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871Y1 - 2 선식 비상구 유도등 - Google Patents

2 선식 비상구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871Y1
KR200244871Y1 KR2020010016345U KR20010016345U KR200244871Y1 KR 200244871 Y1 KR200244871 Y1 KR 200244871Y1 KR 2020010016345 U KR2020010016345 U KR 2020010016345U KR 20010016345 U KR20010016345 U KR 20010016345U KR 200244871 Y1 KR200244871 Y1 KR 200244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oltage
lighting
inpu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화
Original Assignee
에스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더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6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8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871Y1/ko

Lin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등의 화재발생시 인명대피를 위하여 출입문에 설치하는 소방시설용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3 선식(충전용 2 선 및 점등용 1선) 비상구 유도등을 개선한 2 선식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용전원 입력을 위한 AC 입력부; 포토커플러(PC), 단방향 스위치소자(SCR) 및 브릿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형광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AC 점등회로; 충전트랜스의 2 개의 권선을 이용하여 2차 유도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축전지를 충전하는 충전회로;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상기 축전지의 DC 전압을 이용하여 형광램프를 점등시키는 발진회로 및 형광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2 선식 비상구 유도등{TWO ELECTRIC-WIRED GUIDANCE LAMP FOR EMERGENCY EXIT}
본 고안은 건물 등의 화재발생시 인명대피를 위하여 출입문에 설치하는 소방시설용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3 선식(충전용 2 선 및 점등용 1선) 비상구 유도등을 2 선식으로 개선한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는 화재 또는 정전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인명을 신속하게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키기 위하여 거실, 복도 및 계단 통로 등에 비상구 유도등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유도등은 일반적으로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에 의해 점등되고, 상용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정전 등)에는 비상 예비전원으로 전환되어 점등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비상구 유도등은 3 선식, 즉 정전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시에 점등하기 위하여 평상시에 지속적으로 충전하는데 사용하는 2 개의 충전선과 형광램프를 점등하는데 사용하는 1 개의 점등선으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3 선식 비상구 유도등에 대한 회로도를 나타낸다. 종래의 3 선식 비상구 유도등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상용전원 AC 220V 가 공통선(101)과 충전선(102)에 입력되어 충전트랜스(106)에 의해 축전지(108)가 충전된다. 이 때, 제 1 트랜지스터(107)는 충전트랜스(106)로부터의 역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콜렉터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발진회로(11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시에는 점등스위치(104)가 ON 이 되고(자동 또는 수동으로), 점등선(103)으로 전압이 입력되어 형광램프(5)가 점등된다.
