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684Y1 - 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on bad smell - Google Patents

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on bad sm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684Y1
KR200244684Y1 KR2020010013155U KR20010013155U KR200244684Y1 KR 200244684 Y1 KR200244684 Y1 KR 200244684Y1 KR 2020010013155 U KR2020010013155 U KR 2020010013155U KR 20010013155 U KR20010013155 U KR 20010013155U KR 200244684 Y1 KR200244684 Y1 KR 200244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er
drain
sewer pip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15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병무
Original Assignee
안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무 filed Critical 안병무
Priority to KR2020010013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68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684Y1/en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의 연결구에 있어서, 오물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맨홀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purpose to provide a sewer pipe connector for preventing the odor generated from the dirt from entering the room through the manhole in the sewer pipe connection.

본 고안에 따르면, 하수관(2', 2')들을 상호 연결하고 지면으로부터 오폐수가 유입되는 배수구를 구비한 하수관 연결구에 있어서, 세워져 위치하며 상단이 배수구(116)가 되는 제 1 관(110)과, 중간 상부에 제 1 관(110)의 하단이 연결되고 양단부에 각각의 하수관(2', 2')이 연결되는 제 2 관(120, 130)을 포함하며, 제 1 관(110)과 제 2 관(120, 130)은 관통되고 제 2 관(120, 130)의 양단부 높이는 제 1 관(110)과 제 2 관(120, 130)이 연결된 부위의 높이보다 높이 위치하는 하수관 연결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wer pipe connector having a drain hole for interconnecting sewage pipes 2 'and 2' and introducing waste water from the ground, the first pipe 110 is located upright and the upper end is a drain hole 116 and The second pipe 120 and 130 ar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pe 110 in the middle and the sewage pipes 2 'and 2' are connected to both ends, and the first pipe 110 and the first pipe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two pipes 120 and 130 are penetrated, and both ends of the second pipes 120 and 130 are provided with a sewer pipe connector having a heigh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pipe 110 and the second pipe 120 and 130 are connected. .

Description

악취를 차단하는 하수관 연결구{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on bad smell}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on bad smell}

본 고안은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는 오폐수로부터 발생한 악취가 하수관을 통해 지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er pip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wer pipe connector that prevents odor generated from the waste water being transferred 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to be discharged to the ground through the sewer pipe.

일반 주택에는 오폐수를 버리는 배수구가 다수 개 위치해 있다. 그 예로서, 주방의 싱크대 및 욕실의 배수구 등이 있으며, 이들 배수구를 통해 버려진 오폐수는 하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된다.In general houses, there are many drains to dispose of waste water. For example, there are sinks in kitchens and drains in bathrooms, and the wastewater discarded through these drains is transferred to sewage treatment plants through sewer pipes.

한편, 이런 오폐수에는 오염물질들이 존재하여 부패됨으로써, 악취를 발생시키는데, 이런 오폐수가 하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는 도중에 악취는 역방향으로 확산되어 배수구를 통해 집안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On the other hand, such waste water is decayed due to the presence of pollutants, the odor is generated, the odor is diffused in the reverse direction while the waste water is transferred 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through the sewer pipe to enter the house through the drain.

