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493Y1 - 김치저장고의 도어 발포액 투입구조 - Google Patents

김치저장고의 도어 발포액 투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493Y1
KR200244493Y1 KR2020010015751U KR20010015751U KR200244493Y1 KR 200244493 Y1 KR200244493 Y1 KR 200244493Y1 KR 2020010015751 U KR2020010015751 U KR 2020010015751U KR 20010015751 U KR20010015751 U KR 20010015751U KR 200244493 Y1 KR200244493 Y1 KR 200244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let
cover cap
inner case
kimch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2020010015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4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493Y1/ko

Links

Landscapes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김치저장고의 도어 발포액 투입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도어(30)의 아웃케이스(31)와 인너케이스(32)를 조립한 상태에서 도어(30)의 내부에 단열을 위해 균일하게 우레탄과 같은 발포성 물질(40)을 투입할 수 있도록 도어(30)의 인너케이스(32) 상에 별도의 투입구(33)를 형성하여 이 투입구(33)를 통해 도어(30) 내부에 발포 성형한 후에 투입구(33)를 커버캡(34)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30) 내부에 발포액을 투입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캡(34)은 그 내주면 사방에 약간의 탄성을 갖으면서 끝단에 걸림턱(36)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체결후크(35)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캡(34)이 체결후크(35)에 의해 억지 끼움 형태로 투입구(33)에 삽입 고정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김치저장고의 도어 발포액 투입구조 {A throwing structure a foaming for door of Kim-Chi storage }
본 고안은 김치저장고의 도어 발포액 투입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아웃케이스와 인너케이스를 조립한 상태에서 도어의 내부에 균일하게 우레탄과 같은 발포액을 투입할 수 있도록 도어의 인너케이스 상에 별도의 투입구를 형성하여 이 투입구를 통해 도어 내부에 발포 성형한 후에 투입구를 커버캡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내부에 발포액을 투입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김치저장고의 도어 발포액 투입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식품과 냉장식품 또는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들을 장기간 보관하고,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를 적당히 낮은 온도로 보관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냉장실과 냉동실이 구비된 냉장고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냉방장치의 일종으로서,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모터로 구동되는 응축기로 냉매를 액화하여 이 고압으로 응축된 냉매를 관의 직경이 적은 모세관으로 이동시키면서 증발기에서 냉매를 순간적으로 기화시켜 냉기를 발생하고, 이때 발생된 냉기를 냉장고 본체 내에 공급시켜서 냉장고 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신선하게 보관하게 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열을 흡수하고 기화된 냉매는 압축기를 거쳐 응축기로 이동하여 응축되어 액화되면서 열을 외부로 방출하게 되는 상기의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냉방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냉장고에 김치를 함께 보관하는 경우에는 김치 냄새가 냉장고 내에 배어들면서 다른 식품에 까지 영향을 끼치게 되어 주부들이 이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는 냉장고 이외에는 별다른 대안이 없어 김치 보관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 김치만을 냉장 보관시킴은 물론 숙성 기능까지 갖춘 김치전용 냉장고(이하 '김치저장고'라 한다)가 개발 공급되면서 주부들로부터 각광(脚光)받게 되었다.
이 김치만을 위한 전용 냉장고인 김치저장고는 냉각시스템과 히터를 이용하여 김치를 신선하게 보관하고 숙성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었고, 이 김치저장고는 계절의 변화 및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김치를 적당히 숙성시킨 다음, 적정온도로 유지하여 잘 익은 김치의 맛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종래 개발 공급되고 있는 김치저장고 중 하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김치저장고는 그 외관이 사각통 형상의 본체캐비넷(100)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본체캐비넷(100)의 전면 상부 및 하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도어 개구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상부저장실(200) 및 하부저장실(30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 저장실(200,300)의 도어 개구부를 슬라이딩되면서 개폐하는 도어(40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캐비넷(100)의 내측 후방 하부영역에는 상기 하부저장실(300)과 구획되게 기계실(50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저장실(200,300) 내에는 김치 등의 음식물을 담는 김치통(600)을 적재할 수 있도록 된 저장바스켓(700)이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어 있고, 상기 본체캐비넷(100)의 전면 상단부에는 기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기판부 (80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기계실(500)내에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510) 및 냉매 순환을 통한 냉각시스템을 달성하기 위한 각종 구성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각 저장실(200,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기계실(500)에 설치된 압축기(510) 등과 냉매가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냉각시스템을 이루는 증발파이프(520)가 감싸져 있고, 더불어 히터(530)가 구비되어 김치 숙성 시 저장실(200, 300)을 가열하여 일정 정도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숙성이 완료된 김치를 변질시키지 않고 장기간 보관 저장시키기 위해서는 저장실(200,300)내의 온도를 변화시키지 않고 설정된 소정의 숙성온도 내지 저장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상기 저장실(200,300)의 온도변화는 냉각시스템 및 히터의 구동을 어떻게 제어하느냐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지만, 한편으로는 그 저장실(200,300)로부터의 냉기유출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는 단열 상태 및 도어의 밀폐도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냉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의 밀폐도 유지가 중요함에 따라 도어의 구조가 여러 가지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종래 도어(400)는 통상적으로 외곽을 이루는 아웃케이스(410)와 내측면을 이루는 인너케이스(420)로 이루어지고, 이 아웃케이스(410)와 인너케이스 (420)를 서로 형합함과 아울러, 이들 아웃케이스(410)와 인너케이스(420) 사이에 우레탄과 같은 발포성 물질(430)을 충진하여 단열을 구성시키고 있다.
그런데, 종래 도어(400)의 아웃케이스(410)와 인너케이스(420) 사이에 단열을 위해 충진되는 발포성 물질(430)의 발포 공정은 통상 도어(400)의 아웃케이스 (410)를 수평의 상태로 위치시켜 도어(400)의 내부 공간에 해당하는 만큼 발포 성형을 한 후 인너케이스(420)를 재빠르게 끼움 결합하여 조립하는 방식이 채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발포 공정은 전체적으로 도어(400)의 내부 공간만큼 에 정확하고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발포하는 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400) 내부 공간 이상으로 발포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면 발포성 물질(430)이 넘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이렇게 발포성 물질(430)이 도어(400)의 내부 공간에서 넘쳐 나면 아웃케이스(410)와 인너케이스(420)의 조립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아웃케이스와 인너케이스를 조립한 상태에서 도어의 내부에 균일하게 우레탄과 같은 발포액을 투입할 수 있도록 도어의 인너케이스 상에 별도의 투입구를 형성하여 이 투입구를 통해 도어 내부에 발포 성형한 후에 투입구를 커버캡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내부에 발포액을 투입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김치저장고의 도어 발포액 투입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김치저장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김치저장고의 내부 구성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김치저장고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저장고의 도어에 발포액 투입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저장고의 도어 내부에 발포성 물질이 투입된 상태에서 커버캡으로 밀폐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발포액 투입구를 밀폐시키는 커버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캐비넷 20 : 저장실