정전 등으로 충전선(102)에 입력되는 전압이 OFF 되면, 제 1 트랜지스터(107)의 베이스에 공급되는 전압이 차단되어 형광램프(5)의 AC 점등이 소등된다. 이 때에는, 충전트랜스(106)에서 전압이 유도되지 않고, 축전지(108)로부터의 DC 전압에 의해 제 1 트랜지스터(107)가 작동하여 발진회로(110)가 동작함으로써 형광램프(5)의 DC 점등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비상구 유도등은 평상시에 공통선(101)과 충전선(102)을 통해 충전을 하고, AC 점등시에는 점등선(103)을 이용하여 램프를 점등하기 때문에 상기 3 선이 모두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요즘과 같이 건물이 대형화되는 추세에서는 유도등의 수요 또한 자연적으로 증가하며, 이에 따라 유도등에 사용되는 전선도 더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3선식 유도등은 자재비, 인건비 등의 비용면에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충전이 가능하고, 전원 공급용 기본 2 선으로 공급되는 AC 전압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접속시켜 축전지를 충전하는 상태와 형광램프를 점등하는 점등상태의 상호 전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재비 및 인건비 등을 절감시킬 수 있는 2 선식 비상구 유도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3 선식 비상구 유도등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2 선식 비상구 유도등의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2 선식 비상구 유도등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점등스위치 11 : 제 1 다이오드
21 : 제 4 다이오드 22 : 포토커플러(PC)
23 : 단방향 스위치소자(SCR) 24 : 브릿지 다이오드
31 : 축전지 32 : 제 2 다이오드
33 : 제 3 다이오드 34 : 제 1 트랜지스터
35 : 제 1 충전트랜스 36 : 제 2 충전트랜스
37 : 콘덴서 38 : 제 2 트랜지스터
101 : 공통선 102 : 충전선
103 : 점등선 104 : 점등스위치
106 : 충전트랜스 108 : 축전기
109 : 안정기 111 : 양방향 스위치소자(트라이액)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2 선식 비상구 유도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용전원 AC 입력을 충전하거나 점등하는 제어 기능이 있는 점등스위치부(10)를 포함하는 AC 입력부(1); 포토커플러(PC), 단방향 스위치소자(SCR) 및 브릿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형광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AC 점등회로(2); 충전트랜스의 2 개의 권선을 이용하여 2차 유도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축전지(31)를 충전하는 충전회로(3);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상기 축전지(31)의 DC 전압을 이용하여 형광램프를 점등시키는 발진회로(4); 및 형광램프(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의 AC 입력부(1)는 기존의 3 선식(2 개의 충전선, 1 개의 점등선)이 아닌 2 선식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2 선식 비상구 유도등의 실시예에 대한 회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2 선식 비상구 유도등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점등스위치부(10)가 OFF 된 상태에서 AC 전원이 입력되면, 제 1 다이오드(11)를 통해 정위상의 AC 전압만이 제 1 충전트랜스(35)로 입력되어 콘덴서(37)가 충전되면서 제 2 충전트랜스(36)에서 정위상의 AC 전압이 2 차 유도되고, 상기 콘덴서(37)에 충전된 전압은 제 1 트랜지스터(34)에 의해 제 1 충전트랜스(35)에 역방향으로 방전되면서 제 2 충전트랜스(36)에서 2 차 유도되어 역위상으로 전환된 AC 전압도 축전지(31)에 충전되게 된다. 이 때, 제 2 트랜지스터(38)의 베이스에는 역바이어스가 걸리게 되어 발진회로(4)는 작동하지 않는다.
점등스위치부(10)가 OFF 된 상태에서는 제 4 다이오드(21)를 통해 제 1 다이오드(11)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기 때문에, AC 점등회로(2)의 포토커플러(PC)(22)가 작동되지 않고 단방향 스위치소자(SCR)(23) 및 브릿지 다이오드(24)가 OFF 상태가 되어 형광램프(5)는 소등상태가 된다.
상기 점등스위치부(10)가 중앙관리실의 제어에 의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ON 이 되면, AC 입력 전원은 제 4 다이오드(21)를 통해 순방향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때 포토커플러(22)가 작동하여 단방향 스위치소자(SCR)(23) 및 브릿지 다이오드(24)가 통전됨으로써 형광램프(5)가 점등된다.