이런 악취는 집안의 배수구뿐만 아니라, 도로나 거리에 설치된 맨홀을 통해 하수관 외부로 확산되어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고 있다.These odors are spreading outside the sewer pipes through manholes installed on roads and streets, as well as drains in the house, causing discomfort to peop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수관 연결구의 단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sewer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wer pipe connector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는 하수관(2', 2')들은 하수관 연결구(1)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이런 하수관 연결구(1)는 2개의 관(10, 20)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2개의 관(10, 20) 중에서 제 1 관(10)은 'ㄴ'자형 관이며, 제 1 관(10)의 일단부는 배수구(13)가 되고, 타단부는 제 1 하수관 삽입구(16)가 된다. 그리고, 제 1 관(10)의 절곡부(11)와 배수구(13)의 사이에는 제 2 관(20)이 연결되는데, 제 2 관(20)의 일단부는 절곡부(11)와 배수구(13)의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 2 하수관 삽입구(26)가 되며 배수구(13)의 반대방향 즉 하부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한다.1 and 2, the sewer pipes 2 ', 2' buried underground are interconnected by sewer pipe connectors 1, which are connected to two pipes 10, 20. It is connected and formed. Of the two pipes (10, 20), the first pipe (10) is a 'b' shaped pipe, one end of the first pipe 10 is the drain port 13, the other end of the first sewer pipe insertion port 16 do. The second pipe 20 is connected between the bent part 11 and the drain port 13 of the first pipe 10, and one end of the second pipe 20 is the bent part 11 and the drain port 13. ), The other end is the second sewer pipe insertion hole 26 and is positioned to face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drain hole 13.

이와 같은 하수관 연결구(1)의 제 1 하수관 삽입구(16)와 제 2 하수관 삽입구(26)에 하수관(2', 2')들이 각각 삽입되어 연결되고, 제 1 하수관 삽입구(16)에 연결된 하수관(2')을 따라 이송된 오폐수(3)는 ㄴ자형상의 제 1 관(10)의 수직부를 따라 배수구(13)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측면에 연결된 제 2 관(20)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배출되고, 배출된 오폐수(3)는 제 2 하수관 삽입구(26)에 연결된 하수관(2')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된다.Sewer pipes 2 'and 2'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first sewer pipe insertion port 16 and the second sewer pipe insertion port 26 of the sewer pipe connector 1, and the sewer pipe connected to the first sewer pipe insertion port 16 ( The wastewater 3 conveyed along 2 ')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second pipe 20 connected to the side while rising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 13 along the vertical part of the first N-shaped pipe 10, The discharged waste water 3 is transferred 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through the sewage pipe 2 'connected to the second sewage pipe insertion hole 26.

한편, 배수구(13)의 둘레는 수나사 가공되고, 이런 수나사 가공부위에 암나사 가공된 뚜껑(30)이 체결되어 배수구(13)를 폐쇄한다. 따라서, 하수관(2', 2')들을 통해 확산되는 악취는 배수구(13)에 체결된 뚜껑에 의해 임시적으로 막을 수 있으나, 배수구(13)를 통해 오폐수를 버리기 위해서는 뚜껑을 해체하고 오폐수를 버려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뚜껑(30)을 분실하였을 경우에는 악취의 확산을 막을 방법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ircumference of the drain port 13 is male threaded, and the female threaded lid 30 is fastened to the male thread machining site to close the drain port 13. Therefore, the odor spreading through the sewage pipes 2 ', 2' can be temporarily prevented by a lid fastened to the drain 13, but in order to discard the waste water through the drain 13, it is necessary to disassemble the lid and discard the waste water. There is a disadvantag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re is no way to prevent the spread of odor when the lid 30 is lost.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하수관을 통해 이송되는 오폐수로부터 발생한 악취가 배수구 쪽으로 확산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er pipe connect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odor generated from the waste water transported through the sewer pipe does not diffuse toward the drai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1 is a front view showing a sewer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수관 연결구의 단면도이고,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wer pipe connector shown in FIG.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의 조립도이고,3 is an assembly view of the sewer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수관 연결구의 단면도이고,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wer pipe connector shown in FIG.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의 조립도이다.5 is an assembly view of the sewer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 100 : 하수관 연결구 2', 2' : 하수관1, 100: sewer pipe connection port 2 ', 2': sewer pipe

10, 110 : 제 1 관 13, 116 : 배수구10, 110: first pipe 13, 116: drain

20, 120 : 제 2 관 126, 136 : 하수관 삽입구20, 120: 2nd pipe 126, 136: sewer pipe insertion port