30 : 도어 31 : 아웃케이스
32 : 인너케이스 33 : 투입구
34 : 커버캡 35 : 체결후크
36 : 걸림턱 40 : 발포성 물질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아웃케이스와 인너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이 아웃케이스와 인너케이스가 서로 형합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발포성 물질이 발포 성형되어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된 김치저장고의 도어에 있어서, 상기 인너케이스 상에 발포액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는 커버캡에 의해 밀폐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버캡의 내주면 사방에 약간의 탄성을 갖는 다수개의 체결후크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후크의 끝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억지 끼움 형태로 투입구에 삽입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김치저장고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저장고의 도어에 발포액 투입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저장고의 도어 내부에 발포성 물질이 투입된 상태에서 커버캡으로 밀폐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발포액 투입구를 밀폐시키는 커버캡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김치저장고는 그 외관이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캐비넷(10)과, 이 본체캐비넷(10)의 전면 상부 및 하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도어 개구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저장실(20)과, 상기 각 저장실(20)의 도어 개구부를 슬라이딩되면서 개폐하는 도어(30)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김치저장고에서 본 고안은 상기 도어(30)의 내부에 단열을 위한 발포성 물질(40)을 용이하게 투입하기 위해 도어(30)의 인너케이스 (32) 상에 투입구(33)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33)를 밀폐시키기 위한 별도의 커버캡(34)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따른 도어(3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아웃케이스(31)와 인너케이스(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웃케이스(31)와 인너케이스(32)가 서로 형합 됨으로써, 도어(30)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이때, 상기 도어(30)의 아웃케이스(31)와 인너케이스(32)의 설치간격 유지 및 보강을 위해 아웃케이스(31) 혹은 인너케이스(32) 내주 벽면의 적당한 위치에 보스(도시 안됨)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이 보스를 통해 나사 조립을 하든지 억지 끼움 조립을 하는 방식으로 서로 형합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종래에는 단열을 위해 발포성 물질(40)을 발포 성형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지그 등을 이용해 아웃케이스(31)와 인너케이스(32)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발포 성형하는 방식 등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보스를 통해 나사 조립이나 억지 끼움 방식으로 아웃케이스(31)와 인너케이스(32)가 견고하게 조립될 수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지그 사용과 같은 문제점을 배제시키고 간단히 발포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31)와 인너케이스(32)로 이루어지는 도어(30)의 내부에는 단열을 위한 우레탄과 같은 발포성 물질(40)이 투입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도어(30)에서는 아웃케이스(31)와 인너케이스(32)가 사전에 형합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아웃케이스(31)와 인너케이스(32)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 사이로 발포성 물질(40)이 발포 성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도어(30)의 인너케이스(32) 상에 발포액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33)가 구비되고, 이 투입구(33)를 통해 발포성 물질을 투입하여 발포 성형한 후에 투입구(33)를 밀폐시키기 위해 별도의 커버캡(34)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캡(3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주면 사방에 약간의 탄성을 갖는 다수개의 체결후크(3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체결후크(35)는 커버캡(34)을 투입구(33)에 끼워서 투입구(33)를 밀폐시킨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커버캡(34)을 강제적으로 뜯어내기 전에는 절대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그 끝단에 걸림턱(36)이 형성되어 억지 끼움 형태로 투입구(33)에 삽입 고정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상기 투입구(33)를 통해 액상의 발포성 물질(40)을 주입시키게 되면, 발포성 물질(40)은 발포되어 점차적으로 도어의 아웃케이스(31)와 인너케이스(32)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충진하게 된다.
이렇게 발포성 물질(40)이 도어(30)의 내부공간에 충진되어 고르게 분포된후 투입구(33) 쪽으로 발포성 물질(40)이 밀려오게 되면, 상기 커버캡(34)의 체결후크(35)를 투입구(33) 내측으로 억지 끼움 형태로 끼워서 투입구(33)를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투입구(33)가 차단됨으로써, 발포성 물질(40)은 투입구(33)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므로 투입구(33)를 통해 유출될 경우의 외관손상이나 후처리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김치저장고의 도어 발포액 투입구조에 의하면, 도어를 구성하는 아웃케이스와 인너케이스를 사전에 형합하여 조립한 다음, 인너케이스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아웃케이스와 인너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공간 사이로 발포성 물질을 발포 성형하게 됨에 따라 도어의 내부 공간 크기에 알맞게 정확하고 균일한 발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발포 성형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아웃케이스와 인너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이 아웃케이스와 인너케이스가 서로 형합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발포성 물질이 발포 성형되어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된 김치저장고의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인너케이스 상에 발포액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는 커버캡에 의해 밀폐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도어 발포액 투입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캡의 내주면 사방에 약간의 탄성을 갖으면서 그 끝단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체결후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캡이 체결후크에 의해 억지 끼움 형태로 투입구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도어 발포액 투입구조.
KR2020010015751U 2001-05-28 2001-05-28 김치저장고의 도어 발포액 투입구조 KR200244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751U KR200244493Y1 (ko) 2001-05-28 2001-05-28 김치저장고의 도어 발포액 투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751U KR200244493Y1 (ko) 2001-05-28 2001-05-28 김치저장고의 도어 발포액 투입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493Y1 true KR200244493Y1 (ko) 2001-10-15

