀, 및 상기 지지틀 저면에 자석 특성의 재료가 도포된 자석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튼은 그 표면에 방염재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블라인드.
KR2020010013384U 2001-05-08 2001-05-08 롤러 블라인드 KR200244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384U KR200244968Y1 (ko) 2001-05-08 2001-05-08 롤러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384U KR200244968Y1 (ko) 2001-05-08 2001-05-08 롤러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968Y1 true KR200244968Y1 (ko) 2001-10-15

Family

ID=7306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384U KR200244968Y1 (ko) 2001-05-08 2001-05-08 롤러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9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79B1 (ko) 2006-04-21 2007-05-25 문광호 롤스크린 조립체
KR100951433B1 (ko) * 2009-02-10 2010-04-07 김덕보 채광 조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79B1 (ko) 2006-04-21 2007-05-25 문광호 롤스크린 조립체
KR100951433B1 (ko) * 2009-02-10 2010-04-07 김덕보 채광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6834A1 (en) Retractable curtain panel and enhanced stiffeners
AU701053B2 (en) A dual roller shade
US20030173036A1 (en) Blind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reof
CN210768543U (zh) 拉绳式内置百叶中空玻璃
EP0837976B1 (en) Safety blind for windows and doors
KR200244968Y1 (ko) 롤러 블라인드
US11377904B2 (en) Roller shade for non-rectangular windows
US20120132374A1 (en) Insulated glass with integral blind - manually controllable
RU14962U1 (ru) Защитные жалюзи-рольставни
CN210858526U (zh) 一种卷闸门
CN2806723Y (zh) 防火卷帘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CN210003172U (zh) 防风型卷门帘
KR101930344B1 (ko) 스크린 고정부재가 구비된 천장, 경사 및 곡면용 롤 스크린 블라인드
JPH069586U (ja) カーテン装置
CN218150666U (zh) 一种多功能自动平推窗
KR102669666B1 (ko) 수직, 수평, 경사각으로 설치 가능한 전동식 롤 블라인드
WO2003076755A1 (en) Blind
CN213450171U (zh) 内置遮阳卷帘的中空玻璃
KR102129388B1 (ko) 채광루버형 일사조절장치
JPH10205249A (ja) 遮光膜装置
JPH09310571A (ja) ブラインド
KR200266058Y1 (ko) 이중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
KR200180560Y1 (ko) 브라인드 자동권취장치
KR20220074213A (ko) 패브릭 텐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