130 : 제 3 관 140 : 배수관130: third pipe 140: drain pipe

150 : 거치부 160 : 뚜껑150: holder 160: li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하수관들을 상호 연결하고 지면으로부터 오폐수가 유입되는 배수구를 구비한 하수관 연결구에있어서, 세워져 위치하며 상단이 상기 배수구가 되는 제 1 관과, 중간 상부에 상기 제 1 관의 하단이 연결되고 양단부에 각각의 하수관이 연결되는 제 2 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관과 제 2 관은 관통되고 상기 제 2 관의 양단부 높이는 상기 제 1 관과 상기 제 2 관이 연결된 부위의 높이보다 높이 위치하는 하수관 연결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sewer pipe connector having a drain hole interconnecting the sewer pipes and the waste water flows from the ground, the first pipe is located upright and the upper end is the drain hole, and the middle upper A second pip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pipe and a sewer pipe connected to both ends thereof, wherei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re penetrated, and the height of both ends of the second pipe is increased from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 sewer pipe connection is provided tha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ite where the two pipes are connected.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 1 관의 하단부와 대응하는 제 2 관의 중간 하부에는 하부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바스켓이 위치하여 상기 하수관을 따라 유동하는 오폐수의 오물들이 상기 바스켓(basket)에 적재된다.In addition,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iddle of the second pi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basket is located in the groove so that the waste water of the wastewater flowing along the sewer pipe is It is loaded into a basket.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바스켓은 스테인레스 강선 망 구조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as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stainless steel wire network structure.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 1 관의 배수구에는 지면까지 연장되는 배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의 상단에는 뚜껑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drain pipe of the firs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extending to the ground, the top of the drain pipe is provided with a lid.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배수관과 상기 뚜껑의 사이에는 거치부가 설치되며, 상기 거치부의 상단 내경을 상기 뚜껑의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거치부의 하단 외경은 상기 배수관의 내경과 동일하다.In addition, a mounting por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drain pipe and the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inner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lid and the lower outer diameter of the mounting portion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pipe.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ewer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면에서,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의 조립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수관 연결구의 단면도이다.3 is an assembly view of the sewer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wer pipe connector shown in FIG.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본 고안의 하수관 연결구(100)가매설된다. 이런 하수관 연결구(100)는 3개의 관(110, 120, 130)이 연결되어 형성되는데, 제 1 관(110)은 지면을 향해 직립되어 위치하고, 이런 제 1 관(110)의 하단에는 제 1 관(110)에 수직하게 제 2, 제 3 관(120, 130)이 연결된다. 제 1 관(110)의 개방부는 하수관 연결구(100)의 배수구(116)가 되고, 제 2 관(120)의 개방부는 제 1 하수관 삽입구(126)가 되며, 제 3 관(130)의 개방부는 제 2 하수관 삽입구(136)가 된다.3 and 4, the sewer pipe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underground. This sewer pipe connector 100 is formed by connecting three pipes (110, 120, 130), the first pipe 110 is located upright toward the ground, the first pipe at the bottom of the first pipe (110) The second and third pipes 120 and 130 are connected perpendicularly to the 110. The opening of the first pipe 110 becomes the drain 116 of the sewer pipe connector 100, the opening of the second pipe 120 becomes the first sewer pipe insertion hole 126, and the opening of the third pipe 130 is It becomes a 2nd sewer pipe insertion hole 136. As shown to FIG.