Family

ID=7306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751U KR200244493Y1 (ko) 2001-05-28 2001-05-28 김치저장고의 도어 발포액 투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4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902B1 (ko) * 2003-06-03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902B1 (ko) * 2003-06-03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3636B2 (en) Ice making system and method for refrigerator
KR200244493Y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발포액 투입구조
KR100751106B1 (ko) 제빙실이 구비된 냉장실도어
EP2336687B1 (en) Refrigerating appliance of the no-frost type, in particular for household use, and method for making such an appliance
KR100595720B1 (ko) 김치냉장고의 요구르트 제조장치
KR100820878B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축냉구조
KR101088221B1 (ko) 냉장고
KR19990074943A (ko) 김치냉장고
KR100660100B1 (ko) 김치냉장고의 증발기 냉매파이프의 결합 구조
KR200169837Y1 (ko) 김치저장고의 내기차단 장치
KR200204128Y1 (ko) 냉장고의 도어
KR200243246Y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저장실 케이스 조립구조
KR100836837B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
KR200245644Y1 (ko) 빌트인 타입 김치저장고의 컨트롤기판부 설치구조
KR100291731B1 (ko) 김치저장고의 구동제어방법
KR100416701B1 (ko) 김치저장고 야채실의 드레인 연결구조
KR100666683B1 (ko) 김치냉장고의 냉기보존장치
KR200311793Y1 (ko) 김치저장고의 손잡이
KR100511326B1 (ko) 냉장고의 요구르트 제조장치
KR19990075785A (ko) 김치저장고의 구동제어방법
KR100572600B1 (ko) 김치냉장고
KR19990042749A (ko) 다기능 식품저장고
KR200243228Y1 (ko) 강제대류수단이 구비된 김치저장고
KR100759334B1 (ko) 김치저장고의 냉각시스템
KR20210089548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