한편, 정전 등으로 AC 입력 전원이 OFF 되면, 제 1 충전트랜스(35)가 작동되지 않아(2 차 유도되지 않아) 제 2 트랜지스터(38)의 순바이어스에 의하여 축전지(108)에 의해 발진회로가 작동되어 형광램프(5)를 점등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2 선만으로 AC 전원을 공급하여 축전지 충전 및 램프 점등이 가능하고, 비상시(정전 등)에는 충전된 축전지에 의해 자동으로 점등되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2 선식 비상구 유도등을 제공하여, 배선작업의 간소화로 인한 배선의 자재비를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물류비용 및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상용전원을 입력받는 AC 입력부(1), 상기 입력받은 전원을 유도전압을 통해 축전지(31)에 충전하는 충전회로(3), 비상시에 상기 축전기(31)의 전압으로 형광램프(5)를 점등하는 발진회로(4) 등으로 이루어진 비상구 유도등에 있어서,
    상용전원으로 입력되는 AC 입력 전압을 직접 통과시키거나 정위상만을 통과시키는, 2 개의 입력 전선으로 이루어진 AC 입력부(1);
    상기 형광램프(5)를 점등시키기 위한 AC 점등회로(2);
    상기 정위상의 AC 전압이 2 차 유도되고, 콘덴서(37)에 충전된 전압이 역방향으로 방전되면서 역위상의 AC 전압이 2 차 유도되어 상기 축전지(31)를 충전하는 충전회로(3); 및
    비상시에 상기 축전지(31)를 이용하여 형광램프(5)를 점등하기 위한 발진회로(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선식 비상구 유도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C 입력부(1)는,
    상용전원으로 입력되는 AC 입력 전압을 직접 통과시키는 스위치(S1);
    AC 전압의 정위상만을 통과시키는 제 1 다이오드(11); 및
    상기 제 1 다이오드(11)를 가지는 점등스위치부 (10)를 포함하는 2 개의 입력 전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선식 비상구 유도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C 점등회로(2)는 점등스위치부(10)와 상기 충전회로(3) 사이에 설치하며, 또한 포토커플러(PC)(22), 단방향 스위치소자(SCR)(23) 및 브릿지 다이오드(24)를 이용하여 형광램프(5)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선식 비상구 유도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3)는 상기 정위상의 AC 전압이 제 1 충전트랜스(35)에 입력되어 콘덴서(37)가 충전되면서 제 2 충전트랜스(36)에서 정위상의 AC 전압이 2 차 유도되고, 상기 콘덴서(37)에 충전된 전압은 제 1 트랜지스터(34)에 의해 제 1 충전트랜스(35)에 역방향으로 방전되면서 제 2 충전트랜스(36)에서 역위상의 AC 전압이 2 차 유도되어 상기 축전지(31)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선식 비상구 유도등.
KR2020010016345U 2001-06-01 2001-06-01 2 선식 비상구 유도등 KR200244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345U KR200244871Y1 (ko) 2001-06-01 2001-06-01 2 선식 비상구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345U KR200244871Y1 (ko) 2001-06-01 2001-06-01 2 선식 비상구 유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871Y1 true KR200244871Y1 (ko) 2001-10-29

Family

ID=7310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345U KR200244871Y1 (ko) 2001-06-01 2001-06-01 2 선식 비상구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8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9197B2 (ja) 蛍光灯型led照明装置
US4727291A (en) Back-up electrical system for lamps
US8183989B2 (en) Emergency exit indicator and emergency exit indicating system
US6430064B1 (en)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RU2581653C2 (ru)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US6628083B2 (en) Central battery emergency lighting system
KR20060091822A (ko) 비상조명등
JP2006340469A (ja) 節電装置
JP2008228427A (ja) スイッチングシステム
JP4956409B2 (ja) Led照明器具
KR200244871Y1 (ko) 2 선식 비상구 유도등
KR20200118977A (ko) 엘이디 센서등 제어 장치
KR102309853B1 (ko) 다용도 led 조명 관리 장치
KR102245746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전원 공급 장치
JP4981489B2 (ja) エアスイッチングシステム
US11264831B2 (en) Solid-state lighting with an emergency driver
KR200164627Y1 (ko) 휴대용랜턴
RU2729476C1 (ru) Система централизованного освещения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х помеще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с большой световой нагрузкой
KR200280987Y1 (ko) 조명기기의 전원공급회로
KR950002416B1 (ko) 펄스신호제어 조광회로
KR200356541Y1 (ko) 전원 안정화 및 소비전력 극소화를 위한 전자식 스위치
JPS6129198Y2 (ko)
CA1320247C (en) Back-up electrical system for lamps
RU4392U1 (ru) Система регул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ощности
JP2015118837A (ja) Led照明装置、電源装置、および電源パッ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