한편, 제 2, 제 3 관(120, 130)의 중간부는 굴곡되어 제 2, 제 3 관(120, 130)의 개방부가 제 1 관(110)에 연결된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즉, 제 2, 제 3 관(120, 130)의 개방부의 위치는 제 1 관(110)의 외면과 제 2, 제 3 관(120, 130)의 외면이 연결된 부위(111)의 높이보다 최소한 더 높아야 한다. 그리고, 제 2, 제 3 관(120, 130)의 내경은 각각에 연결되는 하수관(2', 2')의 내경과 일치하고, 제 2, 제 3 관(120, 130)의 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하수관 삽입구(126, 136)의 내경은 하수관(2', 2')의 외경과 동일하다. 따라서, 각각 하수관 삽입구(126, 136)에 하수관(2', 2')이 삽입되어 고정되면 하수관(2', 2')의 내경과 제 2, 제 3 관(120, 130)의 내경은 동일하게 되는데, 이것이 가장 바람직한 예이다.Meanwhile, the middle part of the second and third pipes 120 and 130 may be bent and positioned above the position where the openings of the second and third pipes 120 and 130 ar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110. That is, the position of the openings of the second and third pipes 120 and 130 is at least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portion 111 to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ipe 110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second and third pipes 120 and 130 are connected. Should be higher. The inner diameters of the second and third pipes 120 and 130 coincide with the inner diameters of the sewage pipes 2 'and 2' connected to each other, respectively, and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pipes 120 and 130, respectively. The inner diameter of the sewer pipe insertion holes 126 and 136 is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ewer pipes 2 'and 2'. Therefore, when the sewer pipes 2 'and 2' ar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ewer pipe insertion holes 126 and 136, the inner diameters of the sewer pipes 2 'and 2' and the inner diameters of the second and third pipes 120 and 130 are the same. This is the most desirable example.

그리고, 제 1 관(110)의 배수구(116)에는 지면까지 연장되는 배수관(140)이 연결되는데, 이런 배수관(140)과 제 1 관(110)의 연결관계 또한, 앞에서 설명한 제 2, 제 3 관(120, 130)과 하수관(2', 2')의 연결관계와 동일하다. 이렇게 제 1 관(110)에 연결된 배수관(140)의 상단부는 지면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런 배수관(140)의 상단에는 거치부(150)가 안착되고, 이런 거치부(150)의 상부에는 배수관 뚜껑(160)이 안착된다.In addition, a drain pipe 140 extending to the ground is connected to the drain 116 of the first pipe 110,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rain pipe 140 and the first pipe 110 is also described in the second and third described above. It is the same a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ipes 120 and 130 and the sewer pipes 2 'and 2'. Thus, the upper end of the drain pipe 140 connected to the first pipe 110 is projected out of the ground, the mounting portion 150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drain pipe 140, the drain pipe cap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50 160 is seated.

여기에서 거치부(150)는 그 길이 중간부에 환형턱(152)이 형성되어, 거치부(150) 하단의 외경은 배수관(140)의 내경과 일치하고, 거치부(150) 상단의 외경은 배수관(140)의 외경과 일치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뚜껑(160)의 직경은 거치부(150) 상단의 내경과 일치하며, 뚜껑(160)의 중심부에는 두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런 관통공에 'ㄷ'자 형상의 손잡이(165)가 체결되는데, 손잡이(165)의 양단부에는 수나사 가공되어 있으며 양단부가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165)의 양단부에 너트(167)가 체결됨으로써, 손잡이(165)는 뚜껑(16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Here, the mounting portion 150 has an annular jaw 152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length,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50 coincides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pipe 140,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50 It is formed to match the outer diameter of the drain pipe 140.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lid 160 is matched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top of the mounting portion 150, two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id 160, the 'c' shaped handle 165 in the through-holes Both ends of the handle 165 is externally threaded and the nut 167 is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165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handle 165 does not detach from the lid 160. Will not.

이와 같이 구성된 하수관 연결구의 악취 차단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The odor blocking relationship of the sewer pipe connec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하수관 연결구(100)에 연결된 두 개의 하수관(2', 2') 중에서 어느 한 쪽 하수관(2')으로부터 오폐수가 하수관 연결구(100)로 유입된다. 유입된 오폐수는 제 1, 제 2, 제 3 관(110, 120, 130)이 연결되어 형성된 공간(115)에 저장되고, 오폐수의 유입량이 점차 많아지면 오폐수의 수위가 상승하여 다른 한 쪽의 하수관(2')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흘러간다.Waste water flows into the sewer pipe connector 100 from one of the two sewer pipes 2 'and 2' connected to the sewer pipe connector 100. The introduced waste water is stored in the space 115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pipes 110, 120, and 130, and when the inflow amount of waste water gradually increases, the level of the waste water rises and the other sewage pipe (2 ') 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이때, 도 4에 보이듯이, 오폐수의 수위는 두 하수관 삽입구(126, 136)의 높이 만큼에 위치하며, 제 2, 제 3 관(120, 130)의 하수관 삽입구(126, 136) 높이가 제 1 관(110)의 외면과 접하는 연결부위(111)의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오폐수는 제 2, 제 3 관(120, 130)으로부터 제 1 관(110)으로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을 모두채운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4, the water level of the waste water is located at the height of the two sewer pipe insertion holes (126, 136), the height of the sewage pipe insertion holes (126, 136) of the second and third pipes (120, 130) is the first Since it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portion 111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110, the waste water is located in a state filled with all the spa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110 from the second, third pipe (120, 130) Done.

따라서, 두 하수관(2', 2')으로부터 확산되는 악취는 오폐수에 의해 제 1 관(110)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또한, 한 쪽의 하수관(2')에서 발생된 악취는 다른 한 쪽의 하수관(2')으로 확산되지 않고, 다른 한쪽의 하수관(2')에서 발생한 악취 또한 한 쪽의 하수관(2')으로 확산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odor diffused from the two sewer pipes 2 ', 2' is not diffused into the first pipe 110 by the waste water, and the odor generated in one sewer pipe 2 'is the other sewage pipe. It does not diffuse to 2 ', and the odor generated in the other sewage pipe 2' also does not diffuse to one sewage pipe 2 '.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 2 실시예와 제 1 실시예를 비교하였을 때에, 제 2 실시예에서는 하수관 연결구의 하면에 바스켓이 위치하여 침적된 오폐수의 오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In comparison with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basket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wer pipe connector so as to remove the sewage of the sewage, which is deposited. Since the same or similar,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면에서,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의 조립도이다.5 is an assembly view of the sewer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 2, 제 3 관(110, 120, 130)이 연결되어 형성된 공간(도 4의 115)의 하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홈(210)이 형성되며, 이런 홈(210)에는 바스켓(220)이 위치한다. 바스켓(220)은 스테인레스 강선 망 구조로 형성되며, 바스켓(220)의 상단부에는 손잡이(225)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a groove 21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a lower surface of the space (115 in FIG. 4)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pipes 110, 120, and 130. In this groove 210, the basket 220 is located. The basket 220 is formed of a stainless steel wire mesh structure, and a handle 225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sket 220.

오폐수가 제 1, 제 2, 제 3 관(110, 120, 130)이 연결되어 형성된 공간(도 4의 115)에 장시간 동안 위치해 있으면 오폐수에 수용된 오물들은 가라앉아 바스켓(220)에 적재된다. 이때, 뚜껑(160)을 열고 손으로 또는 후크가 설치된 장대를 이용하여 바스켓(220)의 손잡이(225)를 끌어올림으로써, 오폐수에 수용된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If the waste water is positioned for a long time in the space (115 of FIG. 4)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pipes 110, 120, and 130, the wastes received in the waste water sink and are loaded into the basket 220. At this time, by opening the lid 160 by pulling the handle 225 of the basket 220 by hand or by using a rod installed hook,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dirt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하수관 연결구는 하수관을 따라 확산되는 악취가 배수구를 통해 실외 또는 실내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쾌적한 실내외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ewer pi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form a pleasant indoor and outdoor space by blocking the odor diffused along the sewer pipe to be discharged to the outdoors or indoors through the drain.

또한, 본 고안의 하수관 연결구는 오폐수에 수용된 오물을 손쉽게 제거함으로써, 하수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ewer pi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ogging of the sewage pipe by easily removing the dirt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이상에서 본 고안의 하수관 연결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sewer pi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only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하수관들을 상호 연결하고 지면으로부터 오폐수가 유입되는 배수구를 구비한 하수관 연결구에 있어서,A sewer pipe connector having a sewer pipe interconnecting the sewer pipes and having a drainage port from which the wastewater flows from 세워져 위치하며 상단이 상기 배수구가 되는 제 1 관과,A first pipe which is positioned upright and whose upper end is the drain hole, 중간 상부에 상기 제 1 관의 하단이 연결되고 양단부에 각각의 하수관이 연결되는 제 2 관을 포함하며,A second pip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pipe at an intermediate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ewer pipe connected to both ends thereof; 상기 제 1 관과 제 2 관은 관통되고 상기 제 2 관의 양단부 높이는 상기 제 1 관과 상기 제 2 관이 연결된 부위의 높이보다 높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is penetrated and the sewer pi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both ends of the second pipe is locat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is connect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관의 하단부와 대응하는 제 2 관의 중간 하부에는 하부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바스켓이 위치하여 상기 하수관을 따라 유동하는 오폐수의 오물들이 상기 바스켓(basket)에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iddle of the second pi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pe, and a basket is located in the groove to allow the waste water to flow along the sewage pipe to the basket. Sewer pi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ading.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바스켓은 스테인레스 강선 망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The basket is a sewer pi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stainless steel wir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관의 배수구에는 지면까지 연장되는 배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의 상단에는 뚜껑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The drain pipe of the first pipe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extending to the ground, the sewer pi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of the drain pipe is installe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배수관과 상기 뚜껑의 사이에는 거치부가 설치되며, 상기 거치부의 상단 내경을 상기 뚜껑의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거치부의 하단 외경은 상기 배수관의 내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A mounting part is installed between the drain pipe and the lid,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lid and the low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pipe.
KR2020010013155U 2001-05-07 2001-05-07 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on bad smell KR20024468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155U KR200244684Y1 (en) 2001-05-07 2001-05-07 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on bad sm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155U KR200244684Y1 (en) 2001-05-07 2001-05-07 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on bad smel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590 Division 2001-05-07 2001-05-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684Y1 true KR200244684Y1 (en) 2001-10-12

Family

ID=7310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155U KR200244684Y1 (en) 2001-05-07 2001-05-07 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on bad sm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68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788B1 (en) * 2001-05-07 2004-01-24 안병무 Sewage pipe connector to be able to intercept bad sme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788B1 (en) * 2001-05-07 2004-01-24 안병무 Sewage pipe connector to be able to intercept bad sme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375B2 (en) Food preparation sink trash interceptor system
AU2008243269B1 (en) Plumbing Fitting
KR200244684Y1 (en) 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on bad smell
KR101336587B1 (en) Drain sewage apparatus
KR100552492B1 (en) A sewage tool assembly
KR100635233B1 (en) Manhole of road
KR100655740B1 (en) Prevention manhole for counterflow and foul smell
KR200406944Y1 (en) Manhole of road
KR20210116912A (en) Waste water collector with adjustable socket connection angle
SE9601162D0 (en) flood
KR100575134B1 (en) Improvement structure of sewage manhole for road
KR970075138A (en) Verender Sewage System in High Rise Building
KR200395244Y1 (en) A sewage tool assembly
KR200285232Y1 (en) Draining apparatus for preventing an upstream current
KR19990022650U (en) Automatic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 flow and stink in sewage pipe
KR200388508Y1 (en) the drainage inspection chamber with interception of bad smell and adjustment ability of height
KR200218233Y1 (en) Drain Trap
KR100671173B1 (en) Coupling structure of a small manhole
KR0117655Y1 (en) Odour seals combined with additional object-catching devices
JPH0527579Y2 (en)
KR200249102Y1 (en) House drainage inspection chumber
KR200414252Y1 (en) Connecting manhole and drain tube
CH659844A5 (en) Siphon-forming flow fitting to be placed on a soil stack
KR101104870B1 (en) Inverter for manhole
KR200187054Y1 (en) Exclusion method and the equipment different thing connection building water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